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3 영어 모의고사 - 내신대비용 해설강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июн 2024
  • ▶필기용 파일 : drive.google.com/file/d/1dU6E...
    ▶매튜쌤 채널 선생님용 멤버십 가입 : / @mattenglish
    ▶매튜쌤 일상채널 (꼰대주의): / @matt_life
    ==========================================
    4:02:52 주격관계대명사 that절은 unconscious까지만 수식합니다. 절의 끝 부분을 나타내는 대괄호의 위치가 문장의 끝이 아닌 unconscious 뒤로 정정합니다. 제보해주신 각설탕 님 감사합니다!
    2:16:16 에서 제가 as if 뒤에 we found it이 있다고 설명을 하였는데, we found them이되어야 옳습니다. 그리고 이 them은 이전 문장에 나왔던 our former personalities and the cultures into which we were born을 가리킵니다. 지적해 주신 서현님 감사합니다!
    ==========================================
    00:00:00 [18번] 다른 회사로 이직을 통보하며 작별인사
    00:10:29 [19번] 조난된 Anna가 잔해의 창문을 통해 물속의 무언가를 발견하고 두려움에 떨었으나 곧 구조되었다.
    00:20:49 [20번] 성인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지고 결정을 내리는 자율성이 필요하며, 교사는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서서 학습을 촉진하는 안내자 역할을 해야 한다.
    00:38:13 [21번] 인식은 감각 정보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식에도 구성된다는 것이다.
    00:58:15 [22번] 언어에 따라 사람들은 감정과 반응이 달라진다.
    01:15:17 [23번] 사회 속에서 인간이 홀로 살아가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며, 인간에게는 집단에 속하려는 욕구가 있다.
    01:34:53 [24번] 우리는 시간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미래세대를 위하여 현재의 것들을 보호해야 한다.
    01:52:24 [25번] 1980년부터 2020년까지 애완동물 인구 변화를 보여주는 도표
    01:54:14 [26번] 화학 노벨상 수상자 Ilya Prigogine
    02:02:05 [29번] 문화를 넘나드는 과정은 자아 발견과 성장의 여정이다.
    02:19:11 [30번] 어린이는 작은 공간에서는 기하학적 정보만 사용하지만, 큰 공간에서는 기하학적 및 비기하학적 정보 모두를 사용한다.
    02:31:04 [31번] 8세부터 16세까지 손재주와 언어 구사력이 향상되며, 창의성은 줄어든다.
    02:47:25 [32번] 이타적인 사람일수록 타인에 대한 이타적인 행위를 인류에 대한 의무로 간주한다.
    03:07:25 [33번] 자신의 욕구를 스스로 충족시킬 수 있는 사람이 진정으로 자유로운 사람이다.
    03:25:38 [34번] 일본어 'ao'는 파랑과 초록을 모두 지칭했으며, 신호등이 도입되었을 때 신호등의 green 색을 'ao'로 칭하는 것이 어색해 지게 되었는데, 일본 정부는 이 색의 공식 명칭을 초록이라는 의미의 midori로 변경하지 않고 신호등의 색깔을 조정하였다.
    03:37:06 [35번] 영어의 변이를 이해하면 언어의 차이를 좁힐 수 있다.
    03:47:28 [36번] 창의성은 무의식적 융통성과 의식적 분석 사이의 다양한 조화를 필요로 한다.
    04:05:35 [37번] 자연과 개발에 중점을 둔 도시계획법은 모두 지나치게 이상주의적이며 서로 상충된다.
    04:15:01 [38번] 미래의 보험사는 실시간으로 개인의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요금을 부과할 것이다.
    04:28:51 [39번] 원근법을 사용한 그림은 보는 사람을 중심으로 대상이 어떻게 보이는지를 잘 나타낸다.
    04:39:54 [40번] 뇌는 평생 동안 계속 변화한다.
    04:52:18 [41-42번] 당신의 생각(나레이션)이 당신의 경험을 형성한다

Комментарии • 322

  • @user-fu5wp2vh9p
    @user-fu5wp2vh9p Месяц назад +5

    정말 감사합니다 선생님 존경합니다.~❤

  • @noway9239
    @noway9239 Месяц назад +6

    넘넘 도움이 많이 됐어요 영상 정말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공부할게요!!!!!!!!!!!!!!!!!

  • @user-ef7wm9sm7h
    @user-ef7wm9sm7h Месяц назад +2

    너무 감사합니다 귀에 쏙쏙 들어와요!!

  • @user-un2tq2xe9d
    @user-un2tq2xe9d Месяц назад +4

    우와 드디어 기다렸던 매튜샘 고3 강의!!ㅠㅠ 감사합니다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3

      3월과 6월까지만 올릴 계획입니다! 늘 봐 주셔서 감사해요!! ❤️

  • @user-yq1so4se5y
    @user-yq1so4se5y Месяц назад +2

    도움이 됐을뿐만 아니라 중간에 선생님께서 나긋하게 해주시는 부연 설명들과 개인적인 위로의 말들이 너무 따뜻하게 다가오네요… 여러모로 정말 감사합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아이고 좋게 봐 주셔서 감사해요!! 꼭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

  • @platon0523
    @platon0523 2 месяца назад +32

    감사합니다 엉엉 ㅠㅠ

  • @user-wc4go5pj1s
    @user-wc4go5pj1s Месяц назад +16

    와... 고3 영상 올라오길 손꼽아 기다렸습니다 ㅠㅠㅠㅠㅜ 아 정말 감사해요 ㅠㅠㅠㅜㅠㅠㅠ 선생님 덕에 시험준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게되었습니다!! 열심히 준비해주신만큼 그에 맞는 성과를 내도록 노력할게요 ❤️❤️❤️❤️❤️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4

      뿌듯하네요♡ 화이팅입니다!!!

  • @user-ph6sq3mz2d
    @user-ph6sq3mz2d Месяц назад +1

    선생님 항상 수고하십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영상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

  • @user-hf8cd2eo1y
    @user-hf8cd2eo1y Месяц назад +1

    감사합니다.최고입니다~

  • @user-wm1fm5mo7j
    @user-wm1fm5mo7j Месяц назад +2

    고1때부터 꾸준히 듣고 있는 고3입니다 이번 중간고사도 선생님 덕분에 영어만큼은 정말 좋은 성적 잘 받을 수 있을거 같아요 ! 항상 감사합니다 ㅠㅠ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고1 때부터 들어주셨으면 제게는 은인같은 학생이네요. 제가 더 감사해요 ♥

  • @choii10
    @choii10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lv1em9ef5c
    @user-lv1em9ef5c Месяц назад +1

    시험 2주 남았는데 복습 겸 보러옵니다 고1때부터 듣던 학생인데 항상 감사합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응원하겠습니다!!! 늘 영상 봐 주셔서 감사해요!!

