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긍정확언 572일째! 내 언어의 한계가 내 삶의 한계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6 дек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47

  • @최현준-q9z
    @최현준-q9z Год назад +1

    늦었지만
    오늘도 잘보고 갑니다^^

  • @komyunghwan
    @komyunghwan Год назад

    마인드 굿이네요 응원합니다

  • @이윤정-j3s
    @이윤정-j3s Год назад +1

    나의 언어의 한계가 나의 삶의 한계를 의미한다..역시 독서가 답이네요..

    • @user-vf2ff6qe7h
      @user-vf2ff6qe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분위기를 깨서 죄송스럽습니다만, 시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의 의미는 정반대예요.
      비트겐슈타인의 말은 언어의 함양을 통해 세계를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외연이 세계의 외연을 넘어가선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간것이기에 그것에 대해선 함구해야한다는 의미이지요.
      《논리철학논고》의 마지막 행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여야 한다"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 가능하죠.
      물론, 인용을 할 때 꼭 그 의미대로만 인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의도와는 완전히 배치되는 주장인지라 말씀드렸습니다.

  • @KUMSIRU-j4u
    @KUMSIRU-j4u Год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todyhappy
    @todyhappy Год назад

    역시 기승전독서뿐인것 같습니다
    독서를 통해 언어를 확장하고 제 인생도 확장시켜야겠습니다

    • @user-vf2ff6qe7h
      @user-vf2ff6qe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좋은 계획이십니다만, 사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의 의미는 정반대예요.
      비트겐슈타인의 말은 언어의 함양을 통해 세계를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외연이 세계의 외연을 넘어가선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간것이기에 그것에 대해선 함구해야한다는 의미이지요.
      《논리철학논고》의 마지막 행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여야 한다"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 가능하죠.
      물론, 인용을 할 때 꼭 그 의미대로만 인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의도와는 완전히 배치되는 내용인지라 말씀드렸습니다.

  • @꽃사슴-l3i
    @꽃사슴-l3i Год назад +2

    😊😊🎉😊❤😮😅😊
    좋은 책 정보도 주시고 깨달음도 주시고 기분이 너무 좋아 눈물이 나네요^^

  • @황수정-u7q
    @황수정-u7q Год назад +2

    1빠❤

    • @ho-chanman
      @ho-chanman Год назад

      공동1위 추카 합니다^^

  • @mss366
    @mss366 Год назад +2

    오늘도 내 발전을 위해 실천할 수 밖에 없는 말씀 ! 감솨 감솨!

  • @금빛나영
    @금빛나영 Год назад +2

    나의 언어의 한계가 내삶의 한계다
    정말 공감해요~~^^
    저도 책을 많이 읽고 조금 더 저만의 스타일 에서 확장된 세상을 살아가볼께요|~^^
    감사합니다 고명환님작가님 ~~ 응원합니다
    선한 영향력으로 나는 점점 성장 한다!

    • @user-vf2ff6qe7h
      @user-vf2ff6qe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좋은 계획이십니다만, 사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의 의미는 정반대예요.
      비트겐슈타인의 말은 언어의 함양을 통해 세계를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외연이 세계의 외연을 넘어가선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간것이기에 그것에 대해선 함구해야한다는 의미이지요.
      《논리철학논고》의 마지막 행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여야 한다"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 가능하죠.
      물론, 인용을 할 때 꼭 그 의미대로만 인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의도와는 완전히 배치되는 내용인지라 말씀드렸습니다.

  • @gim-hyoun-ok_blue
    @gim-hyoun-ok_blue Год назад +1

    2023.06.25
    오늘은 한국은행 영상을 보고 출첵하는 것이 아닙니다.ㅎ
    어제 공부한 것 중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 어려워 다른 동영상을 더 공부하고 출석합니다.
    ------
    오늘은..
    명환 님, 새 책을 내시고 여기저기 강의를 하시는데 솔직하게 말씀드려 제겐 그냥 그건 명환 님의 삶으로만 다가옵니다.
    제게는 그냥 그림의 떡인..
    오늘의 주제인 언어의 세계를 넓히는 것도..
    제가 우물에 앉아 절 판단하는 것일 수도 있겠지만 책도 읽을만큼 읽었다 생각하는데 제 삶에는(경제 성황에는) 변화가 없네요.ㅠ
    그렇다고 제게 명환 님의 긍정확언 영상이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매일 출첵하지 않는다면 경제공부도 하지 않을 것이고 하나라도 더 긍정적 생각을 하는 것이 적을테니까요.
    그냥 진전이 없는 제 삶이 좀 답답하네요.ㅎ

