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여백의 예술이란 무엇인가 (이우환 미술작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9 дек 2015
  • 이 프로그램은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와 연세대학교가 함께 기획하고, SBS CNBC가 촬영한 인문학 아고라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의 강연입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146

  • @platonacademytv
    @platonacademytv  2 года назад +9

    강연 컨텐츠의 저작권은 '(재)플라톤 아카데미'에 있으며 본 영상 저작물에 대한 무단 도용/배포/재가공 등을 금합니다.

  • @yoochangguak8937
    @yoochangguak8937 2 года назад +5

    너무 좋은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gloriaartco7198
    @gloriaartco7198 Год назад +1

    영상 감사합니다. 깊은 울림을 받고 갑니다.

  • @and55mirai
    @and55mira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맞아요 미술감상이란 시각의 경험만을 의미하지않죠 나의경험이 되어야해요 나의 마음의 움직임...선생님의 강의가 있네요 잘봤습니다🎉

  • @user-bl6kl3rf4e
    @user-bl6kl3rf4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멋진 강연 잘 들었습니다.

  • @user-rk4rx3jl4d
    @user-rk4rx3jl4d 8 лет назад +17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 @hye7225
    @hye7225 Год назад +3

    오늘 전시를 보고서 들으니 훨씬 이해가 쉽네요 감사합니다 : )

  • @user-ks2of4in6q
    @user-ks2of4in6q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이번에 부산시립미술관에서 열고있던 이우환화백의 전시를 보고왔었습니다 그전에는 이우환화백을 알지도못했고 화백의 스타일같은 작품을 본적도 없었습니다
    우연히 전시회를 들어가서 보고있는데 화백의 정확한 뜻은 잘 모르겠지만 정말 집중되고 생각하게 만드는 작품이였습니다 그 작품들은 공간과 함께 어울려졌을때 큰힘을 내는거 같았습니다 일부러 조정하신거같은 조명들 작품주변의 환경,전시장전체에 울리는 배경음 모든 요소하나하나들이 작품에 집중하게 만들고 생각하게 만들었습니다
    멋진 작품을 보게되어서 영광이였고 또 기회가된다면 화백의 작품들을 계속 보고싶습니다

  • @user-mm1tw8db1e
    @user-mm1tw8db1e Год назад +11

    현대화랑과의 관계. 위작 논란 해명이 명쾌하지 않으면 그냥 돈과 명예에 눈먼 안타까운 노인일뿐....

  • @user-of6ji5qc9v
    @user-of6ji5qc9v 3 года назад +28

    현대미술이 오히려 불통이라 여겼는데, 그건 제가 근대적 인간이었기 때문이었네요. 현대미술의 수많은 무제.에 작가들이 무책임하고 불친절하다며 불쾌해했었는데, 그건 부단히 대화하고 어울리고자 열어둔 거였군요ㅡ
    돌과 철, 그리고 그사이의 "공간"_ 조각을 보는 새로운 눈을 뜬 것 같아 기쁩니다! 감사합니다, 화백님.

    • @user-hv9xk2qs2s
      @user-hv9xk2qs2s Год назад +1

      자 여기 세뇌된 고객 한명 추가요

  • @user-fb1px9ji3v
    @user-fb1px9ji3v 7 лет назад +4

    잘봤습니다.

  • @user-ep3xm3bm9c
    @user-ep3xm3bm9c 4 дня назад

    감사합니다

  • @eggartmuseum5452
    @eggartmuseum5452 2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히 잘듣고갑니다~

  • @user-et9oi8xf4p
    @user-et9oi8xf4p 3 года назад +16

    머쉬베놈의 여백의 미,,, 유튜브 알고리즘에 이우환 선생님까지 불러일으켰다,,,

  • @HanManIn
    @HanManI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새벽을 깨우듯 진솔한 고백 감사합니다

  • @artjiyin
    @artjiyin 4 года назад +5

    넘 좋아요. 볼수록. 이우환 미술관도 추천합니다.

  • @dasnarrenschiff11
    @dasnarrenschiff11 3 года назад +7

    미술역사를 시원하게 꿰뚫고있네요 ㄷㄷ

  • @jackkim2342
    @jackkim2342 Год назад +3

    작품 자체 대상물을 보는 것이 아닌 대상물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들과의 열려 있는 상태를 보는 것.

