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드디어 찾았다. 2. 그렇구나. 저주파는 그냥 보내면 사라지는 구나. 3:40 3. 여기서 잠깐. 나는 저주파 음성신호가 어떻게 교류(+) (-)고주파 신호에 실려서 송신이 됐는데 어떻게 이걸 끄집어 낼때는 직류 다이오드를 거쳐서 (+)쪽만 꺼내서 쓰는지가 이해가 안돼서 이방송을 듣게 됐다. 4. 즉 끄집어 낼때 다이오드를 통해서 (+)쪽만 끄집어 내면 교류의 (-)쪽에 있던 음성신호는 잘리는 것이 아니냔 말이다. 5. 그리고 실제로 저주파 음성신호를 고주파 반송파에 실을 때 어떤 회로와 부품을 이용해 실는지도 궁금하다. 6. 보통 다른데서 설명하기는 음성신호f(t)와 고주파 반송파 Vm(sin ωt +θ) 순시값을 곱해서 실는다고 가르치는데 7. 나는 이게 그걸 곱해서 반송파에 실는 건 알겠는데 그게 도데체 어떤 회로 구성과 부품으로 구현하는지가 궁금한 것이다. 8. 이 영상이 그에 대한 해답을 가지고 있길 바란다. 24.03.30(토) 9. 변조 된걸 다시 되돌리는 걸 복조라고 하는구나. 4:05 10. 그렇구나. AM은 반송파의 진폭을 바꾸는 거구나. 한마디로 전압을 높이는거네! 11:10 11. FM은 주파수를 바꾸는거고. 12. 그나저나 AM이 진폭을 바꾸는 거라고 했는데 이게 어떻게 되는지가 궁금하네. 13. AM이 이제보니 증폭 수정이고 FM은 문자그래도 주파수 수정이구나. 11:50 14. 잠깐 그런데 왜 저주파 음성신호와 고주파 반송파를 곱했는데 저주파 음성신호의 (-)부분에서 왜 진폭이 감소하지? 13:00 15. 지금 이게 계산해보니가 f(t) 와 Vm(sin ωt +θ)를 아무리 곱하던 더하던 저주파 신호 (-)에서 위의 그림처럼 신호폭이 감소하지 않는다. 14:55 16. 도데체 저게 어떻게 감소했냐는 것이다. 그걸 빼먹고 설명하네. 이제보니 변조파와 반송파를 곱한 것도 더한것도 아니었다. 17. 그럼 어떻게 저렇게 음성신호 교류파가 (-)구간에 들어갔을때 피변조파가 진폭이 확 감소했냐는 말이다. 18. 드디어 변조회로 구성이 나오는구나. 바로 이거다. 들어보자. 16:35 19. 세상에.. 이렇게 되는거였구나. 트랜지스터 베이스에다가 직류바이어스 대신 교류 바이어스를 걸어준거구나! 16:45 20. 그런데 그 교류가 정말 (+) (-) 교류가 아니고 트랜지스터 전위장벽을 왔다갔다 할 정도의 (+)전압 교류였던 것이다. -> 거기에다가 고주파를 실은 거였네. 순서가 이제보니. 고주파에 음성신호를 실은게 아니고 실제로는 음성신호에 고주파를 실은 거였어. 그래서 그게 또 동시에 고주파니까 신호는 고주파로 날라가고 진폭은 저주파로 날라가고 이렇게 된거였어! 21. 그러니까 음성신호(+)일때는 전압이 높으니까 전류 증폭이 많이 되고 음성신호(-)일때는 전압이 떨어지니까 여전히 (+) 전압이지만 전류증폭이 거의 안되서 22. 결국은 저주파신호모양의 파형이 바이어스 역할을 한거였어.. 직류바이어스가 아니고 교류바이어스 말이다. 음성신호가 교류바이어스 였던 것이다. 23. 드디어 알았다 ㅠㅠ 24. 24.03.30(토)
1. 드디어 찾았다.