    • @ho-chanman
      @ho-chanman Год назад

      저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래도 그냥 읽고 생각하면 뭔가 내 삶의 임계점 뚫어질 날 오겠다란 믿음으로 그냥 하는거죠~~^^

  • @user-dent_apopto
    @user-dent_apopto Год назад +9

    일요일 아침9시 도서관문 열자마자 자리잡고, 고명환님의 긍정확언듣고서 독서시작합니다~아침부터 뜨거운 햇살에 더운 날씨이지만 도서관창문으로 내다보는 햇살은 참 좋네요. 언어의 확장을 위해 책속으로 빠져듭니다~

    • @user-vf2ff6qe7h
      @user-vf2ff6qe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계획이십니다.
      다만,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의 의미가 사실은 정반대라는 점도 알아두시면 좋을듯 하네요.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은 언어의 함양을 통해 세계를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외연이 세계의 외연을 넘어가선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간것이기에 그것에 대해선 함구해야한다는 의미이지요.
      《논리철학논고》의 마지막 행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여야 한다"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 가능하죠.
      물론, 인용을 할 때 꼭 그 의미대로만 인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의도와는 완전히 배치되는 내용인지라 말씀드렸습니다.

  • @JLUART
    @JLUART Год назад +1

    우울할때 카페가서 나만의 독서시간은 정말 긍정의 에너지를 주는것같아서 ᆢ좋아요
    독서가 즐거워졌어요ᆢ독서=힐링 되어가고있습니다~*

  • @rakhoonchoi7266
    @rakhoonchoi7266 Год назад +2

    언어의 확장을 위해 오늘 하루 화이팅하시죠. 좋은 하루 보내세요.

    • @user-vf2ff6qe7h
      @user-vf2ff6qe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말씀입니다만, 사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의 의미는 정반대예요.
      비트겐슈타인의 말은 언어의 확장을 통해 세계를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외연이 세계의 외연을 넘어가선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간것이기에 그것에 대해선 함구해야한다는 의미이지요.
      《논리철학논고》의 마지막 행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여야 한다"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 가능하죠.
      물론, 인용을 할 때 꼭 그 의미대로만 인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의도가 정반대인지라 말씀드렸습니다.

  • @gzonehair_since2001
    @gzonehair_since2001 Год назад +2

    야호🎉🎉🎉🎉🎉일등요. 얼렁 1찍었습니다. 이제 나를 보살피기로 결심했습니다.

  • @구포시장콩이언니
    @구포시장콩이언니 Год назад +2

    좀이따 강연장에서 만나뵐게요~~~

  • @sunny-jw1zm
    @sunny-jw1zm Год назад +1

    나의 언어의 한계가 내 삶의 한계라면 작가님 말씀대로 삶의 한계를 넘기 위해서는 독서가 답이네요 요즘 작가님 더분에 도서관 자주 가고 있어요 언어 확장이 되는 중이겠죠 오늘도 감사합니다^^

    • @user-vf2ff6qe7h
      @user-vf2ff6qe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분위기를 깨서 죄송스럽습니다만, 사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의 의미는 정반대예요.
      비트겐슈타인의 말은 언어의 함양을 통해 세계를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외연이 세계의 외연을 넘어가선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간것이기에 그것에 대해선 함구해야한다는 의미이지요.
      《논리철학논고》의 마지막 행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여야 한다"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 가능하죠.
      물론, 인용을 할 때 꼭 그 의미대로만 인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의도와는 완전히 배치되는 주장인지라 말씀드렸습니다.

