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 you do not want to give all Kazakhstani Koreans Korean citizenship? And then you have some kind of perverse love - we love you when you are not in Korea.
3:01 '파파는 선생이였어'가 아니라. '파파는 상새났어'. '상새 났다'는 함경도 말로 '돌아가셨다' 입니다. 그리고 '마마는 같이 살고 있쏘' 라고 말했는데 '같이 다 옮겼어'라고 자막이 붙혀져 있네요. 2:51 '새끼 많은가?' 가 아니라. '식기 많은가' 입니다. '식기'는 함경도 말로 '식구' 입니다. 즉 '식구가 많습니까?' 라고 물어본거죠.
고려인들이 이주해가고 독립된후 우리나라가 이념으로 남북으로 나눠져서 고려인들은 나눠진 나라 어디에 편을 들수없어 스스로 고려인으로 지칭하기로 했다합니다. 나라가 하나였을때 이름을 쓰기로 했다고...조선도 대한민국도 다같은 민족인데 서로 분단됐으니 어느 한쪽을 따르기엔 가슴아팠나봐요. 나라가 다시 하나될때까지 고려로 쓰기로 했다합니다. 그때부터 고려인으로 불리게 된것이고 함경도에서 이주된 사람들이 많아서 주로 함경도 사투리를 쓰는거라고 하더라구요.
잊지 말아야합니다. 1800년 후반부터 1930년까지 일제강점기시대에 극동지방으로 피난가신 확인된 숫자만 70만이상입니다. 그 추운 지방에서 당근으로 김치 담그시고 우리나라 할것없이 러시아 전쟁고아들도 다 보듬어서 고려말 가르쳐서 키우셨던 한민족입니다. 지금까지도 고려인들은 고려인들끼리 결혼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1930년대 이후에 소련의 카자흐스탄 식량프로젝트가 대실패로 끝나 많은사람들이 죽어서 인구 부족을 우리나라 사람들을 강제동원 하여서 국가 재복원 사업에 투입하였습니다. 극동지방에서 지금 북카자흐스탄까지 이동과정에서 식사, 화장실도 제공받지 못하고 공사장덤프트럭, 가축 산업용기차에 강제로 태워져서 그 강제 이주과정에서 사망된 확인된 숫자만 2만5천입니다. 절대 잊어서는 안될 역사입니다.
@@user-hfjanyda231 고려인들과 조선족들은 일단 생겨난 이유자체가 양반 제도 때문이 아닙니다. 제가 말한 인구조사 보이시나요? 이때는 1890년도부터 1930년대에 인구조사를 말하는겁니다. 일제강점기와 양반제도는 그닥 관련성이 있어 보이지 않네요. 글쎄요 양반들이 조선총독부 편에 섰을건 보지않아도 뻔했을거구요
01:44 경에 첫 (??)는 'детский сад' (어린이집, 유치원) 이고, 뒤의 (??) 는 '이 근짝(이 근방에)' 입니다. 그러니까 해당 문장을 지금 우리말로 해석하면 "그렇죠, 유치원 다니다가 (배웠죠). 고려에서 (온 사람들). 이 근방에 고려사람들이 많이 살았죠." 정도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첫 도입부에 질문자가 기람 영게서? Здесь ваша родина?(즈졔씨 바샤 로지나?) 라고 물어보는데 이곳이 당신의 고향이오? 라고 물어보는거. 압사츠 말고 общаться 대화하다 동사 졧쯔끼 싸뜨 детский сад 유치원 씨먀 семья 가족 스따르쉬 브라뜨 старший брат 큰형 디렉따르 директор 감독 Второй брат 브따로이 브라뜨 둘째형 씨스뜨라 сестра 누이 깝까제쯔 Кавказец 캅카스 사람들이랑 같이 일했다는 뜻입니다. 강제이주 당시 중앙아시아에 고려인 뿐만 아닌 체첸 등의 북캅카스 인들도 같이 강제이주 당했고 이들이랑 고려인들의 관계는 썩 좋지 않았다고 합니다. 까지유스 말고 Конечно 까녜슈너 물론 Национальный язык 나찌오날늬 이즥 민족어 자막에 중간중간 들리는 러시아어 어휘들 번역해놨소. 참고하세요. 추가적으로 카자흐 민족은 이슬람을 믿는 민족이라 첫 인삿말은 앗쌀라우마갈레이쿰 ассалаумагалейкум 이라고 함. Если ещё хочете знать об этом, комментируйте пожалуйста!