  • @user-pg6fx5nu9e
    @user-pg6fx5nu9e Месяц назад +1

    진짜너무 깔쌈한 강의 였습니다. 내신 1등급 쉽게 받아갈게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화이팅입니다!!

  • @ppeulhui9667
    @ppeulhui9667 Месяц назад +1

    올해 벌써 고3이 되었습니다ㅠㅠ 3년 내내 정말 많은 도움을 받았어요!! 천사같은 매튜쌤😇.. 더더더더 유명해지세요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와 벌써!!! 고3!! 중요한 해인만큼 좋은 성과가 있기를 바랄게요! 늘 영상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

  • @user-rz5rm1hp6r
    @user-rz5rm1hp6r Месяц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user-ib7uo1nb5f
    @user-ib7uo1nb5f Месяц назад +1

    29번은 밑줄만 분석해주고 넘어가던데 해석까지 꼼꼼하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좋은성적 받아서 기쁜소식으로 돌아올게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많이 많이 완전 익숙해질 때까지 반복해서 보세요!! 감사해요!! ♥

  • @user-vd2ff6ep4d
    @user-vd2ff6ep4d 2 месяца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ㅠㅠ

  • @user-jb7gz9vl2e
    @user-jb7gz9vl2e Месяц назад +1

    3모가 중간고사에 나온다고 해서 강의영상 찾고 있었는데
    선생님께서 중요한것도 잘 설명해주시고 재밌는 얘기도 많이 해주셔서 이해도 잘되고 완전 재밌었어요! 짱짱!!
    긴 영상 찍으시느라 수고 많으셨고 정말 감사합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아이고 저야말로 영상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

  • @yulim_06_
    @yulim_06_ Месяц назад +1

    항상 감사합니다 선생님ㅠㅠ

  • @wonys10
    @wonys10 Месяц назад +1

    선생님 덕분에 작년 고2 객관식은 항상 거의 다 맞을수 있어요!! 올해도 잘 부탁드립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와우!! 이번 중간고사도 좋은 성적 있을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user-tb8rk1qf6e
    @user-tb8rk1qf6e Месяц назад +3

    이번중간도 신세 지겠습니다 센세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3

      와 신세-센세 라임(정확히는 alliteration) 대단하네요. 언어의 마법사이신듯 ㄷ

  • @MJ-YG0309
    @MJ-YG0309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이번엔 영어 성적 올려볼게요!

  • @96187uu
    @96187uu 23 дня назад +1

    메튜쌤 덕분에 올해 중간고사도 준수하게 보고 왔습니다@!! 혹시 5월 모의고사 해설강의는 올려주시기 어려울까요..??ㅜㅜㅠㅜ
    (수정) 아ㅏ 다른분 댓글에 답글 달아놓으신걸 뒤늦게 봤습니다!! 이번 기말고사는 혼자 잘 준비해서 치도록 하겟슴다 감사했어용

    • @mattenglish
      @mattenglish  22 дня назад

      저도 너무 촬영해서 올려드리고 싶지만 고3은 3월과 6월만 올리게 될 것 같습니다. 넘넘 미안합니다!!

  • @IronThatPushedRiver
    @IronThatPushedRiver Месяц назад +1

    메튜쌤의 명강의만 들으면 영어 내신 1등급은 저절로 따라옵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정답을 알고 계신....💕

  • @user-ex4of2qc8x
    @user-ex4of2qc8x Месяц назад +3

    항상 좋은 영상 넘너무 감사합니다 😚
    질문이 있는데요! 2:16:16 we found it 에서 it 은 무엇을 가르키는 말인가요??!
    밑에 적혀있는 해석글을 보면
    특히 우리 내면의 그 ‘문화의 불변하는 것들’― 우리가 소중히 여기고 타협하기를 거 부하는 측면들― 을 마치 처음인 것처럼 발견할 것을 강요한다.
    found 의 목적어는 문화의 불변하는 것들 즉 those “cultural invariants“
    얘네를 첨 발견한것 처럼 하라는 것으로 보이는데 그러면 it 이 아닌 them 이 와야하는게아닌가 싶어서요
    it 이 뭘 의미하는지 궁금해요!!
    댓글은 첨 써보는데 고1때부터 올려주신 영상들 너무 유용하게 잘 봤어옹 덕분에 영어는 항상 안정 1등급받을 수 있었어요 감사합니닷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그러네요. them = our former personalities and the cultures into which we were born 이며, 이후 those를 통해서 부연설명하고 있습니다. it이 아닌 them이 되어야 맞습니다. 깜빡 실수를 했네요 ㅠㅠ 정정란에 표기해 두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ehs6473
    @ehs6473 Месяц назад +3

    4:12:23 에서 an approach 뒤 that 관계대명사절은 1980s까지가 맞지 않나요? 아니라면 promotes가 과거형이 아닌 이유가 궁금합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교육청 해석은 그렇게 보았네요. 저는 결국 New Urbanism = an approach 이므로 is와 병렬로 보아도되고 was와 병렬로 보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병렬이란 단어가 정확히 형태가 같아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병렬의 정확한 의미는, '문장의 생략된 부분을 공유한다'입니다. an approach was popularized 도 말이 되고 an approach promotes도 말이 되므로 병렬이 말이 됩니다.
      예를 들어, I skipped breakfast and am hungry now. 에서 skipped와 am은 시제와 동사의 종류가 다르지만 병렬로 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user-ph5oz2dj6k
    @user-ph5oz2dj6k Месяц назад +2

    ㅠㅠㅠ 진짜 쌤은 신인가요

  • @zzekarocnzz
    @zzekarocnzz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올해도 매튜쌤 강의로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 @user-ci6zt4nq9u
    @user-ci6zt4nq9u Месяц назад +3

    항상 감사해요
    쌤 덕분에 2년 동안 2등급 한 번 받고 계속 1등급 받을 수 있었어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우와 대단합니다!! 영상 봐 주셔서 감사해요!!