  • @asd82818
    @asd8281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개인적으로는 현대예술
    찬양하는 댓글보면서 느낀 점이 딱 한 단어
    '가스라이팅' 예술작품이 그렇게 의미가 깊다면
    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며 미술과 1도 관련없는 거부들만 사들일까? 돈세탁이나 유명인의 싸인볼을 받으려는 심리인 것 같음
    이 부분에 대해서는 교수님께서 언급하신 적 있는데 그 쪽 세계가 진짜 썩었는데 아직도 유지되는게 신기하다고....솔직히 톡 까놀고 얘기해서 몇 십억에 팔린 작품들중에 신인 작가가 있는 거 본 적 있음? 그리고 자칭 현대 미술가가 다른 현대미술가의 작품을 사는 걸 본 적이 없는 것 같은데 이건 신천지로 따지면 이만희가 씨부린 소리를 동네꼬마가
    씨부린다면 아무도 따르질 않음 마찬가지로
    유명 작가니깐 그의 말에 동감하고 종교인 것처럼 받아들이는거 그리고 반박이라는 것도 다채롭게 나와야되는데 래퍼토리가 다 메뉴얼마냥 비숫한 것도 너무 신기 다채로운 반박이 나와야 그들이 주장하는 이 그림의 해석이 다양하게 나와야되는데 그래서 첨에 이|야기했던 가스라이팅이랑 다를 게 없다 생각

  • @user-bi2zy1xb7v
    @user-bi2zy1xb7v 3 года назад +23

    와!....최근 시사직격 창 을 보고오시면 더욱 뜯깊게 다가오는 영상입니다...^0^

  • @user-xb3jm9ec6t
    @user-xb3jm9ec6t 8 лет назад +1

    좋아요..&&^^&&

  • @flatworld0776
    @flatworld0776 5 лет назад +22

    이우환 선생님의 작품은 인간의 삶 철학과 매우 닮아 있습니다. 적당한 긴장감 가장 아름다운 자리를 찿아가는 과정 어쩌면 세상의 섭리와도 닮아 있는듯한 그것을 작품에 표현해내시는 천재성 시공간을 초월한 개념 ...상식으로만 접근하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gaweekin524
      @gaweekin524 2 года назад +2

      이 이우환 다큐 보시고도 그런 이야기 할수 있을까요? ruclips.net/video/0yy81X7fOSA/видео.html

    • @flatworld0776
      @flatworld0776 2 года назад +1

      @@gaweekin524
      대 작가님이 위작 스캔들에 엮여서 씁쓸하네요.

  • @hyungdong11
    @hyungdong11 2 года назад +19

    위작을 한 자가 구속되어 법정에서 자기가 이우환의 다수 작품을 위작하였다고 자백하고 유죄 판결을 받았는데,
    그 작가는 자기가 직접 그린 작품이라고 옹호하는 건 어떤 예술철학일까?
    오히려 반대로 위작자가 부인하는데도 작가가 자신의 작품이 아니라며 위작자를 엄벌에 처해달라고 강력하게 요구하는게 자신의 명성을 지키고 특히 collector들에게 신뢰를 주는 게 아닐까 싶어 매우 안타깝다.

    • @hailey8839
      @hailey8839 2 года назад

      '용서'가 아닐까요

    • @user-iq3ti2mh6b
      @user-iq3ti2mh6b Год назад +7

      경제적 카르텔속에서 작가적 양심을 버린 거라고 알고 있습니다.

  • @user-tv2hl5or7v
    @user-tv2hl5or7v 3 года назад +1

    ♥♥♥

  • @user-mm3gw2vd8l
    @user-mm3gw2vd8l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드리며 환절기 건강하시길.........

  • @dd6943
    @dd6943 Год назад

    이우환😊

  • @user-ih2jy3ze5x
    @user-ih2jy3ze5x Год назад +1

    29:35 다비드상은 우피치가 아니라 아카데미아 미술관에 있습니다 선생님. 강연 하시다가 착각하실 수 있지만 방송사에선 정정을 했어야 할텐데요..

  • @sohnson439
    @sohnson43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자본에 의해 키워져서 노예처럼 찍어내는 것도 문제죠. 작가 본인은 위작이라는데 검찰이 위작이 아니라 하질 않나. 또 누구는 위작범인이 직접 나와 위작이라는데 자기 작품 맞다고 하질않나 ㅋㅋㅋ. 대한민국 미술계의 현실임. 자본의 노예면서 고상한척...그렇게 보면 절필하고 미국간 고 천경자 화백이 대단하신분임.

  • @sungle62
    @sungle62 2 года назад +14

    작가님 말에 공감합니다. 캔버스에 점하나를 찍더라도 캔버스와 맞물리는힘 , 완성도있게 보이는 힘.
    미대생으로써 그게 가장 어려운것을 너무나 잘압니다.
    요새 많은 이들이 미술에 관심을 가지며 모던아트에 비판적 시각만 늘어놓아 맘이 아플때가 많아요.
    한국 미술사에 자부심입니다. 좋은강연 감사합니다

    • @user-hv9xk2qs2s
      @user-hv9xk2qs2s Год назад

      지랄 좀 적당히 해라 ㅎㅎ
      캔버스 와 맞물리는 힘 ?
      그딴 어려운 해석이 그림을 비싸게 만들기에 괴변을 늘어놓는거지
      그림은 그림이다.
      좋은 음악을 들으면 본능이 느끼듯이
      그림 또한 시각적으로 보았을때 원초적으로 좋으면 좋은거고 구리면 구린거다.

