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플랫 슬래브 배근/ 전단보강근/ 무량판 슬래브 배근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1 авг 2024
  • 플랫 슬래브 부재의 배근 원리와 전단보강근에 대해 설명합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98

  • @user-cu5mz1lq1f
    @user-cu5mz1lq1f Год назад +21

    순살자이사태를 보고.. 모르면 당한다싶어 공부하러왔습니다 감사합니다 ❤

  • @sangs1432
    @sangs1432 Год назад +5

    [철근 배근 이론과 실무] -대가북스 출판사
    저자 이신 것 같으신데요
    어려운 내용 설명자료로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mart-lm5ww
    @Smart-lm5ww Год назад +10

    건설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우연히 처음 동영상을 봤는 데, 전달력이 매우 훌륭했습니다. 유튜브 댓글 처음 달아 봅니다. ^^~

  • @mansa-ok
    @mansa-ok Год назад +11

    차분한 도면 시공해석 잘 듣고 갑니다.
    건축기사 시공사 뿐 아니라
    철근콘크리트 관리자 뿐 아니라 철근 팀장들도 이런걸 좀 봐야 할거 같습니다.

    • @user-fk8mq8jv3s
      @user-fk8mq8jv3s Год назад

      보면 뭐해요. 녜미 씨벌놈덜이 시키면 시키는대로 해야 하는데 "내 배근경력 10여년에 이런 배근은 본적이 읍써요" 하고 개소릴하며 말을 안듣는데. 그러면 나는 그러죠 "집주인이 직접하려니 힘들고 어려워서 느덜한테 돈주고 부탁하는게야~느덜은 전문가잖여~~"

  • @user-zq5lx8nc6v
    @user-zq5lx8nc6v Год назад +7

    순살자이 사고때문에 전단보강근 공부하러 왔어요 :)

  • @byungokjung4460
    @byungokjung4460 Год назад +4

    gs 사태보다 먼저 예견이나 한듯한 적절한 강의였습니다 좀더
    이해를 해야할 부분이 있어서 머리좀 식히고 강의를 들을께요
    감사합니다

  • @david4w
    @david4w Год назад +6

    이 분야에 대한 지식을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gml9872
    @gml9872 Год назад

    그옛날 기사시험 공부할 때 '플랫'과 '플랫플레이트' 요 둘 명칭이 자꾸 헷갈려서 '그밖의 형제 슬래브들' 하고 걍 넘어갔던 웃긴 추억이 떠오릅니다
    대한민국의 모든 (토목/건축)구조기술사분들을 존경합니다

  • @user-xo5wb1ze4h
    @user-xo5wb1ze4h Год назад +2

    철근 지식 저장소 영상을 잘들었습니다 좋은 소식 감사합니다

  • @user-qz3hi3gt7c
    @user-qz3hi3gt7c Год назад +1

    설명 차분히 정말 강의 잘 하시는군요 ~

  • @user-lw2xl9ni5r
    @user-lw2xl9ni5r Год назад +4

    오랜만에 동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

  • @zjaaosi
    @zjaaosi Год назад +1

    도면 보는 공부를 하면 좋겠는데 쉽지가 않네요. 기초 지식이 많이 부족 해서 이해 되는 부분만으로 설명을 들었네요. 강의 감사 합니다.

  • @Quick-n-easy24
    @Quick-n-easy24 2 месяца назад

    명강의 이십니다 ㅠㅠㅠㅠ

  • @user-yk1wo6ne7e
    @user-yk1wo6ne7e Год назад +4

    제대로 시공하지않으면 굉장히위험한 구조네요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주차장이 층층이 지하화되어 있는데 무량판의 경우 벽식보다 하중에 취약한 부분이 있겠습니다 돈은 제대로 받고 위험성이 있는 무량판으로 원가절감한 주택에 살다니 기가찰노릇입니다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2

      네. 라멘구조는 보에서 전단보강이 이루어지지만 무량판구조는 전단보강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취약하게 됩니다.