@@felicaheks-marvin맞음ㅇㅇ 조선족은 중국어의 영향도 있지만 실질적으로 함경도 말이 원래 저럼. 저쪽은 여러언어에 영향을 받아 부드러워 졌다고 봄. 실제로 조선말, 독립 직후 언어를 들어보면 남부는 매우 부드러움. 또 반대로 타지에 영향이 적었던 함경도등 북쪽은 좀 억센게 있는데 조선족은 이게 잘 유지되어있고, 또 지리적으로 가까워 왕복을 많이 하기에 또 그쪽 얘들이 한국 미디어를 많이 소비하면서 유지되어음. 조선족 애들말이 지금은 많이 부드러워진 편임.
просто хочу сказать, что это очень старое видео, и Казахстан не выглядит настолько бедно как на видео. еще, он говорит на русском, но это не значит что он русский, многие казахи знают русский, это второй официальный язык в Казахстане. спасибо что выложили это видео! 🇰🇿
Hey Sean it's Lil Sean from Seans World. Me and my dad came to check you out. The video looked good but we didn't know the language. Good luck and keep reppin the "Sean"
@@jiwoohan4178 변역이 틀린게 있어요. 그리고 함경도는 못 가보고 많이 못들어 봐서 그것이라고 지정하기가 쪼매 거시기하단게. 많이 익숙한 연변말과 같다고 하는 것이 저 한테는 더 합리적입니다. 함경도말을 잘 모르면서 같다고 하는 것은 무책임한 것입니다. 자기가 잘아는 말과 같다고 해야죠. 아무튼 다 자랑스러운 우리말이라서 큰 범위에서는 상관없습니다. 영상에 저분도 러시아어가 섞여서 말해요. 그러나 순 우리말을 들을때 연변말과 억양과 어휘가 같다고 한것입니다. 비록 연변말에는 중국어 단어를 많이 쓰지만 순우리말을 바탕으로 하는 것입니다. 현대한국어를 보면 신생어 합성어 줄인말 한자어 일본어 영어등 아주 혼잡하죠. 그럼 한국어는 님이 보시기에 우리말이 맞나요?
А ты не хочешь дать всем казахстанцам корейское гражданство корейцам? И тогда у вас появляется какая-то извращенная любовь - мы любим вас, когда вы не в Корее.
[고려말 듣기 1편]]
ruclips.net/video/Jna1ceIw5ps/видео.html
[*고려말 듣기 2편]
ruclips.net/video/0_B4ZOiRxbA/видео.html
영게가 연길로 들리는데 획인 부탁드려요~
카자흐스탄 이정재 치니까 바로나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nd you do not want to give all Kazakhstani Koreans Korean citizenship? And then you have some kind of perverse love - we love you when you are not in Korea.
국물도 뻑뻑하고
암살 영화의 염석진이 카자흐스탄으로 망명한건가ㅋㅋㅋㅋㅋㅋ
@@ЗенюсЯнулявичус 뭐야
@@ЗенюсЯнулявичус 급발진 자제 좀
3:01 '파파는 선생이였어'가 아니라. '파파는 상새났어'. '상새 났다'는 함경도 말로 '돌아가셨다' 입니다. 그리고 '마마는 같이 살고 있쏘' 라고 말했는데 '같이 다 옮겼어'라고 자막이 붙혀져 있네요.
