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압 vs 전류 논쟁 종결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683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6

    본 영상링크는 요기 있어요! → ruclips.net/video/SEyDuBlicSg/видео.html

  • @sds9349
    @sds934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31

    영상 자체가 틀린건 아니나, 설명 포인트를 이상하게 잡으신 것 같습니다. 인간이 감전되었을때 치명적인건 전류이고, 중요한건 인체에 전류가 흐르는 조건입니다. 일례로 실생활에서 자주 경험하게 되는 정전기도 수천볼트의 고압이지만 약간 따갑고 마는 이유는 전류량이 미미하기 때문입니다.
    영상에서 10V 180A 전선을 만져도 위험하지 않은 이유는 인체가 전선에 접촉했을때를 병렬 저항회로라 봤을때 저항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인체에 통전되지 않기 때문이지, 인체가 180A의 전류를 견디고 있기 때문이 아닙니다. 젖지 않은 건조한 인체의 전체 등가 저항은 약 5,000옴으로 알려져있고, 10V 180A 회로의 저항은 약 0.05옴밖에 안돼서 저항 차이가 10만배나 나기 때문에 이는 거의 인체쪽이 오픈된(무시해도 되는) 회로라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반면, 6600V 10mA 회로의 저항은 660,000옴이므로 5,000옴의 인체가 닿는 즉시 인체로 대부분의 전류가 통전 되고, 감전사고가 일어나는겁니다. 10mA면 즉시 목숨이 위험할 정도는 아니지만 계속 통전되면 충분히 위험하죠.
    피부를 적시는 등 인체 저항을 낮추고 10V 180A 회로에 접촉하면, 어떻게든 인체에 통전이 되게 만들면 180A 정도면 그 즉시 숯덩이처럼 타버릴겁니다.

    • @최고다-y8q
      @최고다-y8q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4

      제가 알고 있는 것과 같음. 영상 설명 좀 묘했는데.

    • @redmax_vanlife
      @redmax_vanlif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9

      10v 는 괜찮을꺼 같은데요
      적신 손으로 24v 를 dc 기준 만져도 괜찮았거든요
      51v 이하 48v 까지는
      만져도 크게 이상은 없었습니다
      적시고 만진건 24 v 까지만 이지만요
      전 전압도 무섭지만 전류가 가장 겁난다고 생각합니다
      반박시 사장님 말씅이 맞습니다

    • @자유인-88
      @자유인-8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오래된 책에는 인체에 10mA 흐르면 죽는다고 되어 있음

    • @lllorz4182
      @lllorz418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지나가던 전기기사입니다 님 말이 맞습니다

    • @First_law_of_Thermodynamics
      @First_law_of_Thermodynamic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희안하네. 했더니. 역시 설명 감사합니다.

  • @imlovevirus
    @imloveviru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08

    물론 이론상 맞는 얘기지만 노파심에 말씀드린다면 실무에서 그냥 만지면 다른 이유들로 사고납니다
    간단한 예를 든다면 차량 배터리가 12v이기 때문에 두손으로 양극을 만져도 아무 이상이 없습니다 배터리의 방전크기가 상황에 따라 최대 500A이상 출력됩니다 그정도면 두꺼운 쇠덩이도 순간 녹일수 있는 전류입니다 감전 안된다고 만약 방전된 차량을 점프하겠다고 맨손으로 잡고 점프시키면 손이 고열로 함께 화상을 입을 수 있죠 용접도 맨손으로 금속을 붙잡아도 감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다른 이유들이 있으니 장갑을 반드시 껴야하죠
    그래서 위험한 것을 다룰때는 이론과 실무가 충분히 겸비될때까지는 항상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23

      지극히 옳은 말씀이십니다.

    • @킴우스
      @킴우스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지당하신 말씀

    • @choi692
      @choi69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380v?440v?아크용접기.
      여름에 땀 많이 흘러서 축축하고...
      엎드린 상태에서 위층에서 다른사람이 던졋는데 훌다 잡앗다가 디질뻔 한적있습니다.
      어깨에 야구방망이로 누가 때린것 같은느낌.
      뻑하길레 훌다 던져버렷음.😅

    • @스쿨존스피드레이써
      @스쿨존스피드레이써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choi692 접지가 안걸렸는데 아래층에서 어떻게 전기를 먹어요? ㅋㅋㅋㅋㅋㅋㅋ

    • @DrKimdj
      @DrKimd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누가 그냥 만짐??

  • @giyunkim-pf3nm
    @giyunkim-pf3n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68

    180A 10V는 아주 천천히 흐르는 강물 이고
    6600볼트 10ma 는 워터젯 고압수정도로 이해하면 되겠군요!!
    워터젯에 닿으면....뭐 ㅎㅎ

    • @Net77
      @Net7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 @drmphy
      @drmph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6

      비유 기가 막히다

    • @user-fg4zq8kr3y
      @user-fg4zq8kr3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 @duckasss
      @duckass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찢었다

    • @user-bj6bc1in8bf
      @user-bj6bc1in8bf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기가막힌비유

  • @hoonlim1963
    @hoonlim196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30

    조선소 골리앗크레인 정비했었는데 6600v 사용인데 신입사원이 모르고 손으로 잡았다가 딱 붙어서 제가 슈퍼 날라차기로 떼어서 살았습니다. 운좋게 만진손의 전기가 심장으로 안가가 반대쪽 손으로 흘러 반대쪽 손가락 끝이 터져 전기가 지상으로 빠져서 살았습니다.
    다만 한쪽손 혈관이 타서 치료에 오래걸렸죠..
    전기조심하세요~~~

    • @chillkorea
      @chillkore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살아있노

    • @구마유시-p7l
      @구마유시-p7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1

      슈퍼 날라차기 어디서 배우셨나요??