  • @user-dz1th7lu2w
    @user-dz1th7lu2w Месяц назад +1

    고3은 학원다니기 쉽지않은데 이런 좋은 강의를 무료로!! 증말감사합니다

  • @ssssssogogiemasitjjo
    @ssssssogogiemasitjjo Месяц назад +1

    시험 하루 전 좋은 선택인 것 같습니다...👍🥹👍

  • @tucosalamanca2066
    @tucosalamanca2066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선생님 덕분에 항상 영어 1등급 가져갑니다 감사합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번에도 당연히 1등급입니다!!! 화이팅 ♥♥♥♥

  • @user-yu9dl2cs7x
    @user-yu9dl2cs7x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ㅜㅜ

  • @user-zd4sp8pp5l
    @user-zd4sp8pp5l Месяц назад +1

    우선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denials 뒤에 haven't done이 안 된다고 하셨는데 anything을 something으로 바꿔주어도 안 되는 건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denials가 이미 부정의 의미(not)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haven't done은 불가능 합니다.
      anything을 something으로 바꾸는 것은 가능한데 그렇게 되면 문장의 의미가 달라집니다.
      denials that they have done anything deserving of high praise : 그들이 칭찬을 받을 만한 어떤 일이라도(anything) 하지 않았다는 부인(부정)
      denials that they have done something deserving of high praise : 그들이 칭찬을 받을 만한 무언가를(something) 하지 않았다는 부인(부정)
      이지만, 부정의 의미가 담긴 문장이므로 anything이 더 어울리는 듯 합니다!

  • @user-pl4th5zf5d
    @user-pl4th5zf5d Месяц назад +1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 @user-dx1tr7yu7o
    @user-dx1tr7yu7o Месяц назад +2

    진짜 감사합니다 고1때부터 들어서 4등급에서 2등급으로 성장했어요 3학년 마지막 내신만큼은 1 찍고싶네요 선생님 강의와 열심히 공부해볼게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와 2등급은 1등급과 거의 마찬가지인데 정말 대단하네요! 이번엔 더욱 좋은 결과가 있기를요!! 💚

  • @user-qk5ij3dc7b
    @user-qk5ij3dc7b Месяц назад +1

    4:14:30 이 지문의 마지막 문장은 자연을 추구하는 경관도시론자도 도시요소만을 추구하는 신도시론자도 아닌 균형적으로 옹호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밨을때 두 이론이 별로다 라는 주장 아닐까요? 해설지에 just sustainabilities는 정당한 지속가능성이라고 되어있고 complete streets에 관한 해설에 보행 자전거 및 자동차 모두 안전하게 접근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로라고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위에 신도시론자들이 제시한 ''걸을 수 있는 거리''와 비교 되어 보여서요!

  • @kojed72
    @kojed72 Месяц назад +2

    영어학원 안 다니고 고2 1년간 쌤 수업 듣고 변형 풀면서 1등급을 놓쳐본 적이 없어요! 정말 영어학원보다 밀도도 훨씬 높고 꽉 찬 보장된 수업입니다 ㅠㅠ 고3이라 수특에서만 시험이 나와서 쌤 수업은 못듣지만 작년 기세 유지해서 꼭 영어 내신 마지막 1등급까지 만들어내겠습니다! 영어공부하다가 쌤 생각이 나서 와봤어요 ㅎㅎ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얼굴은 모르지만 랜선 제자님 찾아와줘서 고마워요. 고12 때 잘 해왔으니 고3도 좋은 결과 있을 거에요!!! 화이팅입니다!!! ♥

  • @bluesunboys6279
    @bluesunboys6279 Месяц назад +1

    쌤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혹시 20번 지문에 5번째줄 마지막 부분 to be proactive를 to assume과 병렬구조라고 보셨는데 to ne given과 병렬구도로 볼 수는 없나요? 그렇게 해도 해석이 자연스러운 것 같아서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교육청 해석은 말씀하신대로 보았네요. 저는 to be proactive 이하의 내용이 autonomy(자율성)과 같은 내용이기 때문에 형용사적 용법 병렬로 보았습니다! 저는 둘 다 상관 없다고 생각하고 시험에 나올 포인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user-ui6rb2zm1p
    @user-ui6rb2zm1p Месяц назад +1

    이번시험에서 모의고사 4문제 다 !맞추고오겠습니다!!
    추가로 수특 공부도 남은기간 열심히해서 다 맞추고 올 자신감 들어오올께요!!

  • @user-hp7ro8du5l
    @user-hp7ro8du5l Месяц назад +1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그리고 질문이 있는데요, 2:07:44 에서 Despite 를 Although 로 바꿀 수 없다고 하신거죠?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넵 바꿀 수 없습니다! 영상 봐 주셔서 감사해요 ❤️

  • @user-no9ui6si2s
    @user-no9ui6si2s Месяц назад +4

    선생님 덕분에 수행평가도 무사히 넘겼어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와우 축하합니다 ♡ 👍

  • @user-ci2lc6pc3u
    @user-ci2lc6pc3u Месяц назад +1

    선생님이랑 함께한지 벌써 3년째네요!
    항상 막막하고 답답했던 영어였는데
    선생님 덕분에 3년 째 1등급 놓치지 않고
    받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남은 시험까지
    모두 잘 마치고 기쁜 소식으로 찾아오겠습니다!!
    매튜쌤 그대는 그저 GOAT......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순간순간 때려치고 싶을 때도 많은 유튜브인데 남겨주신 덧글 보며 마음을 다잡습니다. 그동안 영상 봐 주어서 고맙습니다!

  • @user-yq8ho5hh7g
    @user-yq8ho5hh7g Месяц назад +2

    수업 기다렸는데,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영상 봐 주셔서 감사해요 🧡

  • @user-go3wo6em6d
    @user-go3wo6em6d Месяц назад +1

    30:17 안녕하세요 선생님! 혹시 20번 2번째 문장 이 부분에서, 답지에는 “이처럼 학습자에게 자기 자신의 선택 을 책임져야 할 자유와 자율성이 주어져야 하고, (학 습자는) 자신의 교육 경험에 기여하는 결정을 내릴 때 주도적일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해석되어 있는데, 그렇다면 to be proactive 가 to be given 과 병렬관계가 되는거 아닌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2

      교육청 해석은 말씀하신대로 보았네요. 저는 to be proactive 이하의 내용이 autonomy(자율성)과 같은 내용이기 때문에 형용사적 용법 병렬로 보았습니다! 저는 둘 다 상관 없다고 생각하고 시험에 나올 포인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user-go3wo6em6d
      @user-go3wo6em6d Месяц назад +1

      @@mattenglish답변 감사합니다 :)