2:51 '새끼 많은가?' 가 아니라. '식기 많은가' 입니다. '식기'는 함경도 말로 '식구' 입니다. 즉 '식구가 많습니까?' 라고 물어본거죠.
저도 미소지으며 시청했습니다. 위와 같은 영상 제작해주신분 고맙습니다. 유사한 분들 많이 뵙고 싶네요.
사어가 돼 버리기 전에 연구가 하루빨리 활발해졌으면 좋겠네요. 죽어 가는 우리 민족의 문화를 다시 부흥시켜야 합니다.
고려인들이 이주해가고 독립된후 우리나라가 이념으로 남북으로 나눠져서 고려인들은 나눠진 나라 어디에 편을 들수없어 스스로 고려인으로 지칭하기로 했다합니다. 나라가 하나였을때 이름을 쓰기로 했다고...조선도 대한민국도 다같은 민족인데 서로 분단됐으니 어느 한쪽을 따르기엔 가슴아팠나봐요. 나라가 다시 하나될때까지 고려로 쓰기로 했다합니다. 그때부터 고려인으로 불리게 된것이고 함경도에서 이주된 사람들이 많아서 주로 함경도 사투리를 쓰는거라고 하더라구요.
아 그런거였어요?? 왜 고려인인가 했는데 인제서 알았네요...
@@수성의하루 애초에 'Korea'가 "고려"에서 온 거니까요
미스터사탄+이정재+ 말투는 시라소니 ㄷㄷㄷ 저분은 카자흐 계통 튀르크 분이신가보네요 고려인들이랑 닮아서 아예 고려인 혈통인줄 알듯!
찐이네 이분ㄷ
국어 전공자인데 참 신기하고, 고려어가 지금은 저 때보다도 많이 사라졌을 텐데 참 안타깝습니다 ㅠㅠ
어릴 때 쓰던 말 많이 있네요.
지금은 들을 수 없는 말들
표준화가 되어도
쓰던 말은 보존하고 있어야
합니다.
고려인이 아닌데도 같이 살다가 자연스레 고려말을 익혔다는 사실이 더 놀랍다.
잊지 말아야합니다. 1800년 후반부터 1930년까지 일제강점기시대에 극동지방으로 피난가신 확인된 숫자만 70만이상입니다. 그 추운 지방에서 당근으로 김치 담그시고 우리나라 할것없이 러시아 전쟁고아들도 다 보듬어서 고려말 가르쳐서 키우셨던 한민족입니다. 지금까지도 고려인들은 고려인들끼리 결혼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1930년대 이후에 소련의 카자흐스탄 식량프로젝트가 대실패로 끝나 많은사람들이 죽어서 인구 부족을 우리나라 사람들을 강제동원 하여서 국가 재복원 사업에 투입하였습니다. 극동지방에서 지금 북카자흐스탄까지 이동과정에서 식사, 화장실도 제공받지 못하고 공사장덤프트럭, 가축 산업용기차에 강제로 태워져서 그 강제 이주과정에서 사망된 확인된 숫자만 2만5천입니다. 절대 잊어서는 안될 역사입니다.
@@user-hfjanyda231 일제시대얘기하는데 양반얘기하시네요? 추노를 너무많이보신거아닙니까? 1890년대 극동지방 조선사람수가 10만도안됫다가 1930년대 일제강점기시대에 러시아에서 조사한 숫자만70만이상입니다.
@@user-hfjanyda231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아그냥 고려인이있구나 걔네 극동에서 카자흐스탄으로 이주했구나... 이정도만알고있었죠. 반대로 일본사람들이 우리나라가 원해서 식민지했다고 하는 주장은 어떠세요? 이래서 정확한 역사가 중요합니다
@@user-hfjanyda231 고려인들과 조선족들은 일단 생겨난 이유자체가 양반 제도 때문이 아닙니다. 제가 말한 인구조사 보이시나요? 이때는 1890년도부터 1930년대에 인구조사를 말하는겁니다. 일제강점기와 양반제도는 그닥 관련성이 있어 보이지 않네요. 글쎄요 양반들이 조선총독부 편에 섰을건 보지않아도 뻔했을거구요
@@user-hfjanyda231 제요점은 조선시대를 얘기하는게 아니라는거구요. 고려인분들은 조선시대랑은 관련이 있진 않습니다.