    • @user-hv9xk2qs2s
      @user-hv9xk2qs2s Год назад +7

      그리고 그놈의 미대생 부심 ㅋㅋㅋㅋ
      미대생 이라 하면 뭔가 미적 감각이 뛰어난 인간이 되는것 같나보네.
      미대생 이라해서 특별한거 하나 없다.
      입시미술 공장인부 처럼 배워서 들어간 그놈의 한국 미대.
      존나 별거없다.

    • @user-zo1li2pb9j
      @user-zo1li2pb9j Год назад

      @@user-hv9xk2qs2s 인재에 정의를 어떻게 정할까요

    • @user-se5sm1qf5e
      @user-se5sm1qf5e Год назад +1

      @@user-hv9xk2qs2s 병먹금

    • @asd82818
      @asd8281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 가스라이팅 오지게 당했네 본인 그림을 본인이 못 알아보는 사기꾼

  • @user-kf2yn5rs1p
    @user-kf2yn5rs1p Год назад

    좋은 강연 잘 봤습니다

  • @greenlim1948
    @greenlim1948 Год назад +5

    말은 잘 하는데 법원에서 인정한 위조품들을 전부 자기작품이라고 거짓말한 사람이라는 거… ;; 저게 다 거짓말이라는 거지
    위조범이 그린거나 본인이 그린거나 동등한 작품으로 인정한 건데 저 그럴듯한 썰들이 무슨 소용이 있나

  • @jihwanyoon9234
    @jihwanyoon9234 6 лет назад +18

    8번(8시간 반복재생) 듣고 겨우 알았다 그가말하는 여백의 논리를.

  • @odddays101
    @odddays10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호흡이니 울림이니 철학이니... 거창하게 얘기하지만, 실상은 너무 베끼기 쉬어서 위작이 수백 점은 나 돌아다닌다는 그 작가. 심지어 본인조차 구별 못 해서 위작을 진품이라고 우겼다는 그 작가.

  • @jackkim2342
    @jackkim2342 Год назад +4

    미술감상이란 '작품만을 보는것' 이라는 우리의 고정관념이 있다. 이 관념을 가지고 이우환을 보러 가니 의아하다는 반응을 갖는다.
    전시 자체에 대해 질문하게 만드는 것 또한 이우환 작품의 매력

    • @pp-he9rl
      @pp-he9rl 2 месяца назад

      풉ㅋㅋ 그래서 그게 먼대? 세상 모든것에 대해 왜 그럴까? 왜 그랬을까? 그 행동의 목적이 뭘까? 라는 질문은 비단 미술작품에만 해당되는게 아닌데? ㅋㅋㅋ 현대 미술은 점점 쓰레기가 되가는게 느껴진다. 벽위에 바나나를 붙이거나 극단적으로 캔버스위에 멋드러지게 똥을 싸놔도 혹은 진짜 애기가 의미없이 그린 추상적 그림을 그려넣고 전시장이라는 장소성이 있는곳에 걸러놓으면, 당신같은 사람은 사유를 해야될거같은 분위기와 대중의 고개끄덕임에 맞춰서 그 의도가 뭘까하고 생각하고 있을듯 ㅋㅋㅋ

    • @jackkim2342
      @jackkim2342 2 месяца назад

      @@pp-he9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ㅇㅈ

    • @jackkim2342
      @jackkim2342 Месяц назад

      @@pp-he9rl ㅇㅈㅋㅋ

  • @MrPryu
    @MrPryu 2 года назад +10

    말이나 텍스트로는 설명할 수 없는
    여백의 울림과 상호작용.
    얼마나 많은 고뇌와 재배치가 있으셨을지 작게나마 느낄수있었던 소중한 강의였습니다.

    • @user-hv9xk2qs2s
      @user-hv9xk2qs2s Год назад +2

      뭔 말도 안되는 소리야
      음악을 해석 해야만 그 음악이 아름답다고 느끼는건가 ?
      언어로 다 표현 할수 없는 시각적인 오브제 라면 시각적으로 느껴야지.
      내가 궁금한것은 저 철학적인 척 하는 내용속의 본질이다.
      캔버스에 돈만 보이는것은 내 착각인가?

