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을 묶는게 더 튼튼한 이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6 ноя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505

  • @ericyoon6053
    @ericyoon6053 Год назад +644

    영상 잘 봤습니다. 용접부분에서 규격에도 나오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열 수축입니다. 현장에서 저렇게 많은 부분에서 용접을 하면 용접시 열팽창했던 철근이 식으면서 불균일 수축하면 격자구조가 비틀어질 수 있고, 심각한 경우 잔류응력이 철근에 남아서 균열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용접은 하지않고 물리적인 결합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erp4046
      @erp4046 Год назад +60

      근데 딱 보기에도 시간과 비용측면에서 저걸 일일이 용접하라고 하면 묶어놓고 콘크리트 부어버릴것 같네요... 용접하다가 한계절바뀔듯

    • @stephanos0128
      @stephanos0128 Год назад +41

      용접된거 흔들다보면 끊어지는경우도 생기나 결속선으로 묶인건 결속선이 늘어지긴 하나 내구도가 어느정도 있는게 보입니다

    • @oxoxoxox8152
      @oxoxoxox8152 Год назад +5

      @@erp4046 그건 아님

    • @dohyunbarg
      @dohyunbarg Год назад +10

      콘크리트 타설하는 동안만 위치만 고정시켜주면 되는 것 아닌가요? 철근이라는 것은 인장재이니깐 인장력을 견딜 정도 콘크리트 깊이는 ?

    • @이이생마발
      @이이생마발 Год назад +14

      철근 묶는게 더 튼튼하다? 겨울에 콘크리트 타설하다 아파트 무너졌을때 철근에 용접했으면 100%는 아니더라도 양생이 덜 됐으니까 50%는 콘크리트를 잡고 있었겠죠. 물론 이사고는 콘크리트 양생 전 사고죠. 철사로 감아 놓으니 철근이 빠져버려 사고가 훨씬 더 커졌죠. 콘크리트 안에 열 팽창과 수축이 있으면 얼마나 있겠읍니까? 한여름 땡볕에 노출돼 있는 철로도 1cm 이하로 벌려 놓습니다. 초고층 빌딩, 지하철은 중요 부위에는 모두 용접합니다. 그리고 모두 하면 좋으나 그럴 필요성이 없어서 안하는 경우도 있고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안하는 경우도 많겠죠. 용접면의 응축 팽창 때문에 안한다는 절대 아님. 시간, 비용, 용접해도 별의미 없기 때문에.

  • @카를로스요네
    @카를로스요네 Год назад +199

    RC는 정말 현대사회의 필수품이죠.
    RC의 주체인 콘크리트와 철근은 정말 신기할 정도로 상호 보완적입니다. 개인적으로 철과 시멘트가 풍부한 것이 현대 도시화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고 봅니다.

    • @KaworuNagisa-d1p
      @KaworuNagisa-d1p Год назад +5

      왜 쓸대없이 넘쳐나는거야..
      건물이나 짓자!!

    • @no3arch387
      @no3arch387 Год назад +21

      진짜 어떻게 돌맹이랑 철근이랑 열팽창계수가 그리도 비슷할까요. 신기하게 ㅋㅋ

    • @fulltrack86
      @fulltrack86 Год назад

      ​@@no3arch387 일부러 철근 합금을 그렇게 만든건가??? 싶기도 하네요 신기

    • @미-o8h
      @미-o8h Год назад +12

      @@fulltrack86 반대로 콘크리트 배합을 철근쪽에 맞췄다더군요. 콘크리트 배합비에 따라 특성이 달라져서 그런 기교가 가능하다고 하더군요.

    • @dark-py9bq
      @dark-py9bq 9 месяцев назад

      RC가 뭔지 알려주실분

  • @sync2ne198
    @sync2ne198 Год назад +77

    철근공 8년일하면서 가끔 나오는 얘기들입니다.
    전문적으로 교육을 받았거나 공부하신분들은 확실하게 겹이음이 훨씬 신뢰도가 높고 좋다고 하지만
    가끔 그렇지 않은 분들은 압점이 더 좋다고 막 그러시는분들도 계셨었는데
    확실히 알려주시니 너무 좋네요 ㅎ

    • @hkk9278
      @hkk9278 Год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지나가던 건축공학도입니다
      기둥 주근 겹침이음시에는 지진같은 횡하중에 붕괴될경우 철근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지않아 큰 피해로 이어질수있다고 배웠는데
      혹시 슬라브나 보 배근과 기둥 배근을 달리하나요?

  • @이경연-e4l
    @이경연-e4l Год назад +21

    건설에 대해서 문외한이 들어도 군더더기 없이 깔끔히 설명을 해주시니 좋네요.
    설명 잘 듣고 갑니다.

  • @hiner999
    @hiner999 Год назад +11

    철근이음 방법으로 겹침이음과 압접이 있습니다. 주근철근이 많은 기둥등에 압접이 쓰이며, 대부분 겹침이음을 씁니다. 겹침이음 시 결속선을 사용하여 겹침부위를 묶는데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의 위치가 변하지 안토록 하기 위해서 묶는겁니다. 겹침이음길이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해당철근의 인강강도 이상이 나올수 있는 길이 이상으로 겹침니다.
    그리고 철근압접이라함은 철근용접하고 다른개념입니다. 용접은 모재를 개선한 부위에 다른재료를 녹여서 용입 하는것이고, 철근은 900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철근의 강도가 떨어지므로 900도 이하의 온도로가열하면서 압력을 가하여 두철근을 연결하는 공법입니다 그러므로 별도의 용융재료는 필요가 없습니다. 있어서도 안돼구요.