  • @yanghye_yy0316
    @yanghye_yy0316 Месяц назад +1

    1:44:36 모의고사 준비할 때마다 항상 선생님 강의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어서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이번 24번 지문의 "whose shade~" 라는 문장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보통 목적격 관계대명사절 뒤의 전치사를 관계대명사 앞으로 옮겨 쓸 수 있다고 배웠는데, 소유격 관계대명사 앞에도 전치사가 올 수 있는 것인가요? 소유격 관계대명사 앞에 전치사를 쓸 수 있다면 이 경우도 전치사를 관계대명사절 끝으로 옮겨서 쓸 수 있나요? 소유격 관계대명사절은 문장의 구조가 완전하다고 배웠었는데 헷갈리네요😢 가르침을 부탁드립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소유격 관계대명사 절은 소유격관/대 이후의 문장 구조가 완전하다고 알고 있는 학생들이 많은데,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I know a boy whose name is Jack. 이 경우 name is Jack 은 완전하지 않습니다. name은 셀 수 있는 명사의 단수형이므로 무관사로(한정사 없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틀린 문장입니다.
      따라서 소유격관/대의 절을 정의하면, '소유격 대명사가 빠져 있는 불완전한 문장'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사실 질문 주신 문장은 그와는 조금 다른 문제인데, 답부터 말씀드리면 전치사+소유격관계대명사절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네가 그 소년의 집에서 점심을 먹은 그 소년을 알고 있다'라는 문장은
      I know the boy + You ate lunch at his house.
      → I know the boy and you ate lunch at his house.
      → I know the boy and at his house you ate lunch.
      → I know the boy at whose house you ate lunch. (and his 가 whose로 바뀜)
      가 됩니다!
      소유격관계대명사가 수식하는 문장이 뒷 문장에서 전치사의 목적어 / 동사의 목적어일 경우 익숙하지 않다면 헷갈릴 수 있으니 많은 문장을 찾아서 접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 @yanghye_yy0316
      @yanghye_yy0316 Месяц назад +1

      ​@@mattenglish 예문으로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시험기간이라 바쁘시더라도 항상 건강 챙기시기 바랍니다

  • @user-py2bb4gg9b
    @user-py2bb4gg9b Месяц назад +1

    1:32:33
    여기 so that 부분 질문있어요! so that 구문이 해석이 ~하기위해서 인데,
    모의고사 해설지를 보니
    하지만 일단 여러분이 ‘그들’을 인식할 수 있게 되면, 여러분은 ‘우리’를 편들기 시작하는데, *매우 그러하므로*, 양쪽 집단 모두를 크게 유리하게 하는 결과 또는 양측 모두에게 훨씬 덜 유리하게 하지만 여전히 여러분의 집단을 그들보다 더 유리하게 하는 것(결과) 사이에 선택이 주어졌을 때, 그것이 바로 여러분이 고르게 될 것이다.
    여기서는 so~that (너무 ~해서 ~하다) 로 해석된 것 같아요 그러면 (so much)(so that) 이렇게 끊어서 독해하면 안되지않나요?🥲
    so가 한문장에 여기저기 들어가 있으니 독해하기 어렵네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해석지에 영어를 맞추면 so ~ that 으로 보이게 될 것 같습니다. 저도 고민 많이 한 부분인데, 그렇게 so ~ that... 으로 보시면 that 앞에 so를 설명할 수가 없습니다. (so ~ so that ... 이라는 문법이 없으므로) 그래서 저는 so much를 별개로, so that 은 목적(~하도록)으로 보았습니다!
      가끔 교육청 해설지가 지나치에 한국어에 맞춘 의역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 생각일 뿐이니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 @user-vt6ok2cr1v
    @user-vt6ok2cr1v Месяц назад +1

    와 쌤 사랑해요

    • @user-vt6ok2cr1v
      @user-vt6ok2cr1v Месяц назад +1

      ㅠㅠ 이번에 학원 끊어서 막막했는데 공부법 알려주시면서 시작하시네욥🥺 매튜쌤 그저 빛..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영상 봐 주어서 고맙습니다!!♡

  • @user-op6jo1cw9w
    @user-op6jo1cw9w Месяц назад +1

    최고에요! 정말 감사합니다❤❤❤

  • @user-qk5ij3dc7b
    @user-qk5ij3dc7b Месяц назад +1

    3:05:56 더 비교급 문장에서 they는 누구를 받는것인가요? 앞에 더 비교급에는 someone으로 단수가 있어서요!
    그리고 all of us would be expected to do 에서 do의 목적어가 없는데 해당 절의 선행사는 무엇인가요? 우리모두 할것으로 기대되는 것을 했을 뿐이다 라고해석될때 것에 해당되는 선행사가 없어서요ㅠ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they = someone 입니다. 불특정 일반인의 경우 someone /everyone 을 they로 받을 수 있습니다. 80년대까지는 he or she로 표기하곤 했으나 불편함을 느낀 원어민들이 they도 정통 영어로 인정하기 시작했습니다. 제 주장은 아니고 BBC Learning English 페이지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BBC사이트가 개편을해서 정확한 링크를 찾을 수가 없네요.
      Chat-GPT의 답변 추가합니다 :
      Q: can somebody be referred to as 'they'?
      A: "they" can be used as a singular pronoun to refer to a person who prefers gender-neutral language or whose gender is unknown or irrelevant.
      do의 선행사는 more입니다. more가 명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아시겠지만 than은 유사관계대명사이고요!

  • @xeo_n
    @xeo_n Месяц назад +1

    3:02:42 in their shoes 에서 their = Organ donors and everyday citizens 인가요? 아니면 altruists 인가요? 늘 감사합니다 선생님!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altruists입니다! 그러니까, 누구라도 그들(이타주의자들)의 입장이 되었더라면 이라는 의미입니다!

  • @user-hh2pw1in9l
    @user-hh2pw1in9l Месяц назад +3

    제가 먼저 해석해보고 선생님처럼 막 문법요소도 찾아보고 최대한 이해해보고 선생님 강의 들으면 지문에 대해서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어서 좋은것같아요😊 해주시는 얘기들도 다 기억에 남아서 복습할때도 지문내용 바로 기억나고ㅋㅋ
    특히 순서문제나 삽입문제로 변형되었을때 진짜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사실 부가적인 얘기들은 어떻게 보면 쓸데 없어 보이지만, 나름의 연상기억을 돕기위한 장치로 끼워 넣은 치밀한 계산에 의하여 넣어진 아재개그들도 있고 노래도 있고... 어찌되었든 영상 보아주어서 감사해요~ ♥

  • @user-mb1zw1vx1j
    @user-mb1zw1vx1j Месяц назад +1

    복습할때는 문장을 외우기보다 내용이랑 어법위주로 글의 흐름을 파악하는게 좋갯죵??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방향은 잘 잡은 것 같습니다. 그렇게 많이 정말 지겨울 때까지 보세요! 7회독 추천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중요한 문장들은 꼭꼭 외워야 합니다!

  • @user-el3us5us9k
    @user-el3us5us9k Месяц назад +1

    2:06:25 에 raise는 타동사라서 목적어가 필요없다고 하셨는데 arise 말씀하시는 건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제가 조금 헷갈리게 설명을 하였는데 맞습니다! arise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자동사 raise는 목적어야 있어야 하므로 바꿔 쓸 수 없다는 말이었습니다. 혼동을 드려서 정말 죄송합니다!