    • @user-se5sm1qf5e
      @user-se5sm1qf5e Год назад

      @@user-hv9xk2qs2s 남의 감상 개무시하는 것부터 수준 보이네 ㅉ

    • @leigh9805
      @leigh9805 Год назад +1

      @@user-hv9xk2qs2s 철학적인 척 하기는 하는 건지 모르겠어요. 그냥 횡설 수설. ㅋㅋ

  • @user-vx6kg1dn3g
    @user-vx6kg1dn3g 2 года назад +3

    사물을 보는 눈이 달라질 듯 해요 예술과 정치사상 너무 통쾌한 표현 입니다

  • @user-cd8rs9qe3g
    @user-cd8rs9qe3g 3 года назад +3

    여백의 미

  • @seconds-uo8ui
    @seconds-uo8ui 6 лет назад +32

    일반인들은 이해할수 없을 겁니다. 채우는것보다 비우는것이 얼마나 힘든일인지는. 존경까진 아니더라도 공부할 알 가치가 있는 분입니다 ㅎㅎ

    • @digest2020
      @digest2020 2 года назад +1

      저는 일반인입니다.

    • @gal_tong_e
      @gal_tong_e 2 года назад +3

      아 본인 작품 위작도 구분 못하신 분이요?

  • @DHLee-lf4hm
    @DHLee-lf4hm Год назад +6

    우환이 끊이질 않네....

    • @Jblparagon
      @Jblparag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ㅋㅋ

  • @user-qe9kz6em6d
    @user-qe9kz6em6d 3 года назад +11

    현대미술을 작가의 직접 해설로 듣을 수 있는 소중한 강연입니다

  • @user-nomind
    @user-nomin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캔버스 제작년도가 2005년 버젓이 찍혀있는데
    훨씬 그전에 자기가 직접그린 진품 이란다
    지나가는 소가 웃을일
    노인네~ 무슨 예술이야 그냥 화랑 시다바리지

  • @user-cm4wu7io2o
    @user-cm4wu7io2o Год назад

    그 작품에 이야기가 있다. 이야기를 모르면 안보인다. 이야기를 알면 보는이 이야기로 나올 수 있다.
    권위, 권위, 권위라 여긴다.
    여백에는 보는 이가 그 여백에 들어가 어울려 시각 예술로 들어가는 것일 수 있다.

  • @user-fd6di4hg8q
    @user-fd6di4hg8q 2 года назад +1

    눈치는 나의 이분법적인 바탕 칠하기에 대한 구박같았다.
    - 오규원 선생님이 기억하신 이우환 시문학사 교수님

  • @dongcheolkim4308
    @dongcheolkim4308 Год назад +6

    예술은 무슨...역시 돈이 최고죠

  • @user-yd1vz3in4h
    @user-yd1vz3in4h Год назад +2

    2018년 1월에 갔었던 일본 나오시마에 있는 이우환미술관~ 첨엔 반가웠다가,,,
    우리에겐 없고, 일본엔 있고,,,
    좀 애매한(?) 감정이었다면 오버인가요?

    • @M4D4F4K4.
      @M4D4F4K4. Год назад

      걍국뽕에취하신거같습니다.

  • @112fkdldjs
    @112fkdldjs 3 года назад +4

    머쉬베놈 여백의 미 검색하는데 이게있냐 왜 ㅋㅋㅋㅋㅋ

  • @dudubam88
    @dudubam88 2 года назад +2

    예술가이자 철학자.

  • @user-fd6di4hg8q
    @user-fd6di4hg8q 2 года назад

    박수근 화법에 대하여, 김혜순 교수님의 납작납작

  • @jackkim2342
    @jackkim2342 Год назад +1

    대상을 '본다'는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념을 제시.

  • @jackkim2342
    @jackkim2342 Год назад

    캔버스를 자신의 식민지처럼 생각하고, 자신을 거기에 표현하고 드러내는 것이 어쩌면 예술에 대한 근대주의적 접근일 수 있다.

  • @badavi33
    @badavi33 Год назад +8

    천경자 화백은 붓을 놓으면서까지 위작을 밝혀서 진실과 본인의 예술을 지켰는데, 본인이 절대 쓰지 않은 유리가루가 들어간 페인트를 위조범들이 쓰는 등, 위작의 증거가 100%라 위조범들이 구속까지 됐는 데도 본인 그림이라고 우기는 이런 인간쓰레기가 아직도 이런 대가의 대접과 그림이 높은 가격으로 팔리는 대한민국의 이 뭣같은 현실에 단장의 아픔을 느낀다...