  • @양후백
    @양후백 Год назад +98

    건축 전혀 모르는 문과생인데, 지나가다 본 건설현장이 궁금해서 검색으로 왔다가 여러 영상을 보고 있네요.
    선생님 설명하시는 능력이 정말 대단하십니다~

    • @moon-bro
      @moon-bro Год назад

      저도요 ㅋㅋㅋㅋ

    • @nocountryforgoblin6812
      @nocountryforgoblin6812 Год назад

      이과생이지만 전공이 아니라 공감되네요 ㅋㅋ

    • @그러니까-b9j
      @그러니까-b9j Год назад

      이과생도 저런 내용은 전공 아니면 몰라유

    • @drmphy
      @drmphy Год назад +2

      이과생이라고 건축 분야를 다 잘아는 거 아니다
      이과생도 모르는 건 똑같은데 굳이 문과생이라서 모른다고 하는 것은
      문과생의 지능을 비하하는 거 아니겠는가ㅋㅋ

    • @닭가슴살싫다
      @닭가슴살싫다 Год назад

      진짜 설명하시는 거 귀에 쏙쏙 들어오시게 설명 잘하심ㅋㅋㅋㅋ

  • @noguiber
    @noguiber Год назад +75

    이런 건축 공법이 있기에.. 초고층 아파트도 짓는 구나. 철근과 콘크리트의 양생조합이 튼튼한 아파트를 만드는 군요... 콘크리트 양생규정 지킵시다.. 현 아파트 현장 동절기 하절기 양생 범령 지키는 현장 절때 없다.. 아파트 붕괴사고는 다시는 발생하면 안됩니다. 결속선 묶인 철근 뜯으려해봐.. 절때 못 끊어.. 질겨..
    죄송합니다.. 음주 댓글로 인해 맞춤법도 틀려서.. 관심과 배려 감사합니다.

  • @한가람-p9g
    @한가람-p9g Год назад +17

    저도 젊었을 때 건설현장에서 아르바이트로 근무하여 같이 근무하시는 경력자분들께 여쭤보았던 내용들이네요. 당시 오래 계셨던 분들도 이론적으로는 잘 모르시다보니 대략적으로만 설명을 들어 그냥 '그런가 보다'라고 생각하고 넘겼었는데, 영상으로 설명을 듣고 보니 당시에 설명해주셨던 것들이 이해가 되네요.ㅎㅎㅎ

  • @umt8025
    @umt8025 Год назад +46

    철근과 콘크리트의 열팽창율이 같기에 현대 건축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죠 같은 이유로 인해 철근이 벽체와 슬라브의 뼈대 역할을 할 수 있고요

    • @조현준-f5s
      @조현준-f5s Год назад +1

      아하 그런 비밀이

    • @big_2440
      @big_2440 Год назад

      오,, 완전 신기하네요 ㅎㅎ

    • @heonmen
      @heonmen Год назад

      제가 쓰고싶었던말이 여기 있네요

    • @umt8025
      @umt8025 Год назад +1

      @@Parrrrley 뭔 헛소리 입니까? 섭씨 온도 1도 상승시 콘크리트 0.000010 ~ 0.000013 이고 철근이 0.000012로 거의 동일 하기 때문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건축의 메인 공법이 되는 것인데.
      열팽창 계수가 10배 차이나는 소재를 건축물에 쓰면 외부의 힘이 없어도 스스로 발생되는 응력으로 자체 붕괴죠

  • @급고독장자
    @급고독장자 Год назад +32

    토목, 건축기사들에게 박수👏

    • @HUI2650
      @HUI2650 Год назад +6

      수학에게 박수를...

    • @이지한-q5m
      @이지한-q5m Год назад +10

      사실 저희는 잘 모릅니다...ㅎㅎ
      구조 연구하시는 석박사 분들이 다 만드신겁니다 ㅋㅋ

    • @모스모스킴
      @모스모스킴 Год назад +4

      @@이지한-q5m 이게 맞지 .. 그 밑에 나같은 짜바리들은 현장을 관리하고, 일정조건 이상이 충족 되었는가에 대한 확인이 주업무

    • @hahahhaha7039
      @hahahhaha7039 Год назад +1

      @@이지한-q5m그쵸 ㅋㅋㅋㅋ 그중에서도 지금 대부분 규정은 미국 규정 번역해놓은거죠

    • @M45pleiades
      @M45pleiade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모스모스킴공부해라... 요즘 감리자들 공무원들 다들 똑똑해서 물어보면 어버버하면 당하는거다... 구조계산서 당연히 볼줄알아야되고 물어본게 합당치않으면 그이유를 근거대면서 말할수있어야되는게 기술자다..

  • @yebomrg
    @yebomrg Год назад +27

    교수님 아... 소장님ㅋㅋㅋ 매번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진짜 아파트 현장에서 근무하고있는 입장에서 너무나 큰 도움이 됩니다.

    • @공감하는디자인
      @공감하는디자인 Год назад

      아! 이 분이 강의도 하시는군요.
      그렇지 않아도 강의하셔도 되겠다고 생각 했는데... 역시나군요.^^

  • @junyshin5843
    @junyshin5843 Год назад +7

    해당부분 결속해서 타설할때 서로 잘 붙어있으라고 한거지....
    용접이 철사줄 보다는 무조건 세긴하죠..ㅎㅎㅎ 작업이 힘들고 작업량이 어마무시 많고 결속하고 스페이서로 잘만 띄우면 되는거라 저정도만 하는거지...
    암튼 배근률만이라도 꼼꼼히만 해줘도 감지덕지~

  • @누가넘버쓰리래
    @누가넘버쓰리래 Год назад +23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건축물 최상부에 태양광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 L형 앙카를 배근에 연결해야 하는데, 딱 궁금했던 사항이었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박4-e5z
    @박4-e5z Год назад +147

    와 진짜 철근 묶는 거 하나도 이렇게 어려운데 아파트 한 채 짓는 데 얼마나 많은 기술이 들어갈지 상상도 안 되네요

    • @Jung-g6w
      @Jung-g6w Год назад +8

      저거 뱅뱅이 5분만해도 금방 적응됩니다

    • @섞은양파
      @섞은양파 Год назад +68

      이 분이 말씀하시는 건 작업자에게 필요한 기술이 아니라 건축공학적으로 들어가는 기술을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 @고사리맛집
      @고사리맛집 Год назад +16

      현실은 25억 GS 새 아파트가 시공 엉망

    • @krauskim7662
      @krauskim7662 Год назад +2

      @@고사리맛집 말의 본질을 좀 이해해라
      뜬금 딴지나 걸 생각 말고

    • @고사리맛집
      @고사리맛집 Год назад +8

      @@krauskim7662 아파트 하나 짓는것에 다양한 기술과 노력이 들어가는거 맞음. 거기에 땅값까지 더해서 비싸진것도 맞고. 근데 그 고생한것이 아까울정도로 엉망으로 마무리해서 결과물이 나빠진것도 사실임

  • @Tattvamasi10000
    @Tattvamasi10000 Год назад +6

    이런 분들 덕분에 대한민국 건설이 세계적인 수준이 된거 같습니다! 유익한 컨텐츠 잘봤습니다!

  • @JgKim-pb6zu
    @JgKim-pb6zu Год назад +7

    과학적인 철근 콘크리트 지식이 늘어났습니다. 감사합니다..