  • @user-ug9qj9cu7r
    @user-ug9qj9cu7r Месяц назад +1

    4:02:52 36번 지문 마지막에서 2번째 문장에서, "that arose ~" 절이 선행사 the ideas를 수식한다고 보는 게 맞을까요? 이렇게 본다면 that절은 "that arose in his unconscious"까지로 보는 게 자연스러울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그러네요 ㅠㅠ unconscious까지가 that절이 맞습니다! 제 실수입니다. 더보기란에 추가해 두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

    • @user-ug9qj9cu7r
      @user-ug9qj9cu7r Месяц назад

      ​@@mattenglish 4:12:28 추가로... In contrast~ 로 시작하는 문장에서 동사의 시제를 보면 that절 내에서 was와 promotes를 병렬로 보는 것보다 that절은 that was popularized in the 1980s까지로 보고 and가 is와 promotes를 병렬한다고 보는 게 자연스러울 것 같다고 생각되는데 맞을까요?

  • @user-sk6pn3kv5p
    @user-sk6pn3kv5p Месяц назад +1

    4:34:42 on how they looked 부분 해석하실 때 '그들이 어떻게 보여졌는지' 라고 해석하셨는데 여기서 '그들은' 뭘 가르키는건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the objects and the space he or she was painting 입니다!

  • @naeun4720
    @naeun4720 Месяц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선생님! 고 1 때부터 선생님 모의고사 강의 꾸준히 잘 듣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그런데 37번 지문에 6번째 줄에 있는 In contrast 문장에서 that이 묶이는 범위가 1980s까지가 아닌가요? New Urbanism을 주어로 두고 is와 promotes의 동사 병렬이 되어야 할 것 같아서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교육청 해석은 그렇게 보았네요. 저는 결국 New Urbanism = an approach 이므로 is와 병렬로 보아도되고 was와 병렬로 보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병렬이란 단어가 정확히 형태가 같아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병렬의 정확한 의미는, '문장의 생략된 부분을 공유한다'입니다. an approach was popularized 도 말이 되고 an approach promotes도 말이 되므로 병렬이 말이 됩니다.
      예를 들어, I skipped breakfast and am hungry now. 에서 skipped와 am은 시제와 동사의 종류가 다르지만 병렬로 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오랜 기간 제 영상을 봐 주어서 고맙습니다!! ♥ 좋은 결과가 있기를!!!

    • @naeun4720
      @naeun4720 Месяц назад +1

      @@mattenglish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 @messifaker
    @messifaker Месяц назад +1

    영상 감사합니다ㅠㅠ 근데 혹시 39번 마지막 문장에서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식이 거리와 크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내도록 해준다는 말이 도데체 어떤 의미인가요? 여러 시점에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인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원근법을 통해 보게되면 2차원적인 평면의 정보가 아니라 주변 환경에 대한 다각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 @messifaker
      @messifaker Месяц назад

      답변 감사합니다.

  • @user-lg7nm6kz1i
    @user-lg7nm6kz1i Месяц назад +2

    선생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33번지문에서 it is just as pointless to tie our feelings of well-being to altering another individual's behavior as it is to tie them to the weather.문장에서 as원급비교인건 알겠는데 앞에 as가 받아주는게 to tie ~이면 뒤에 as도 to부정사로 받아줘야 되는것 아닌가요? It is가 나오는게 이해가 안되서요 ㅠㅠ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앞의 as가 받는 것이 to tie가 맞을까요? 원급비교는 [as 형용사/부사 as 비교대상]이 기본 문법입니다. 앞의 as는 pointless를 받고 있습니다. 뒤의 as는 사실 어려운 이야기지만 설명을 좀 드려보자면, 이 as는 접속사입니다. than 도 마찬가지이고요.
      Jane is as tall as me (O)
      Jane is as tall as I (O)
      Jans is as tall as I am (O)
      모두 되는 이유가 뒤의 as가 접속사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상세하게는 저도 잘 모르며 더 깊이 공부해 보려면 논문을 찾아 보아야 합니다. 저는 학자가 아니므로 이 부분에 대해 더 깊게 파고드는 것이 제 역할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질문으로 돌아오면 as가 접속사이므로 it is pointless로, 그러니까 pointless를 표기할 수 있으며, 이 문장에서 pointless를 표기하지 않은 이유는 영어에서 be동사는 대동사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I am as hungry as you are (hungry). 에서 처럼요.
      부족한 설명이었지만 어느 정도는 궁금증의 해갈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user-dv5gv3os4p
    @user-dv5gv3os4p Месяц назад +2

    4:58:28
    선생님 Underlying this narration이 그럼 문장의 보어 역할을 하는 ‘동명사구’ 맞나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여기서 underlying은 현재분사입니다!

  • @user-sundre
    @user-sundre Месяц назад

    고1,2,3정주행 중입니당. 다 50프로까지 들었어요. 그날그날 수업할거 위주로 듣다보니 학생분들께 학원장님들께 계속 추천중입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선생님 늘 강의 올릴 때 마다 무한한 응원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건강&행복하세요!!! ♥

  • @englishong
    @englishong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긴여정이 끝나셨군요 고생하셨습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늘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올해에도 쌤 채널도 흥하시도록 기도하겠습니다!!

  • @user-jo7zm5te5y
    @user-jo7zm5te5y Месяц назад +1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 남겨요!
    20번 문제에서 to be given 와 to be proactive 가 병렬 아닌가요?? 해석상으로는 그런것 같아서 물어봐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교육청 해석은 말씀하신대로 보았네요. 저는 to be proactive 이하의 내용이 autonomy(자율성)과 같은 내용이기 때문에 형용사적 용법 병렬로 보았습니다! 저는 둘 다 상관 없다고 생각하고 시험에 나올 포인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user-fx2is1pe6l
    @user-fx2is1pe6l Месяц назад +1

    학생들의 공부를 위해 이렇게 수고해서 오픈플랫폼에 능력을 공유해주시는 아름다운 지식인이 계셔서 편하게 공부할수 있음에 감사하고 또 저도 그렇게되고싶다는 마음에 공부할 이유를 얻습니다 ㅜㅜ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2

      저도 다~ 먹고 살려다보니 이렇게 되었습니다~ ^^;

  • @user-ks3tk8zq3p
    @user-ks3tk8zq3p Месяц назад +1

    쌤 그런데 20:35 19번 마지막 문장 felt a sense of relief spread through her body.
    이 부분에서 felt 뒤에 목적절을 이끄는 that이 생략되었다면 a sense of relief가 주어이고 spread가 동사인 거잖아여
    주어랑 동사가 수일치가 안된거같은데 어떻게해야하죠..?.?.?..😂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felt(지각동사) a sense of relief (목적어) spread(동사원형) 입니다! spread대신에 spreading도 가능합니다!

