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서울대학 순위 제발 속지마세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9 июл 2023
  • 수능6등급 인서울 가는 방법
    • 편입 2025 기초가이드 | 무조건 알아...
    대다수의 학생분들은 인서울대학 정도면 만족합니다
    하지만 막상 입학해보면 후회하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실제로 상위권이라고 생각했는데
    올려치기된 학교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순위만 나열하는 것이 아닌
    최신 분석한 자료를 기반으로
    인서울대학 순위를 준비했습니다
    #인서울대학순위 #대학순위 #대학서열

Комментарии • 946

  • @user-lq7xm7nq3s
    @user-lq7xm7nq3s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영상이랑 댓글들 열심히 보다가 현타옴...ㅋㅋㅋ 봐봤자 어차피 나는 고를수있는 처지도 아니고 여기서 논쟁하는 사람들이 죄다 그 학교들 붙어서 어디갈지 따져본 사람들만 모인것도 아닐텐데 왜 열심히 보고있었을까 서연고 서성한까지만 학벌 취급해준다면 백명중에 한두명만 학벌로 어느정도 먹고살거라는건데 의미있나,,

  • @user-kx9vn5du5s
    @user-kx9vn5du5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4

    성공의 의미가 다른거다.각자 기준에서 성공하면 되는거다. 대학도 하나의 기준이다. 고등학생들의 노력을 깍지말자.

    • @Bilophul
      @Bilophu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렇죠

    • @ootrquivnt
      @ootrquivn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수학 수능 5등급 컷이 40을 안 넘는데 이거 진짜 노력한거냐고 ㅋㅋ 덮어놓고 응원할 게 아니라 공부가 싫은 애들은 중학교 때부터 직업 학교 돌려야 한다니까?

    • @user-bh4eq6sx9f
      @user-bh4eq6sx9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맞습니다 지역 명문대에 들어가거나 인서울만 해도 대단한 것이죠

  • @user-ys7tf1uy5r
    @user-ys7tf1uy5r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학벌이 아직도 참 중요한게...대기업근무시절 본부장이 연대출신이면 능력상관없이 해외주재원을 선진국으로 많이보내더라.미국 프랑스 영국.독일.홍콩등등...반면 고대출신이면 고대후배들을
    좋은곳으로 보내주고. 고교출신도 매우 중요.서울 4대공립이나 5대사립고출신들
    (중앙.보성.휘문.양정.배재)

    • @user-xv5qq2we2p
      @user-xv5qq2we2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양정은 좀 빼야됨 제발
      진짜 밖에서 양정 좋다는애들만 들어와서 어이가없음
      양정좋다는것도 한참옛말임

    • @user-fb1ee9yh2g
      @user-fb1ee9yh2g 6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xv5qq2we2p😢

    • @user-bh4eq6sx9f
      @user-bh4eq6sx9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직도 중요한 것 같긴 합니다

    • @user-ug4cs4pr9s
      @user-ug4cs4pr9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xv5qq2we2p 양정중 다녔었는데 이건 동문으로 안 쳐주냐

    • @user-xv5qq2we2p
      @user-xv5qq2we2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ug4cs4pr9s 나도 양정중나와서 ㅇㅇ

  • @PETBOY
    @PETBO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한국은 공부 잘하는 기준이 문제를 많이 풀고 빨리 푸는걸로 착각을 하는 것이 아닌가??? 독일이나 유럽은 시험을 잘치기 위해 공부하는게 아니라 사고력을 키우기 위해 교육하는데, 미국도 마찬가지지만 시험 만점으로 대학 입학과 아무 관계없음, 한국만 시험 점수가 100프로 인듯

    • @user-ck2xz7ni9w
      @user-ck2xz7ni9w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일본 본고사 100프로라 우리나라보다 극단적이고 미국도 sat가 대학 가는 데 상당히 큰 비중 차지해요 인도 중국도 시험점수로 대학 감

    • @recrescendo
      @recrescend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문제를 많이 풀고 빨리 푸는 애들은 공부를 더 한거 아닐까요?

    • @eunhyuk_0
      @eunhyuk_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8

      수능 시험도 사고력 상당히 요구 하는데 공부 하기 싫은 사람들의 변명으로 밖에 안보임 학생들한데 저런 말 해서 현실도피 구실 주면 안됨..

    • @PETBOY
      @PETBO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user-ck2xz7ni9w ?? 미국 sat 만점 학생이 지원해도 합격율 10프대 밖에 안되는데,, 뭐 잘못아신거 아님? 그리고 점수는 합격이 20~25퍼밖에 반영안함.. 일본은 모르겠음. 그리고 상대평가로 하는건 전세계에 한국밖에 없음

    • @recrescendo
      @recrescend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PETBOY 일본은 전과목 상대평가임

  • @user-qo5xx3kb6w
    @user-qo5xx3kb6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모두 힘들게 열심히 입시준비해서 들어간겁니다.
    또다른 시작일수 있어요. 모두들 화이팅입니다.