  • @Icandoittt
    @Icandoittt Год назад +2

    오늘 오랜만에 도서관에 다녀왔습니다! 언어의 확장해볼게요 😝

    • @user-vf2ff6qe7h
      @user-vf2ff6qe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계획이십니다.
      다만,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의 의미가 사실은 정반대라는 점도 알아두시면 좋을듯 하네요.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은 언어의 함양을 통해 세계를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외연이 세계의 외연을 넘어가선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간것이기에 그것에 대해선 함구해야한다는 의미이지요.
      《논리철학논고》의 마지막 행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여야 한다"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 가능하죠.
      물론, 인용을 할 때 꼭 그 의미대로만 인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의도와는 완전히 배치되는 내용인지라 말씀드렸습니다.

  • @GOODEverythingis
    @GOODEverythingis Год назад +2

    형님. 오늘 아침도 잘 살아갈 수 있는 말씀으로,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주심에 무한 감사드립니다.

  • @sangsangbuilder
    @sangsangbuilder Год назад +2

    내 언어의 한계가 내 삶의 한계! 꾸준히 독서해서 생각할수 있는 단어를 꾸준히 늘리겠습니다. 긍정확언! 감사합니다.

    • @user-vf2ff6qe7h
      @user-vf2ff6qe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분위기를 깨서 죄송스럽습니다만, 사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의 의미는 정반대예요.
      비트겐슈타인의 말은 어휘력 함양을 통해 세계를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외연이 세계의 외연을 넘어가선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간것이기에 그것에 대해선 함구해야한다는 의미이지요.
      《논리철학논고》의 마지막 행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여야 한다"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 가능하죠.
      물론, 인용을 할 때 꼭 그 의미대로만 인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의도가 정반대인지라 말씀드렸습니다.

  • @연꽁지
    @연꽁지 Год назад +4

    주일아침~귀한말씀 감사합니다! 천일동지들 모두 화이팅!!🙏

  • @최지혜-c2u
    @최지혜-c2u Год назад +2

    언어의 한계가 삶의 한계라는 말이
    저에게 엄청 임팩트있게 다가옵니다
    매일 꾸준히 독서하지 않으면
    언어의 확장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늘상 쓰는 말만 쓰면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
    언어를 의식적으로 확장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 오늘 생각해 보아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user-vf2ff6qe7h
      @user-vf2ff6qe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계획이십니다만, 사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의 의미는 정반대예요.
      비트겐슈타인의 말은 언어의 확장을 통해 세계를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외연이 세계의 외연을 넘어가선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간것이기에 그것에 대해선 함구해야한다는 의미이지요.
      《논리철학논고》의 마지막 행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여야 한다"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 가능하죠.
      물론, 인용을 할 때 꼭 그 의미대로만 인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의도가 정반대인지라 말씀드렸습니다.

  • @챨리정정순우
    @챨리정정순우 Год назад +1

    ‘말이 씨가 된다’ 무릎을 탁 치는 말입니다. 씨를 많이 뿌리면 열매도 많이 맺히겠죠? 하나의 씨만 뿌리는 게 아니라 다양한 씨앗을 많은 곳에 뿌리면 그만큼 다양하고 많은 열매가 돌아올 것이다. 작가님, 오늘도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랜만에 비트겐슈타인 이름 들으니 참 반갑네요. 전쟁터의 포화속에서 글을 썼다는 그 천재! )

  • @ok_mansour
    @ok_mansour Год назад +5

    돈의 그릇을 키우자!
    얼마전에 부자의그릇이라는 책을 읽었는데 돈도 그 그릇에 맞게 찾아온다는 것을 보게 됐네요😊
    요즘 여러가지 책들을 보고 있는데 소설책도 감동적이 표현이 많아서 깨닫는게 많습니다.
    돈그릇을 키웠다!! 🥣
    오늘도 아침긍정확언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즐겁고 행복한하루되세요 ❤

  • @만년설-l2h
    @만년설-l2h Год назад +2

    감사드립니다^^
    몸은 피곤하지만 독서를 하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1000일 동지 화이팅!!!

  • @서소오-f9d
    @서소오-f9d Год назад +2

    오늘도 탁월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 @eggonkillheel
    @eggonkillheel Год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매일 감사합니다~ 오늘도 모두 행복하고 즐거운 하루되세요~~!!