    • @user-ks3tk8zq3p
      @user-ks3tk8zq3p Месяц назад +1

      @@mattenglish 아아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user-ks3tk8zq3p 이 부분을 다시보니 제가 that이 생략되었다고 설명을 했네요! 이 문장은 특이하지만, 방금 설명드린대로 5형식(지각동사)의 문형으로 보셔도 되고, spread는 과거형도 spread(p.p형도 spread)이므로 말씀하신대로 that절의 구조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 경우 spread의 과거형이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spread가 A-A-A형으로 변형되는 동사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 @ahn_sihyeon
    @ahn_sihyeon Месяц назад +1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37번 세 번째 문장이 교육청 해설지에서는 '매우 적은 자원 사용을 필요로 하고 다양한 종과 경관을 포함하면서 자연 서식지 설계를 옹호하는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계획 접근 방식이다'라고 적혀 있는 걸 보아, that절 세 개가 전부 planning approach를 수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한 것 같은데, 어느 쪽이 맞나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1. 통사적으로 저렇게 3중으로 병렬표기를 어기며 하나의 선행사를 꾸밀 수 없습니다.
      선행사 that절, that절, and that절로 표기해야합니다.
      2. 두 번째 that절과 세 번째 that절이 approach를 수식하려면 include와 require에도 s가 붙어있어야 합니다. 선행사가 단수형이기 때문입니다.
      교육청 해석은 대충 보면 그럴듯 하게 보이지만, 제가 해석해 드린 방식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교육청 해석이 의미를 아주 뭉개놨네요.

    • @ahn_sihyeon
      @ahn_sihyeon Месяц назад +1

      @@mattenglish 감사합니다.

  • @user-pr4ce1qg2e
    @user-pr4ce1qg2e Месяц назад +1

    23번 마지막 문장에서 so that을 ~하도록이 아니라 결과로 해석을 해도 되는 건가요? 검색해보니까 so that을 결과로 해석하려면 ,so that처럼 콤마가 붙어 있어야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하는데 저기는 콤마가 없어도 결과로 해석해도 되나요? 제가 ~하도록으로 해석을 해보니까 문장의 의미가 이상해져서 결과로 해석을 해야 할 것 같긴 한데 조금 찜찜해용..ㅠㅠ 도와주세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제가 설명 능력이 부족하여서 이건 덧글로 어떻게 설명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어요. ㅜㅜ 저는 이 문장에서는 결과적으로 해석이 되겠지만 목적으로 보아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선택지가 주어졌을 때 자신이 속한 집단의 편을 들도록 너무 많이 우리집단을 선호한다' (목적)
      '너무 많이 선호해서 선택지가 주어졌을 때 자신이 속한 집단의 편을 들도록 우리집단을 선호한다' (결과)
      저는 별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ㅠ

  • @user-gb9ni8kv2h
    @user-gb9ni8kv2h Месяц назад +3

  • @user-zu5hl7ng7l
    @user-zu5hl7ng7l Месяц назад +1

    4:33:50 에서 which had p.p가 나왔는데 문맥상 예전의 예술이니까 had인건가요?

  • @user-jt9iv4kt6y
    @user-jt9iv4kt6y Месяц назад +1

    기다렸는데 감사합니드아!!🥰

  • @NingMe-umin12
    @NingMe-umin12 Месяц назад +1

    선생님 혹시 수특 강의도 따로 올라오나요? 올라오지 않는 다면 수특 강의 따로 유료로 구매할 순 없을까요ㅠㅠ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에고 저는 촬영해 둔 것이 없고.. '창홍쌤 영어' 채널을 추천드립니다! 저보다 강의력이 뛰어나셔서 아마 만족하실 거에요!

  • @xz5806
    @xz5806 Месяц назад +1

    그저 GOAT

  • @feelxlucky
    @feelxlucky Месяц назад +1

    질문이 있는데요..! 4:14:51 이 지문 5번째 문장에서 promotes가 is랑 병렬인 건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아.. 다시 보니 그러네요. 교육청 해설지도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ㅠㅠ 하지만 approach를 수식하는 절 속에 포함된 것으로 보아도 큰 무리는 없기 때문에(제가 해석한 방식) 여기서 시험이 나올 수 있는 여지는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것처럼 is와 promotes가 병렬인 것으로 보시는 것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 @user-bu6bm1gn8n
    @user-bu6bm1gn8n Месяц назад +1

    감사히 수업잘들었습니다~
    선생님
    근데 궁금한게있어서요
    20번 젤 마지막줄에 help
    준사역동사니깐 원형이나 to부정사올수있는데
    To부정사로 바꾸면 them effectively to manage 가 되는거 아닌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부사의 위치는 둘 다 상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부사의 유동성이라고 부릅니다.
      다른 사례이지만 This helps me to better understand the situation. 등에서처럼 동사 앞에 습관적으로 부사를 끼워 넣어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시험에 나올 포인트는 아닌 것 같습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참고로 GPT의 답변입니다 :
      Q: Which one sounds more natural ? This helps me to effectively manage it / This helps me effectively to manage it
      A: "This helps me to effectively manage it."
      Q: is the first one incorrect?
      A:The first one is not incorrect grammatically, but it's less common in usage compared to the second option.

    • @user-bu6bm1gn8n
      @user-bu6bm1gn8n Месяц назад +1

      바쁘신데
      상세한 답변 감사드려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user-bu6bm1gn8n 아니에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bu6bm1gn8n
    @user-bu6bm1gn8n Месяц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선생님여쭤볼게 있어서요
    36번 젤 마지막 문장쯤 보면
    모짜르트 말 나오기전
    Instead로 시작하는 문장에서요
    much as a scientist does~라는 문장에서
    does가 대동사일까요
    그렇다면 무엇을 대신받는지 잘모르겠어요ㅠ
    대동사면 시제일치로 did를 써야하는거
    아닌가 싶고 궁금해요ㅠ
    그리고 선생님
    이건 모고내용은 아니고 수특 21강 내용인데요
    Notes one economist with the Urban Land Institues 라는 문장이 있는데
    동사가 앞으로 나와 도치되어 있는데 혹시 여긴 무슨 이유로 도치가 된걸까요?~
    그리고 하나더
    that it was unsafe to drink has neen lost to antiquity라는 문장에서요
    상세분석지를 보면 has been lost to antiquity를 까마득한 태고시대의 일이었다 라고 해석되는데
    이렇게 해석되는게 맞을까요?
    바쁘신데 너무 죄송해요
    여쭤볼때가 없어서요ㅠ