    • @zzimman5219
      @zzimman521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마유시-p7l 글로 배웠습니다

    • @hoonlim1963
      @hoonlim196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41

      @@구마유시-p7l 군대서 배웠지요.. 신발이 비전도체로 무게중심쪽 옆구리를 최대한 새게 차야합니다. 갈비뼈가 부러질정도록 차야하지요ㅋ

    • @lovepager
      @lovepage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마트 날라차기 했었어야

  • @한호석-l2r
    @한호석-l2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72

    6600볼트에 10mA가 흐른다는건 도체의 저항이 매우 크다는 의미 인체의 저항이 저보다 작으면 전기는 도체가 아닌 인체로 흐른다

    • @imlovevirus
      @imloveviru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3

      위의 상황은 그런 상황과는 다릅니다
      저항이 커서 낮게 흐를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류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다릅니다 같은 전선으로 전구를 켜면 10mA보다도 훨씬 작은 미미한 전류가 흐르고 밥솥으로 밥을 하면 천배이상의 전류가 흐릅니다 위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경우는 일반 전선을 기준으로 얘기를 하는거니 사람보다 저항이 작을수는없습니다 사람이 감전되는 이유는 전류분배법칙이 있는데 그법칙에 따라 부하에 나누어서 흐릅니다 즉 전기밥솥을 하고 있는데 사람이 감전됐다고 전기가밥솥으로 전기가 흐르지 않는게 아니라 저항크기를 기준으로 나눠 흐르게됩니다 사람과 밥솥의 저항값을 알면 정확히 사람에게 얼마의 전류가 흐르는지도 알수있습니다

    • @rituhu
      @rituhu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그건 병렬...

    • @JickLee-o4n
      @JickLee-o4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imlovevirus 잘못 알고 계시네요.
      부하의 크기는 곧 저항의 역수입니다.
      즉 저항이 낮다는 말은 부하가 크다는 말과 같고 저항이 높다는 말은 부하가 낮다는 말이 됩니다. 참고로 3300에 10mA면 저항만의 회로일시 33만 옴이 됩니다.

    • @rewqqwer9783
      @rewqqwer978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rituhu중간에 사람손으로 잡으면 병렬이 맞습니다....

    • @ddalgimoring
      @ddalgimorin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게 정답이지

  • @이건희-h5u
    @이건희-h5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이거... 전압이 고정이니깐 맞는 얘기지 산업에서 전류가 고정인 경우도 있으니까 절대 만지지마세요.

  • @ik964
    @ik96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0V. 몸으로 흐르는 전류는 전압/저항이라서, 저항 낮은 도체쪽으로야 10V에서도 대전류가 다 흐른다지만, 몸으로는 거의 안흐름.

  • @준표형이최고야
    @준표형이최고야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20년 전 대학교 재학시절 실험실에서 전류측정을 병렬로 연결하다가 한 개층 두꺼비집 내린 이후 전기는 안만집니다.
    전기공사기사 자격증 있지만 다른 일하고 있습니다

  • @w-rabbit
    @w-rabbi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a 정도버틸수있는 얇은 전선 굵기라면 6000v x 1A =6000w 와 6v x 1A =6w 는 같은 전류량이라고 할수있나요? w가 1000배 높아지는데 전선의 굵기는 전류량에 의해서만 결정되는지 w도 관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두개의 같은 전선굵기 같은 전류량이라면 전압은 얼마든지 솽관이 없는지? 어느정도 전압에서 전선에 영향을 주는지 와트는 관계가 있는지 매우궁금합니다
    일반인은 12v 아니면 220v만 접할수있으니 어떨지 궁금합니다 질문의 요지는 전선에 허용전류가있는데 허용전류가 같다면 전압은 어느정도까지 올릴수있는지 와트는 관계가 있는지 전류가 넘으면 전선에 열이나고 단선되는데 허용전압은 아무도 알려주지않음 ㅎㅎ

  • @조금만보자
    @조금만보자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나름 공돌이 출신인데,
    전기는 너무 무서워서, 간단한 작업을 할때도 무조건 차단기 내려놓고 합니다!

  • @데드릭
    @데드릭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만져본 바로는
    오함마로 어깨 후리는 기분들고
    아주 짜릿하던데 허허.....

    • @卓卓-v9w
      @卓卓-v9w 3 месяца назад +2

      단상 감전 됐을때 느낌이 바로 님이 말씀하신거랑 똑같습니다. 야구방망이로 전속력으로 후려치는 느낌 끔찍합니다 ㅠㅠ

  • @유튜븝-y7d
    @유튜븝-y7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4

    문과생입니다
    둘다 안 만지겠습니다
    무서워요

    • @sk.p4885
      @sk.p488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문과라그른지 현자이시오

    • @절도사99
      @절도사9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역시 현명하군

  • @acrylicshrimp
    @acrylicshrim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아 그렇구나 전압이 높고 전류가 작은 도선은 모종의 이유로 저항이 너무 커서 고전압임에도 불구하고 전류가 적게 흐르고 있는거군요. 마치 진흙 속에서 전진하는 구슬처럼요. 진흙 속에서 구슬이 느리게라도 전진하려면 엄청나게 큰 힘이 필요한 것과 같은거네요. 그 상태에서 손으로 만지면 구슬 앞에 갑자기 진공으로 된 길이 생기는 셈이니까 엄청난 전류가 손으로 흐르게 되겠군요.
    반면에 반대 상황은 빙판길을 달리는 느낌이겠네요. 바닥이 너무 미끄러워서 (저항이 작아서) 아주 약간의 힘으로도 빠르게 이동하는거에요. 이걸 손으로 만지면 빙판길 옆에 진흙탕이 생기는 셈이니까 전기가 거의 흐르지 않는거라고 이해했습니다.