  • @새싹-r6k
    @새싹-r6k Год назад +2

    회사앞 건설현장(KT광화문 리모델링) 매일 보면서 즐거워 하는 문과출신 직장인입니다. 궁금한게 많았는데 여기서 해결이 되니 너무 좋아요

  • @무허공-z7n
    @무허공-z7n Год назад +5

    쉽게 말하면 용접은 불량이 많고, 관리도 안된다. 이거지요.
    콘크리트가 철근을 물고 있는데, 철근이 빠지는 경우 철근에 가해지는 최대 인발력보다 콘크리트가 잡고 있는 저항력이 강해야 된다. 콘크리트의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끝부분을 구부리는 경우가 있다.

    • @김병훈-x9g
      @김병훈-x9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관리가 안되는게 아니라 건축 단가가 문제인 겁니다 ..

  • @yonghunsin5911
    @yonghunsin5911 Год назад +3

    철근 용접이 문제가 되는 결정적인 이유중에 하나가 녹슨 상태로 용접을 하게되면 내부에서 부터 스테인이 발생해서 대단히 큰 문제를 야기하고 우리나라 건설 현장은 그런것들에 철저하지 않는 현장이 대부분임. 현장 다녀보면 단부에 스테인 방지 커버 씌워 둔곳이 거의 없음.

  • @hobbyholic_LoveLive
    @hobbyholic_LoveLive Год назад +18

    와..... 건설쪽에서 빛을 발하려면, 정말 두뇌가 명석해야겠습니다. 오래전에, 막연히 세계적인 건물을 설계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꿈을 꾼적이 있었는데...

  • @ylogos782
    @ylogos782 Год назад +3

    용접을 제대로 하기가 무척 어렵군요. 제대로하면 더 단단해지지만.. 신뢰성 확보가 어려우니..이해됐습니다.

  • @네다-s8u
    @네다-s8u Год назад +1

    요즘에는 압접으로 시공하는 경우가 잘 없습니다. 겹이음 길이가 안나올 경우는 대부분 커플러 연결 방식을 채택합니다.

  • @이지니-o5b
    @이지니-o5b Год назад +1

    저도 짧은 노가다 지식 한마디 하자면
    철근에 열을 가하게 되면 아무래도 철근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용접이음에 대해서 보다 엄격한 거 같습니다.
    그리고 철근조립 시 철근을 절단할때 꼭 철근절단기로 절단을 합니다.
    산소용접기로 불어서 됐다간 바로 감리단에서 달려와서
    일명 '데나우시' 시키고 다시 조립하게 되지요.

  • @자두바-b4g
    @자두바-b4g Год назад +2

    지하주차장이 무너지는거
    짓고있던 건물이 무너지는거 참 많이 나오지
    FM대로 하는 곳이 어딧다고…자재쓰는거보면 애초부터 결함임.
    1~2년뒤에 이미.녹이 다 나서 질질새고 떨어지는게 많음…

  • @yis0146
    @yis0146 Год назад +12

    정말 유용한 정보입니다.
    이렇게 복잡한줄 이제 알았네요.그래서 우리가 건축물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었군요~

  • @우엉-o2z
    @우엉-o2z Год назад +1

    고층 아파트 경우는 건물자체가 휘기도 하고 그래서 콘크리트 내구성 높이려고 철근작업 하는건뎅.. 어차피 콘크리트 부울때 아니면 굳이 단단하게 이을 필요는
    없음. 콘크리트가 굳으면서 잡아주니까..
    부실공사는 철근을 적게 넣어 콘크리트 내구성이 안좋아. 금방 무너지려고 하는것.

  • @chanicsme9481
    @chanicsme9481 Год назад +23

    철콘이 진짜 알면알수록 재미있는데 그 알아가는 과정이 너무 힘들어... ㅋㅋ

  • @myskynet2
    @myskynet2 Год назад +1

    철근에 용접하면 용접부 인근이 용접열로 약해집니다 용접부 주변이 빨갛게 달아오르죠 그리고 용접부 크랙의 위험이 있구요
    그러다고 표면을 그러인더 처리후 할 수 있는것도 아니죠

  • @patroclass
    @patroclass Год назад +3

    불량 용접은 아니한만 못한거죠. 하지만 제대로된 용접이 더 강성이 좋다는것도 맞습니다.

  • @복원-b8s
    @복원-b8s Год назад +1

    어느 구조체 따라 적용 효과도 다르며 비용및 공기도 따지고 들어가면 확실히 용접 이냐 이음이냐 의 차이는 비교 할 수 없음. 예를들어 고층건물 기둥에는 철근부재가 짧아져 이음을 할수 없으니 최소한 버트용접이라도 해서 올릴수 밖에 없듯이요.

  • @hyj631
    @hyj631 Год назад +5

    역시 전문적인 채널입니다.

  • @user-lbg1004
    @user-lbg1004 Год назад +3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meiyou_5168
    @meiyou_5168 Год назад +8

    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혹시 시멘트 배합 비율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와 슬럼프값의 변화 표가 있을까요?
    시멘트 골재 물 비 에 따른 공식도 더해지면 좋겠습니다
    부피비인지 무계비인지
    그 표만 보고 배합하면 상용 콘크리트와
    거의 비슷한 콘트리트를 비빌수 있게 참조할만한
    그런 표와 공식이요
    소량 첨가물은 시멘트에 들어있는지
    아니면 추가로 넣어야하는지도 설명해주시면
    정말 좋겠습니다

  • @KJH-vx4og
    @KJH-vx4og Год назад +4

    결론은 단가문제죠.
    결속선대신 클램프를 쓰면 강도는 확실히 올라갑니다. 근데 클램프값과 클램프 체결 인건비가 감당이 안되니 결속선 쓰는거죠.
    현 공법들은 허용 강도와 법규 내에서 최저가를 찾은 결과에요.

  • @Ycmjg37143
    @Ycmjg37143 Год назад +1

    옛날에 콘크리트가 없어서 나무비계를 사용했을 때는 더 그랬을 거 같아요. 못으로 박는게 아니라 나무에 홈을 내서 짜맞추는 방식을 썻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프랑스 노트르담 대성당도 전통적인 나무비계 방식으로 보수하다가 나무비계에서 화재가 나서 나무로 된 윗 부분이 다 타버렸던거라고 합니다.

