@@갈천-c4v 다큐의 내용은 경쟁이 있어야 발전이 있다는 건데 미국이 그 수단으로 민주주의를 채택해서 발전했잖음. 물론 미국의 남미 공작처럼, 민주주의를 일부러 분열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니, 민주주의 = 부국강병은 아니긴 하지. 하지만 제대로 작동한다면 부국강병을 가져다 주는 요소가 맞음.
ㅎㅎㅎㅎㅎㅎㅎ 다큐 별로 안 좋아하는 사람이 오랫만에 봤는가보네. KBS다큐 좋은거 많이 만들었음. 그리고 우리나라 공영방송은 KBS MBC EBS 등 중앙방송과 TBS등 지역 공영방송이 있음. 니가 낸 수신료는 이런 공영방송이 방송통신위원회에서 분배를 함. ㅎㅎㅎㅎㅎㅎ
가치중립 [ 價値中立 ] 요약 연구자가 연구 과정에서 자신의 주관적인 가치관이나 이해관계를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려는 태도. 사회·문화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의 가치중립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가치중립이란, 연구자가 연구 과정에서 자신의 주관적인 가치관이나 이해관계를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려는 태도이다. 일반적으로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과정은 주제 설정, 자료 수집, 자료 분석, 결론 도출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특히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가치중립이 중요하다. 만약 여기에 연구자의 가치가 개입된다면 당연히 그 가치가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으며, 연구자가 원하는 방향대로 결과를 얻기 위해 연구 과정이나 내용을 조작 혹은 왜곡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그 연구는 객관적이지 못하고 신뢰할 수 없다는 평을 받게 된다. 따라서 연구 과정에서 가치중립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 그리고 결론 도출에 이르는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는 경험적 자료에 근거하여 실증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통해 객관적으로 사실을 인식해야 하며, 자신의 연구 과정에 대해 끊임없이 성찰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물론 사회·문화 현상을 다루는 모든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적인 가치를 완전히 배제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연구 주제를 선택하거나 연구의 목적이나 방법 등을 설계할 때, 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된 정책이나 대안을 제시할 때는 연구자의 가치 판단이나 주관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이를 가치개입(價値 介入)이라고 하는데, 가치개입이란 연구자가 자신의 주관적 가치를 개입시켜 연구하는 태도를 말하는 것으로 가치중립과 대응되는 개념이다. 사회·문화 현상이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가치가 반영되어 나타나는 것이고 연구자 자신도 그 사회 속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연구자가 모든 사회·문화 현상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그러므로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할 때 연구의 가치중립이 요구된다는 것은 연구자의 가치를 완전히 배제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의 주관적 가치 때문에 연구 과정이나 결과가 왜곡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치중립 [價値中立]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영상 19:00 지점. 좋다. 불완전 무기. 무엇이 옳은지 불분명한 상황이야말로 가장 권력이 필요한 순간이다. 무엇이 옳은지 불분명하기 때문에 의지를 강제시킬수 있는 권력이 필요한거죠. 그리고 혁신이 핀요한 때는 무엇이 옳은지 가장 불분명한 순간입니다. 불완전한 기술을ㅈ두고 선택해야하니까요. 권력을 가진 자들이 혁신으로 인해 손해를 보는자들이라면 혁신은 불가능할 수 밖에 없습니다.... 꼭 박정희를 생각케하네.
EBS는 역시 명불허전이다. 이런 다큐 감사합니다.
혁신을 하기 위해서는 권력이 있어야 하는군요. 운전대를 직접 잡는 자가 변화를 이끌어 간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화약을 처음 만든 나라는 중국인데 화약 혁명에 실패하다니 참으로 아이러니 하지 않을 수 없음.
혁신에 대해서 어느 누가 더 절실했고 적극적으로 개혁을 했는지 그 차이라고 봄.
즐겁게 시청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이 영상을 꼭 봤으면 좋겠네요~~^^
정말 재밌고 유익하네요. 많은 인싸이트를 얻어갑니다.
좋은, 작품이네요..
감사 합니다.
Ebs 다큐중 자본주의 다음으로 이게 최고임
진짜 너무 재미있다
너무 재밌게 잘 봤습니다
시리즈가 2부부터는 풀버전이 없는데, 시리즈 나머지 분량 풀버전 영상도 업로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 이런 다큐 진짜 좋음. ㅋㅋ 그리고 수퍼피쉬도 추천합니다. 재밌어요.