  • @aheadgo1157
    @aheadgo1157 25 дней назад +1

    10v라는 낮은전압에 180 이라는 전류가 흐른다는게 신기하네요😅
    압력이 어느정도 나와줘야 흐르는 것도 나올껀디요 잉

  • @zaco-fm7nt
    @zaco-fm7n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쎄게 한대 맞아도 죽을수 있고, 좀 약하게 여러대 맞아도 죽을수 있습니다. 조심하는게 좋아요.

  • @눈사람-x2m
    @눈사람-x2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57

    와....나는 30mA만 흐르면 사람이 죽을정도의 전류니까 차라리 6600V의 전선을 만지겠다라고 생각했는데 정 반대네요..

    • @cybog7852
      @cybog785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범죄자 진압 할때 쓰는 테이저건에 감전 된되고 보면 됨.

    • @hgk4118
      @hgk411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8

      180A중 179.999A가량은 전선에 흐르고 있고
      0.001A정도만 우리몸에 흐름
      전류는 저항이 작은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어떻게보면 180A가 아닌

    • @오리-t5w5e
      @오리-t5w5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쥬 30mA의 전류가 흐른다구 죽진 않어유 근디 이정도면 전기고문 당허는 수준이라 이걸 만지느니 개똥을 밟것슈 사람 죽이려면 0.1암페아 정도는 흘러야해유

    • @asakkkkk2
      @asakkkkk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완전한 감전이 되면 180A가 훨씬 위험하지

    • @편한asmr
      @편한asm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도 그런생각했는데....

  • @youturber_00
    @youturber_00 2 месяца назад +1

    6600V는 왜 안만져주시는건가요??

  • @콩강시
    @콩강시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0

    Volt는 압력이라고 생각하면됨
    물이 수관에 흐르는데 수압이10bar 와 6600 bar 로 흐른다했을때 수관에 끝에 사람이 있다면 어느쪽 위험하냐임 근데 10bar는(소화호스물이 5~7bar정도임) 어떻게보면 위험 하니 0.10bar vs 66 bar로 보면되고 A는 암페어 물로 치면 수량임 즉 전기를 물로 봤을때 극소량의 물를 초 고압으로 쏘느냐 많은 량의 물을 보통 압력으로 쏘느냐임 알다시피 물을 초고압으로 쏘면 볼링공 다이아 몬드도 절단함 고압전류 경고판은 있어도 고전류 경고판은 없고 그냥 누전경고판이 있음
    Volt는 전류Amp를 전선에 밀어내는 힘임 즉 압력임 뭔든 압력이 높으면 위험함

    • @치즈-y5g
      @치즈-y5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기 배우고있는데 이해하기 쉬운 설명 감삼다

    • @Dulduldul..
      @Dulduldu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그래서 혈압이 위험한병이지.....

    • @mdiiyp
      @mdiiyp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Dulduldul..흠 그러게 고혈압은 들어봤어도 고혈류는 못들어봤군

    • @BootyBayBuddies
      @BootyBayBuddie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맞아 생각해보니 고전류 경고판은 본적이 없네요 ㅋㅋ

    • @굿모닝하세요
      @굿모닝하세요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에디슨 아니에요?

  • @choi1752
    @choi175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실험이 다소 극단적인데 보통 전압이나 전류가 높으면... 둘다 만지면안됩니다 이거보고 누가 괜찮다고 따라만질까 무섭네요

  • @sprppr
    @sprpp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예전에 라이터 딱딱이같은건 전압이 높지만 전류가 매우 적어서 감전돼도 따갑고 끝인거라는 글을 본 적이 있는데 영상대로라면 라이터 딱딱이는 어떤 이유로 안전한건가요??

  • @evysi6078
    @evysi607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절대로 그 어떠한 전기 케이블을 만지면 안됩니다
    작업을 하려하면 전기 차단 및 검사가 가능한 전기기사 및 담당자에게 맞기세요
    호기심으로 만젔다가 묘지에 뭍히는 수가있습니다

  • @가네박-n9n
    @가네박-n9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만약 젖은손으로 만졌다면 결과가 달랐을까요?
    아니면 똑같을까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결코 똑같지 않으며 전류가 현저히 흐르게 된답니다. :)

  • @커여워-b5j
    @커여워-b5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전기가 전압이 높고 암페어가 낮아서 치명적이지 않은걸로아는데 정전기는 6600볼트보다 낮나요?

    • @부계-t2l1f
      @부계-t2l1f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전기는 순간 전압이 몇 만 볼트 나오는 걸로 알아요

    • @lilelsia4357
      @lilelsia435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매우 짧은 순간 충격만 있지 지속되지도 않고 전류도 매우 작죠.

  • @마깨어난다
    @마깨어난다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실생활에선 특히 공장에선 전류가 더위험하다고 느끼셔야하고 특고압이나 극과극일때는 전압이 더위험하다고 느끼시는게 맞아요.
    전압이 높다고 부하는 안걸리는 상태지만 강하게 들어오니 다른거..

  • @Yongbaek102
    @Yongbaek10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둘다 안만지면 안될까요???

  • @jspark5418
    @jspark541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전류는 저항에 반비례하여 작은쪽으로 많이 흐르는 성질이 있습니다.
    인체의 저항(보통 500~1000옴)을 고려하였을때
    6600V 10mA 의 저항은 인체대비 높고(약 1000배)
    10V 180A 의 저항은 인체대비 낮아서(약 1/10000배)
    첫번째 회로는 사망하고, 두번째 회로는 괜찮은거 아닐까요?

    • @markqouou172
      @markqouou17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이게 맞는듯 뭐 고압수 얘기하는데 저압에서는 인체로 흐를 이유가 없고, 고압에서는 인체로 흐를 이유가 있음 둘다 전기에너지 자체는 사람을 죽일 수 있는정도임

    • @yhjo3221
      @yhjo322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인체내에 얼마의 크기의 전류가 흐르냐가 포인트.
      6600V에 10mA가 흐른다면 회로의 저항이 66만옴인데 인체는 500옴이어서 저항이 훨씬 낮은 인체로 전기가 쏠려서 사망.
      10V에 180A면 회로의 저항이 0.055옴인데 인체보다 훨씬 저항이 낮아서 저항이 큰 인체로 흐르는 전기량은 매우 미약해서 생존.