@@user-hfjanyda231 굳이 도서관같은데 안가셔도 요새는 인터넷으로도 역사공부 충분히 합니다.
01:44 경에 첫 (??)는 'детский сад' (어린이집, 유치원) 이고, 뒤의 (??) 는 '이 근짝(이 근방에)' 입니다. 그러니까 해당 문장을 지금 우리말로 해석하면 "그렇죠, 유치원 다니다가 (배웠죠). 고려에서 (온 사람들). 이 근방에 고려사람들이 많이 살았죠." 정도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응 도움 1도 없어..
오랜만에 듣는 선생질~ ㅎ ㅎ 세편 다 봤는데 제 조상이 함경도 출신이라 저에겐 너무 친근하게 와닿는군요
소중한 영상 잘 보겠습니다.그리고 감사합니다.
영상 너무 흥미로워요 더 보고싶어요!!!좋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이 어 치비 조으탄 말이오. 여그서 배윗는디 아이지 멀엇단 말이요..♥♥♥
저 고려는 태조왕건이 새운 그 고려시대말이 아님... 함경도말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진짜 신기하네요~~ 코레 사람 ㅎㅎㅎ 좋아요 쿡 누루고 갑니다~~
유튜브 10년 동안 있다면
점점 레전드가 될듯
레전드 영상이다.
이아저씨너무좋다 우리나라에 초대한번하고싶다
1:46 이 근처 고려사람들 많이 살았어 라고 들리는데 아닌가요..?
귀한 자료다
첫 도입부에 질문자가 기람 영게서? Здесь ваша родина?(즈졔씨 바샤 로지나?) 라고 물어보는데 이곳이 당신의 고향이오? 라고 물어보는거.
압사츠 말고 общаться 대화하다 동사
졧쯔끼 싸뜨 детский сад 유치원
씨먀 семья 가족
스따르쉬 브라뜨 старший брат 큰형
디렉따르 директор 감독
Второй брат 브따로이 브라뜨 둘째형
씨스뜨라 сестра 누이
깝까제쯔 Кавказец 캅카스 사람들이랑 같이 일했다는 뜻입니다. 강제이주 당시 중앙아시아에 고려인 뿐만 아닌 체첸 등의 북캅카스 인들도 같이 강제이주 당했고 이들이랑 고려인들의 관계는 썩 좋지 않았다고 합니다.
까지유스 말고 Конечно 까녜슈너 물론
Национальный язык 나찌오날늬 이즥 민족어
자막에 중간중간 들리는 러시아어 어휘들 번역해놨소. 참고하세요.
추가적으로 카자흐 민족은 이슬람을 믿는 민족이라 첫 인삿말은 앗쌀라우마갈레이쿰 ассалаумагалейкум 이라고 함.
Если ещё хочете знать об этом, комментируйте пожалуйста!
대박입니다!
감사합니다ㅎ
Это была самая большая помощь. Благодарю вас за объяснение.
Ypa!!!
러시아어 잘하는거 개멋잇네
г는 h발음을 전사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하니
영상에서처럼 앗쌀라말라이쿰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당
댕기다 ㅎㅎ 경상도말이네요.함경도말,강원도말,경상도말 다 비슷한 면이 많지요.중국에서 과거 여러차례 신라인의 여러 해에 걸쳐 3차까지인가 이동과정이 함경도-->강원도-->경상도 입니다.
다 동쪽이네요
전라도에서도 써요
기레 같은 말도 전라도에서 씀?
전라도 사람인데 댕기다라는 말은 자주쓰고 기레라는 말은 안써용
연변 말투 하구 완전 같은데 ..