  • @user-ni8uw1sq6l
    @user-ni8uw1sq6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대기업에서도 임원으로 승진할때 다면평가
    (상사, 동료, 부하 등)을 통하여 인품/인성이 안좋다고 평가되면 절대로 임원 불가능합니다

  • @user-hy2kc6cv5k
    @user-hy2kc6cv5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얘들아 인생선배가 한마디 한다
    학과를 잘보고 선택해라!
    그리고 가능하면 오래된 학교로 !

    • @BB-dt7ci
      @BB-dt7c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인하대 공대

    • @user-bh4eq6sx9f
      @user-bh4eq6sx9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인하대 아주대가 오래된, 전통있는 학교고 학과도 괜찮은 곳이 많죠 특히 공대!

  • @jsl8833
    @jsl8833 2 месяца назад +6

    건동홍 국숭세단 학벌메리트 없는거 맞음. 근데 반대로말하면 그 미만 대학들과같이 디메릿도 없음. 본인실력만 키우면 학벌 극도로 많이보는 몇몇대기업 제외 서류컷당할일은 없음

  • @user-dt7uq1qw7t
    @user-dt7uq1qw7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아래에 선진국 관련 댓글 다신 분이 있어서 말하는데 물론 한국은 출산률, 자살률, 지나친 입시위주 교육 등 문제가 많습니다 다만 한국은 200개가 넘는 국가 중 인간개발지수, 취약국가지수, 민주주의 지수, 공공청렴지수, 사회발전지수가 높고 어쨌든 고소득 국가+un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가 공인한 선진국입니다 교통, 치안, 의료복지도 좋고…종합적으로는 100개 넘는 국가 중에서는 나쁘지 않죠

  • @Wannabe2023
    @Wannabe202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6

    서연고도 그 갭이 많이 축소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서울대는 입학전형이 다양해서 연고대도 못 가는 학생들이 입학하는 경우도 비일비재 합니다. 의대 같은 경우는 연세대가 입결이 앞 서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주 긍정적인 모습이라고 봅니다. 한양대 같은 경우 교과전형은 수능최저가 없어서 일부 학과는 연고대를 입결에서 능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참고로 서울 명문대라 함은 중경외시이까지 사회에서 꼽는 듯합니다. 학벌로 별 차별이 없다는 의미겠지요. 사실 이 라인도 강북 일반고 기준 반에서 1등 해야 들어갑니다. 그 위로는 전교등수 개념이지요.

    • @gmk6976
      @gmk697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여전히 연고와 서울대 사이에는 커다란 벽이 하나 있어요
      서울대 낮은과랑 연고대 높은과 비교해서 비슷하다 하는건 의미 없는 일이란거 잘 아실거라고 믿고
      같은 과끼리 비교하면 입결차 커요..
      재수생이었고 설공이 목표였던 학생이었어서 확실히 알아요 영상에 나온것처럼 서>>>>>연고>>서성한 이에요

    • @user-ku3qv3mg9l
      @user-ku3qv3mg9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서울대는 더이상 연고와 묶지마라. 차이가 넘 크다. 그게 현실. 연고생들한테 왜 입학했냐고 질문하면 대다수가 설대 떨어져서 왔다고 함

    • @Wannabe2023
      @Wannabe202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

      @@user-ku3qv3mg9l 정시 기준으로는 맞는 말. 그러나 전체 입결로 보면 아닌 경우 많음

    • @memphis1592
      @memphis159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연의가 입결이 더 높은건 설대 투과목 필수였기때문

    • @IlIlIIIllIllI
      @IlIlIIIllIll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서울대랑 연고는 비빌 수 없음 연고가 마케팅 잘 한 거지 ㅋㅋ

  • @user-jc7iz7yj9l
    @user-jc7iz7yj9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5

    언급된 학교 어디하나 쉬운곳이 없네요...
    본인이 얼마나 공부를 하고 졸업을 해서 큰 사람이 될지가 중요~~~ ^^

    • @fair-korea
      @fair-kore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솔직히 국숭세단은 마음만 먹으면 다들어감

    • @user-bh4eq6sx9f
      @user-bh4eq6sx9f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fair-korea 수능 누백 보면 거기도 못들어가는 사람이 엄청 많은데? 국숭 문과는 10% 안에 들어야 하고 이과도 평균 15% 이내임

    • @blk_
      @blk_ 9 месяцев назад

      ​@@fair-koreaㅋㅋㅋㅋㅋㅋㅋㅋㅂㅅ

    • @user-ht7pi8vp2r
      @user-ht7pi8vp2r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0

      @@fair-koreaㅈㄹ 노

    • @Bilophul
      @Bilophu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맞죠

  • @user-ji5hw8hx5g
    @user-ji5hw8hx5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8

    인서울 대학을 어디까지로 볼것인가는 어찌보면 굉장히 쉬울수도있슴. 해당 인서울 대학보다 수도권 아주대 인하대 단국대 혹은 부산대 경북대등 지방국립대가 위에 있다면 인서울에서 빠져야됨.
    20여년전에는 중경외시 까지 5년전에는 건동홍까지 2년 전부터 지금까지는 국숭세까지를 보통 인서울로 봐야됨.
    아주인하 지거국 입결 너무 떨어졌고 계속 떨어지고 있는중이라 10년후는 광명상가까지???