  • @feseqw
    @feseqw Год назад +13

    토목공학과 다니는데 갸꿀잼이네요
    우리 교수님들도 이렇게 수업해줬으면 좋겠당

    • @hololo1452
      @hololo1452 Год назад +4

      안늦었어요.. run..

    • @씨잌-g2k
      @씨잌-g2k Год назад +4

      런하세요 ㅋㅋ 자동 기러기아빠됨 ㅋ

    • @greenmonster769
      @greenmonster769 Год назад

      토목공학이면 앞으로 노가다 열심히하세요

  • @조진희-e1t
    @조진희-e1t Год назад +1

    해당 용접에 대한 내용은 직결하는 것에 대한 것이고, 철근 배근(십자)만 고려하면 용접했을때 콘크리트 넣을때 물리적 힘에 의한 변형가능성이 줄어들고(가는 철사로 배근했을때 틀어지는 경우가 있을 듯) 더 좋을 듯 합니다.

  • @유우니-b5q
    @유우니-b5q Год назад +2

    관련 없는 사람인데 너무 재밌게 설명해주셔서 영상 다 봤습니다. 정말 현대 사회는 사소한 부분 까지 엄청난 기술이 숨어있는거 같아요.

  • @crescentz2822
    @crescentz2822 Год назад +1

    이영상만큼 " 아는만큼 보인다 " 라는 말이 들어맞는 영상은 별로 없을듯
    현재 사회 시스템은 문제점을 지적하는 사람들이 평생 공부를 해도 모자랄 정도의 지능과 지식을 가진사람들이 수없이 많은 토론과 의논을 거쳐 쌓아올린 지성의 집합체라고 생각함 그걸보고 문제점을 느낀다면 스스로의 공부가 부족한것이 아닌가 부터 생각해봐야할 수준이라고 개인적으로 느낌

  • @민성아빠-m6o
    @민성아빠-m6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현 형틀목수로 일하고 있는데
    결속선으로 결속을 해놓으면
    간혹 후레타이, 세파타이등 3.6.9
    위치에 거푸집 고정물들을 넣을때
    철근이 간섭 받으면 철근을 유동적으로 처 내려 타이를 체결할수라도 있지..
    철근을 죄다 용접을 해버리면 다른 공정작업자들 정말 답 없습니다

  • @정맹-d2x
    @정맹-d2x Год назад +1

    철근은 강도가 많이 약해서 용접을해도 용접 융착이 잘 되지 않죠. 쉽게 말해 용접을해도 모재가 철근이면 먼지처럼 날라갑니다 그만큼 속이 텅텅 비었고 그만큼 신축성이 좋음.

  • @ongseong-min8304
    @ongseong-min8304 Год назад +3

    전혀 관련없는 일을 하지만 재밌어요ㅎ
    궁금한게 있는데요
    베란다, 옥상, 지하주차장 등 콘크리트 하중규정이 있던데 예를 들면 300kg/m^2 요런식이던데 이게 1제곱평방미터안에 300kg넘게 짐이 쌓여있다면 무너질수도 있다는 말인가요?

    • @Hansangyoon12
      @Hansangyoon12 Год назад +2

      안전률이 있어서 더 꼭 그렇지는 않아요 하지만 조심해서 나쁠건 없습니다

  • @이지한-q5m
    @이지한-q5m Год назад +18

    "철근에 용접하면 약해진다."고만 들어서
    용접 자체가 불가능한건줄 알았는데
    까다롭지만 가능하긴 한거였군요
    덕분에 이론적으로 제대로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이모모-l9i
      @이모모-l9i Год назад

      현장에서 38미리 존나두꺼운거 용접함

    • @달러킹-x7r
      @달러킹-x7r Год назад

      시방서에 용접품질에 대한부분 나옴!

    • @성철김-f9n
      @성철김-f9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용접용 철근이 별도로 생산됩니다 일반철근을 용접하면 안됩니다. 용접열 때문에 약해져요..

  • @KuGa-07
    @KuGa-07 Год назад +2

    항공기에서도 기체 제작에 용접을 거의 쓰지 않는데 가장 큰 이유로 연쇄 파괴로 인한 공중분해를......

  • @비밥드론-f8e
    @비밥드론-f8e Год назад

    용접은 작업하기 까다로워서
    철선으로 묶는겁니다…그게
    더 튼튼해요….옹벽작업할때 전기 전공인
    제가 배관하기위해 사다리라던가
    PT아시바 등을 놓을수 없어서
    어쩔수 없이 가끔 철근에 올라탈
    때도있는데 몸무게100kg인
    제가 올라타도 잘 버팁니다….
    저 결속선 이라는 철선이
    보기보다 엄청 튼튼해요….
    용접하는것보다 저렇게 묶는것이
    시공하기도 쉽구요….그리고
    만약 결속선이 터졌다? 그러면
    이것도 보수하기도 쉽습니다….
    그냥 다시 묶으면 되니까요…
    근데 용접은 터지면 갈아내고 잘라내고
    새로 용접하기 전에 해야할게
    많아집니다…그러니 그냥 결속선으로
    묶는게 잃는거보다
    얻는게 더 많다는거죠…

  • @lovelove-bc8ri
    @lovelove-bc8ri Год назад

    중요한건 용접이냐 결속선이음이냐보다
    숙련자가 얼마나 꼼꼼하게 작업해주느냐지.
    근데 시방서에서 철근과 철근이 만나는 지점에 얼마만큼의 결속이음을 해주라고 나와있어도
    현장에서는 작업자의 편의 작업자의 오랜 직업적 통밥? 그런걸로 지 꼴리는대로 한다는거지.
    사실 땡볕에서 작업자가 발디딜틈 없이 오만가지 다 늘어져있는 타설전 슬라브위에서 겨우겨우 옮겨가면서
    또 쪼그리고 앉아서 일일이 딱봐도 어마어마하게 철근과 철근이 만나는 지점에 다 결속이음을 한다는게
    결코 쉬운일이 아니고 엄청난 시간이 걸리는 일이잖아. 무릎과 허리에 엄청 무리가는 작업.
    그래서 어느정도의 융통성은 필요하고 그게 당연시되는 분위기인데 그래서 작업자의 숙련도가 중요한거지.
    쉽게말해 오랫동안 그 일을 하면서 이 정도로 작업해놓으면 구조상 아무 문제 없으면서 일의 진행도 신속히
    이루어진다고 직접적으로 체감해온 사람의 노하우가 필요한 것.
    근데 또 현실은 단순 반복작업이다보니 몽골 조선족 외노자도 건축에 건자도 모르는 일당직도
    아무나 다하고 있다는 것.

