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계획은 본 영상을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고요, 주요업무계획은 학교업무가 너무 많아 아직 확인을 하지 못하여서 먼저 읽어보고 주요개념 중 공유할만한게 있으면 또 찾아뵙겠습니다~!! 시책 어렵지만 큰 얼개를 잡고 반복적으로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선생님! 화이팅입니다~!
고교학점제를 하다보면 소수인과목이거나(보통 폐강 등 변동이 발생), 혹은 신기술 학문이면 강사 구하기가 어려워 실제적으로 학생이 수강신청을 원해도 개설되기 힘든 상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런 경우 인근 학교에 해당 과목이 개설되면 학교간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해 이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공동교육과정인데요, 상대적으로 대도시에 살지 않는 읍면소재 거주 학생들은 그마저도 인프라가 없어서 강사 구인이 안되거나 인근 학교들도 비슷한 상황이라 강좌 개설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어 학습격차, 교육격차, 지역격차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무엇보다 학생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할 수 없게 되기때문에 온라인으로(원격수업) 과목을 개설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원에 경기이음온학교를 설립하여 온라인의 형태로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경기이음온학교를 '학점인정 공립 온라인 학교'라고 부르며 역시 공동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을 바탕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쉽게 말해서 공동교육과정은 지역안에서도 인근 학교들에서 운영되는 오프라인 수업에 참여하여 학점을 이수하는 것을 말한다면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경기이음온학교는(경기 온라인 학교) 시공간을 넘어 어디에서나 원격으로 수업을 듣고 학점을 이수할 수 있는 온라인 형태의 공동 교육과정안에서 수업에 참여하고 학점을 이수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동교육과정은 오프라인이며 물리적 거리의 제한이 따르고, 경기 온라인 학교는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이므로 시공간을 초월하기 때문에 온라인이냐 오프라인이냐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우선 하이러닝은 하나의 콘텐츠 소프트웨어(프로그램)라고 이해하시는게 편합니다. 저도 하이러닝 연수를 들을때 조금이나마 실습을 해보았는데요, 하이러닝은 교사가 학급운영을 할때 사용하기도 하고, 수업중에 AI로 문제 만들거나 수업에서 사용될 콘텐츠를 사용하기 좋은 하나의 플랫폼(도구)입니다. 반면 경기온라인학교(경기이음온학교)는 고교학점제 적용에 따른 학점인정을 수월하게 하기위한 것으로 신기술 학문이어서 교내에서 개설이 어렵거나 소인수 수강 과목이라 개설이 불가하거나 등의 이유로 수강이 어려워진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온라인학교에서 과목을 개설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온라인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단순히 하이러닝같은 플랫폼이나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학점 인정 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교육과정의 개념입니다. 그 안에서 수업을 진행할때 하이러닝을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선생님~ 정말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부족한 영상인데 도움이 되었다니 제가 더 기쁘네요. 1차 합격 축하드립니다.^^
시책 보기 막막했는데 감사합니다^^
시책 정말 처음에 공부할 땐 막막하죠..!🥹 그치만 ‘내가 들어가서 일 할 회사다!’라고 생각하면서 반복적으로 보다보면 큰 틀이 잡히고 주요 개념들이 저절로 암기될 거예요! 화이팅입니다~! 도움될만한 영상 곧 들고올게요~!
도움이 많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시책 공부 힘내세요! 화이팅입니다!🙏
어제 올라왔는데 정리 같이 하고싶어요!
안녕하세요? 도움이 될만한 부분이 있으면 또 영상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cheezeeu 기본계획도 올라왔던데 정리 해주실 계획 있으세요?
기본계획은 본 영상을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고요, 주요업무계획은 학교업무가 너무 많아 아직 확인을 하지 못하여서 먼저 읽어보고 주요개념 중 공유할만한게 있으면 또 찾아뵙겠습니다~!! 시책 어렵지만 큰 얼개를 잡고 반복적으로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선생님! 화이팅입니다~!
영상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개인적으로 궁금한 것이 있는데 고교학점제 시행에서 온라인 학교와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의 차이를 어떻게 구분지으면 좋을까요?
고교학점제를 하다보면 소수인과목이거나(보통 폐강 등 변동이 발생), 혹은 신기술 학문이면 강사 구하기가 어려워 실제적으로 학생이 수강신청을 원해도 개설되기 힘든 상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런 경우 인근 학교에 해당 과목이 개설되면 학교간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해 이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공동교육과정인데요, 상대적으로 대도시에 살지 않는 읍면소재 거주 학생들은 그마저도 인프라가 없어서 강사 구인이 안되거나 인근 학교들도 비슷한 상황이라 강좌 개설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어 학습격차, 교육격차, 지역격차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무엇보다 학생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할 수 없게 되기때문에 온라인으로(원격수업) 과목을 개설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원에 경기이음온학교를 설립하여 온라인의 형태로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경기이음온학교를 '학점인정 공립 온라인 학교'라고 부르며 역시 공동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을 바탕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쉽게 말해서 공동교육과정은 지역안에서도 인근 학교들에서 운영되는 오프라인 수업에 참여하여 학점을 이수하는 것을 말한다면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경기이음온학교는(경기 온라인 학교) 시공간을 넘어 어디에서나 원격으로 수업을 듣고 학점을 이수할 수 있는 온라인 형태의 공동 교육과정안에서 수업에 참여하고 학점을 이수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동교육과정은 오프라인이며 물리적 거리의 제한이 따르고, 경기 온라인 학교는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이므로 시공간을 초월하기 때문에 온라인이냐 오프라인이냐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cheezeeu 온라인학교가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운영하는거였군요~
저는 두개가 다르다고 들어서 별개의 것인줄 알았는데 틀린정보였나보네요 감사합니다!!😊
@@user-vo1vb6el1i 원리는 같지만 방법이 다르기때문에 서로 다른 개념이긴 합니다. 아무튼 경기온라인학교는 공동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을 바탕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cheezeeu 이해되었어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하이러닝에서도 다양한 교육콘텐츠를 제공하고 경기 온라인학교에서도 다양한 교육콘텐츠를 제공하는데 두 곳에 올라오는 콘텐츠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우선 하이러닝은 하나의 콘텐츠 소프트웨어(프로그램)라고 이해하시는게 편합니다. 저도 하이러닝 연수를 들을때 조금이나마 실습을 해보았는데요, 하이러닝은 교사가 학급운영을 할때 사용하기도 하고, 수업중에 AI로 문제 만들거나 수업에서 사용될 콘텐츠를 사용하기 좋은 하나의 플랫폼(도구)입니다. 반면 경기온라인학교(경기이음온학교)는 고교학점제 적용에 따른 학점인정을 수월하게 하기위한 것으로 신기술 학문이어서 교내에서 개설이 어렵거나 소인수 수강 과목이라 개설이 불가하거나 등의 이유로 수강이 어려워진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온라인학교에서 과목을 개설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온라인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단순히 하이러닝같은 플랫폼이나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학점 인정 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교육과정의 개념입니다. 그 안에서 수업을 진행할때 하이러닝을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cheezeeu 선생님, 정~~~~~말 감사합니다~!!!! 이해 정말 잘 되었습니다:P:P
온라인학교와 하이러닝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위에 다른 선생님께서 질문해주셔서 답 달아놓았으니 참고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