시잘땍없는 차이나타운말고 고려인을 위한 타운이 있었음.. 솔직히 조선족보다 전혀 이질감없고 말 어감도 더 차분하고 듣기좋다
조선족하고 고려인들 본적은 다 똑같아요. 함경북도 쪽
@@felicaheks-marvin맞음ㅇㅇ 조선족은 중국어의 영향도 있지만 실질적으로 함경도 말이 원래 저럼. 저쪽은 여러언어에 영향을 받아 부드러워 졌다고 봄.
실제로 조선말, 독립 직후 언어를 들어보면 남부는 매우 부드러움.
또 반대로 타지에 영향이 적었던 함경도등 북쪽은 좀 억센게 있는데 조선족은 이게 잘 유지되어있고, 또 지리적으로 가까워 왕복을 많이 하기에 또 그쪽 얘들이 한국 미디어를 많이 소비하면서 유지되어음. 조선족 애들말이 지금은 많이 부드러워진 편임.
괜히 뭉클,,,
푸른거탑 행보관 ㅋㅋㅋ
ㅅㅂㅋㅋㅋㅋㅋㅋㅋ진짜 행보관 얼굴밖에 안보이잖ㅇ아욬ㅋㅋㅋㄱㅋㅋㅋㅋㅋㅋㅋ아나 어떡핡거얔ㅋㅋㅋㅋㅋㅋㅋㅋ큐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просто хочу сказать, что это очень старое видео, и Казахстан не выглядит настолько бедно как на видео. еще, он говорит на русском, но это не значит что он русский, многие казахи знают русский, это второй официальный язык в Казахстане. спасибо что выложили это видео! 🇰🇿
저 시절 농촌은 한국도 별로 다를바가 없던 시절이라 가난하다고 생각안함ㅋ
@@dndnpdp20 네 감사합니다ㅎ
원본 보자마자 해석 영상이 뜨네...ㄷㄷㄷ
나도 ㅋㅋ
유치원때 고려인들이 많아서, 항상 같이 놀아서 말을 배웠대요 ㅋㅋㅋ
Hey Sean it's Lil Sean from Seans World. Me and my dad came to check you out. The video looked good but we didn't know the language. Good luck and keep reppin the "Sean"
조선족 말투 좀 있고, 경상도식 말도 좀
있네요. 저는 경상도 창녕입니다. 와~ 옛 말이 특이 합니다
아우터레위Outerlevi 그게 아니라 고려인들이 강제이주 당할때 끌려온 많은사람들이 경상도출신이여서 그런거임 미친놈아
@@Mung-md9bv 팩트
옛말 아닌데요
@@Mung-md9bv 강제이주 한참전에 경상도인들이 많이 함경도로 갔구요 함경도인들이 연해주로 갔고 연해주에서 중앙아로 간겁니다
@hornet 1800년에 북한출신이라?일본오기전에 분단됐었구먼
고려말 신기하네요 어느정도는 알아들을수잇네요 ㄷㄷ
와대박 유익 쩐다
카자흐스탄 꼭 한번 가보고 싶어요. 현 사태 끝나면..!
코로나 끝나면 와요~ 여기 재밌어요!! ㅎㅎ
Welcome
번역이 제마음대로네요! 연변말이랑 100%같네요.
번역이 제마음대로가 아니구요. 함경북도말이니 연변말투죠. 그런데 연변말앤중국어단어가 섞여져있는데 이분은 순수한 함경북도억양이죠. 그런데 왜 연변말이라하셨습니까?