2. 그렇구나. 저주파는 그냥 보내면 사라지는 구나. 3:40
3. 여기서 잠깐. 나는 저주파 음성신호가 어떻게 교류(+) (-)고주파 신호에 실려서 송신이 됐는데 어떻게 이걸 끄집어 낼때는
직류 다이오드를 거쳐서 (+)쪽만 꺼내서 쓰는지가 이해가 안돼서 이방송을 듣게 됐다.
4. 즉 끄집어 낼때 다이오드를 통해서 (+)쪽만 끄집어 내면 교류의 (-)쪽에 있던 음성신호는 잘리는 것이 아니냔 말이다.
5. 그리고 실제로 저주파 음성신호를 고주파 반송파에 실을 때 어떤 회로와 부품을 이용해 실는지도 궁금하다.
6. 보통 다른데서 설명하기는 음성신호f(t)와 고주파 반송파 Vm(sin ωt +θ) 순시값을 곱해서 실는다고 가르치는데
7. 나는 이게 그걸 곱해서 반송파에 실는 건 알겠는데 그게 도데체 어떤 회로 구성과 부품으로 구현하는지가 궁금한 것이다.
8. 이 영상이 그에 대한 해답을 가지고 있길 바란다. 24.03.30(토)
9. 변조 된걸 다시 되돌리는 걸 복조라고 하는구나. 4:05
10. 그렇구나. AM은 반송파의 진폭을 바꾸는 거구나. 한마디로 전압을 높이는거네! 11:10
11. FM은 주파수를 바꾸는거고.
12. 그나저나 AM이 진폭을 바꾸는 거라고 했는데 이게 어떻게 되는지가 궁금하네.
13. AM이 이제보니 증폭 수정이고 FM은 문자그래도 주파수 수정이구나. 11:50
14. 잠깐 그런데 왜 저주파 음성신호와 고주파 반송파를 곱했는데 저주파 음성신호의 (-)부분에서 왜 진폭이 감소하지? 13:00
15. 지금 이게 계산해보니가 f(t) 와 Vm(sin ωt +θ)를 아무리 곱하던 더하던 저주파 신호 (-)에서 위의 그림처럼 신호폭이 감소하지 않는다. 14:55
16. 도데체 저게 어떻게 감소했냐는 것이다. 그걸 빼먹고 설명하네. 이제보니 변조파와 반송파를 곱한 것도 더한것도 아니었다.
17. 그럼 어떻게 저렇게 음성신호 교류파가 (-)구간에 들어갔을때 피변조파가 진폭이 확 감소했냐는 말이다.
18. 드디어 변조회로 구성이 나오는구나. 바로 이거다. 들어보자. 16:35
19. 세상에.. 이렇게 되는거였구나. 트랜지스터 베이스에다가 직류바이어스 대신 교류 바이어스를 걸어준거구나! 16:45
20. 그런데 그 교류가 정말 (+) (-) 교류가 아니고 트랜지스터 전위장벽을 왔다갔다 할 정도의 (+)전압 교류였던 것이다.
-> 거기에다가 고주파를 실은 거였네. 순서가 이제보니. 고주파에 음성신호를 실은게 아니고 실제로는 음성신호에 고주파를
실은 거였어. 그래서 그게 또 동시에 고주파니까 신호는 고주파로 날라가고 진폭은 저주파로 날라가고 이렇게 된거였어!
21. 그러니까 음성신호(+)일때는 전압이 높으니까 전류 증폭이 많이 되고 음성신호(-)일때는 전압이 떨어지니까 여전히 (+) 전압이지만
전류증폭이 거의 안되서
22. 결국은 저주파신호모양의 파형이 바이어스 역할을 한거였어.. 직류바이어스가 아니고 교류바이어스 말이다. 음성신호가 교류바이어스 였던 것이다.
23. 드디어 알았다 ㅠㅠ
24. 24.03.30(토)
도움 많이 됐어요~^^♡
허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