    • @user-bu6bm1gn8n
      @user-bu6bm1gn8n Месяц назад +1

      혹시 모고내용외 답변곤란하심 안해주셔두 되요~선생님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안녕하세요 선생님!
      우선 모의고사 36번의 does는 수업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spent를 받는 대동사로 보여집니다. '과학자가 ~하는 데에 시간을 쓰는 것처럼 모차르트도 시간을 자신의 아이디어를 다듬는 데 썼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 did를 사용하지 않고 does를 사용한 이유는 과학자들이 평소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다듬는 것은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일반적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Notes는 22강 3번 지문이네요! 이 부분은 화법 도치라고 부르는데 크게 중요한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소설 등에서 말을 전할 때 강조하고 싶은 요소를 앞뒤로 배치하는 것이 핵심인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화법동사의 구조가 S V O 3형식 문장으로 단순하기 때문입니다.
      'I am hungry' says the boy. 이런식으로 목적어를 앞으로 보내고 동사 주어를 사용하는 것도 화법도치입니다. 화법도치는 제가 알기로는 고교내신에 등장한 적이 없으며 출제 포인트가 아닙니다!
      be lost to antiquity는 일반 학생들이 보기에는 어려워 보일 수 있지만, 그 의미를 차근히 생각해 보면 어느 정도는 유추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고대 속으로 사라졌다'가 직역이므로 저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잊혀지게 되었다'로 받아들였습니다!
      힘든 내신 기간이지만 건강 유의하시면서 수업하세요 선생님 !! 감사합니다!!

    • @user-bu6bm1gn8n
      @user-bu6bm1gn8n Месяц назад +1

      자세하고 알기쉬운 답변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선생님 반에 반반반반 이라도 실력갖추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user-bu6bm1gn8n 아이고 선생님 저도 많이 부족합니다. 늘 좋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s8iu7lj3b
    @user-ts8iu7lj3b Месяц назад +2

    4:46:55 not은 immobilized에만 연결되서 해석되나요? 왜 병렬인데 디자인엔 해석을 안 하죠? ㅜㅠ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designed and then mobilized 되는 것이 아니다 → 전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user-vk8yu4pc5g
    @user-vk8yu4pc5g Месяц назад +1

    독학하는 학생인데 내신 준비에 정말 많은 도움 주셨어요 ㅠㅠ 감사합니다! 근데 혹시 21번 지문 when wines were tasted blind 에서 blind는 무엇으로 쓰인 건가요? 부사인가요??? 그리고 24번 지문에서 마지막 문장에 But once you identify them, you start favoring us라고 되어 있는데 왜 앞의 내용과 반대되는 내용이 아닌데 but이 쓰이게 된건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제 생각에는 '유사보어' 같습니다. I tasted the coffee blind. (~인 체로) 정도로 완전한 문장의 뒤에 '명사' 또는 '형용사'의 형태로 덧붙여 주어가 어떤 상태로 그 동작을 행했는지를 설명합니다. I was born rich. 나는 부자로 태어났다. 등..
      but에 대하여. 이러한 but을 '약한 역접'이라고 설명하는 경우도 보았는데 but은 완전 반대되는 상황이 아닌, 일종의 점증법의 사용에 앞서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집단에 속하려는 속성이 우리에게는 있다. 그러나 일단 상대가 인식되면, 속하기만 하려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편드려는 성향까지도 보인다.
      정도의 의미입니다! 참, 그리고 24번이 아닌 23번이네요 ^^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 @user-vk8yu4pc5g
      @user-vk8yu4pc5g Месяц назад

      앗! 너무너무 감사드려요! 23번 지문이었군요! 괜한 혼란 드려 죄송합니다! 그런데 저 문장을 상대가 인식되면 우리의 편을 들게 된다는 해석으로 할 수도 있지만, '그들'과 동일시되면 '그들'을 '우리'로 인지하고 '우리'를 편들게 된다는 해석도 있던데, 무엇이 맞는건가요? ㅠ

  • @user-ml8od1xn9f
    @user-ml8od1xn9f Месяц назад +1

    1:43:15 it이 가르키는 world랑 it 바로 위에 있는 limits of 'the world'의 world는 서로 다른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제 생각에는 같은 world 같습니다.

  • @user-li8gj5qy9q
    @user-li8gj5qy9q Месяц назад +1

    선생님 39번에 마지막 문단이 의미하는 게, 보이는 대로 그리는 구상화를 의미하는 건지 아니면 아는 대로 그린 초기 구상화를 의미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둘 중 뭐가 맞나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리는 그림을 가리킵니다. 초기 구상화는 우리가 보는 그대로의 모습을 담지 못한다고 하였습니다!

  • @user-un5il6vb7p
    @user-un5il6vb7p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사랑해요❤

  • @user-li8gj5qy9q
    @user-li8gj5qy9q Месяц назад +1

    선생님, 37번 A마지막 문단에서 others가 가리키는 게 자연과 인간의 필요를 적절히 통합시키자는 중립의견을 뜻하는 건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those 는 바로 뒤의 such as those~가 설명하고 있는 집단입니다! 즉, 지속가능성만을 주장하는 사람들이나 사람들의 편의성만을 주장하는 사람들입니다!

  • @user-bo3gz7hk1e
    @user-bo3gz7hk1e Месяц назад +1

    3년째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37번 지문에 질문이 있는데요, 마지막 문장에서 왜 neither does both pay attention~ 라고 도치하지 않고 평범하게 쓰나요?? 24번에서는 도치가 일어났는데 여기서는 달라서 이해가 잘 안 됩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24번의 경우 neither가 부정어 '부사'이므로 도치가 발생해야 하지만, 37번의 neither는 '대명사'로 사용이 되고 있으므로 도치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both는 부사로써 제외하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즉, 부정어 도치는 부정어로 사용되는 단어가 '부사'이거나 부사에 준하는 부정어여야 합니다!
      3년이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해요! ♥

  • @user-qk5ij3dc7b
    @user-qk5ij3dc7b Месяц назад +1

    4:46:43 designed도 not에 묶이는 거면 도시는 도시 계획자들에 의해 고안되지 않는다는 말인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designed and then mobilized 되는 것이 아니다 → 전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고안되고 고정되는 것'이 아니다. 입니다.
      그러니까 도시계획자들에 의해서 고안은 되지만, '고안되고 고정된다'고 볼 수 없다. 입니다.