  • @camof6416
    @camof6416 5 лет назад +10

    영상 잘 봤습니다. 제 이해는 아래와 같은데 작가님과 한번 이야기 해볼 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습니다. 왜냐면 間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좀 더 깊이 알고 싶기 때문입니다. 작가님의 작품을 보면 site-specific이라는 Daniel Buren의 작품도 생각 나는데 우리의 여백과 서양의 void는 꽤 차이가 있어보입니다. 작가님은 서양의 void와 동양의 여백이 각각 인간과 맺는 관계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실지 궁금하네요.
    1. 여백과 작품에 관하여
    1.1 작가님 본인의 기본적인 작품 활동은 빈 공간과 공간을 채울 힘을 표현 하는 것
    1.2 전통적인 회화에서의 캔버스는 본인의 생각과 의도를 가진 “일종의 영역”이다
    그 캔버스의 일부만을 사용함으로서 여백을 보는이로 하여금 채울 수 있게 본인은 표현을 최소화 한다.
    1.2.1 모더니즘은 일방적인 “봄”seeing 이나 현대 미술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채워지는 상호보완적인 모든 것을 그 자체를 인정함으로써 여는 타인의 표현을 알기 위한 하나의 장이다
    1.2.2 “말해진 것만이 세계다” - 자크 데리다. 말해진 것은 해석 될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이우환 작가님은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하심.
    1.2.3 “돌멩이는 당신이 만들었습니까?” “돌멩이와 철판 사이의 빈 공간은 당신이 만들었습니까?” “그렇다면 돌과 철판 사이의 빈 공간은 어떻게 된 것이며 어찌 당신이 만들지 않은 돌을 갖다두고 당신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의도되지 않은 여백은 어떻게 할 것인가?”
    1.3 여백을 인정하고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 작품의 점, 선, 돌 그리고 철의 역할.
    1.4 그리고 그 느낌을 가져오는 것은 작품이 위치한 공간, 작품, 작품을 보는 사람과 맺는 공간특정적(site-specific) 관계로 비롯된다고 생각됨
    2. 작품의 본질에 대하여
    2.1 칼 마르크스 “책상이 상품으로 나타나자 그것은 감각적인 동시에 초감각적인 물건으로 되어버린다. 그리고 책상은 이 나무머리는 책상이 저절로 추기 시작한다고 말하는 경우보다도 훨씬 더 기이한 망상을 빚어낸다” 많은 사람들은 책상을 보고 나무를 떠올리지 않고 나무가 책상으로, 상품화를 거쳤기 때문에 나무가 숨겨지고 나무의 존재성이 보이지 않게 되었다. 나아가 1만원짜리 지폐를 보고 사람들은 돈이라고 인식하지 본질인 종이를 보지 않는다라고 언급
    2.2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특정시간대의 보는 방법(period specific ways of seeing)에 변화가 생기는데 변화하지 않는 가치를 어디서 찾을 것인가?
    2.3 껍데기를 어떻게 벗겨내고 사람들로 하여금 본질을 보게 할 수 있을까? >저는 여기서 돌과 철의 관계성이 드러난다고 생각.

  • @jackkim2342
    @jackkim2342 Год назад

    물질성 그 자체를 조명하는 것이 함축하는 의미는 , 우리가 그리고 사회가 물질에 부여한 이미지와 상징체계 맥락을 배제하고, 자기 눈으로 새롭게 , 자기판단으로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쩌면 오늘날의 세계는 진실을 은폐하고, 환상을 매개로 상품자본주의를 유지시킨다. 물질성 그자체, 현상 그자체를 본다는 것은 나의 정신을 새롭게하는 맥락과 유사하다.

  • @user-sy1dm6ty3q
    @user-sy1dm6ty3q 3 года назад

    17:25

  • @artworld21tv42
    @artworld21tv42 Год назад +2

    예술은 작품만이 어니고 작가 자신이 곧 작품인데...이선생은 그냥 지식많고 고집스럽고 수전로에 지나지 않는 촌로에지나지 않다는 생각

  • @bbkang3657
    @bbkang3657 3 года назад +13

    이우환 작품을 보고있자면 왼지 우롱 당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 @user-ot4cg5ib5w
    @user-ot4cg5ib5w 3 года назад +9

    여백의 미 할말이 없다 여긴 자강두천

  • @airdelaube
    @airdelaube Год назад +1

    똑같이 모작해서 작품명 : 위작 이라고 짓고 내면 그것도 예술이 되는건가? 괜찮은데?

  • @user-fd6di4hg8q
    @user-fd6di4hg8q 2 года назад

    일반적인 언어와는 다른 예아니 미술, 구석기 시대에 돌을 큰 소리로 둔 무의식이 느낀 촉각과...... 수학적인듯한 내 생각과 남에게 욕먹고 있는 내 생각과 할아버지가 그리신 빛에 대인 종이처럼 ...... 순우리말과