@@jiwoohan4178 변역이 틀린게 있어요. 그리고 함경도는 못 가보고 많이 못들어 봐서 그것이라고 지정하기가 쪼매 거시기하단게. 많이 익숙한 연변말과 같다고 하는 것이 저 한테는 더 합리적입니다. 함경도말을 잘 모르면서 같다고 하는 것은 무책임한 것입니다. 자기가 잘아는 말과 같다고 해야죠. 아무튼 다 자랑스러운 우리말이라서 큰 범위에서는 상관없습니다. 영상에 저분도 러시아어가 섞여서 말해요. 그러나 순 우리말을 들을때 연변말과 억양과 어휘가 같다고 한것입니다. 비록 연변말에는 중국어 단어를 많이 쓰지만 순우리말을 바탕으로 하는 것입니다. 현대한국어를 보면 신생어 합성어 줄인말 한자어 일본어 영어등 아주 혼잡하죠. 그럼 한국어는 님이 보시기에 우리말이 맞나요?
@@JasonLee-nv3vu 한국에서 사용하는 북한에서 사용하는 그리고 중국 조선족들 사용하는 언어와 글은 다 우리조선시대부터 내려온 언어고 세종대왕님이 만드신 훈민정음이죠. 차이는 억양차이라 생각합니다. 전
고려인말 다 알아 듣게는데요 카자흐스탄
코로나 끝나고 간다
아 너무신기하다
눈물난다..
😃😃😃
중간중간 알아들어요
2:46 없는게 없는 무한도전쉬먀~
거 고려말이 좀 심한거 아니오???
그래? 그럼 드루와 드루와!!! ㅎㅎㅎ
고려말이라 해서 신기한데 다 알아 듣겠다. 솔직히 제주도 방언보다 알아들을수 있다.... 시골 옛날 어르신들 하시는 말이랑 똑같다.
짬뽕된거같아요 여러지역언어가들리네요 고려인들중 강원도분들도많다들었는데 함경도가 유배지역이었다고도하고 남쪽에서 북쪽으로 많이올라갔다고도합니다 그래서 이쪽말도들리는듯하네요
진짜 이정재씨 닮았다 ㅋㅋㅋ 목소리도 영화 그거닮앜어 ㅋㅋㅋ
3편까지다봤다
연변말투이랑 굉장히 비슷하네요.선생질=선생님(직업), 핵고=학교, 식기=식구, 아>들=아이들, 상새났다=돌아갔다, 당신 낫또래=당신 나이또래, 함경도 출신들인가 보네요 ㅋㅋㅋ
너무 재밌다 ㅠㅠㅠ 러시아에서 공동체 느낌이 나네....
You still won't be able to seize our land, we are a member of the CSTO and an ally of China. And we will help China erase your country.
여기서 아드른은 아들이 아니라 아이들은 혹은 자식들은 입니다.
미스터사탄+이정재 = 미스터 카정재 형님
구멍이 두개지요
우와 재미나네
연변에 사시는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지금도 다 이런 말투로 얘기해요
연변 조선족하곤 억양이 다르게 들리는데...
@@jslimit848 왜냐하면 티비에서 우리가 보통 듣는 연변말은 아주 틀린 억양이라서 그래요. 로컬들은 그런 억양으로 얘기하지 않아요. ^^
1.25~1.5배속으로 보면 더 발음이 좋개 들림
1:44 예 댕기다 고려에서 오신 이래저래 고려사람들이 많이 살았어 이오
корея не корё
이 영상 "Minerva"라는 일본사람 영상에서 봤는데 신기했어요. 하지만 자막이 없어 무슨 말인지 몰랐지만 자막이 있어서 좋네용! 구독했어용
억양이 강원도 옛날어르신들과비슷하네요
다 돌아 가셨겠죠 ..?
왜 눈물이나지비?♥♥♥
А ты не хочешь дать всем казахстанцам корейское гражданство корейцам? И тогда у вас появляется какая-то извращенная любовь - мы любим вас, когда вы не в Корее.
정말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혹시 체로키인디언과 우리언어의유사성도 알수있나요 예전의 그들의언어가 우리와비슷한소리를듣고 정말궁금했습니다
[[드립목록]]
카자흐스탄 이정재
미스터사탄
유병재
아이폰X머리
구무스텍 행님
구멍이 두개지요
중구형 장난이 심한거 아니오
신기하다
북한TV에서 촬영한 영상인가요?
