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지에 대한 정보와 변화에 대한 대처 방법등 유읻한 정보 잘 얻고 있습니다. 8월말에 주택 모기지 갱신을 해야하는데요 고정으로 1년 5.64% 2년 4.8% 3년 4.64% 어떤것을 선택해야 할지 조언 부탁드려요. 올 9월4일 10월 몇차례 모기지이율이 내려간다면 1년 짜리로 하고 8월 지나서 만기 4개월전에 갱신 할수 있어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25 년에서 30년 상환으로 늘리면 매달내는 돈은 줄어 들어 당장의 부담은 줄어 들수 있으나 실제로(늘어난 5년) 이자는 얼마를 더 내야 하는지에 대한 예시가 없네요. 29년 상환 (5.09 %) => 30년 상환 (4.79 %) : 상환 1년 늘어난 거에 대한 1년 이자는 얼마나 더 내야 하는거지에 대한 내용이 없네요.
좋은 지적입니다. 예를들어 현재 모기지를 $3000 한달에 낸다고 가정 하였을때, 25년 상환을 30년 상환으로 바꾸어서 $500불의 현금 흐름을 더 만들었다고 가정을 해 본다면 25년 상환은 $3000 불이되고 30년 상환은 $2500 이 됩니다. 모기지를 빨리 갚는 것이 목적이고 솔루션이라면 원금 상환을 더 많이 하는게 유리할 수 있으나, 모기지 이자는 하루마다 계산이 되기 때문에, 똑같은 이자라고 가정 하였을 경우에 $500불 현금 흐름을 원금 상환을 내시면 결론적으로 25년이나 30년이나 내는 이자는 똑같습니다 (모기지 이자는 매일 계산이 되기 때문에 25년과 30년 상환의 차이인 이자 차액만큼 원금상환을 한다라는 가정) 지금 이 상황에서는 현금흐름이 막혀서 생활이 힘든 상황이기 떄문에, 현금흐름이 원활하지 않는다면 원금 상환을 더 빨리 한다라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을까요? 버티지 못하면 어떤 의미도 없습니다. 지금 당장의 부담을 줄이고, 클라이언트가 부담이 되지 않고 원금 상환을 더 많이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을 때에 영상에 말씀 드린것 처럼 상환기간을 다시 20년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차액을 원금 상환하는 금액으로 payment increase/lump sum payment 를 활용하여 30년 상환으로 줄은 $2500 페이먼트를 기존 $3000 불로 다시 올린다면 똑같은 결과값을 낼 수 있습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생긴 현금 흐름으로 모기지 이자율 보다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처에 투자를 한다면 이자를 세이브 하는 것 보다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하고 있는 방법이고, 제가 산 증인입니다. 각자마자 리스크에 대한 그릇이 다르기 떄문에 모두에게 추천하는 것은 아니나, 리스크에대한 이해도가 깊다면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는 전략이라고 말씀 드릴 수 있겠습니다.
모기지에 대한 정보와 변화에 대한 대처 방법등 유읻한 정보 잘 얻고 있습니다. 8월말에 주택 모기지 갱신을 해야하는데요
고정으로
1년 5.64%
2년 4.8%
3년 4.64%
어떤것을 선택해야 할지 조언 부탁드려요. 올 9월4일 10월 몇차례 모기지이율이 내려간다면 1년 짜리로 하고 8월 지나서 만기 4개월전에 갱신 할수 있어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모기지 리뉴에 참고하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 합니다
시청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25 년에서 30년 상환으로 늘리면 매달내는 돈은 줄어 들어 당장의 부담은 줄어 들수 있으나
실제로(늘어난 5년) 이자는 얼마를 더 내야 하는지에 대한 예시가 없네요.
29년 상환 (5.09 %) => 30년 상환 (4.79 %) : 상환 1년 늘어난 거에 대한 1년 이자는 얼마나 더 내야 하는거지에 대한 내용이 없네요.
좋은 지적입니다. 예를들어 현재 모기지를 $3000 한달에 낸다고 가정 하였을때, 25년 상환을 30년 상환으로 바꾸어서 $500불의 현금 흐름을 더 만들었다고 가정을 해 본다면 25년 상환은 $3000 불이되고 30년 상환은 $2500 이 됩니다.
모기지를 빨리 갚는 것이 목적이고 솔루션이라면 원금 상환을 더 많이 하는게 유리할 수 있으나, 모기지 이자는 하루마다 계산이 되기 때문에, 똑같은 이자라고 가정 하였을 경우에 $500불 현금 흐름을 원금 상환을 내시면 결론적으로 25년이나 30년이나 내는 이자는 똑같습니다 (모기지 이자는 매일 계산이 되기 때문에 25년과 30년 상환의 차이인 이자 차액만큼 원금상환을 한다라는 가정)
지금 이 상황에서는 현금흐름이 막혀서 생활이 힘든 상황이기 떄문에, 현금흐름이 원활하지 않는다면 원금 상환을 더 빨리 한다라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을까요? 버티지 못하면 어떤 의미도 없습니다.
지금 당장의 부담을 줄이고, 클라이언트가 부담이 되지 않고 원금 상환을 더 많이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을 때에 영상에 말씀 드린것 처럼 상환기간을 다시 20년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차액을 원금 상환하는 금액으로 payment increase/lump sum payment 를 활용하여 30년 상환으로 줄은 $2500 페이먼트를 기존 $3000 불로 다시 올린다면 똑같은 결과값을 낼 수 있습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생긴 현금 흐름으로 모기지 이자율 보다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처에 투자를 한다면 이자를 세이브 하는 것 보다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하고 있는 방법이고, 제가 산 증인입니다. 각자마자 리스크에 대한 그릇이 다르기 떄문에 모두에게 추천하는 것은 아니나, 리스크에대한 이해도가 깊다면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는 전략이라고 말씀 드릴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밴쿠버에 작은 콘도를 가지고 있고 리뉴를 해야하는데요
27만불 정도 남았고 18년 남았는데요 두가지 종류를 가지고 있어요
리뉴해야 하는 날짜가 곧 다가와서
어떻게 하면 좋을지
조언을 구합니다
연락 주시면 상담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시청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모기지 상담하고 싶어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587-968-1490
jd.lee@jdleemortgage.com
로 연락 주시면 상담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