  • @user-ck3nh3zs8q
    @user-ck3nh3zs8q Месяц назад

    이우환 작가님 정도의 고매하신 철학관과 인간애를 가진 분이시라면, 나로인해 범죄자를 만들고 싶지 않은, 장발장이 훔친 물건을 내가 준것이라 감싸주는 신부님의 마음과 같은 마음으로 용서의 마음이 있었을 것이고, 내가 직접 그린 작품이 아니더라도 판화도 인정을 받으며, 심지어 해외유명 작가들 중에는 작품 만들고 그리는 인력을 고용해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작가들도 많기에 위작이라도 작가의 의도대로 잘 만들어 작가의 사상과 의도가 잘 담겨있는 위작이라면 진품으로 인정하셨을 거라 여겨집니다. 진품 작품을 구매하신 분들이 피해자가 아니냐 하실텐데,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분들이고, 위작 논란의 이슈로 그림의 가치는 더욱 상승했기에 누구도 피해를 본 사람이 없다 봐야할듯하고, 이 모든 사항들을 고려하여 장발장을 감싸주는 신부님의 마음으로 위작작가들을 감싸주신 이우환 작가님의 비단같은 마음을 이해한다면 또 다른 시야갸 열리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저는 이우환 작가님이 진품이라 감싸주는 모습에서 그분의 작품이 주는 감동만이 아닌 그분의 깊은 인간애가 느껴져 더욱 존경하는 마음이 생겼습니다. 현시대 살아있는 도인, 현존하는 거장, 백남준을 이을 한국의 거장이 아니신가 생각해봅니다.
    바람시리즈의 동풍은 실물이 아닌 인터넷으로만 봐도 심장이 쿵! 할 정도의 감동인데 실물 영접한다면, 와~ 깊은 명상 상태로 빠져버릴듯 하네요.
    거장들의 작품을 보면 그들의 사상과 정신세계에 저의 뇌파가 동기화되어, 그들의 마음에 제 마음이 동화되는 느낌을 받는데, 이우환 화백님 작품은 인터넷으로만 봐도 명상상태로 빠지는 기분이 드네요. 이우환 화백님은 그림을 매개체로 풀어내는 도인같습니다.

    • @asd82818
      @asd82818 Месяц назад

      지 작품 구별도 못하는 사람이 예술가? ㅋㅋㅋ 다른건 몰라도 위작은 절대 넘어갈 수 없음

  • @jeeeun713
    @jeeeun713 2 года назад +2

    이렇게 친절하레 이야기 많이 하시는 모습 또 못볼듯 ㅎㅎ

  • @jackkim2342
    @jackkim2342 Год назад

    텅 빈 공간과 점과의 상호작용

  • @greenlim1948
    @greenlim194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 사람 그냥 일본작가입니다.
    영어이름 Ufan Lee 로 해외인터뷰 찾아보세요. 전부 유창한 일본어로 인터뷰합니다.
    대학부터 일본대학을 나와 일본의 철학을 담은 작품들이죠. 그래서 여백과 허무감이 있는거죠. 우리나라 미술은 소박하고 따뜻한 생명이 있다는것 감안하면 우판 리의 작품은 일본의 인위적 절제미를 담은 느낌입니다.

  • @user-pg3im4jt8s
    @user-pg3im4jt8s 6 лет назад +9

    노자의 무위를 얘기하는거 같네요.

  • @jackkim2342
    @jackkim2342 Год назад

    31:10 식민지주의, 근대주의적 회화의 거부로서의 현대미술. 특정 개념의 도배질이 아닌, 모든 상대와의 대화 인정으로부터 출발.
    만든다는 행위의 저항감이 생길 수 밖에 없음.

  • @koreaart11
    @koreaart11 2 года назад +7

    세계적인 한국작가의 위작논란의 현실이 슬프네요

  • @user-zo1li2pb9j
    @user-zo1li2pb9j Год назад

    200억 ㄷㄷ

  • @dosi-jayeonin
    @dosi-jayeonin 4 года назад +5

    도대체 그림이 어디 있냐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종이 위에 "그림"이라는 글자를 써서 보여 주면 됩니다
    열정 없이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음을 다시금 느끼게 되네요

  • @user-ny1wt4vk2g
    @user-ny1wt4vk2g 3 года назад +5

    난 몰라요

  • @jackkim2342
    @jackkim2342 Год назад

    현대미술은 근대주의와 반대편에서 서서 '만든다'는 것의 개념 또한 자신의 생각을 주입하고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게 아니라, 일종의 구성의 형태가 되어가고 상호 관계성과 양의성의 형태가 되어간다.
    서로가 서로를 인정하는 표현방식이 현대미술의 특징.

  • @hk2x7935
    @hk2x7935 3 года назад +10

    여백의 미 할말없다 자강두천

    • @come236
      @come236 3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머쉬베놈~

  • @user-im5eu3lj8k
    @user-im5eu3lj8k 3 года назад +5

    20:41 내가 만든 작품.네가 만든 작품 ... no선 구분 .... ...사기작품도 내 작품 ...???

  • @user-bl1fb6fp1y
    @user-bl1fb6fp1y Месяц назад

    예술은 설명이 필요없읍니다..
    보는사람이 느낄 수 있어야 예술이 아닐까?

