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자특강] 2차 시험 고득점 비법 대방출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3

  • @Gyul_Myul_Syul
    @Gyul_Myul_Syul 20 дней назад

    귀한 시간 내어 영상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cheezeeu
      @cheezeeu  20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햅삐한나
    @햅삐한나 21 день назад

    매번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항상 느끼는건데 목소리가 듣기 편해서 좋네요.. 목소리에 자신 없는 저로써는 부러워요 ㅠ 잘생기신것도..^-^ 항상 감사합니다

    • @cheezeeu
      @cheezeeu  21 день назад

      어익후! 편한 목소리로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학생들은 졸기도 한답니다..^^; 자신감 가지시고 반복과 연습을 통해 꼭 좋은 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새 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dalonglee4605
    @dalonglee4605 10 дней назад

    혹시 ㄱㅈㄱ로 감독관 가셨나용? 넘 비슷한분을 뵌거같아서😅

    • @cheezeeu
      @cheezeeu  10 дней назад

      @@dalonglee4605 아마 저 맞을거예요! ㅎㅎ 수학교과셨나요? 복도에서 오다가다 뵀을수도 있겠어요! 반가워요 선생님~! 🙌 시험 보시느라 너무 고생많으셨습니다~!👏

  • @운사-d2b
    @운사-d2b 19 дней назад

    선생님 꼭 붙어서 후배 교사로 가겠습니다 반겨주세요!!!

    • @cheezeeu
      @cheezeeu  19 дней назад +1

      @@운사-d2b 물론입니다~! 선생님! 얼른얼른 오세요~!!꼭! 최종합격 하시길 응원합니다~! 새 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이나영-e1v
    @이나영-e1v 21 день назад

    선생님 꿀팁들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다름이 아니라 고민이 있어 답글을 드려봅니다..! 제가 수업실연때 구상지를 계속 확인하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런 부분은 유창성 부분에서 좋지 않게 보이겠죠ㅠ? 기억력이 나빠져서 걱정입니다ㅠㅠ 구상시간에 집중력이 부족해서 기억을 잘 못하는건지..😢 경기도 같은 경우는 구상을 21분 정도 하고 남은 시간은 어떻게든 수업 흐름 외우는게 좋겠죠?

    • @cheezeeu
      @cheezeeu  21 день назад +1

      선생님~ 구상지를 중간중간 체크하면서 하시는 것은 상관없지만 너무 구상지에만 시선을 두고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면 좋게보이지는 않을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oo이가 손을 들어주었어요."라는 말을 구상지를 보고 말한다면 실제로 학생이 손을 들었다는 것을 보지도 않았으면서 멘트만 하게되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습니다. 수업구상지에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수업의 흐름(단원명, 학생이름, 활동1,2의 내용, 배점요소 조건들)을 위한 것들을 확인할때는 당연히 구상지를 중간중간 보시되,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장면(발표, 순회지도, 대화 등)에서는 꼭 구상지가 아닌 앞을 보고 실제로 학생들이 있다고 가정하고 연기를 하시면 좋고요, 순회지도시에는 실제로 학생이 앉아 있다고 생각하고 눈높이에서 지도를 한다거나 등의 수업의 유창성을 보여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상지를 계속 보고싶은 것은 혹시나 빠트린 것이 있나 불안해서일 것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활동1이 마무리되면 한 번 구상지를 보면서 빠트린 조건이 없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해보는 식으로 훑어보시고 다음 활동2 넘어가셔도 되니깐, 물론 수업상황이므로 "자, 그러면 교과서 24쪽을 한 번 볼까요?"라는 멘트를 하면서 교사도 교과서를 봐야하니깐 이 틈에 얼른 조건을 확인하시고 다음 전개되는 수업활동을 확인하는 등 유연하고 여유롭게 수업실연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무조건 수업 상황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시고 자연스러워 보이게 시험 조건들을 캐치해내는 연습 해보세요! 힘내세요, 선생님! :)

    • @이나영-e1v
      @이나영-e1v 20 дней назад

      @ 세심한 꿀팁과 조언 정말 감사드립니다🥹 실제 수업상황!! 명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소소-n3d
    @소소-n3d 22 дня назад +1

    선생님 안녕하세요.
    스터디없이 혼자공부를 하는데 아직도 모르는게 많아서 여쭤봅니다..
    경기도 시험 구상지는 어떻게 생겼는지 잘 모르겠어요. 책을 사서 기출문제를 봐도 구상지 디자인은 없더라구요. 그냥 뒷면 여백을 활용해서 쓰면 되는건지 구상지라는 종이가 따로 있는건지
    지도안처럼 생긴 종이를 주는건지.. 어디다가 구상해야 하나요?ㅠㅠ
    그리고 스템플러로 문제지가 묶여있다는데 구상할때 그걸 뜯어서 낱장으로 보면 안되나요??
    선생님 영상 보며 팁 많이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cheezeeu
      @cheezeeu  21 день назад

