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운명을 바꾸다! CCU 혁명! 공기 중 탄소의 새로운 변신! [안될과학 X GS칼텍스]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GS 칼텍스의 CCU 더 알아보기!
gscaltexmediah...
급격한 지구온난화의 주범! 이산화탄소가 새롭게 변한다!
과연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어떻게 포집할 수 있을까?
이렇게 포집한 이산화탄소는 또 어떻게 처리가 될까?
이산화탄소가 새로운 제품으로 탄생을 한다?!
GS칼텍스가 보유한 CCUS기술이 얼마나 놀라운지!
GS칼텍스의 최지수 책임연구원과 함께 알아봅니다!
◆ 2024 신상 굿즈 블록 피규어 키링 + 포스터 출시
모어사이언스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smartstore.nav...
#기후변화 #지구온난화 #이산화탄소 #CCUS #gs칼텍스
◆ Thanks to
Editor: 권다혜
Studio: 서울 스트리밍 스테이션
Guest: GS칼텍스 최지수 책임연구원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 커뮤니티
cafe.naver.com...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정말 과학을 이렇게 접근하는 채널은 이곳 밖에 없는것 같아요. 잘 보고 갑니다.
일단 에너지 혁명이 일어나서 핵융합 발전이 가능해져야 환경파괴를 줄이고 막대한 에너지로 cc를 더 많이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세상이 될꺼 같아요. 인류가 멸망하는 특이점을 넘기 전에 에너지 특이점이 올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이산화탄소에 관련하여 큰 그림을 보자면, CCUS가 매우 중요하기는 하지만 아직은 커다란 기술적인 점프를 하지는 못하고 있음. 현재 CC 기술이 지향하는 비용은 $100/톤 정도되는데,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의 한 해 이산화탄소 배출량(6억2400만톤, 2023)을 모두 잡아낸다고 하면, 약 84조원의 예산이 필요함. 어마어마한 예산이라 결국 100% 다 잡아내는 건 불가능한 얘기고 일단, 배출량을 엄청 줄이는 게 중요함.
이것도 그린워싱 사태처럼 가지 않길 간절히 바라봅니다 ㅠㅠ
세분이 남매같아요~^^😊
ㅎㅎㅎㅎㅎㅎㅎㅎ 그러네요 ㅋㅋㅋㅋ 오늘 첨으로 웃었습니다 ㅋㅋㅋㅋㅋ
안녕하세요 궤도님. 영상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영상내용과는 관련 없지만 질문드리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현재에도 불치병들의 이유로 미래에 치료가 가능한 시점까지 육체를 얼려서 보존하는 냉동하는 사례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아직 해동하는 기술은 없다고 들었으나 먼 미래에 그 기술이 개발되었다고 가정한다면, 불치병을 치료할 수는 있다고 할지라도 지속적으로 돌연변이를 이르킨 다른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면역력이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만약 흑사병 이전에 냉동한 인간이 오늘날 해동된다면 과거와는 다르게 변이된 바이러스들에 의해 생존에 힘들어지지 않을까하는 생각입니다.
침튜브애서 애굽민수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에서 새로운 밀폐되어있던 고고학적인 장소를 개봉할 때에도 그 공간에 존재하던 과거의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매우 주의하며 연구하신다는 말씀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과거에 냉동된 우리 몸이 면역력이 없는 미래의 새로운 바이러스가 만연한 세상에서 생존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과학계나 궤도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과학과 담을 쌓고 살아서 정말 짧은 궁금증일 수 있으나 무례를 무릎쓰고 질문드립니다.
아하
어릴 때 '석유를 태워서 이산화탄소가 나온다면, 역으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서 석유를 만들면 되곘네'라고 생각했었는데
아직도 e-Fuel은 별로 진척이 없고, 비싸기만 하네요.
e-Fuel을 만드는데는 어떤 문제점들이 있나요?