    • @sjwon
      @sjwo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의대없는 인서을 그지대학들은 사회서는 인지도가 지방 국립대 보다 헐 떨어짐

    • @koreanangellol
      @koreanangello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건동홍 국숭세단 광명상가에서 세종대가 지금 엄청 치고올라갔음 명지대는 나락으로떨어진듯

    • @doejohn539
      @doejohn53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건동홍도 인서울로 치면 안되겠노

    • @user-vkfvjfdl
      @user-vkfvjfd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동의합니다 서울에있다고 전부 인서울이라고 하면 강서대 여기도 서울에있는데 인서울로 봐야하는경우가 생김 ㅋㅋ

  • @henryjun5846
    @henryjun584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미국에서 일할때 미국인들, 주로 백인들과 많은 회의를 주재했는데 보통 30명정도, 업체 20개이상 대표자급들과 의견 나눌때 미국인 모두 말을 상당히 잘하고 아는체 하는 것이 백인들의 일반적 경향이다. 특히 회사마다 자기네가 최고라는 자부심으로 강하게 어필하면서 남의 의견을 은근히 누르려는 상황도 많았다. 그런데 하바드법대 출신의 내 한국계미국인 파트너가 다른 의견을 조심스럽게 피력하였는데 관련회사 부사장이 그 의견을 깔아 뭉갠적이 있었다. 그래서 조용히 그 부사장에게 언질을 주었더니 바로 사과하고 꼬리를 내리더라. 미국에서도 하바드법대 출신은 인정받는 넘사벽이구나, 학벌이 대단히 중요하구나 라고 느꼈지. 그 파트너는 내가 60년이상 살아오면서 만나본 사람중 한 손가락으로 꼽는 천재중의 한사람이라고 생각된 사람이었다. 그냥 학교얘기에 갑자기 생각이 들어 주절거림.

  • @gogomankim
    @gogomanki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6

    숭실대 출신입니다. 인서울 자부심 가지고 생활해왔는데 자부심을 버려야 겠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user-bh4eq6sx9f
      @user-bh4eq6sx9f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3

      숭실대 정도면 자부심을 아예 버릴 필요까진 없다고 생각해요! 교육청이나 한국경제 같은 기관들은 서울대~국민대 숭실대 세종대 아주대 인하대까지 주요 대학으로 분류하고 있어요
      보통 문과는 수능에서 5.8~10.6%, 이과는 10~15%에 해당되는 사람들이 국민대 숭실대로 많이 가죠
      제가 아는 사람은 숭실대 나와서 세무사 하고 있는데 괜찮은 학교 같아요 숭실대가 컴퓨터 분야에서 유명하고 회계사 등 전문직 아웃풋이 나쁘지 않던데?
      숭실대는 대기업 계약학과도 있으니 충분히 괜찮다고 봐요 :)

    • @user-bh4eq6sx9f
      @user-bh4eq6sx9f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3

      그리고 이 영상과 달리 현실에서는 건동홍이 애매하다고 내려칠 학벌도 아니고 국숭세단도 그 아래 학교들과 '무의미한 학벌'로 엮일 구간은 아닌 것 같아요
      군대만 가도 일반 부대는 들어본 인서울 대학 나온 사람들 많지 않아요

    • @elviskr.7821
      @elviskr.78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숭실대는 친일반역자들과 미국선교사들에 의해 세워진 타대학들과는 달리 한민족 독립운동가들 세력에 의해 세워진 명문사학입니다.
      박정희가 박근혜 입학시킬때 숭실대를 먼저 컨텍했는데 No했던 강단도 있구요. 현실과 타협해서 다른 역사를 걸었다면 지금의 서강대 위치에 숭실대가 있을 수도 있었습니다.
      각 학교에 대하여 본인이 주관적 인식을 갖고서 대충 말장난으로 만든 영상때문에 영향 받지 마시죠.

    • @angrydustpan
      @angrydustpa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숭실대도 충분히 좋은학교입니다! 자부심 버릴 필요 전혀 없으십니다 :)

    • @kk34fcn
      @kk34fc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6

      이 영상 무시하면 될듯

  • @jinpr0
    @jinpr0  22 дня назад

    수능6등급 인서울 가는 방법
    ruclips.net/video/WJ0JQa91dsA/видео.htmlsi=voo4CoQRsTK6gcZ3

  • @user-bx7pn3rr3l
    @user-bx7pn3rr3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2

    막상 공부 잘 하는 애들은 그냥 아무 생각없이 공부합니다 공부가 스트레스 준다는게 이해가 안가죠. 공부한만큼 성적이 나오면 그만큼 재미있는것도 없습니다. 저만해도 수학이 2등급 수준이었는데 재미들려 하다보니 수능때 백분위 100을 찍었습니다 ㅎㅎ

    • @ursus-actors
      @ursus-actor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맞음. 공자가 괜히 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라고 한 것이 아님