    • @바르고고운말
      @바르고고운말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항이 중요함 ㅇㅇ

    • @kyu3403
      @kyu340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신체저항 고려해서 옴의법칙으로 전류계산하면 되는 건가요 어디선가 12암페어정도가 사망가능한수준이라고해서 180암페어가 위험한건줄알았는데 이건 저항값이 낮아서 그런것뿐이었나보내요.고전압을 조심해야하는거였나봐요.

    • @asd2856
      @asd285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kyu3403 암페어 자체가 중요한게 아니고 저항이 중요한겁니다
      옴의법칙 V=IR 들어보셨죠? 다르게말하면 R=V/I
      저항값을 구할때 암페어 볼트 둘다 필요합니다
      단순히 전압이 위험하다 전류가 위험하다 이런게 아니라요

  • @nagne79
    @nagne79 4 месяца назад

    이제 안전을 위해서 모든 가전 제품과 자동차 전자 장비들을 48v로 통일하고...
    송배전을 직류로 해야 합니다. 이것도 기술력이 올라가서 된다고 하니 장기적인 계획으로 바꿔 나가야 합니다.

  • @man-fv4os
    @man-fv4os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압이라도 젖은손...특히 염분이 있는 물에 젖은손으로는 만지지 마세요....

  • @김은택-w4z
    @김은택-w4z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니 흐르고있는 중간 부분 만지면 당연 히 전기가 안오죠 220v10A가 흘러도 전기 안옵니다 단 몸에 접지의 영향이 있다면 접지를 통해 전류가 흐르므로 전기를 먹겠죠

    • @kugisa
      @kugisa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분이 하늘을 날아서 만지고 있는게 아니잖아요

    • @skslejdndo
      @skslejdnd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20v 에 10A 면 2200w 인데
      애초에 인간은 공중에 떠있을수가 없으므로
      내몸을 타고 바닥으로 흐른다고 봐야한다.
      결국 전위차가 만들어지고
      충분히 뒤질수 있는 전기임
      인간은 220v 30mA 에 노출시 충분히 뒤짐

  • @namhyungkim1267
    @namhyungkim126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문과분들 처럼 이런거 따지지 말고 전선을 그냥 만지면 않됩니다.😅😅😅

  • @chnops
    @chnop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좀 와닿지 않았는데.. 물로 바꿔 생각해보면 이해가 되네요. 잔잔한 큰 강물에 몸 담그고 있는거랑 세차장 초고압수로 처맞았을 때 뭐가 더 아픈지 생각해보면.... 물양은 강물이 훨씬 많은데 압이 낮으니 물에만 안빠진다면 강물 WIN ㅋㅋㅋ

  • @iot1827
    @iot182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심장에 10mA흐르면 무조건 죽어요 몸에 저항이 너무커서 숏트난거지 어린이가 만지면 죽을 수도 있어요 무조건 위험건데 전압은 작으면 안전하다라고 잘못된 생각을 가질 사람이(어린이) 있을까 우려되네요 뭔가 진짜 재밌고 유익하고 좋은데 사이드 효과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 @흏-t1r
    @흏-t1r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이고 진짜큰일납니다ㅠ 보여주기위해서 실험하신거라지만..
    몸체 저항이 높아서 무시된거지
    반대손 접지에 대거나 해서 몸에 저항이낮아졋다간 저세상이죠ㅠ

  • @최진영날위한사랑
    @최진영날위한사랑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냥 일반인입장에서 가정집쓰는 220볼트 생각하면되지않나요 효율적이지만 위험하고
    110볼트쓰는 일본 같은경우 정전이 자주일어나지만
    덜위험하고요
    예전 우리나라도 110쓰다가 바꿨죠

  • @lIlIIlIllIIllIIlIlIllIIlI
    @lIlIIlIllIIllIIlIlIllIIl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비전공자이지만, 중고등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풀어봅니다.
    조건
    1. 도선의 양극단의 점 x1, x2의 전위는 각각 v1, v2이다. (v1 > v2)
    2. 도선은 균일한 저항을 가지고, 전체 도선의 저항은 r이다.
    3. 사람은 x1과 x2를 a:(1-a)로 내분하는 점 y(전위 vy)에서 도선과 접하여, 전위 0인 땅과 접지한다. (0 < a < 1)
    4. 사람의 저항은 R이다.
    그림
    ar (1-a)r
    x1(v1) ------- y(vy) ------- x2(v2)
    |
    | 사람, R
    |
    0
    풀이
    i1 = x1에서 y로 흐르는 전류 = (v1-vy)/(ar)
    i2 = y에서 x2로 흐르는 전류 = (vy-v2)/((1-a)r)
    i3 = y에서 땅으로 흐르는 전류 = vy/R
    i1 = i2 + i3에서
    vy = (v1/ar + v2/(1-a)r) / (1/ar + 1/(1-a)r + 1/R)
    vy = ((1-a)v1 + av2) / (1 + a(1-a)r/R)
    이때, 사람에게 가해지는 전력(실제 인체 손상을 유발하는 시간당 에너지)은 vy^2/R
    일반적으로 R이 r에 비해 매우 크므로, 사람에게 가해지는 전력은 ((1-a)v1 + av2)^2) / R에 근사하게 됩니다.