  • @victorosimhen9
    @victorosimhen9 Месяц назад +1

    30:26에 병렬이 아니라, (need) to be proactive로도 해석할 수 있지 않나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교육청 해석은 말씀하신대로 보았네요. 저는 to be proactive 이하의 내용이 autonomy(자율성)과 같은 내용이기 때문에 형용사적 용법 병렬로 보았습니다! 저는 둘 다 상관 없다고 생각하고 시험에 나올 포인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user-mb1zw1vx1j
    @user-mb1zw1vx1j Месяц назад +1

    39번에서 원근법이 자기중심적인 틀을 벗어나게 만든다 라고 하면 틀린건가요? 오히려 자기증심적틀을 벗어느지 않게 한다가 맞는거죵...?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Not only do we see the world through an ego-centric frame~ 하고 하였으므로 자기중심적 틀을 통해 본다고 하였습니다!

  • @user-po4wu1fj6c
    @user-po4wu1fj6c Месяц назад +1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혹시 고3 변형문제는 안만들어 주시나요?😢 ㅠㅠ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1

      고3은 제가 체력이 안 되어서 제작을 못하고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 @user-li8gj5qy9q
    @user-li8gj5qy9q Месяц назад +1

    선생님 30번에서 기하학적 정보와 비기하학적 정보가 가중된 방식으로 결합된다는 문장이
    비기하학적 요소에 생태학적 특징이 더해질 때, 기하학적 정보와 비기하학적 정보가 결합한다는 의미인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맞습니다. 결합된 이후에, 이 둘 중의 중요도는 상황에 따라 가중치가 다르다는 의미로 해석하시면 되겠습니다!

  • @stricts7272
    @stricts7272 Месяц назад +1

    29번 지문에서 raise는 타동사이기때문에 목적어가 필요하다고 하셨잖아요.
    혹시 그러면 arise 대신에 give rise to 는 왜 사용이 안되나요? 그냥 한번 변형문제 풀어보다가 이 어구가 나왔는데 give rise to가 어법상 틀린게 아니라 문맥상 아니라고 했는데 안되는 이유랑 두개 뜻의 차이를 모르겠어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arise = 자동사이고, give rise to ~ : 전체가 하나의 타동사 역할을 하므로(to 뒤의 목적어가 비어있음)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arise는 목적어가 필요 없으므로 독립적으로 쓸 수 있지만, give rise to는 ~를 초래하다는 의미입니다. 지문의 문맥상 '~를 초래한다'가 아니라 '~에서 기인하다(~때문에 발생하다/~로 부터 발생하다)이므로 의미적으로도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그보다 to 뒤에 목적어가 있어야 하므로 arise는 자동사 / give rise to = 타동사이므로 이 둘은 동의어 표현으로 볼 수 없으며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오히려 원문의 arise 대신에 result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sult from ~에서 기인하다) 시험 화이팅입니다!

    • @stricts7272
      @stricts7272 Месяц назад +1

      @@mattenglish 간단명료하네요 여자시간때 계속 의미 찾아보고 결국엔 해결안됐는데 바로 시원하게 해결해주시네요!!!감사합니다

  • @user-db4oi6fp9f
    @user-db4oi6fp9f Месяц назад +1

    20번 as such 문장에서 need to be와 to be protective 가 병렬인거 아닌가요? 자율성이 주어져야하고,주도적일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해석되니까. need to be 와 to assum이 병렬이라하셔서 헷갈려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교육청 해석은 말씀하신대로 보았네요. 저는 to be proactive 이하의 내용이 autonomy(자율성)과 같은 내용이기 때문에 형용사적 용법 병렬로 보았습니다! 저는 둘 다 상관 없다고 생각하고 시험에 나올 포인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user-db4oi6fp9f
      @user-db4oi6fp9f Месяц назад +1

      @@mattenglish 그쵸 시험에 나올건 아닌데 헷갈려서욥ㅋㅋ 감사합니다!

  • @user-qw5qs8ib6h
    @user-qw5qs8ib6h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사랑해요

  • @user10208
    @user10208 Месяц назад +1

    3:44:20
    이 문장에 their이 두번 나오는데 둘 다 students를 뜻하는 건가용?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students는 아니고, 해당 문장 내에 있는 phrases, expressions, and other ranges of English language를 가리킵니다! 해당 문장 마지막 부분의 their inferior status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학생의 '지위가 낮다'라고 표현했을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 @user10208
      @user10208 Месяц назад +2

      ​​@@mattenglish감사합니다!
      근데 혹시 그 앞 문장에 있는 other Englishes는 안 될까요? ㅜㅜ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user10208 결국 다 같은 말이므로 가능할 것 같네요. 그런데 보통 대명사가 지칭하는 대상은 이전문장 또는 자신의 문장에 포함되는 경우가 90% 이상입니다!

  • @user-fg7de3ot3k
    @user-fg7de3ot3k Месяц назад +1

    땡큐 베리 머치

  • @user-sk6pn3kv5p
    @user-sk6pn3kv5p Месяц назад +1

    4:12:56 involve 뒤에 diverting streams and distrupting natural wetlands 라고 되어있는데, divert랑 distrupt의 형태가 왜 ~ing 형태인건가용??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involve는 동명사만을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이기 때문입니다!

    • @user-sk6pn3kv5p
      @user-sk6pn3kv5p Месяц назад +1

      @@mattenglish 늦은 시간에도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streams는 divert의 목적어로, natural wetlands는 disrupt의 목적어로 쓰인거죠??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user-sk6pn3kv5p 맞습니다!

    • @user-sk6pn3kv5p
      @user-sk6pn3kv5p Месяц назад +1

      @@mattenglish 감사합니다~!😊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user-sk6pn3kv5p 화이팅입니다!!

  • @user-qr5ch4dm6f
    @user-qr5ch4dm6f Месяц назад +1

    3:11:42

  • @h00n70
    @h00n70 Месяц назад +1

    쌤 사랑해요

  • @user-rp3jk5qq3o
    @user-rp3jk5qq3o Месяц назад +1

    4:08:00 in these approaches 이 어떤 접근법을 뜻하는 건가요?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바로 앞 문장에 나온 various interpretations of sustainable urban planning을 가리킵니다!

  • @user-cb8hp2qv7i
    @user-cb8hp2qv7i Месяц назад +1

    2:14:46 쌤 혹시 여기서 in which쓰면 안되는건가용?

    • @mattenglish
      @mattenglish  Месяц назад

      문법적으로도 가능하고 의미론적으로도 가능하지만 어감이 살짝 바뀌게됩니다. Into는 '-문화 안으로 태어나서 들어가는'이라는 의미이고 in은 그냥 '태어난 문화'라는 의미입니다!

  • @user-lp4nl1ve2q
    @user-lp4nl1ve2q Месяц назад +1

    1:34:35

  • @user-qr5ch4dm6f
    @user-qr5ch4dm6f Месяц назад +1

    3:27:23

  • @user-ef4wd1nb5h
    @user-ef4wd1nb5h Месяц назад +1

    Despite를 Although로 바꿀수 있다고 말씀하신건가요 아님 안된다고 말한건가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