    • @kadeskorea
      @kadeskore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재미보다는 그냥 제정신이 아니게 되는거인듯

    • @user-ft7ui9wk5p
      @user-ft7ui9wk5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놈의 일반화 진짜 ㅋㅋ

    • @user-cu9bl5ej7x
      @user-cu9bl5ej7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뇨.. 걍 싫은데 하는 겁니다

    • @user-sk1hk4rx4y
      @user-sk1hk4rx4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

      @@user-yl2mz8lr7hㄹㅇ 나도 공부 처음 시작할 땐 아득바득 눈물 뚝뚝 흘리면서 공부하는 게 진정한 공부인 줄 알고 불안해했는데 아니더라 편하게 할 때 성적이 가장 많이 올랐음

  • @jo9196
    @jo919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4

    30년전 대비 건대 좀 떴고.. 서강대 그때보다 좀 치이고.. 솔직히 서울대 위상은 그때가 더 높았지...요즘은 의대 열풍에 점수 Gap도 너무 붙어버려서...

  • @user-ui2ms1ol6l
    @user-ui2ms1ol6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여러분 연대나온 사촌형보다 제가 더 잘 살고 있습니다 ㅎㅎ 세상은 의외로 복잡합니다

    • @NB-xd4fj
      @NB-xd4fj 4 месяца назад +3

      더 잘 산다는 기준이?? 일단 사촌형을 의식하고 비교하는 것 자체가 이미 스팩에서 밀린다라는 마음이 있는 것임.
      학교 = 돈은 아닌데, 통상 학교가 좋으면 자존감은 올라감. 자존감 높은 사람은 주변에서 뭘하던지 신경 쓰지않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하고, 행복한 길 찾아가는 경우가 많음.

    • @_ENDOR_
      @_ENDOR_ Месяц назад

      ​@@NB-xd4fj왜케 꼬였냐

  • @dugwons40
    @dugwons4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국: 한국식 대학 서열일까? 미 50개 국가로, 오랜 지방 정부 자치제로, 그 지역마다 다양한 교육 제도 대학이, 예: LA(Cal); UCLA, UCI, USC, 한국에서 잘 알려진 대학, Caltec, 등, 저들 대학보다 성적이 우수해야 입학 할수있는 도 잘 모른 명문(?) 대학들이, 예: 오바마,, LA , 지역 이름없는(?), 엄청 실력파 학생들, 옥시덴탈 College에, 미국에서,

  • @HakJum_Wiki
    @HakJum_Wik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진호님 나이스!

  • @fightingkim7802
    @fightingkim780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0

    사회에서의 성공은 성격이 제일 중요해요. 서울대 나와도 성격 나쁘고 외톨이면 그 수많은 동문, 스펙이 무슨 소용이겠습니까? 순위 한참 떨어진 대학이라도 성격좋고 진취적이면 출세의 확률도 더 높고, 더 이쁜여자도 훨씬 더 많이 만나게 될겁니다. 우리 사회도 학벌의 허구성을 목격한지가 60여년이 넘었습니다. 학벌 좋다고 더 똑똑한 것도 아닙니다.

  • @myeongjinlee558
    @myeongjinlee55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2

    개인적 생각임.
    서울 소재 동일대학도
    전형에 따라 학생들의 입시결과는 달라집니다.
    서울대 수시전형으로 합격한 친구와
    연고대 정시로 합격한 친구를 비교했을 때
    누가 공부를 잘하고 실력이 좋다고 말해야할까요?
    정시로 수능공부 열심히해서 들어온 친구들
    수시로 학교생활 열심히하고
    수능최저 맞추고 들어온 친구들
    전 개인적으로
    동일 대학에서도 전형에 따라 수능점수는 천차만별인 이유로
    서울대 수시 입학생이
    연고대 정시 입학생보다
    뛰어나거나 낫다고는 생각안합니다.

    • @jinan5529
      @jinan552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근데 사람들은 그런거 ㅈ도신경안씀 그냥 서울대를 연고대 나온 사람보다 공부를 더 잘했다고 생각함

    • @ejJ-zp4bk
      @ejJ-zp4b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서울대 예전 서울대이름값 못합니다
      이건 팩트

    • @user-fw1fs4ys1m
      @user-fw1fs4ys1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단 입시결과랑 대학내 성과가 같은건 아님 ㅋㅋㅋ
      대학 입시 공부랑 대학 내 학점 공부는 다름
      물론 나도 정시를 높게 쳐주기는 하나
      대학에서는 자기가 선택해서 좋아하는 것만 듣기에 입시 공부랑 크게 관련 없음

    • @koreanangellol
      @koreanangello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서울대가 우숩나

    • @JJ-ei3pl
      @JJ-ei3p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입시 안해본 사람이 수시정시 이분화하죠. 설대 수시준비하다 둘째는 정시해야겠다고 맘먹게됩니다. 3년 개고생해도 제시문 면접의 문턱을 영과고랑 경쟁합니다. 지균도 어렵습니다. 수시입학생들이 더 학업능력이 좋으니 대학이 수시 선호하는 겁니다. 카이스트도 그래서 수시전형 늘리는거구요. 정시 6개과목만 열심히 하라고 할 생각입니다. 학교 왜 다니는지 모르겠네요.