  • @RYLTech
    @RYLTec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현직 전기차 수리... 하면서 느낀점
    dc80v 까진 안느껴짐
    dc150v 까진 약간의 지릿함 느껴짐
    dc400v 뒤질거같은 느낌이 분명 드는데,
    가정에서의 ac220v 감전됐을때보단 훨씬 버틸만(?)함....
    인체가 ac가 왜 더 취약한지 궁금합니다.
    ac220v 은 감전시, 감전부위가 존나 아프면서 죽을거같은 느낌인데 dc400v는 존나 쌘 저주파치료기 느낌 입니다.
    다행히 아직까진 ac3상380v 은 감전 안되어봐서 패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영상기획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매우 중요한 질문을 남기셨습니다. :)

    • @4kdrivemovie93
      @4kdrivemovie9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DC는 전압이 일정하고 AC는 전압이 상승,하강하며 전압차가 큽니다220V여도 실제로 파동간 최대전압변화는 622V가 됩니다 또한 DC전기 접촉시 인체가 튕겨나갈확률이 높으나 AC접촉시 방향이 계속 바뀌는 특성때문에 접촉부위가 전선에 계속붙어있을 확률이 크고 심장에 무리가 갈 확률이 더 높습니다

    • @RYLTech
      @RYLTec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kdrivemovie93 답변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 @MulgogiCousin
      @MulgogiCousi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RYLTech계산법을 알려드리자면 220sqrt(2) 가 위아래로 요동치기 때문입니다..지나가던 공대생

  • @JickLee-o4n
    @JickLee-o4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1

    전류가 위험하다는 말은 '인체를 통과한 전류' 를 말하는 것. 다른 분들이 말했듯 10v정도로는 전류가 인체의 저항을 뚫고 체내를 지나갈 수 있는 전압이 되지 못함.
    전기의자,심전도검사, 전기 물리치료 등을 할때 단자에 액체를 바른다거나, 젖은 손으로 전기코드 만지지 말라는게 다 인체의 저항을 낮추기 때문인거죠.

    • @presidentbottle
      @presidentbottl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배터리는 12볼트인데 감전되면 뒤지게 아프던데..

    • @JickLee-o4n
      @JickLee-o4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9

      @@presidentbottle 그 경우가 바로 접촉부에 땀 등으로 인해 인체저항이 낮아진 상황이었을 겁니다.
      현업뛰면서 직접 감전된 경험(....)을 말하자면 물기 없을때, 감전되자마자 뗀 정도의 시간으로 30볼트는 마비감과 함께 약간의 근육통이 오고 기분이 무지 더럽지만 외상은 안 생길정도, 380v는 그야말로 잠깐 스쳤지만 물집이 잡힐 정도입니다. 그 이상 전압은 아직까진 안 당해봤네요.

    • @이1-o8o
      @이1-o8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80V는 살짝 화상까지...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럼 암페아는 뭔가요???

    • @이1-o8o
      @이1-o8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globalgrammar2752
      암페아는 전류의 단위죠

  • @우이천
    @우이천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압은 단위전하당 에너지라서 높을수록 충격이 큼. 높은곳에서 떨어질수록 충격이 크듯.
    전류는 단위시간당 전하량의 변화율임.
    6000V, 10mA는 6000cm에서 추락하는거고
    10V, 180A는 10cm에서 추락하는거

  • @All_self_tasks
    @All_self_task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600볼트에 10mA라는 의미가 헷갈립니다. 저항이 66만옴이 걸려있다면 10mA만 흐르는것인데, 전력원이 최대 10mA까지만 출력해줄수 있다는 것인지 아니면 66만옴이 걸려있어서 10미리만 흐르고 있다는 뜻인지.. 두 경우 모두 위험한건 맞지만 좀 헷갈리네요

    • @나르세이
      @나르세이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비교해서..
      66만 힘으로 10mm호스로 물을 쏜다면
      그 뭐냐 거희 수압으로 커팅하는 기계 꼴 나지 않을까요
      근데 1,000의 힘으로 180cm 두께의 호스로 물을 쏜다고 생각하고
      둘을 비교한다면 수압의 차이는 후자가 훨씬 약한게 맞죠

  • @hangjaeshin3538
    @hangjaeshin353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압이 높은 전기가 흐르는 전선에 손으로 댄다면 손이 저항이 낮기 때문에 손으로 전기길을 내어주는 거라고 볼 수 있겠군.
    반대로 전압이 낮은 전기가 흐르는 전선에 손을 댄다면 손이 오히려 저항이 높기 때문에 손으로 전기가 흐르지 않는군.😮

  • @junkim1100
    @junkim110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10v 220v380v모두 맞아 봤지만 손가락 수술로 팔 마취하려고 목에 마취주사 들어가는데 정말 380v 10배 이상의 전기가 몸을 통과하는 느낌으로 정말 공포였음.

  • @mdgk1914
    @mdgk191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선이 얇으면 전기가 지나가는 통로가 작아지니까 전압이 올라가게 되나요? 호스 손가락으로 쥐면 세게 나가듯이?

    • @Bbaaam__
      @Bbaaam__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선의 굵기 및 길이는 저항과 관계가 있습니다
      전선이 얇거나 길면 저항은 그만큼 증가하고 전류는 작아지며 굵거나 짧으면 저항이 감소하여 전류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전선의 굵기는 주로 전류에 의해 결정이 됩니다 물론 전압에 의해서도 결정이 되긴 합니다 전압이 크면 클수록 전선의 굵기 또한 굵어져야죠 V=IR에 의해 전압과 전류는 비례하니까요 즉 전선이 얇으면 전압이 높아진다는 건 말이 안됩니다.