  • @user-gu5uf1wq5p
    @user-gu5uf1wq5p Год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 @user-xo5wb1ze4h
    @user-xo5wb1ze4h Год назад

    영상을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vg8uo7rt7h
    @user-vg8uo7rt7h Год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혹시 철근 콘크리트 나타내는 영상 프로그램은 어떤거 쓰시는 거에요? 엄청 고 퀄리티네요.. ㅎㅎ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1

      그냥 파워포인트에 있는 도형으로 그린 것들입니다. 다른 프로그램을 쓰면 변환하기도 번거롭고 해서.. 파워포인트로 영상을 만든 거라 도형 삽입해서 간단히 그린 것들입니다. ^^

  • @user-iz3to3nk8d
    @user-iz3to3nk8d Год назад +3

    개인적으로는 무량판 구조에 대한 안전율을 더 높였으면 하네요. 계속해서 사고가 나는것을 보면 시공에 대한 안정성이 그다지 좋지 않은것 같네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3

      발표내용으로 보면 콘크리트 강도도 부족했고 구조설계상 고려했던 흙높이보다 훨씬 더 높게 쌓았으니 거의 총체적 부실이라고 해야 할 듯합니다.

  • @jrunsa1216
    @jrunsa1216 Год назад +1

    Good job

  • @turnturnjust3647
    @turnturnjust3647 Год назад +3

    아파트 시공시 전단보강근을 빼먹고 시공했다고 뉴스에서 나오든데요
    뉴스에서 말하는 전단보강근이 기둥안에 들어가는 철근인가요? 아니면 기둥과 슬래브가 만나는 주변에 들어가는 철근인지 궁금합니다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3

      전단보강근은 기둥과 슬래브가 만나는 주변에 배치합니다. 기둥안에 들어가는 경우는 없습니다.

    • @user-hc4mz3vv2w
      @user-hc4mz3vv2w Год назад

      ​@@rebarwork그러니까 슬래브와 기둥시이에 넓적한거 대는거 말하는거죠?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1

      @@user-hc4mz3vv2w 네. 지판(Drop pannel)을 덧대면 콘크리트 두께가 두꺼워져서 전단력을 더 많이 지지할 수 있는데, 그래도 부족할 경우 전단보강근을 추가로 배치하는 것입니다.

  • @user-gh1zu7yl8v
    @user-gh1zu7yl8v Год назад +1

    보강 철근은 무조건 16mm, 19mm 철근으로 넣도록 정해주세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네.. 지금은 철근의 굵기를 키우는 것보다는 어떻게 하면 빼먹지 않고 시공하게 할 수 있을까에 더 신경을 써야할 것 같습니다.

  • @user-rc8zf1pb8c
    @user-rc8zf1pb8c Год назад

    무량판공법만의 문제가 아니다. 모든 건물들을 조사해서 보완해야한다.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1

      네.. 공법의 문제는 아닐 겁니다. 보가 없는데 그냥 슬래브처럼 하면 되겠지.. 하고 생각했을 수도 있고요... 익숙하지 않은 공법이고 사람이 실수하기 쉬운 탓이겠죠..

  • @ushuaiau8009
    @ushuaiau8009 Год назад +1

    순살아파트 없는 세상 빨리오길

  • @turnturnjust3647
    @turnturnjust3647 Год назад +1

    Gs건설 무너진 이유는
    기둥은 철근이 좀 부족해도 하중을 견딜수있지만 슬래브에 전단보강근을 적게 넣어서 또는 누락해서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무너졌다고 볼수있을까요?
    콘크리트 강도 기준은 지켜졌다고 가정하고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4

      철근이 누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설계보다 흙을 더 많이 덮어서 하중이 더 많이 실린 것이지요.

  • @jeongxgong2082
    @jeongxgong2082 Год назад +1

    (건물 , 구조 안전이 최 우선 )

  • @user-ug6fx1qu2g
    @user-ug6fx1qu2g Год назад

    음... 설명 잘 들었습니다~
    근데 기둥과 보를 배치하는 이미지가 실제와 달라 아쉽네요.....
    설명의 순서에 따라 진행하다보니 그러셨겠죠?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네. 힘이 전달되는 과정에 맞추어 설명하기 위해 시공순서와 다르게 만들었습니다.