  • @user-oc9ib5kb7f
    @user-oc9ib5kb7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6

    와 국숭세단부터 인지도가 낮아서 학벌메리트가 부족하다는말 요새는 인서울했다는말자체가 잘했다는의미입니다
    그것도 현역으로 말입니다

    • @user-bh4eq6sx9f
      @user-bh4eq6sx9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9

      맞습니다
      건동홍은 절대 애매한 라인이 아니고 국숭세단도 충분히 괜찮죠

    • @user-qy4ut5oh9s
      @user-qy4ut5oh9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사회에서의 학교 평가는 최근 입결이 아니에요
      직장생활하는 사람들을 평가하는 회사의 중간간부 이상인 거지
      그래서 아무리 인서울 어쩌고 해도 지거국이 더 높은 평가를 받는 겁니다
      그리고 오히려 지거국 보다 같잖은 인서울 대학이 입결이 높다고 하면 놀라는 거고

    • @user-bh4eq6sx9f
      @user-bh4eq6sx9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qy4ut5oh9s 요즘은 문과 전문직 시험도 인서울 학교들이 더 많이 나옵니다 물론 공기업 취업은 지거국이 더 메리트 있죠

    • @Jeontank10
      @Jeontank10 3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 중간간부면 40대인데, 그때에도 이미 지거국은 맛이 가고 있던 상태입니다 ​50,60대 분들 얘기하고 있음?@@user-qy4ut5oh9s

    • @_ENDOR_
      @_ENDOR_ Месяц назад

      ​@@user-qy4ut5oh9s그사람들 나이는 안먹어요? 퇴직하고나면 누가 바톤 넘겨받을건데 ㅋㅋㅋ

  • @user-ij4om2ty1h
    @user-ij4om2ty1h 29 дней назад

    사실 30년전하고 비교해도 좋은대학 진학하는 비율은 같았음 8학군에서 한학년 1000명중에 100등안에는 들어야 서성한 정도 진학 가능했음 지금으로 보면 2등급정도 차이는 그때는 그래도 허수가 많았는데 요즘은 허수가 없음 그리고 sky랑 서성한 차이점은 문과 기준 입사는 비슷한데 40대 중반이후 임원급 이직은 sky가 많이 유리함 그래서 서성한은 그나이에 이직할려면 해외 mba든 자격증이든 있어야 함

  • @jhjung498
    @jhjung49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학원 고를때는 그 학원이 얼마나 잘 가르치는지 확인하면서 대학은 왜 안그러는걸까?
    대학에 입학하는 본인의 능력이 80이라면 이것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학에 가야하는게 순리일텐데
    그저 서울에 있다는 이유로 대학을 간다는게 참... 단순히 학생 1인당 교육비 기준으로 학교를 골라도 쉽게 인서울만 생각하진 않을텐데
    인서울에서 SKY 그리고 성균관대 한양대 서강대 중앙대 아주대 정도가 다른 지거국보다 인당 교육비가 높거나 비슷할텐데

    • @jinpr0
      @jinpr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답은 없지만 본인의 목표에 맞춰서 잘 알아보고 정해야죠
      20대 중요한 나이에 돈과 시간을 투자하니까요

  • @mikelee5522
    @mikelee552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과거 학력고사 시절에나 서울대가 연고대보다 월등했지만 현재 수능시대에는 차이가 많이 안납니다. 편견이 심하군요

    • @user-yy3ju3gm8x
      @user-yy3ju3gm8x 4 месяца назад

      점수가 올라갈수록 작은차이를 만드는것이 어렵습니다 낮은점수대에서 50점차이보다 높은점수대의 10점차이가 훨신 어렵고 극복불가인경우도 있습니다.

  • @torimati-ko6mt
    @torimati-ko6m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9

    교수진 차이가 크다고요? 최상위 레벨 교수진은 큰 차이 없어요. 특히 신진급 인서울 교수들은 거의 우열 가리기 어렵습니다.

  • @4241sun
    @4241su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그냥 순위에 속지 말라는 말은 잘 알겠는데,, 말씀하신 인서울 중 학벌 메리트가 없다는 그 마지막 국숭세단 광명상가 한서삼도 모두 상위 20% 이내의 학생들이 입학할 수 있는 학교들입니다. 나름 열심히 공부한 학생들이라는 얘기죠.. 학벌 메리트가 없다고 하면 학업에 열중하고 있는 해당 대학생들 동기부여만 저하시킬것 같아요..;;

    • @user-nr4pi1ou4w
      @user-nr4pi1ou4w Месяц назад

      상위10%도 아니고 20%를 나름 열심히 한건 모르겠는데, 잘 한건 아니죠...국숭세단 광명상가 한서삼 애들 졸업하고, 학교 어디 나왔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인서울 나왔다고하지, 학교이름 말하는 사람 별로 못 봤음