  • @건강한언니
    @건강한언니 Год назад +2

    나의 언어의 한계가 삶의 한계다.
    독서를 통해 삶의 한계를 넓혀나간다.
    내가 하는 일을 말로 설명할 수 있으면 어떤 일이든 할 수 있다고 하죠?
    오늘 이야기와 통하네요.
    언어의 힘!

    • @user-vf2ff6qe7h
      @user-vf2ff6qe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말씀입니다만, 사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의 의미는 정반대예요.
      비트겐슈타인의 말은 어휘력 함양을 통해 세계를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외연이 세계의 외연을 넘어가선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간것이기에 그것에 대해선 함구해야한다는 의미이지요.
      《논리철학논고》의 마지막 행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여야 한다"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 가능하죠.
      물론, 인용을 할 때 꼭 그 의미대로만 인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의도가 정반대인지라 말씀드렸습니다.

  • @진호김-f5x
    @진호김-f5x Год назад +2

    아는 만큼 보이고, 말할수 있고, 표현할수 있고, 아는만큼 이해할수 있다는 것 책을 통해서 다양한 지식을 통해 넓은 시야를 확보하려 해요~~^^
    썸네일 적으실때 내삶의 한계 인데 작성하시다 힌계로 잘못 눌려졌나봐요~
    오늘도 제대로 보고,듣고, 느끼기위해 책을 읽었더니 기분이 더 좋아진드앗~!

    • @user-vf2ff6qe7h
      @user-vf2ff6qe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분위기를 깨서 죄송스럽습니다만, 사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의 의미는 정반대예요.
      비트겐슈타인의 말은 어휘력 함양을 통해 세계를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외연이 세계의 외연을 넘어가선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간것이기에 그것에 대해선 함구해야한다는 의미이지요.
      《논리철학논고》의 마지막 행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여야 한다"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 가능하죠.
      물론, 인용을 할 때 꼭 그 의미대로만 인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의도가 정반대인지라 말씀드렸습니다.

  • @gzonehair_since2001
    @gzonehair_since2001 Год назад +2

    1

    • @ho-chanman
      @ho-chanman Год назад

      공동 1위 추카 합니다^^

  • @정은-m3j
    @정은-m3j Год назад +2

    '내 삶의 한계다' 오타 있어요. 작가님❤
    오늘도 영혼을 꽉 채워주신 좋은 가르침 감사합니다🎉🎉

  • @니나니노오
    @니나니노오 Год назад +2

    31 31 31

  • @ho-chanman
    @ho-chanman Год назад +3

    독서를 통해 언어의 세계를 넓히자~~^^
    돈그릇을 키우기 위해 독서가 가장 빠른길이다~~^^
    요새 블로그 재미에 빠졌습니다.
    온통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글들이 너무 많아 좋아요~ 현재 이웃도 78명 됐어요~~ㅋㅋ
    블로그 에서 고명환 대장님 관련 글들 보면 무진장 반가워요~~^^
    천일동지분들중 블로거 하시는 분들 계시면 서로이웃(호찬맨) 부탁합니당^^
    하느님은 "서로 사랑 하여라" 라고 말씀 주셨다.
    호찬맨은 "서로 이웃 하여라" 라고 말해본다~~ㅋㅋ
    "이 책은 돈버는 법에 관한 이야기"보고 책을 읽기 시작했고,
    "나는 어떻게 삶의 해답을 찾는가"보고
    나도 리뷰하고 싶어 블로그 시작 했습니다~~~^^
    이건 운명 인듯 합니다~ㅎㅎ
    또 다른 대장님 책이 출간되면 그거 보고 또다른 뭔가가 시작될꺼 같은 예감이 듭니다~~
    대장님은 늘 저에게 도움을 주시어 감사합니다❤

    • @user-vf2ff6qe7h
      @user-vf2ff6qe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 말씀입니다만, 사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의 의미는 정반대예요.
      비트겐슈타인의 말은 어휘력 함양을 통해 세계를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외연이 세계의 외연을 넘어가선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간것이기에 그것에 대해선 함구해야한다는 의미이지요.
      《논리철학논고》의 마지막 행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여야 한다"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 가능하죠.
      물론, 인용을 할 때 꼭 그 의미대로만 인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의도가 정반대인지라 말씀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