  • @LEEkyouho
    @LEEkyouho Год назад +2

    feat 선박이 비싼 이유(콘크리트없이 전부 용접해서 만듦)😂😂

  • @바르고고운말
    @바르고고운말 Год назад +1

    우와... 알고리즘으로 우연히 들어왔는데 전문적인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재밌게 봤네요 정말 유튜브에는 없는 영상이 없는듯 ㅋㅋㅋ

  • @peachmilk-a
    @peachmilk-a Год назад +3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yaong-i-nyaong
    @yaong-i-nyaong Год назад +4

    결속선 설치하고 나면 타설할때 보면 끊어진 곳 엄청많음 타설하다 빠지는 경우도 많음

    • @여천-n2p
      @여천-n2p Год назад +3

      그거 결속선 묶는 방법도 있는걸로 알아요.
      아버지께서 건설쪽으로 경험이 있으셔서 결속선에 대해 말씀해주셨는데
      튼튼하게 한다고 몇 바퀴 돌려서 매듭 묶으면 나중에 충격 받거나 콘크리트를 부으면
      철근이 조금씩 밀리면서 생기는 힘을 못 버티고 터지기 때문에
      매듭 묶을 때는 한 바퀴 반 정도 돌려서 묶어야지 나중에 힘을 받아도 살짝 풀리면서 결속선이 버틴다고 하셨어요.
      그래서 아버지 때는 결속선 제대로 못 묶으면 크게 혼난다고 하셨네요.

    • @yaong-i-nyaong
      @yaong-i-nyaong Год назад +1

      @@여천-n2p 맞아요!!

  • @적랑-o2w
    @적랑-o2w Год назад +3

    정말 궁금했었는데 영상은 잛지만 매우 재미있게 시청했습니다.
    근데.. 제목의 묶는다를 보자 마자 정관수술이 떠올랐는데
    오늘 너무 피곤했나봄..
    항상 영상 감사합니다.

  • @건축학도-e6p
    @건축학도-e6p Год назад +3

    커플러 사용도 이야기해주면 감사하겠숩니다🙇🏻‍♀️

  • @masonsmith3044
    @masonsmith3044 Год назад

    알고리즘이 이끌어 주다니
    개발 장비쪽에서 찰나의 생각만
    물론 현장 현실성배제한다면
    (이 분야 전문이 아닌지라)
    일정한 건물이 양산된다 가정하면
    용접로봇- 온둘레 용접 가능
    냉각 방식의 설정 자동화
    철근 자동 이송장치및 일정 간격
    가능 줄수 아님 면적 측정이나
    요구사항은 프로그램화
    프로그램에 있어서 산술식이나
    자료 있다면 가능(c언어를 좋아하다보니 )
    어찌되었던 장비는 실현가능
    아 십몇년전에 누군가 의뢰 비스므리하게 해서
    그냥 외국장비중에 있을 것이다
    잘 찾아보시길 했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아님 하고 있던지
    무언가 개발하기전 필수가 기존에 있는가부터
    (대부분 유사 장비 있음)

  • @구름빛호랑이
    @구름빛호랑이 Год назад +1

    철근을 용접해서 이어 붙이는거 실제로 하면 정말 엿 같음. 면은 고르지 않지. 다양한 각도로 용접해야 하는데 공간은 별로 없지. FM대로 하기 힘듬.

  • @chojm2333
    @chojm2333 Год назад

    아파트 하나 올리는 배근을 용접으로 하려면 할 순 있습니다. 다만 '수만, 수십만개의 용접 포인트 하나하나 모재 예열하고, 용접봉 예열하고, 규정치대로 할 수 있냐'가 문제입니다.

  • @박호준-u1c
    @박호준-u1c Год назад +1

    용접부위는 깨져요. 진동에 의해 쉽게 금이 가고 깨져버립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열처리가 필수적인데 저런 거대한 금속덩어리를 어떻게 열처리를 하나요...

  • @jk-jd3hp
    @jk-jd3hp Год назад +2

    아 내용 너무 좋습니다. 너무유익합니다. 저는 개인건축주임.. 혹시 기존 옹벽에 추가로 캔틸러버 슬라브 구성시 어느정도 길이와 하중으로 가능한지 한번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joebrown9998
    @joebrown9998 Год назад

    제가 건설은 잘 모르지만... 철근은 묶어서 사용하면 사용 안 하는 점이 더 괜찮다고 생각 합니다. 철근이 무겁기 때문에 고정 하기가 힘듭니다. 철근은 특수 용접 되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철근을 일반적으로 사용 되고 있는 것도 조금 이상 합니다. 철근은 아마 다른 용도 일 겁니다. 철근은 아마 시멘트에 같이 사용 할 겁니다.

  • @i30mania
    @i30mania Год назад

    겹침이음이 용접이음보다 튼튼한게 아니라 공정이 빠르고 인건비가 작게 들어가서 경제성에 맞아서 하는겁니다. 용접이음은 저 수많은 철근을 용접하는데 있어 작업속도가 느리고 그로 인해 인건비도 많이 들어서 비경제적이겠죠. 그래도 철근과 철근을 용접하는데 겹침이음보다 일체감은 있겠죠.
    용접을 제대로 시공 못하면 오히려 약하다고 하면 겹침이음 또한 똑같습니다. 결속재를 제대로 결속하지 않으면 신뢰가 더 떨어지겠죠.
    현장에 철근배근 시 겹침이음부 결속선 엉망인 현장 꽤 많습니다.

  • @HeungjinBirea
    @HeungjinBirea Год назад

    한마디로 현실적으로 현장에 적용 가능한 방법이 철사 매듭인 거군요. 용접 장인이 아주 균일한 용접으로 모든 부위에 시공 가능하면 최고겠지만 용접사도 사람인지라 모든 용접이 균일할 리 없고, 모든 부위를 테스트한다는 게 비효율적이겠네요

  • @enigmahunter8908
    @enigmahunter8908 Год назад

    왜 그런지 깊은 생각없이 표와 공식만 적용하다가 설명 듣고 잘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TheJiJumTo
    @TheJiJumT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더 튼튼한게 아니라 작업 효율, 품질관리가 묶는 방식이 월등히 좋고
    용접은 이론 상으로는 좋을지 몰라도 작업량이 매우 많아 품질관리가 어려워 결과물이 나쁠 확률이 높다는 이야기 같네요.