    • @redmax_vanlife
      @redmax_vanlif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항이 올라가서 불이 납니다

    • @mdgk1914
      @mdgk191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redmax_vanlife 아~ 저항이 늘어난다는 것은 전기 이동이 원활하지 못 하다는 뜻도 되고 전기가 이동해야하는데 원활하게 움직이지 못 하니 마치 병목현상처럼 잘 지나가지를 못 하고 부딪히는 게 많으니까 높은열이 발생하게 되는 거네요.
      그리고 또한 전선이 너무 얇다면 '전압'이 높아질 수가 없는 거네요. 전압이 높으려면 전선이 굵어야만 하는 거였네요. 저항이 낮을 수록 전기가 잘 통한다는 것이고 전기가 흐르는 효율이 좋다는 거네요. 컴퓨터 부품 중 '파워' 등급에 실버 골드 플레티넘이 나눠져 있고 높은 등급일 수록 전기 효율이 좋아서 오래 쓸 수록 전기세를 아낀다는 말이 있는데 이것과도 관련이 있고요.
      1.얇은 전선은 저항이 높을 수 밖에 없다.
      (전선의 제질이나 방식에 따라서 케바케 일 수 있다.)
      2.전압이 높으려면 전선 또한 굵어야 한다.
      얇은 전선에서 높은 전압은 기대할 수 없다.
      물 호스 끝 부분을 꽉 잡고 물 줄기가 멀리 세게 나가는 것을 보고 이것을 전기관련지식에 접목시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에는 적절하지 않다.

  • @zero-jq9gs
    @zero-jq9g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전기랑은 다른건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본문영상을 봐주세요! :) ruclips.net/video/SEyDuBlicSg/видео.html

    • @zero-jq9gs
      @zero-jq9g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electric_revolution 아ㅋㅋ. 감사합니다

  • @희록김-s1v
    @희록김-s1v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체는 전류가 위험함 하지만 10v의 전압은 피부를 뚫지를 못함 그래서 위험하지 않음. 10mA가 훨씬 위험함 그리고 10mA가 지금 흐르지만 인체가 접촉하는 순간 또다른 병렬회로가 구성되기 때문에 10mA의 전류를 의미가 없어짐

  • @Terr1975
    @Terr197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7

    예전에 집에서 전기실험을 하다가 콘덴서에 저장된 450VDC 를 실수로 만진적이 있는데 허리가 휘면서 몸이 뒤로 넘아가더군요.
    전기는 진짜로 조심해서 다루어야 합니다.

    • @solsol3468
      @solsol346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야하다..

    • @얍깽깽
      @얍깽깽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1

      그날 청년의 허리가 활처럼 휘었다

    • @make_some_money
      @make_some_mone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황근출 해병님의 굵고 먹음직스러운 뜨거운 포신이 내허리를 활처럼 휘게 만들었다

    • @nono-o6b
      @nono-o6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직류인데도 그렇게 되는군요 살면서 직류에는 감전되어본적이 없음 교류전기는 많이 먹어봤어도

    • @Dark-hunter646
      @Dark-hunter64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nono-o6b 직류가 교류보다 더 위험합니다 플러스와 마이너스 붙이는 순간 용접기처럼 불꽃이 바로 튀어서 타게 됩니다 쉽게 용접기 생각 하면 됩니다 만약 사람몸이 플러스 마이너스 붙게 되면 전선에 붙어서 타버립니다

  • @서준석-t4r
    @서준석-t4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0V 그 전선 사이를 끊어서 양손으로 잡아주면 어떻게 되나요??

  • @skimbird
    @skimbir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6600v는 왜 안만져요?

  • @qhoneykim7940
    @qhoneykim794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6600볼트는 왜 안해주세요??? 6600볼트도 마저 잡아주세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즉사에 이르게 됩니다 대단히 위험합니다

    • @qhoneykim7940
      @qhoneykim794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electric_revolution 막상 해보면 괜찮을지도?

  • @김준희-k7t
    @김준희-k7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오락실 딱딱이(압전소자)는 전압이 높고 전류가 낮은걸로 아는데 따끔하기만 한 수준인데 이건 전기가 아주 잠깐동안만 나와서 그런 건가요?

    • @with-Sinbad
      @with-Sinba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건 정전기입니다.

  • @멸공-psy
    @멸공-ps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몰랑 조리학과 입니다
    무딘 중식도 vs 예리한 과도 인가요?

  • @아프리카에사는아우우
    @아프리카에사는아우우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전기모르면 근처도 가지마세요 그게 목숨줄 챙기는겁니다

  • @아시나요-n2j
    @아시나요-n2j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압과 전류의 간단한 비유.
    폭포가 있다고 할때,
    전압은 폭포의 높이
    전류는 폭포의 수량
    이라고 보면됨.

    • @exrfubu
      @exrfubu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학원에서 배워쪄여?

  • @nono-o6b
    @nono-o6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차피 우리가 일상에서 볼수있는건 220vac고 그외의 어댑터나 충전기 vdc는 위험한수준이 아님
    산업현장이라면 380이나 440도 보겠지만 6600v라던지 22.9kv같은건 변전소나 수변전실아니면 볼일없음
    굳이 전봇대 올라가지 않는이상

  • @김연두-t1e
    @김연두-t1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100만 볼트 맞으면 아프다는 교훈을준 피카츄 센세 감사합니다

  • @kennyyeo2244
    @kennyyeo224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접지랑 같이 만지게 될때는 어떤가요?

  • @zard1914
    @zard191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봇대에 잇는 볼트가 만볼트 이상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지면 디짐 ㅋㅋ 그래서 볼트가 높으면 큰일남 ㅋㅋ

  • @hwang3243
    @hwang324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헤깔리겠네요..
    ㆍ기본적으로 저 회로내 저항을 숨겨놨고,
    ㆍ인체 저항도 숨겨져 있는 상태에서
    ㆍ인체가 아프거나 사망하는 현상이 뭐에 비려하는지도 잘 설명도 없음
    그래서 원리를 모르면 쇼츠봐도 이해못함.
    건전지 10V짜리에 저항 낮은 선을 양단에 연결해서 100A가 흐르게 하던, 아니면 건전지만 있던 간에 경험적으로
    사람이 양단을 만져도 안죽더라는 경험에서 직관적으로 알 수는 있겠음
    (이 예에서도 전선저항이 0.1옴 정도면 건전지 내부저항이 있어 출력전압은 분배되서 작아지네 뭐내 이런 부연설명이 또 필요함ㅜㅜ)

  • @임창욱-c2x
    @임창욱-c2x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만져도 되는건 이어진 전선 이기 때문
    -전기는 저항이 약한 곳으로 흐름
    전선의 저항은 10~30옴
    사람의 저항은 500옴 정도

  • @KKang_KK
    @KKang_K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선에 흐르는 전류가 저렇다는 거지...만약 6600V라고 하고 우리 몸의 피부 저항이 2000옴 이라고 하면 우리몸에 흐르게 되는 전류는 3.3A임.. 반대로 10V라고 하면 0.005A이고요...몸에 흐르는 전류는 내 몸의 저항과 걸리는 전압에 따라 변하는 거지 전선에 흐르는 전류로 결정 되는 것이 아님....