강석훈씨 전달력 정말 좋습니다
넘너무재밌습니다
김석훈이에요 ㅋ
혁신은 피를 뿌려야 이루어지는군
민주주의가 흘린 피의 양만큼 얻는것처럼
민주주의가 부국강병을 가져다 주나?
기술혁신은 권력분산의 민주주의와 달리 권력의지,집중을 요구한다네.
@@갈천-c4v 다큐의 내용은 경쟁이 있어야 발전이 있다는 건데
미국이 그 수단으로 민주주의를 채택해서 발전했잖음.
물론 미국의 남미 공작처럼, 민주주의를 일부러 분열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니, 민주주의 = 부국강병은 아니긴 하지. 하지만 제대로 작동한다면 부국강병을 가져다 주는 요소가 맞음.
기득권은 절대 기득권을 내려놓고 싶지 않기때문에 내부혁신의 뿌리를 짓밟는다. 고로 외부의 혁신에 의해 무너지는것이 필연적이다.
2부내놔
세계는 전쟁과 상업교류 불편으로부터
발전해 온듯.. 그래도 전쟁은 없길..ㅠㅠ
2:41 노예군단 맘루크 아인잘루트 전투
맘루크
와 졸라재밋네
내 시청료로 이런 다큐 많이 만들어야하는데 kbs는 뭐하냐
ㅎㅎㅎㅎㅎㅎㅎ
다큐 별로 안 좋아하는 사람이 오랫만에 봤는가보네.
KBS다큐 좋은거 많이 만들었음.
그리고 우리나라 공영방송은 KBS MBC EBS 등 중앙방송과 TBS등 지역 공영방송이 있음.
니가 낸 수신료는 이런 공영방송이 방송통신위원회에서 분배를 함.
ㅎㅎㅎㅎㅎㅎ
KBS다큐도 좋은거 많은데 왜 ㅋㅋ; MBC도 아마존의 눈물같이 좋은 다큐 많았는데 정치편향화 되고는 종편만도 못하게 된거 같다..
@@daleparker1484 딱봐도 퀄리티 차이가 심각한데 ㅋㅋㅋ 직원임?
한국 다큐 넘 허접해서 못봄
이거 2,3부는 어디에 있나요? ㅠㅠ
지금 한국에도 강제혁신이 필요하다
혁신하지 않으면 발전하지 않으면 도태되고 잡아먹힌다
9:04 토탈워 하고싶어지네
2부 URL 바로가기 좀 알려주세요
중앙집권이 상대적으로 덜 된 봉건제 국가였던 것도 트리거 중의 하나였겠군.
수신료가 전혀 아깝지 않네요. 감사합니다.
가치중립
[ 價値中立 ]
요약 연구자가 연구 과정에서 자신의 주관적인 가치관이나 이해관계를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려는 태도.
사회·문화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의 가치중립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가치중립이란, 연구자가 연구 과정에서 자신의 주관적인 가치관이나 이해관계를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려는 태도이다.
일반적으로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과정은 주제 설정, 자료 수집, 자료 분석, 결론 도출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특히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가치중립이 중요하다. 만약 여기에 연구자의 가치가 개입된다면 당연히 그 가치가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으며, 연구자가 원하는 방향대로 결과를 얻기 위해 연구 과정이나 내용을 조작 혹은 왜곡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그 연구는 객관적이지 못하고 신뢰할 수 없다는 평을 받게 된다. 따라서 연구 과정에서 가치중립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 그리고 결론 도출에 이르는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는 경험적 자료에 근거하여 실증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통해 객관적으로 사실을 인식해야 하며, 자신의 연구 과정에 대해 끊임없이 성찰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물론 사회·문화 현상을 다루는 모든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적인 가치를 완전히 배제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연구 주제를 선택하거나 연구의 목적이나 방법 등을 설계할 때, 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된 정책이나 대안을 제시할 때는 연구자의 가치 판단이나 주관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이를 가치개입(價値 介入)이라고 하는데, 가치개입이란 연구자가 자신의 주관적 가치를 개입시켜 연구하는 태도를 말하는 것으로 가치중립과 대응되는 개념이다.