    • @user-ep4qk5uj2b
      @user-ep4qk5uj2b 29 дней назад +2

      @@user-nr4pi1ou4w 국숭세단에서 숭실 문과는 5.8~10%고 이과는 아주대, 홍대와도 겹치는 구간 있습니다 그리고 숭실은 젊은 세대로 갈수록 인지도도 높고 독립운동가, 문학인, 대기업 임원(특히 네이버, 기아차 등에) 기업인, 임시 국무총리, 장관, 언론인 등을 많이 배출했죠

    • @user-ep4qk5uj2b
      @user-ep4qk5uj2b 29 дней назад

      @@user-nr4pi1ou4w또 세종대도 위치, 연구성과로 좋은 평가 받고 있고 중앙일보 대학평가 보니 대기업 종사자 수도 높더군요

    • @user-nr4pi1ou4w
      @user-nr4pi1ou4w 29 дней назад

      @@user-ep4qk5uj2b
      사회뿐만 아니라, 학교에서도 국숭세단 붙은 애들한테, 공부 잘했다는 말은 하지 않죠?? 이건 팩트 아닌가요??
      못했다는게 아니라, 학벌메리트가 없다는 얘깁니다

    • @user-ep4qk5uj2b
      @user-ep4qk5uj2b 27 дней назад

      @@user-nr4pi1ou4w 님 학교는 그래요? 제 모교는 서울 송파구 자사고인데 엄청 축하해줬어요 거기도 못간 친구들 정말 많았으니까요

  • @bca7222
    @bca7222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이공계기준 딱말씀드립니다
    설포카 : 페이, 특채, 채용 후 대우등 그냥 일단우대 >> 연고성한 : 학벌로 손해안보는 라인, 대기업 서탈없는 라인, 설포카처럼 압도적 특혜는 딱히없음 > 중경 : 대기업 서탈 꽤있음

    • @user-bw6pk4ug8i
      @user-bw6pk4ug8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컴전화기 기준 중시랑 경은 차이좀나죠

    • @user-bf2lh6tb1f
      @user-bf2lh6tb1f 3 месяца назад

      걍 설포카 아래부턴 학과 차이가 크지

  • @user-cv3co7xg8f
    @user-cv3co7xg8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서울대가 정시에 수시반영한 이후로는 연고대가 서울대보다 입결 높은 경우도 있음. 이 때문에 점차 서울대의 입결은 내려가는 중. 물론 연고대 부근에서

  • @voke5053
    @voke5053 15 дней назад

    입시학원이나 고3 교사들은 아직도 문과는 한양, 성균보다 서강대를 더 높게 쳐주는 이유는 뭘까요?

  • @user-qx8ng5id9b
    @user-qx8ng5id9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근데 학벌 마지노선은 20년전이나 지금이나 똑같은거 같음 흔히 인서울 대학이라 하면 국민대가 마지막 광명상가 대학은 학교만 인서울이지 인서울 학벌로 인정되지가 않음 왜냐 이미 수도권 사학인 인하 아주 단국보다 안좋고 가천 경기 큰 차이가 없기때문에 그 학교들까지 인서울로 치면 사실 15~20구간 학생들도 넣어야 하는데 그건 의미가 없지

  • @user-uv8cy6tb6h
    @user-uv8cy6tb6h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이따구로 순위 정하면 동네 강아지가 더 잘 정하겠다

  • @user-zj5nz1nq9o
    @user-zj5nz1nq9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아니 이사람 서강대 왤케 싫어함;;
    서강대 사람이 적은 건 학과수가 적어서 그런거임..
    한양대 예로 들면 건환공, 건축공, 건축학 이렇게 비슷한 과까지 세분화해서 개설한 반면 서강대 공대는 전화기컴+인공지능 딱 5개 밖에 없음 그리고 이 학과들은 성한 전화기컴 정원과 비슷하고 입결도 같은 수준이고
    이 사람 말로는 대표학과 제외하고 정원 수 적은과 정원 올리면 입결 떨어진다는데 애초에 서강대는 대표 학과만 개설해놓음,, 마이너는 중문, 사학 2개 정도?
    사람 수 적어서 동문파워 약하다>>이건 맞는 말이라 반박 안하는데 전문직이 성한에 비해 딸린다? 이것도 말도 안됨
    문과 학생 수 2배 넘는 성대랑은 비율상 좀 더 많고 학생 수 비슷한 한양보다는 차이는 작지만 항상 우위임
    이과는 한>성=서, 문과는서=>성>한 임
    물론 이런 세부 순위는 입시망령들한테나 의미 있는거
    계약학과, 대기업 산하 트랙, 기업 리쿠르팅 목록 같은 거 보면 서강대나 한성이나 수준에 차이 없다는 거 답 나오는데 서강대는 무슨 이미지도 ㅈ같은 거 붙여놓고 뇌피셜 늘어놓으면서 한성보다는 한 수 아래다 이러고 있네..