  • @__4EVER__
    @__4EVER__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댐을 비유해서 전압은 물의양 전류는 방류량
    이렇게 이해하면 되나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좋은 비유입니다, 다만 물의 양보다는 물의 높이를 전압으로 이해하면 더 좋습니다 :)

    • @__4EVER__
      @__4EVER__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electric_revolution 설명을 잘하시는 센스가 남다르네요 ^.^

    • @JickLee-o4n
      @JickLee-o4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어렵게 생각할거 없이 물과 거의 1대1 대응이 됩니다.
      전'압'은 수'압'과 같고,
      전'류'는 '유'속과 같고,
      수'력'은 전'력'과 같고,
      수'량'은 전하'량'과 같습니다.
      전선은 수도랑 도찐개찐이고
      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점. 적절한 수압에 적절한 유량이 있어야 힘전달이 잘 되는 점 등등 많은 면에서 전기와 유사하죠.
      전기는 눈에 안 보이니 이해하기가 힘들다면 눈에 잘 보이는 물을 떠올리면 이해가 훨씬 쉬워집니다.

  • @uwin-rj4rj
    @uwin-rj4r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0V에 손을 물에 담그고 하나는 접지 하나는 손으로 꽉잡으시먄 환생?합니다.

  • @RIRA00
    @RIRA0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체의 저항이 얼마나 되나여?

    • @redmax_vanlife
      @redmax_vanlif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000 옴 에서 실질적 저항은 1000 옴
      어른은 1000 어린이 500 물에 젖으면 배수 측정
      왠만한 인간은 48v 까지만 견딤
      그 이후로는 전류에 따라 생 과 죽음이 결정됨

  • @fkfkfk123432
    @fkfkfk12343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6600v도 만저주세요 괜찮을꺼같아요

  • @이그트_아빠
    @이그트_아빠 Месяц назад

    친구가 자동차 스타터모터 작업하다가 12V에 감전 됐습니다. 전압이 작아도 감전은 됩니다.

  • @김형-o4o
    @김형-o4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10V라그런겁니다. 볼테지가 78만넘어가도 상상하기 싫으네 48V이하 초안전전압이라 괜찮은거지.

  • @hwoarangg1
    @hwoarangg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의 경우 감전되는지 아닌지 영상이 없으니 어느 것이 더 위험할까 판단할 수 없고, 2)에서 만질 때, 다른 손은 어디에 접지를 시켰는지 알 수 없으니 제대로 된 실험이라 보기 어려움.

  • @독수리타자
    @독수리타자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전기는 몇볼트인가요?
    그리고 정전기는 직류일까요 교류일까요?ㅎㅎ

    • @지완-n4z
      @지완-n4z 3 месяца назад

      5천볼트 직류

  • @jimjoseph5200
    @jimjoseph520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킥보드에 쓰이는 50~60v 배터리에는 감전이 되나요? 궁금..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당연히 감전이 됩니다. :)

    • @redmax_vanlife
      @redmax_vanlif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간은 51v 부터 피부 저항 이 아무리 높아도
      Dc 든 ac 든 통전이 되는데 dc 가 더 무섭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전류가 높으면 한방에 갑니다

    • @jimjoseph5200
      @jimjoseph520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electric_revolution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un음주오락부차관
    @un음주오락부차관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안만지면 안되나요?

  • @황우석-h5n
    @황우석-h5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물로 생각하면.. 작동중인 초고압수절단기의 물을 만질지 완전개방된 수도꼭지의 물을 만질지.. 선택하는 것..?

  • @차차갓
    @차차갓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기계통에선 의문이들땐 만지지마라 라고함
    저압이고고압이고뭐고간에 몇만분의1의확률로운나쁜날에감전사고나는게전기임

  • @밝은빛-i5d
    @밝은빛-i5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

    110v,220v부터 감전 많이 되봣지만 그 감전 의 느낌을 잊을수가 없네요 ㅎ

    • @accountgoogle6559
      @accountgoogle655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어떤 인생을 살아오신 겁니까...

    • @JJUYOUNG-rl6of
      @JJUYOUNG-rl6of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accountgoogle6559ㅂㅅ

  • @ellescaliciaelles4260
    @ellescaliciaelles426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예전에 썰중에 차 배터리 방전인지 확인한다고 혓바닥 대봤다가 입에서 불고기냄새나고 살았단게 실제일수도 있겠군요....

  • @jun9
    @jun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단 부하저항이 얼마냐에 따라서 약간은 다르겠지만(물론 이 실험에서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하겠지만요), 그냥 인간의 저항값이 같은 상태에서는 전압이 높을때 인간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당연히 높으니 전류가 더 위험한것이 맞아요. 하긴 직렬, 병렬 따위는 생각도 못하고 무조건 전류만 위험하다고 무지성적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영상이라고 생각되네요.