산유국에서 석유는 우리나라에서 수돗물 틀어서 받는거나 마찬가지임 ㅋㅋ 오히려 언제 바닥날까 랑 외교적인 압박으로 감산하고 조절하고있음 ㅋㅋ 가격적으로 절대 비교 불가이고 대부분 연구들은 세금따먹기랑 연구비 따먹기 하고있는거
일단 기체를 액체나 고체로 만들면 부피가 1000배이상 줄어들기때문에 대량으로 만드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들어감 그걸 친환경 발전을 이용해서 만들겠다는건데 친환경 발전들도 단점이 명확함 유지 보수 비용도 많이들고 특히 요즘 기후변화로 태풍에 어리케인에 홍수에 ... 인프라를 벗어난곳에 만들어논 친환경 발전들은 부서지고 또 만들고 반복
예를 들어 풍력 발전하는 프로팰러가 1개에 70억쯤 하는데 3개가 태풍와서 부서지면 200억이 날라가는데 그전에 그것보다 많은 수익을 얻어야함 ㅋㅋ
시시오 마코토
묽은 점토에 탄산음료 처럼 이산화탄소 주입하고 빠져나가지 않을정도로 적당히 동결건조 하거나 해조류, 해파리, 꼼장어 점액질 같은걸로 코팅해서 심해에 쳐박아버리면 안되남
CCS는 이산화탄소를 묻는 기술인데 그 의미는 탄소보다 산소를 더 많이 지하에 묻는다는 의미입니다. 그 자체로 또다른 이상기후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왜 랩짱님이 없는고ㅠ
가운데 계시잖아요… 항성 랩짱님..😊
나같음 co2를 c와 o2로 바꾸겠다.
걍 조개나 굴을 ㅈㄴ 많이 키우면 caco3 만들어서 탄소 제거 되는거 아닌가ㅋㅋ 우리나라 굴양식 ㅈㄴ 하니까 완전 친환경인거지 바다에서 탄소 제거하면 비오면 다시 탄소 흡수되고
조개나 굴 양식하는데에 쓰이는 탄소양이(배 운항, 기계 가동) 있어서 오히려 비효율적일듯
@@FishermanKris ㅋㅋㅋ 계산해봄?
계산을 함 해서 알려주시겠어요? 그렇게 계산을해야 주장할수 있으면 창의적인 생각이 나오기 힘들 듯. 그리고 굴이 아니어도 빠르게 성장하고 튼튼한 나무도 유럽서 품종 개량해서 만들었다는데 그런식으로 동식물을 이용한 온난화 방지방법 개발이 되어야 효과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동의합니다.
@@Aegora 테클을 걸려면 근거있는 주장을 가지고 오라는거지 ㅋㅋ
@@Aegora 아니 굴양식을 배타고 하는게 아닌데 왜자꾸 개소리를함 ㅋㅋ
인공광합성은 상용화하는 기업 없나
인간광합성으로 읽은 나.. 깜짝이야!
이산화탄소에서 산소만 빼고 탄소만 사용하는 건 별개 문제인가요?
그렇게 하는데 들어가는 에너지가 더 커서 현시점에서는 의미가 없다고 봐요… 어서 그런 상상을 초월하는 기술이 개발되면 좋겠네요!😢
11:52 영상에서도 설명해주시듯, 이산화탄소가 굉장히 안정적인 물질이기 때문에, 그 분자구조를 깨는데에 들어가는 에너지가 상당하기 때문이에요 ㅠㅠ
기업 광고 영상이면 좀 성과가 나온 부분을 다뤄주면 좋겠는데 너무 주제가 다 연구중이라 아쉽네요...
굳이 화석연료에서 수소를 일부러 만들어내려고 굳이 CO2를 많이 배출하고....다시 돈을 들여 이걸 줄이는 연구를 한다는 것이 다른 나라 CCU 연구에 비해서 당위성이 떨어집니다.
ccu기술 이게 웃긴게 탄소를 줄이기위한 탄소포집기술인데 배보다 배꼽이 더큼 탄소라는 자원을 이용해서 더 많은 탄소 발생시켜서 돈을버는거임 탄소포집해서 핵폐기물처럼 모아두는거 아니면 의미없음
그러니까 지금 촉매를 연구하고 있다잖아
탄소라는 자원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버려지는 탄소를 더 활용하는 방안으로 생각하면 될 듯 한데요
일부러 버려지는 탄소를 만들어서 쓰는게 아니라
닉값
니가 말하는건 ccs 라는건데... 같이하고있음
닉 값하네😂😂😂😂
1등!
고분자라 하면 플라스틱 관련연구죠 ?? ?
CO2용접 작업에서 많이 사용하는데 ........말씀을 안한것 보면 좀 다른건가요 ???
근데 우리나라의 최고존엄은 핵분열을 이용한 원전에만 환장을 하지
친환경 으로 대표되는 RE100 같은건 관심없는거 같더만
탄소중립하려면
탄소포집으론 어림도.없음
현기술로는 1프로 밖에포집못함.
배출량을 줄이는 방향,
즉 석탄석유를 안쓰는방향으로가야지
탄소포집후 재활용은 그린워싱선전일뿐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