  • @jackkim2342
    @jackkim2342 Год назад

    물건을 이미지를 씌운다거나 의미를 붙이지 않고, 사물 자체의 의미를 살리고, 공간과의 관계성을 강조.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통해서 산업사회와 자연과의 관계성을 제시

  • @JAdobe-ix1ob
    @JAdobe-ix1ob 27 дней назад +1

    What you talking about ?? 횡설수설 ~

  • @jackkim2342
    @jackkim2342 Год назад

    그린 것은 그리지 않은 것을 가능하게 한다. 종을 치면 종이 울린다. 종의 소리가 있으려면 종이 울리지 않는 빈 공간, 적막이 있어야 한다. 즉 비어있는 것이 차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노자의 철학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이우환의 그림에도 있다.

  • @user-pc1dh9uo1t
    @user-pc1dh9uo1t 2 года назад +1

    불교의 화엄 만다라 세계를 표현하셨네요. 이것또한 사족이지만...

  • @gyungjoonmin4896
    @gyungjoonmin4896 7 лет назад +1

    제 상식에도 맞지않는것같습니다. 잘봤습니다.

  • @MaxEric9999
    @MaxEric9999 2 года назад +6

    돈미새

  • @andyjj4584
    @andyjj4584 6 лет назад +27

    이분.. 철학자다. 아니, 영성가라고 해야 할까.. 말 못하는 철학가. 종교적 요소를 모두 던져버린 영성가..

  • @yunseiro7380
    @yunseiro738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이건 조금 상반됩니다. . .자기복재가되고 성의없는. . . .

  • @shin508
    @shin50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이 분 경찰이 분명한 위작이라고 판명했고 위작을 만든 범인도 자신이 만들었다 실토했고 범원에서도 판결난것을 내가 만든 작품이라고 한 사람이자나
    이런 사람을 그냥 잘팔린다고 해서 예술작가로 초빙하여 강연까지 한다?
    한국예술계가 얼마나 썩어빠진건지 알수 있지

  • @padong
    @padong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무렇게나 생긴 돌!
    점 하나 찍어 넣고 뭘 보라는 거야?
    이런 것 말고 그림은 어디 있고, 조각은 어디 있느냐?
    그림은 이런 것이고, 조각은 저런 것이다라고 오랜 세월 배워 왔기 때문에 그게 상식으로 세뇌(?)되어 왔기 때문이다.
    말해진 것만이 세계다. 그래서 미술도 그려진 것만이 그림이다, 캔버스에 온통 그려왔고 그게 회화로 받아들여졌다.
    대상을 보라는 게 아니다. 느낌, 공간을 느껴라. 침묵, 긴장감!
    미술은 일반 언어와 다르기 때문에 존재한다. 시각 예술이다. 작품에 대한 해석은 풀이에 불과하다.
    작품과 언어는 상호보완적 관계다.
    미술평론이란 작품과 별개의 독립적인 문학작품이다.
    오해나 왜곡도 그 작품의 운명!
    특별한 캔버스와 붓, 물감!
    공간에 점 하나와 공간의 상호작용과 버티는 힘(긴장감)이 나와랴 되기 때문에 오랜 세월의 연마(단련, 훈련, 수고, 생각)가 필요 했다.
    중심의 특성?
    안정감이 있지만 고정되어 율동감이 없어 모든 회화엔 중심에 그리지 않는다.
    눈은 한가운데로 가져놓으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점을 찍을 수 있는 자리는 무한대다.
    최소한의 표현(점 하나, 방점)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내자!
    실례합니다! 상대(캔버스의 여백)를 인정하고 최소한의 표현을 통해 남겨둔 부분과 표현한 부분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조각은 어떤 대상을 만드는 게 기본이다! 서양 조각은 모아서 형상(대상)을 만드는 거다.
    만드는 것에 대한 거부, 반기를 가졌다! 어떻게 하면 덜 만들까 고민해왔다.
    만든다? 어울림, 공간과의 연관(조화), 재검토, 차용!
    대량 생산, 산업사회, 물질 문명, 자본주의에 대한 반항(?)
    만드는 것이 아니라 주워 모았다.
    당신이 만들지 않은 돌멩이를 갖다놓고 당신이 만든(?) 거라고 주장할 수 있는가?
    감사합니다^^

  • @user-jl7yc2lk8z
    @user-jl7yc2lk8z 2 года назад +15

    조금 슬픈 강연이네요 위작논란을 하나도 해명을 못하시니,,,,

  • @shareknicod
    @shareknicod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지 작품도 구별 못하면서

  • @behindthekorea
    @behindthekorea 3 года назад +13

    ㅋㅋㅋ 많이 실망했습니다 이우환 작가님 ㅋㅋㅋ 진짜 팬이였는데 ㅋㅋ 와 시사기획 창보고 진짜 ...