  • @jangjaewon907
    @jangjaewon90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매번 잘보고 듣고 있습니다.
    시공하면서도 잊어버리기 쉬운걸 다시 상기 합니다

  • @engpoo
    @engpoo Год назад +1

    참 어려운데 설명이 맛갈나서 끝까지 봤네요

  • @up_ofj
    @up_ofj Год назад

    참고로 저런식으로 꽈배기를 틀어서 쓰는건 전투기 미사일에 들어가거나 전투기 부속 연결에도 사용됩니다.

  • @1b3l2ds8
    @1b3l2ds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군제대하고 뒤늦게 수능공부해서 토목과 들어갔는데....난 그냥 공구리치는거나 배울줄 알았거든....그런데 첫강의 교수님이 하는말이...."모든 토목은 수학과 물리학에서 나온다".....강의들이 위 영상처럼 다 수학인거야.... 환장하는줄 알았지.....고딩들 보는 수학정석책을 다시 공부해야 했다니까.... 제대로 토목으로 먹고살려면 공부 평생해야돼...그래서 결국 졸업후 2년간 토목분야 전전하다가 맨날 지방숙식하고 맨날 술마셔야하고....내 몸에 안맞어...지금은 완전 다른일 함.

  • @티키타카뿜뿜
    @티키타카뿜뿜 Год назад +3

    나하고는 전~~혀 관계 없는 얘긴데
    엄청 재밌네ㅎ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죵
    @죵 Год назад +1

    건축에 대해 문외한 입니다.
    재밌는 영상 잘 보았습니다.
    일반적으로 시민들이 접할 수 있는
    현장(소형 주택,소형 상가, 건축물 등)
    에서 시공 및 작업시에
    이러한 원칙들이 지켜지는지 관리감독 혹은 감리하는 사람들이 존재하나요?
    굉장히 까다롭고 전문성과 도덕성이 중요한 작업일 것 같은데 일반적인 현장에서는
    누가 어떻게 관리하는지가 궁금합니다.

    • @그린크로스
      @그린크로스 Год назад

      비상주 감리라고 시공업체가 시공할때 해당지역 건축사분이 감리로 붙습니다. 지정식이아니고 허가할때 정해줘요
      작은현장일수록 더 잘지킵니다... 보통 슬라브가 부서졌네 건물이 무너졌네 하는거보면 전부 큰현장이죠...광주 HDC 무너졌을때
      1층짜리 마을회관 슬라브 양생중이였는데 32일지나서 털었습니다. 5일만에 털다가 대형사고 난뉴스보고 어이가없었죠
      그리고 요즘 지어지는 건물들은 크게 의심안하셔도 될거같습니다. 몇십년전에 지어진 건물하고 내구성자체가 달라요 ㅎ (배근량, 콘크리트두께 ... 등등 )

  • @altturbo
    @altturbo Год назад

    평소 궁굼한게 있어서 이 자리에서 여쭙습니다. 10:56 부분에서 말씀하신 다음단계 접합을 위한 철근이 외부에 노출된 장면이 있는데 이 삐져나온 철근을 위해서 거푸집에 구멍을 따로 뚫은건가요? 거푸집이야 그냥 철판 아니면 목판 일텐데 이런 삐져나온 철근을 위해서 일일이 구멍을 내고 또 설치할때 일일이 그 구멍마다 철근을 집어 넣고하는 일이 보통일이 아닐것 같은데 이것은 저같은 아마추어의 상상일 것이고 아마도 프로페셔널한 기가막힌 방법이 있으실 것 같아서 여쭙는 겁니다.

  • @airbufflo
    @airbufflo Год назад +1

    크~~~ 언제나 좋은 건설쪽 정보에 고맙습니다. ^^

  • @집에보내줘-v7v
    @집에보내줘-v7v Год назад

    물론 용접을 제대로했을경우엔 결속선보다 튼튼합니다
    다만 용접을하게되면 철근이 열변형이생기게되어 오히려 철근이 제자리에있지못해 최종콘크리트 타설시에 부위강도가 일정하지않게될수도있어요
    그리고 용접이라는게 똑같은시간으로 했다해도 부위마다 강도가 다를수있고, 제일중요한 용접불량테스트를 할수가없습니다
    하지만 열이 가해지지도않고, 육안으로 잘 작업됬는지 확인이가능한 결속선으로 묶는게 튼튼하다 는 결론이 나올수있죠

  • @TJ-ye5td
    @TJ-ye5t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철근은 용접 불을대면 철근의 기계적 강도와 탄성이 없어지죠.. 용접 을 할때는 힘의작용을 이해한이후 ..
    와이어 결속 시공은 시멘트 시공후 늘어나고 수촉할때 이음매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음....

  • @경리-v7w
    @경리-v7w Год назад +1

    소장님 벽체 이음 에서 보편적 구조일반사항 보면 겹침이음 관련 궁금합니다. 층수 에따라 철근 미리수 변화 간격의 변화의 따라 150 이네에는 겹침이음으로 본다고 알고있는데 그럼 밑에서 올라온 이음 철근과 새로 올라가는 다대철근이 1대1로 딱 안맞아도 되나요?

  • @sun4001
    @sun4001 Год назад +1

    경남지역에 철근을 맞대어 볼팅하는방식으로 체결하는제품이 있더군요...
    그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tuna-_-tuna
    @tuna-_-tuna Год назад

    재밌네요 ㅎ 평소 궁금했던 내용들 중 하나인데 덕분에 잘 감상했습니다. 다음에 또 봐야겠네요.

  • @overcross345
    @overcross345 Год назад +5

    고층빌딩 지을때 골조를 둘중 어떤게 더 튼튼하고 좋은지 알켜주세요

    • @송광마루
      @송광마루 Год назад

      저는 문송인데 이전 뉴욕무역센터 무너질때 H빔으로 건축해서 그냥 녹아 내렸죠. 철근콘크리드가 튼튼한 것으로 압니다.