No, this video of the second television channel is now the TV channel Russia.
2:34 따른 브라더이 아니라 второй брат, 둘째 형이라고 들리네용 ㅎㅎ
3:21 까지유스(?) >> [까녜슈나] конечно / 물론이지/ of course.
집단지성이시작되었다
고려인우리민족의아픈역사담겨있다!
진짜 이정재배우님 닮으셨다!!
3:00 아빠는 상세났어 (돌아가셨어)
미네르바가 올린 영상아닌가요?
옛날 90년대초였나? 방송에 많이 나오시던 흰수염있던 할아버지박사님 이런말투아니였어요?
영상이 한 20년은 된것 같은데?
카메라가 꾸진가?
20년은 훨씬 넘은 영상입니다
1993년도 영상
미스터사탄 특집인가요?
유럽 사람들이 서로 쓰는 말이 달라도 기원은 같아 서로 대충 알아듣는 기분....그게 이런 기분일까요...신기하네요 ㅋㅋㅋㅋ
아뇨 그거랑은 다릅니다 수고요
묘해.. 사투리에 러시아어 명사로 대화하는 것 같아... 복학하면 애들하고 저렇게 말해야지 ㅎㅁㅎ
콬ㅎㅋㅎㅋㅎㅎㅋㅎㅋㅎㅋㅎ
이이이이이이잉 0:22
이정재씨 ㄷㄷ 목소리도 비슷
여섯살배기 때부터 살아 오신 일제(일본인) 고려 사람들이 많이 살았다 이런건가 ? 1:40
경상도 함경도 같은 사투리였나 보아요
00:20 ???: 잉~ 앗살라말라이꿈!!!
북한 억양도 있고 경상도 억양도 있고 혼란하다 혼란해 ㄷㄷ
함경도가 북쪽에 있어요 예전에 경상도인이 많이 함경도로 가서 함경도사투리와 경상도 사투리가 많이 비슷합니다. 함경도인들이 연해주로 갔고 그 다음에 중앙아로 갔으니 중앙아 한인들은 함경도 사투리를 쓰는거죠
정감가게 생겼네
0:21 ???: 이이잉 ~
강원도 산골 어른들 말과 비슷하네...
아니 이게 더 타밀어랑 비슷함~~!!
저분은 아직 살아계시겟네요?
인터뷰 하는 사람 보다 한국말을 더 잘해 ㅋㅋㅋ
잉게 등, 말투가 함북 사투리라고 하네요.
맞아요 댓글보면 가관입니다 고려시대 표준어인줄 아는 사람 많네요
마이 -->많이 ㅎㅎ 경상도말이지요.
여러 사투리가 섞인거같단 생각이 들엇음
북미 원주민어와 멕시코 아즈텍 인디오 말도
함경도 사투리 같음!
거의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에서 쓰던 북방쪽 사투리와 닮은 것 같다!!
아이폰 x머리한 카정재
카자흐 사람이네
함경북도 말 그대로구나
근데 다들 헷갈려하는게 저분은 고려말 하는 외국인임 고려인이 아니라
옛날 사람들은 높임말을 별로 안썼군요 그냥 중립적으로 말하는 느낌인데 그냥 일반 사람간의 대화는 저게 더 자연스러운 느낌입니다
내가 왕이될 관상인가?
0:22 이이잉
앗살라말라이꿈?ㅋㅋㅋㅋㅋㅋ
"assalau magaleikum" it means hello in kazakh/arabic
이슬람 국가에서는 저게 인사임
이정재와 미스터 사탄의 퓨전
카자흐스탄이랑 한국어랑 문장 순서가 비슷한가?
지금도 들어 들리는 것 보면 꽤 과거로 가도 웬만한 의사소통은 될 것 같군요
스탈린때문에 연해주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로 이주된거라서 정말 고려시대에 간것이 아니에요 ~ 불과 100년전이라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