  • @Beautiful34567
    @Beautiful3456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바쁘신데 소중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동마다 주차장이 지하로 연결되어있고 엘베도 주차장이랑 전부 연결되어있는데 구냥 별개건물로 생각하고 지내도 괜찮을까요? 신축 아파트 계약하고나니 주차장만 무량판(드롭패널식) 구조인데 너무 무서워서 댓글 남겼어요 ㅜㅜㅜㅜㅜ

    • @rebarwork
      @rebarwor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차장 층고를 높이기 위해 무량판으로 많이 해왔습니다. 순살자이는 몇가지 잘못이 겹치는 바람에 사고가 난, 특별한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아파트는 문제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하주차장 위에 아파트를 올리지 않는 이상, 다른 기초로 지지되는 별개의 구조물이라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Beautiful34567
      @Beautiful3456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자꾸 질문드려서 죄송합니다 제가 너무 헷갈려서요 ㅜㅜ 지하주차장에서 엘베타고 올라가면 바로 주거동이라 지하주차장위에 바로 아파트라고 생각했거든요 이렇게 엘레베이터로 연결되어있어도 건물자체는 분리해서 생각하면 되는거겠죠? ㅜㅜ

    • @rebarwork
      @rebarwor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 아파트는 벽식구조로 되어 있어서, 지하주차장과는 별개로 하중이 벽체를 타고 기초로 전달됩니다.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Beautiful34567

    • @Beautiful34567
      @Beautiful3456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넵 소중한 답변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

  • @ksk1498
    @ksk149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조도의 드롭패널 두께는 슬라브를 포함한건가요? 보와달리 드롭패널 두께만 구조도에 표현된건가요

    • @rebarwork
      @rebarwor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슬래브 일람표에 표기할 때는 드롭패널의 두께를 뺀 판의 두께만 표기합니다. 구조평면이나 상세도에 드롭패널의 크기를 표기합니다.

  • @Beautiful34567
    @Beautiful3456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차장만 드롭패널이 들어간 무량판 주차장이고 주거동은 벽식 구조인데 주차장이 무너지면 주거동도 같이 무널질까요?

    • @rebarwork
      @rebarwor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니요. 별개 건물이니까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 @user-bl4lq5so9w
    @user-bl4lq5so9w Год назад

    포항지진 당시 노후빌라가 많이 붕괴되고, 신축 빌라라도 가둥이 없는 빌라가 금이 많이 갔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필로티 기둥으로 된 원룸이 피해가 많았고...벽에 창문이 있는 경우도 벽에서 창문 위 아래방향으로 지진력이 많이 전달되어 피해가 컸습니다. 지진에 대해서는 계속 업데이트하겠습니다.

  • @henrychang7774
    @henrychang7774 Год назад

    그냥 회오리감자~~~ 무너지면 펜케이크?라는 말이네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멋진 비유이신데.. 마음 한구석이 아프네요..

  • @user-sp6bh5qj5p
    @user-sp6bh5qj5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봐도 뭐가뭔지 모르겠다. 머리 좋은사람이 너무많아..

    • @rebarwork
      @rebarwork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시간의 문제 아니겠습니까. 기준을 만드는 것도 기준을 적용하는 것도 모두 사람이 하는 일인데 사람이 얼마나 차이가 있겠습니까.. 얼마나 오래 쳐다보고 관심을 가졌는냐의 차이 아닐까요? 물론 시간이 지나서 조금씩 알게 되면 재미도 생기겠지만요..

  • @user-ds2tq6dm4h
    @user-ds2tq6dm4h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이번 주차장사고원인은 기둥이 아니었나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1

      곧 조사결과가 나온다고 하네요..7월초에..

    • @user-iz3to3nk8d
      @user-iz3to3nk8d Год назад +3

      사고원인은 기둥의 전단보강근 누락이 가장큰 원인이라고 하네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4

      @@user-iz3to3nk8d 네. 설계단계에서도 시공단계에서도... 그 많은 사람들이.... 도면도 보고 시공하는 것을 쳐다보면서도 아무도 이상하다는 생각을 안 했다는게 신기할 따름입니다. 뭘 보고 일한 걸까요?