    • @Memo-f7n
      @Memo-f7n Год назад +3

      위에분 뭔소리신지 H빔을 써야 백년 넘게 강도가 유지되고 높이 올릴 수 있어요 철근 콘크리트로는 고층 대형 빌딩 못지어요 못버티기에 요즘 고급 최신 아파트들도 H빔으로 짓고 100년 아파트라고 선전하는 이유가 그겁니다 무역센터는 H빔이 문제가 아니라 그열이면 뭐로 짓든 무조건 다 녹아 내립니다 열에 대한 내열은 철근이 H빔에 비해 택도 없이 약해요

    • @송광마루
      @송광마루 Год назад

      @@Memo-f7n 할 말이 없네여

    • @jungso8267
      @jungso8267 Год назад

      지나가다 아는 내용만 답글합니다.고층 건물에 어떤 구조체가 더 튼튼하다 단정 지을 수 는 없습니다. 지반구조라던지 바람 등 여러 외부 요인이 발생하기 때문이죠.
      최종 요구되는 강도를 산정하고 그 기준을 충족하는 구조를 선택하게 되는데 초고층 건물을 지을때 철골 구조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동일 강도에서 차지하는 유효 부피가 적어 고정 하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고 공기 즉, 공사기간을 더 단축시키기 때문입니다. 고층 건물일 수록 하부층으로 갈수록 고층 구조체를 버티기 위해 구조체가 더 커지면서 구조체 자체 중량+충격하중 등 여러 하중을 고려하여 구조체 자체 하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자제중량을 줄인다는것을 큰 메리트이죠 더불어 철골은 도면 확정시 바로 공장제작에 들어가면 현장 작업에 상관없이 사전에 제작이 들어가 필요시 바로 투입이 가능하지만 철콘구조는 스텝바이스텝 공정으로 순서대로 진행되기 때문에 사전 공정이 진행되지 않으면 후속 공정이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어 공기가 대비 많이 늘어납니다. 고층 건물이라는 것 자체가 도심지에 건축되는 게 일반적인데 공사기간이 가장 큰 비용입니다. 그래서 철골구조를 우선하는 이유입니다. 순수 공사비는 철골구조가 더 비쌉니다. 다만 그 비용을 공사기간 단축 등의 조건으로 상쇠 시키는 것이죠. 따라서 질문자께서 질문하신 내용 중 공사비, 공사기간, 내부 유효면적 등 모든 것을 무시하고 단순히 구조적 강도만 생각하면 철콘구조가 더 튼튼하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 @jungso8267
      @jungso8267 Год назад

      @@Memo-f7n 답변할 가치없는 지극히 개인적인 지식의 글. 1. 철골 구조체와 백년 강도는 전혀 상관없는 말이다. 2. 철콘 구조로 고층 대형건물 짓는다. 세계 고층 건물 확인 해보시길 3. 최신 아파트가 철골 구조를 사용하는 이유는 공기 단축이 가장 큰 이유이지 강도와 상관없다.100년 아파트라는 말은 우리나라 주거 건물에서 항상 사용하는 말이다. 4. 무역센터는 철콘, 철골 구조체 문제가 아니라 중간 구조체 붕괴로 상부 구조체가 일시적으로 하부 구조체를 붕괴시킨거지 1차 요인이 화재가 아니다. 또한 화재에는 철골이 더 취약하다.돌 과 철, 어느쪽이 더 열이 잘 전달되는지 생각해보시라

  • @월몽
    @월몽 Год назад

    단순하게 공중에 뜬 철근 같은건 용접해도 강한충격이 일시적으로 가해지면 쉽게 용접부위가 파손될꺼란 생각에 묶는갑다 했는데
    훨씬 여러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있었네요

  • @beginner_writing
    @beginner_writing Год назад +8

    영상 잘 보았습니다. 일반적인 건설현장에서는 철근이 버티는 힘이 파괴강도에 가까워지는 상황이 되면 규격에 딱 맞춰서 시공이 됐더라도 용접한 방식은 약점이 있을 수밖에 없겠네요. ^^
    이번에 튀르키에 지진에서 무너진 건물들에 대해서 분석해 주세요. 보니까 철근도 별로 안 보이고... 기타등등 문제가 많아보이던데....

  • @unarmed_civilian
    @unarmed_civilian Год назад

    건설 기능 전체가 자동화되면 해결될 문제네요 영상잘봤습니다!

  • @sunnysoneyt
    @sunnysoney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설명 진짜 잘하시네요. 어떤 알고리즘으로 이 영상이 떴는지 모르겠는데..너무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 @engineer_chat
      @engineer_cha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이태호-v1w
    @이태호-v1w Год назад

    고 박태준 회장님이 모래사장뿐이던 곳에 포스코라는
    거대 철강회사를 성공적으로
    만든 덕분에 자동차
    중공업 조선
    건축자재 철근도
    생산
    아파트 지을수 있는거임
    현대판 다리도~
    흙과 짚으로 만든 못사는 농업국가의 초가집을 없애고 공화학 중공업
    발전국가로 만들기 위해서

  • @장문성-d6i
    @장문성-d6i Год назад

    질문한 내용을 잘못 파악하신듯 합니다.
    첫영상도 그렇고 질문은 벽체철근 가로세로배근시 용접으로 안하고 결속선으로 결속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하는겁니다.
    또 스리브 설치시 보강철근을 용접으로 하지않고 결속선으로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입니다.

  • @밝은녹색숭어
    @밝은녹색숭어 Год назад +5

    소장님 궁금한점이 생겨서 물어볼려고 합니다.
    현직 20대 형틀 목수지만 20대초반에 일할때랑 30대를 바라보는 지금 많은 부분이 바뀌였잖아요.
    예를 들어 pc라던지 데크라던지 보 또한 철판으로 된? 이름은 모르겠습니다.
    지금 현장에서 할수 있는 일이 예전보다는 적어지지만 시대의 변화니깐 적응하며 살고 있습니다.
    다만 내가 나이를 들어 나중엔 먹고 살수 있을지 고민이 들때도 있습니다.
    소장님의 넓은 견해로는 어떻게 보십니까?

    • @jhsung3760
      @jhsung3760 Год назад +2

      형틀의 미래는 없음
      위험하고 힘들고..
      목수일 하실려면 내장으로 바꾸는 것도 생각해보세요
      원리는 같으니까 금방 배우실거에요

    • @밝은녹색숭어
      @밝은녹색숭어 Год назад +4

      @@jhsung3760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결혼할 여자친구가 있고 마치 건물처럼 짓고 있는 미래가 있다보니 한순간 바꾸기에는 많이 어려워도 한번쯤은 고려해봐야 할것 같네요
      더럽고 힘들고 덥고 춥고 외국인에 치여 일자리는 없어지고 그럼에도 자부심은 가지고 있는지라 형틀로 오래해보고 싶기도 하네요

    • @engineer_chat
      @engineer_chat  Год назад +3

      충분히 좋은 직업입니다.
      일 양이 적어지는것도 아닙니다. 재건축 재개발의 물량도 많고 무엇보다 가구수의 증가로 인한 새롭게 시공해야할 주택수는 결코 적어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프리랜서라는 직업의 형태도 매력적입니다. 열심히 한다면 하는 만큼 벌수 있는 직업입니다.
      다만 추가로 말씀드리고 싶은건 나를 고용해주는 사람의 폭을 넓혀야 합니다. 프리랜서의 숙명이죠
      끊임없이 자기 실력 향상과 인적 네트워크를 넓히는데 투자하시면 더 좋은 결과가 있을겁니다. 화이팅 하십시오. 응원합니다.