사회·문화 현상이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가치가 반영되어 나타나는 것이고 연구자 자신도 그 사회 속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연구자가 모든 사회·문화 현상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그러므로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할 때 연구의 가치중립이 요구된다는 것은 연구자의 가치를 완전히 배제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의 주관적 가치 때문에 연구 과정이나 결과가 왜곡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치중립 [價値中立]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조선은 양무운동 시도조차 못했으니.. 병인 신미덕에 운이 좋았던건지 나빴던건지.
지금은 초음속마일.과 우주공격방어
운전대도 중요하지만 실질적 효과는 결국은 국민성이다 일본은 상공업을 존중했고 중국은 농업을 중시하고 상공업을 무시한 문화가 깔려있음
일본이 상공업을 존중했다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개가 웃을 소리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elongmelonglee4688일본이 상공업 중시했지 조선이 상공업 중시했냐?
한중일 삼국 모두 상공업을 중시하지 않았음.
일본도 쇄국하다가 강제로 문이 열렸는데
1
오스만
육스만
칠스만
클린스만
몽골군이 대단한게 이집트까지 처들어갔다는거 말이 이집트지 ㅋㅋ
그 몽골군들이 맘루크군 에게 패배햇어요
쓰저씨
우리도 자주적인 외교와 국방을 해야 살아남는다 맨날 미국에 의존 하면서 일본하고 잘 지내야 한다고만 말하는 자들이 가장 위험한 인간들임 청을 사대하다 일본에 먹히고 명을 사대하다 청에 머리를 조아리고 용서를 구한 인조를 생각해봐라
영상 19:00 지점. 좋다. 불완전 무기. 무엇이 옳은지 불분명한 상황이야말로 가장 권력이 필요한 순간이다. 무엇이 옳은지 불분명하기 때문에 의지를 강제시킬수 있는 권력이 필요한거죠. 그리고 혁신이 핀요한 때는 무엇이 옳은지 가장 불분명한 순간입니다. 불완전한 기술을ㅈ두고 선택해야하니까요.
권력을 가진 자들이 혁신으로 인해 손해를 보는자들이라면 혁신은 불가능할 수 밖에 없습니다....
꼭 박정희를 생각케하네.
2부는 어디서봐요?
지금 우리의 최고권력은 검찰짜장 굥짜장입니다. 어때요? 든든하신가요? 불안하신가요? 당신은 정답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민족 혁신왕은 박정희입니다.
윤석렬의 박정희의 혁명 혁신을 배우고 있어요.
찢?
@@stivejin9281쓰레기 일배 인증
@@stivejin9281 난독증이세요? 든든한지 불안한지 물은건데ㅋ
@@볼드모트-v3d 찢찢대네
일제시대 미화 하지 말라면서 조선시대 미화하는 후조선 수준 ㅋㅋㅋㅋ
180석은 머햇노~
어차피 잘 했다고 해도 넌 그 동네 지지하는 사람이 아니잖아
그러면 엄한 데서 조롱질하지 말고 입 다물자
@@dpffhtrl 180석으로 검수완박도 제대로못하는 그동네정당을 아직도 지지함???
혹시 고향이???
@@Edouard_Lalo 부산. 그리고 조롱이 일상인 인간이니 어느 커뮤니티 쓰는지 답이 나오네. ㅋ
@@Edouard_Lalo 그런데 고향이 왜나와?? 607080 노인들 빼놓고 누가 지역세뇌 돼서 산다고 아직도 영호남 갈라쳐 지역주의 장사하나??
180석으로 검수완박도 지대로 못하고,, 나도 이런 생각 하고있어 동감하고 있었는데
윤가 집무실에 PC가 없다고 합디다 ㅋㅋ
엉터리글 써놓고 즐거워하시는 꼰대님..ㅋㅋ
세종대왕때 화승총 사용된거 아나? 그것의 역사부터 서양인은 알아봐야해
명중 절대 못하는 불막대기보고 서양 화승총에 비교x
사농공상 시절 기술력 비교 ㄴㄴ 글쟁이가 우월햇던 시절 유럽비교 ㄴㄴ
작은 화포라고 봐야지.
음 뭐 어떻게 보면 그걸 총이라고 봐도 되겠지만
어차피 화약과 화포도 중국에서 들어왔는데 부심 부릴 수는 없지.
이중도르래 거중기로 쓸데없는 화성 만들때 영국에선 증기기관이 특허등록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