    • @user-ds2tq6dm4h
      @user-ds2tq6dm4h Год назад +1

      @@user-iz3to3nk8d 기둥의 띠철근을 말하나요?

  • @user-hq3kn8ty1j
    @user-hq3kn8ty1j Год назад

    님 근데요 초중고대학 까지 충간소음이 없을까요 아파트와 차이점 알고싶습니다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질문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기가 힘든데요.. 학교건물은 라멘구조라는 방식을 쓰고, 아파트는 벽식구조를 주로 사용합니다. 라멘은 기둥에 보를 대고 슬라브를 얹는 방식을 말합니다.

  • @user-so8bm4yi7j
    @user-so8bm4yi7j Год назад

    추천 교제가 있을까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1

      철근 책은 많이 없는 편입니다.
      철근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철근배근 이론과 실무'(대가출판사)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531929
      철근에 대해 어느 정도 지식이 있으시다면 기술사회에서 출판한 '철근콘크리트 배근 상세'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429387
      두 권 정도일 것 같습니다.

  • @user-bf1jq8il4z
    @user-bf1jq8il4z Год назад

    목소리가 울림의 소리가 나네요 확인 바랍니다 ^^

  • @user-hc4mz3vv2w
    @user-hc4mz3vv2w Год назад +1

    순살 자이문제게 뭔지 쉽게설명해주실분 계시나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5

      1. 철근 누락. 설계 잘 못으로 빠진 것도 있었고, 현장에서 빼먹은 것도 있었습니다.
      2. 콘크리트 강도 부족. 설계기준강도의 85%수준에도 미치지 못한 걸로 나왔습니다.
      3. 설계보다 하중과다. 구조설계를 할 때 가정했던 것 보다 흙을 더 두껍게 덮는 바람에 하중이 훨씬 더 많이 가해졌죠.
      결국 구조물은 설계보다 약하게 만들어졌는데 하중을 더 무겁게 가한 꼴이 된 셈이죠.

    • @user-hc4mz3vv2w
      @user-hc4mz3vv2w Год назад +1

      @@rebarwork 아아. 그래서 문제가 되는군요. 감사합니다~

    • @user-jg1ol2vi5j
      @user-jg1ol2vi5j Год назад +1

      그럼 시간갈수록 강도가 약해지고 지진시 취약한 구조인가요

    • @user-hc4mz3vv2w
      @user-hc4mz3vv2w Год назад +1

      ​@@user-jg1ol2vi5j강도가 약하니까 당장 걱정(불안)이 되고 지진시 혹시라도 무너질까봐 쇠파이프 대고 잇쟌아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1

      @@user-jg1ol2vi5j 무량판구조가 문제인 것은 아닙니다. 어떤 구조방식이라도 순살자이처럼 비슷하게 부실시공을 하면 마찬가지가 되겠지요. 그리고 지하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지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습니다.

  • @gogetitha1317
    @gogetitha1317 Год назад

    설계 잘해도 현장에 가보면 ,,, 콘크리트 타설도 마찬가지이고,,,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그래도 더 나아지겠죠..

  • @user-hq3kn8ty1j
    @user-hq3kn8ty1j Год назад

    님 근데 일반건축 할때 H 빔스는데 왜아파트는 안쓰는가요 혹시 원가절감 인가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단편적으로 답변을 드리기가 어려운데요.. H형강을 사용하는 공법과 콘크리트에 철근을 사용하는 공법이 여러가지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H형강을 쓰는 공법은 일단 기둥 사이가 15m가 넘는 구조물이나 대형구조물에 적합합니다.

    • @user-hq3kn8ty1j
      @user-hq3kn8ty1j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user-do3yp6ou1l
    @user-do3yp6ou1l Год назад

    이것 이론대로 시공했을 때,그나마 사고가 안나겠지만 우리나라에 이런 극히 이론적 구조에 근거하여 시공하는 건설사가 과연 있을까? 있어야 되 것도 몽땅 빼먹는 인간들인데? 앞으로는 못믿을 국내 감리대신 감리도 선진업체만 하게하고, 중대결함시 건설사 대표 와 현장책임자에겐 무기징역형 이상 중형에 처해야만 근절 될까 말까이다. 철근의 강종이 울트라니 뭐니는 애초에 현장에서 지켜지지 않을 이론에 불과하다

    • @rebarwork
      @rebarwor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말씀이 모두 맞다고 해도.. 모든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 중에 왜 건설업에 종사하시는 사람들이 그렇게 부도덕(하다고 생각을 하시는 것 같아서..)하게 된 것인지 그 이유를 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건설산업의 구조상 그럴 수밖에 없다고 대답할지언정...