    • @user.aod4_ov16_98
      @user.aod4_ov16_98 3 месяца назад +7

      떠들어봤자 이 사람은 못 알아들을거임 ㅋㅋ
      걍 조용히 있읍시다 모두가 아는 사실인데

    • @user-qx7mf4cn5c
      @user-qx7mf4cn5c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요즘 발작하는 서강대생들 여기저기 영상마다 너무 많이 보여서 보기 안좋네..

    • @user-zj5nz1nq9o
      @user-zj5nz1nq9o 2 месяца назад +1

      @@user-qx7mf4cn5c 영상 내용 반박 몇개 끄적인게 발작임? 니 커뮤식 화법이 더 없어보여

    • @user-zj5nz1nq9o
      @user-zj5nz1nq9o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qx7mf4cn5c 날조에 반박문 좀 쓴게 발작입니까? 님처럼 공격적인 커뮤식 화법 쓰는게 더 없어보여요

    • @co_2260
      @co_2260 2 месяца назад +1

      @@user-qx7mf4cn5c ㅋㅋ 학생수만 봐도 정규분포 따지면 니같은 성한훌이 천만배 더 많은데 당연히 니 눈엔 서강대생만 보이겠지 잡대련아 ㅋ

  • @user-gu7nx7gd7r
    @user-gu7nx7gd7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요즈음 대학 입시철이라서 학부형과 입시생들의 대학선택이 혼란스러운 상태이다. 과거 전두환 캉통이 대학입시에 관여 해서 90년대 초 졸업 정원제 중심의 대학 평준화 를 단행했다.
    그러자 대학 본고사가 없어져 수능점수 하나만 으로 대학 입학을 하게 만드는 기현상이 생겨 나게 되었다. 종로, 대성 학원 등 입시 재수학원들이 밀실 에서 대학별 학과별로 입학가능한 수능 점수대를 아무 근거도 없이 임의로 만들어서 소위 수능 배치표 를 배포하였다.
    과거 70년대 서울고, 경기고 등 명문고에서는 연세대, 고려대는 거의 지원을 안했고 성적 하위권 학생 만이 지원을 했던 것이다. 이를테면 1976년 예비고사 점수대가 서울대와 성균관 대학이 260~270대 였다면 연고대는 230~250 대 였을 정도로 차이가 컸던 것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중앙일보, KBS 등 언론 방송사에서는 위의 검증 되지 않은 입시학원 배치표 를 마구 보도 홍보하였고 스카이 대학이라는 호칭을 만들어 내는 등 적반하장격 아비규한의 입학시대가 전개시켰던 것이다.
    그래서 90년대 대학서열은 스카이대 위주의 기득권을 지키려는 아득한 엉터리 서열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학 순위 를 높이려고 적극적으로 로비를 한 대학은 순위가 올라가고 가만히 있던 대학은 서열이 내려가는 판국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40년 전 부모님 세대의 대학평가와는 완연히 다른 스카이를 아무리 외쳐도 국내 전시용이고 해외 대학 평가하고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입시생과 학부형을 우롱하는 정치적 색채롱 기득권을 지키려는 입시 배치표에 속지 말아야 한다.
    참고로 2020년대 대학순위
    제 1 순위 서울대/성균관대
    제 2 순위 연세대/ 고려대
    제 3 순위 카이스트/포스텍
    제 4 순위 서강대/한양대
    제 5 순위 경희대/중앙대
    제 6 순위 이화여대/숙명여대

  • @glennan
    @glenna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서울대 훌륭한 교수들
    강간, 성추행, 횡령, 논문 카피
    수준들이 실력하곤 다름

  • @cheeseburger8565
    @cheeseburger856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상위 10%인 대학교도 메리트가없다니..

  • @user-fm2pl4yq2j
    @user-fm2pl4yq2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이 영상에 마지막에 나온 국숭세단 조차도
    이미 인서울 대학중에서 상위 50% 위에 있는 대학입니다.
    국숭세단 밑으로도 항공대 광운대 상명대 한성대 등등 엄청나게 많죠.
    사회에서 느껴지는 대우의 온도 차이가
    영상에서 말한 대로
    서울대 - 연고대 차이를 60정도로 봤을 때
    인서울 말단 학교 - 지방대학교 의 차이는 체감상 100 이상 납니다.
    인서울 안에서 같은 비슷한 학교들 차이보다
    일단 인서울이냐 아니냐의 체감이 사회에서는 너무 크다는 거죠.
    애초에 인서울이 안 되면 지원서를 쓸 자격도 안 되는 회사가 태반입니다.

    • @yoyoyo4024
      @yoyoyo4024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항공대가 어떻게 국숭세단 밑이여… 4년 사이에 입결 추락해서 지금에야 국숭이랑 비슷한 수준이구만

    • @user-qy4ut5oh9s
      @user-qy4ut5oh9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해력 딸리냐
      국숭세단 밑으로도 항공대 광운대 상명대 한성대 등등 엄청나게 많아도 다 같이 취급 받는다
      사회 나가봐라
      숭실대 나왔다고 하면 와 하고 광운대 나왔다고 하면 아 그래요 할 것 같냐?