  • @평론가
    @평론가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상과는 관련없지만
    100V 10A와 10V 100A가 같은 힘을 내는데
    전기 관련 제품의 배터리를 보면 전압만 강조하는데 전자와 후자가 같다면 V는 큰상관이 없는거 아닌가요?
    암페어를 높이면 안좋은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Bbaaam__
      @Bbaaam__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류가 높으면 열과 같은 에너지로 전기에너지가 손실 됩니다 같은 전력량이라고 해도 전류가 많은 경우 열에너지로 인한 손실이 많아서(즉 전선이 손상될 수 있음) 전선의 굵기가 열에 버티기 위해 더욱 더 굵어지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전압이 높게 되면 그러한 점들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송전선로 보면 초고압으로 송전하는 것을 볼 수 있죠

    • @평론가
      @평론가 8 месяцев назад

      @@Bbaaam__ 아아 전압을 높이면 뭐가 좋은지 궁금했는데 그런이유가 있었군요

  • @jainb
    @jain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자 파리채 전류는 얼마 안되도 전압은 높아서 건전지로 작동할정도로 전기를 많이 먹는건 아닌데도 사람이 만지면 깜짝 놀라기도 하고 파리나 모기는 저세상 가고 근데 근데 발전기 만들때 전류가 낮은데 어떻게 하면 높이는지 그건 잘 모르겠어요 기초지식이 없다 보니까 뭐라 뭐라 하긴 하는데 무슨소린지 모르겠던데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가 언제 한번 꼭 다뤄드릴게요ㅎ 변성의 원리라고 있습니다♡

  • @김병순-r3d1p
    @김병순-r3d1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암페어는 높아도 상관없음??

  • @jooni-qm8gf
    @jooni-qm8gf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바다에 빠진 몸으로 만지면 어떻게 되나요?

  • @1BVR7
    @1BVR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쉽게 비유하자면 큰양동이의 물을 몸에 붓는것 vs 주먹만한 양의 물을 660km 속도로 맞는 것 중 뭐가 더 아프냐

  • @kaik9056
    @kaik905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떻게 저전압에 고전류를 걸 수가 있는건가용??? 전압은 임의로 인가할수 있어도 전류는 그게 안된다고 들었는데요

    • @나르세이
      @나르세이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케이블 두께를 참고하시면 될듯 해요
      두 실험 케이블이 다르네요

  • @yonghwalee8908
    @yonghwalee890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온도상승 시험할때 2000a도 걸었는데... 기계는 믿으면 안됨. 머가되었든 만지지 마세요. 내가아닌 기계 잘모르는 인원이 오조작 해놨을수 있으니 끄고 접촉하세요.

  • @SooHoPAPA
    @SooHoPAP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호이스트 크레인용 트로리바 380v에
    스패너로 건드려서 진짜 1초? 정도 붙어있었는데
    뒤졌구나 라는 생각도 못하고 으엌 하다
    다행히 스패너가 떨어져서 살았는데
    손쪽이 살짝 그을렸고 8년정도 되니 새살은 돋았지만 그때이후 쁘레카 내려도 전기작업은 무조건 테스트기로 확인 후 작업합니다ㅜㅜ

  • @재길최-c5y
    @재길최-c5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몸에 접지선 연결 해도 마지실 수 있을까요?

  • @hyokim4193
    @hyokim419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병렬로 접촉과 직렬접촉과 차이가 있나요?

  • @hsch808
    @hsch80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8650배터리로 작동하는 Dc 30만볼트짜리 전기충격기 만들다가 양손으로 실수로 + - 선 만져서 감전되어봤는데 양쪽에서 두사람이 해머를 가지고 동시에 어깨를 타격하는 정도의 강한 충격을 받았음 2층에서 어깨로 떨어진것같은 충격정도임 신체가 건강한편이라 겨우 버텼음

  • @TV-ju9yt
    @TV-ju9y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궁금한점이 있는데 제 파워뱅크가 13v~13.8사이에 140a 인데 전압12v 제품에 사용을 해도 괜찮은가요?? 수중 모터를 사용하려는데 걱정이 되서요

  • @handling913
    @handling91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목숨을 건질영상이네여

  • @절대로의여정
    @절대로의여정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럼 인체에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전압은 얼마입니까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본문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 ruclips.net/video/SEyDuBlicSg/видео.html

  • @TrendyJang
    @TrendyJan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20V 180A vs 22900V 1mA

  • @Chan_Song69
    @Chan_Song6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럼 정전기는 35000v정도의 고전압인데 왜 아무 이상도 없는걸까요?

  • @까비이롱이런
    @까비이롱이런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탐슨이 활약한다? = 커리 똥싼다
    로 올해는 보면 되나?

  • @Aqours750
    @Aqours75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반대로 1번이 위험하다고 생각했는대 죽을뻔했네요 감사합니다

  • @rosecyan_8937
    @rosecyan_893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물이 5000L/s가 저속으로 흘러서 수압이 낮은데 들어가면 그냥 흐르는 물인데
    0.5L/s가 초고속으로 흐르면 수압이 센거로 치고 손발 다 잘려나갈수있는거랑 같...다고 볼수 있나...??

  • @Sharpy526
    @Sharpy52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600V는 미친듯이 위험한데 목숨 걸고 쇼츠찍으시는...ㄷㄷ

  • @89naminsu
    @89namins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론과 실습 차이를 이렇게 재미있게 볼 수 있어 너무 즐겁네요 감사합니다!!!

  • @sang9479
    @sang947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하량으로 이해하면 되나요?

  • @hyungha9357
    @hyungha9357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6900V를 저렇게 가까이 엄지검지로 집는 시늉을? 미쳤음

  • @소마-c6u
    @소마-c6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번개도 고압에 전류가 적은거죠?

  • @천년묵은소금
    @천년묵은소금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전압을 유지하면서 고전류를 이용하는것(수하특성)을 용접기의 원리 입니다.전압은 관경이고 전류는 수량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그러나 20v에11A와 10v에 22A의 전력량은 같으나 둘다 위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