  • @user-xr3nc9ye7k
    @user-xr3nc9ye7k Год назад

    이해는가는대 굳이 왜이래야되는지

    • @rebarwork
      @rebarwor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조공법은 나름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잘 적용되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죠.

  • @Charm_Crystal_Resin
    @Charm_Crystal_Resin Год назад

    부실시공 건설기술
    중국에서 배워왔나?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1

      지적하신 것처럼 철근 배근에 대한 교육도 중요한 문제입니다.

  • @jongpark7234
    @jongpark7234 Год назад

    이 아저씨, 미국 ACI ㅡ를 보고 말하네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네.. 현행 기준은 거의 미국기준을 번역한 것이니까요..

  • @user-wk5di7vk8f
    @user-wk5di7vk8f Год назад

    무량판구조 그자체가 사기꾼임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그래도 변명을 드리자면 구조적인 원리는 동일합니다. 바닥 판 중에서 기둥열이 줄지어 있는 부분은 힘을 많이 받기때문에 콘크리트를 두껍게 하고 철근을 많이 넣습니다. 그래서 두꺼운 보가 있는 거지요.. 무량판은 보가 없기때문에 보가 지나가야 할 위치에 철근을 더 많이 넣어 주어야 할 뿐인데... 그것을 무시한 게 문제입니다.

  • @sejongking8994
    @sejongking8994 Год назад

    그냥 상식적으로, 아파트를 30층 이상 짓는다면, 아니 최소 10층을 지어도, 무량판으로 올리면 , 1층 부터 10층 까지 전부 기둥만 있고, 방바닥과 천장은 그냥 아무것도 없는 상태잖아. 겁나지 않나? 그게 언제든 무너 질 텐데. 무량판 공법이 허가 되기전 까지는, 전부 보를 대고 건설을 했다는 건데, 그때 아파트 팔아서 손해 봤다는 건설사 있었냐?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1

      초고층을 제외하고 아파트는 대부분 벽식구조입니다. 기둥에 무량판슬래브를 쓰는 구조는 거의 지하주차장만 사용합니다. 아파트가 있는 부분은 기초서부터 벽식구조입니다. 동 사이에 있는 주차장부분만 무량판구조입니다.

    • @user-qp8kd4mn3p
      @user-qp8kd4mn3p Год назад

      대부분 아파트는 벽식 구조 입니다. 이게 상식입니다.

  • @user-oh8wy9lj2l
    @user-oh8wy9lj2l Год назад

    무량판 금지시켜야됨 계속 반복되게 되어 있음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1

      제 입장에서는 철근공사와 관련된 제도적인 문제와 현재의 관행을 심각하게 재고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hjpark1023
    @hjpark1023 Год назад +1

    삼풍백화점의 추억.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1

      이런 사건이 계속 반복되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 @GODDMNA
      @GODDMN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에 대해 껍데기만 아는 분 같습니다. 삼풍백화점이 무량판 구조였다, 이거만 아는.
      그런데요, 삼풍백화점이 무량판 구조라서 무너진 게 전혀 아닙니다. 시행, 설계, 시공, 이후 운영 및 증축까지 해서는 안될 실수와 고의만 골라서 한 결과가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입니다. 오히려 5년이나 무너지지 않고 버텼던 게 대단하다 봐야 합니다.
      구조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의 안일함과 탐욕이 문제입니다.

  • @hok2242
    @hok2242 Год назад

    벽식구조는 금떵이를 처발라도 쓰레기다 ㅎㅎ어딜감히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2

      구조방식에 따라 나름의 장단점이 있겠지만 지금의 문제는 제도와 사람의 문제가 더 큰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