    • @user-iq3ti2mh6b
      @user-iq3ti2mh6b Год назад +5

      기자의 질문에 도망치듯 가는 모습에 참담했습니다.예술에서 작가의 도덕성을 빼면 무엇이 남는지…

    • @euns-z7f
      @euns-z7f Год назад +1

      처음으로 댓글단다 이 무식한인간아 예술에는 도덕도 윤리도 신념도 없다 그냥 진실의 순간인거지 이런 무식한 애들 보면 화가나…

  • @and55mirai
    @and55mira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선생님 마지막에 (일본에 오래사셔서.. )실례합니다 하는 모습도 너무 좋네요 😊

  • @Jblparagon
    @Jblparag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재능 없는 미학자들과 작가의 괘변 콜라보...뒤샹.,"난 미학자들을 조롱할려고 변기를 내놓았을 뿐.." ㅎㅎ

  • @indoor__7692
    @indoor__7692 7 лет назад +15

    이해할수없는 말의 향연... 기법적 형식적 설명의 향연속에 강연을 차마 끝까지 보자못하였습니다 죄송합니다...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4 года назад +6

      INDOOR __ 아마 일본 오래사셔서 ...
      그리고 자기그림을 명쾌하게 설명하는 자리라는게 말이 안돼요 애초에...
      어떻게 예술가가 창작가 이면서 자기 변론가 이면서 평론가 철학가 입니까...

    • @LL-yo3ik
      @LL-yo3ik 3 года назад +1

      이우환님 직접 쓴 글이랑 인터뷰 모은 책들도 있으니 읽어보세요

  • @user-ln8jv6ct6r
    @user-ln8jv6ct6r 6 лет назад +5

    나는 엣날 에숳이 에술이지 현대 미숧 현대 에숳 이런것들은 자기만의 미술이지공통된것이 아님 자기혼자서 미술하세요

    • @sml8994
      @sml8994 5 лет назад +4

      님 혼자서 그렇게 생각하는듯용...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4 года назад +6

      그럴수도 있겠네요
      당신같은 사람은 오만원짜리 트럭그림이 더 좋아보이겠지 ㅎㅎ

    • @user-es9hs4zj6z
      @user-es9hs4zj6z 4 года назад +5

      님,, 님의 생각은 옛날미술의 대한 모독이기도 합니다....

  • @caminocho7940
    @caminocho7940 3 года назад +13

    이런 일본에 사는 작가를 좋아하는 사람들아 정신차려라 지가 그린것도 아닌 작품을 지 작품이라 하는 미스테리 작가 아마 자기가 그린갓보다 잘그려서 그랬을지도 모름 오마에완 찐삐라다 오마에 니뽄진 찐삐라 미술계의 찐삐라

    • @user-hu7vk6tq5z
      @user-hu7vk6tq5z 3 года назад +3

      가짜에 확인서 써주고 돈 받았을거야... 갤러리 화가 사기꾼 모두 한통속...

  • @dangibong5567
    @dangibong5567 2 года назад +11

    한국 아니 세계 미술계의 윤리도덕을 짓밟고 그 시장을 교란시킨 사기꾼.

  • @user-qg9hz8xn5e
    @user-qg9hz8xn5e Год назад +1

    이거 세뇌된것같은데 ...

  • @abcdefghi446
    @abcdefghi446 3 года назад +8

    글쎄요..
    예술은 잘 모릅니다.
    다만, 완성된 작품으로 세상에 내놓을땐
    자기 생명의 일부를 담아둔다고 생각합니다.
    위작을 못알아본다?
    그것도 온갖증거를 가져와도 반복해서
    못알아본다?...
    더 할말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 @sungsookim3887
    @sungsookim3887 3 года назад +1

    Lol...

  • @user-cm4wu7io2o
    @user-cm4wu7io2o Год назад +1

    너무 솔직하지 아니하다.
    권위로 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네 살이 그 작품을 내놓았다면 권위를 가질까?
    하하 하하하.

  • @digest2020
    @digest2020 2 года назад +5

    이분은 우주와 합일 되신
    분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철과 돌 사이에 인간이 있다.
    이분은 21세기 노자이십니다.
    그래서 위작이 없다고
    말씀하실 수 있는 것입니다.

    • @gaweekin524
      @gaweekin524 2 года назад

      ruclips.net/video/0yy81X7fOSA/видео.html

  • @hayuri555
    @hayuri555 4 года назад

    • @teledata2001
      @teledata2001 4 года назад

      예술에 대해 논하는 갑자기 문재인?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4 года назад +4

    철학이니 뭐니 해도 뭘 느낄줄 알아야 생각도 하지
    한국은 예술 없어...

  • @user-mh8ww5bz6h
    @user-mh8ww5bz6h 3 года назад +21

    이 양반 말 신뢰가 안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