      안녕하세요? 보통 왼쪽면엔 문제, 오른쪽면엔 구상면이 있을거예요~ 저는 문제면에도 여백이 좀 있어서 문제지 위에다가 필기하면서 독해하고, 구상지면에는 대략적인 키워드 중심으로 혹은 구 단위로 빠르게 작성하였습니다. 당일 구상시간안에 문장단위로 대본을 작성하기에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합니다. 문제독해에도 시간이 소요되기때문에 키워드 중심으로 혹은 구단위로 작성한 뒤 즉석에서 문장으로 말하는 연습을 많이 했었습니다.^^;
      스테이플러로 뜯어서 낱장으로 보아도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저는 그러면 오히려 문제지가 섞일까봐 순차적으로 답을 해야하는 시험인만큼 뜯지 않고 평가실에 들어가 답변을 했으나 이건 개인성향일 것 같습니다. 평소 연습하시던대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선생님~ 2차 시험은 시간과의 싸움입니다! 시간 안에 모든 것을 마무리하기에 최적의 시간 배분에 맞춰 꾸준히 연습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내실 수 있습니다~! 힘내세요! :)

    • @소소-n3d
      @소소-n3d 21 день назад

      @cheezeeu 너무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선생님이 올려주시는 영상들 잘 참고해서 시험잘보고올게요:)

  • @lawyersong7224
    @lawyersong7224 22 дня назад +1

    잘봤습니다 선생님!
    그런데 혹시 배움목표 라는 단어를 수업실연에 사용해야될까요?
    25시책에는 배움중심수업이라는 단어 자체를 강조하지는 않는 것 같아서요!

    • @cheezeeu
      @cheezeeu  22 дня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근래 배움중심수업이라는 용어는 말씀하신대로 크게 강조되고 있지는 않지만 그 방향성은 유지되고 있기도 한 것 같습니다(정책3-시공간을 넘어 배움을 확장하는 교육). 대신 2024년 이후부터는 시책에 나오는 '깊이 있는 수업'이 강조됨에 따라 질문과 탐구가 중심이 되는 수업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2022개정교육과정의 핵심인재상인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으로 길러내는 교육을 추구합니다. 단순히 용어의 사용이 시험점수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할테니 선생님께 더 익숙한 표현으로 통일해서 사용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라지리야라
    @자라지리야라 22 дня назад

    선생님
    구상형 3번이 제일 어렵게 느껴지는데 팁이 있을까요.. 교사상 교직관 교육관 등을 정말 나의 교직관이 아닌 지문에 따라 바꿔야되는게 진정성도 안느껴지고 답이 잘 안나오네요 ㅠ

    • @cheezeeu
      @cheezeeu  22 дня назад +1

      그럴때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인재상이나 경기도교육청의 인재상을 방향으로 학교 현장에서 이런 인재를 길러내려면 교사에겐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를 고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교사는 현장에서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교육공학의 전문가가 되어야 합니다. 각 영역에서 어떤 역량을 중점적으로 길러볼 것인지, 현장에서 어떤 도움을 주는 교사이고 싶은지 등에 대해 고민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힘내세요! 선생님~!

    • @자라지리야라
      @자라지리야라 22 дня назад

      @ 감사합니다 선생님 ㅠㅠ 비교과이고 평가원이긴한데.. 2022개정교육과정을 중점으로 다시 연습해보겠습니다..!

  • @샤콘느-q9t
    @샤콘느-q9t 22 дня назад

    시간을 너무 빨리 끝내서 많이 남는거는 감정요인은 없을까요

    • @cheezeeu
      @cheezeeu  22 дня назад +1

      너무 지나치게 빨리 끝난다는 것은 배점요소를 누락했을 가능성이 있거나, 너무 단답식으로 답변하셔서 답변의 분량을 채우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말을 너무 빨리 하셨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저는 11분 정도 남짓으로 모든 답변을 마쳤으나 다른 영상에서 보여드린 것처럼 답변의 분량은 적지 않은 편이었습니다. 문제에 대한 답변의 가짓수를 정확하게 요구하느대로 다 채워야 하고, 요구된 가짓수가 없어도 보통 실천방안 등을 말할 때는 2가지 이상은 말씀을 하셔서 답변의 분량을 어느 정도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말빠르기를 뉴스의 아나운서처럼 듣기 편하게 조절하는 연습을 통해 너무 빠르게 말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여패
    @여패 22 дня назад +2

    2차 원래 이렇게 막막한가요? 답이없네요 😭😭

    • @cheezeeu
      @cheezeeu  22 дня назад +2

      선생님~ 2차 시험이 1차때처럼 명확한 답을 두고 공부하는 것이 아니다보니 정말 막막하죠..ㅠㅠ 그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 반복과 연습을 통해 만능답변과 만능 시나리오의 틀(패턴)을 만들어 놓으시고 계속 반복해보시면 어느 정도 감이 잡히고 자신감도 생길거예요! 끝까지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