    • @soundkit
      @soundkit Год назад +2

      저희 회사 직영형틀분들은 드론1종, 스케치(입면도), 측량(트렌싯,광파기), 3d프린트설계와 유지보수, 실무캐드자격증, 필수중장비(지게차,타워)등등 많이들 준비하시더라구요
      아무래도 건축은 캐드와 카티아는 필수이니 공부하시는 것이 더욱더 본인의 업을 심화시켜줄 것 같네요
      드론같은 경우는 1종이시면 관리업무 볼 시 도움됩니다
      자격증 쉽게 따실 수 있는 것들만 나열해봤습니다
      그다음은 적산배우시면 됩니다 다들 그까진 하세요

  • @최상건-c9c
    @최상건-c9c Год назад

    전에 건설현장에서 1년 일 할때 철근 이모님이 가르쳐 주셨던 결속선 연결 정말 짱짱하죠

  • @kk12
    @kk12 Год назад

    걍 딱봐도 겹침이음이 좋을거같음.
    용접은 부러지겠지만, 철사 겹침이음은 휘어질지언정 부러지진 않을 것 같다는.

  • @han-sm
    @han-sm Год назад

    예전부터 궁금했던거라 썸네일로 보자말자 너무 반갑게 여기며 들어왔는데 설명하는 방식이 너무 깔끔하고 탄탄하시네요 덕분에 영상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승준-g8e
    @김승준-g8e 3 месяца назад

    왜 철근 작업시 용접보다 겹침이음을 해야하는지 이론적으로 몰랐는데 덕분에 잘알아갑니다

  • @live-like-waves
    @live-like-waves Год назад

    저 궁금한 게 있는데요. 간혹 목조주택 만드는 영상을 보면 느낀건데 어떤 사람은 콘크리트 기초를 할 때 철근을 철사로 고정하는데 어떤 영상을 보니 철근기초를 모두 용접 하더라고요. 그럼 용접한 철근 기초는 잘못된 건가요? 예전에 그걸로 두 유튜버들이 서로 디스 하는걸 본적 있었거든요. 용접 하지않아도 된다는 사람과 용접하지 않아 하자이기에 용접을 해야 한다는 사람.

  • @sfk1031
    @sfk1031 Год назад

    철근은 간격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콘크리트가 고정되니 한번 굳은 콘크리트가 뜯어질 가능성은 없지.
    콘크리트가 굳으면서 수축이 발생하면 용접따위는 간단하게 깨지는거지. 열을 가하는 그 시점에서 오히려 내구성도 떨어지고
    노출되지 않으면 부식도 안되지.

  • @H다니엘
    @H다니엘 Год назад

    철근 결속은 교차부에 고정조치를 해서 타설 후 RC조 내에서 설계된 위치에 정착시키기 위한 조치이고,,,
    철근 이음은 교차부가 아니고 연결부에 적용하는 거 아닌가요?
    결속 내용에서 바로 이음 내용으로 이어져서 뭔가 제가 아는 지식이랑 다르게 설명되는거 같아서 질문 남깁니다

  • @minjunyeong5276
    @minjunyeong5276 Год назад

    맞습니다. 아주 잘 설명해 주시는군요.

  • @그린크로스
    @그린크로스 Год назад

    스트랩도 요즘은 내진규정때문에 예전의 ㄱ 자 스트랩에서 갈고리로 바뀌고 그렇게 하고있죠... 솔직히 요즘 너무 규정만 빡새지긴 했습니다.구조기술사분이
    오셔서 보 배근한거보면 너무 무식하다고 할정도니까요. 용접같은경우는 품질문제도 문제인데... 시간, 비용이 천문학적으로 많이들거같습니다 게다가 저걸 검사한다는거자체가 말이안되기도하구요 ... 요즘은 철근조인도 전동화되서 하카vs밴딩기해봤는데 밴딩기쓰면 2.5~3배정도 빠르더라구요

  • @정천후
    @정천후 Год назад +1

    우선 구독 먼저 누루고 시간 날때마다 영상 봐야겠네요

  • @동물의왕국k
    @동물의왕국k Год назад

    제 의견은 돈 때문인거 같아요. 설계직중인데 모든게 돈이더라구요. 저 모든걸 용접하려고하면 거의 기본 예산 100배는 넘게들텐데

  • @Polas-w8x
    @Polas-w8x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교량도 보면 한쪽은 원기둥으로 움직이게 되어있는데 완전히 붙여버리면 철 수축 팽창에 의한 응력으로 부숴져버릴 위험이있기때문임

  • @hkk9278
    @hkk9278 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지나가던 건축공학도입니다
    기둥 주근 겹침이음시에는 지진같은 횡하중에 붕괴될경우 철근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지않아 큰 피해로 이어질수있다고 배웠는데
    혹시 슬라브나 보 배근과 기둥 배근을 달리하나요?

    • @engineer_chat
      @engineer_chat  Год назад

      철근을 가는 철선으로 묶는 이유는 후속 작업이나 타설시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게 하기위함입니다. 기둥철근도 마찬가지구요.

  • @이우형-k9z
    @이우형-k9z Год назад

    와~~ 상식을 늘이는데도 좋은 채널이네요...제가 궁금한걸 바로 알려주시는군요..바로 구독합니다

  • @Dex5-
    @Dex5- Год назад

    저런 기술적인걸 작업장 근무자들이 알고 그대로 진행 해야하는데 아니 차라리 모르면 시키는대로 작업해야하는데 가끔 현장 근무자들이 자런걸 무시하고 자기 잘못된 상식으로 작업하면서 문제가 발생함.....

  • @zldwm
    @zldwm Год назад +1

    저희 아버지 생각나네요.. 평생 여가도 없이 일만 하셨는데..

  • @yonghunsin5911
    @yonghunsin5911 Год назад +1

    간만에 제대로된 건축 영상을 보네요 구독하고 갑니다. 홧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