    • @user-bq1gg8lt5f
      @user-bq1gg8lt5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yoyoyo4024항공대가 먼 국숭ㅋㅋ;

    • @user-ts5sw2xz7u
      @user-ts5sw2xz7u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yoyoyo4024 항공대가 국숭한테 비비네ㅋㅋㅋㅋㅋ 광운대랑 영혼의 맞다이 중이면서ㅋㄱㅋ

    • @_ENDOR_
      @_ENDOR_ Месяц назад

      ​@@yoyoyo40244년전에도 광운대 상명대랑 비볐었는데..?

  • @user-yt8lk7hb9b
    @user-yt8lk7hb9b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즐겨보고있습니다.
    이렇게 솔직하게 말할수 있어야해요.
    공감하고 있습니다.

  • @user-ze1sf8ok7x
    @user-ze1sf8ok7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공부많이 하고 원하는 과 가서 열심히 하고 돈 많이 저축하세요. 돈이 곧 경쟁력

  • @elviskr.7821
    @elviskr.78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이런 영상은 서강대 입학처나 홍보담당 부서에서 고소해야 한다. 법으로 앗뜨거워 하고 느껴야 함.
    정원수를 타학교처럼 늘린다고 가정하면 입결컷이 낮아질테니까 낮게 평가한다? 그런 얼척없는 가정을 왜?
    정원수 늘릴 생각이 옛부터 지금까지 전혀 없고 적게 유지하는게 디폴트로 안변하는 학교인데?

    • @user-qx7mf4cn5c
      @user-qx7mf4cn5c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고소가 되나요
      입학자들 수능컷 다공개해야 되고 다른학교들과 비교해야 되는데 오히려 위험부담이 크지요...
      안그래도 분석가들 마다 의견이 다르고 입학자들 수능컷이나 환산백분위도 서강이 성대 한대보다 떨어진다고 분석하는 분들도 많이 있는데요...

    • @user-hm9xo7fz9y
      @user-hm9xo7fz9y 6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qx7mf4cn5c 사람들 의견이 갈리는건 어쩔 수 없는거고요... 보통 서성한은 반영비 때문에 입결이 엎치락뒤치락 하는 경우가 많아서 입결을 확정짓는건 어려울 듯 싶네요... 작년 같은 경우는 수학 때문에 서강대가 우세했고요.

  • @user-pz7ee9wl7w
    @user-pz7ee9wl7w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2

    대학생들아 젊었을때 학벌싸움많이해두고 학벌로 여친남친도 많이 사겨보고 그래라. 30대부터는 학벌은 무의미하고 진정한 돈싸움의 서막이 열리니 말이다.

    • @kingniko28
      @kingniko2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직장 안좋은곳 다니나 본데.. 대기업이나 금융권 임원진까지 올라가려면 학벌 필수 사항이다 ㅋㅋ 굵직한 기업들 임원진 학사 서성한 밑인걸 본적이 없음

    • @user-rg1xo9zc8k
      @user-rg1xo9zc8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kingniko28ㅋㅋ 지가 임원이 될거라고 착각하고 앉아있누 ㅋㅋ
      회사에서 살면서 숨안쉬고 일해도 될까말까인데 유튜브 검색하는거부터 과장 퇴사 예정이다 이기야 ㅋㅋㅋㅋ 어디서 경비설지나 알아봐라~

    • @user-vkfvjfdl
      @user-vkfvjfd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대기업

    • @user-rg1xo9zc8k
      @user-rg1xo9zc8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user-vkfvjfdl 학벌=임원=따놓은 당상 절때 아닙니다... 치열해요. 운도 많이 작용하고 학벌이 대기업 임원 필수요소는 맞지만 학벌 좋은 분들 중에서 0.1%만이 임원답니다.. 물론 난 공기업..

    • @seoulvibeseoulista3544
      @seoulvibeseoulista3544 3 месяца назад

      @@kingniko28그건 문과친구들 해당사항임 워낙 보수적인 집단이라

  • @user-hg1sx7bi5j
    @user-hg1sx7bi5j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 영상보면서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대학들은 다 쓰레기인가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쓰레기에 들어가기 위해 3년을 개고생했다니....

  • @Bilophul
    @Bilophu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

  • @user-jz7od4it4y
    @user-jz7od4it4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약대 의대는 지방에 있어도
    왠만한 서울대 일반 학과보다 커트 라인 이 비슷 하거나 높습니다

    • @user-tv4sf7lv3i
      @user-tv4sf7lv3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자방의대나와도

      고사는데
      지장이앖조

      교는중요하는게아나라
      의사
      실력이조

    • @user-if1xp1fs5f
      @user-if1xp1fs5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서울대 일반 학과보다 커트라인이 더 높죠 ㅎ 비슷하지는 않구요 비슷했으면
      일반학과 다니다 휴학하거나 반수 자퇴까지 하면서 지방대 의대를 왜 들어 가겠습니까? 걍 첨부터 지방대의대를 가죠
      의대 만능주의가 된 이후부터는 서울대 위에 의대가 있습니다 1위 명문대 의대
      2위 지방대 의대 3위 약대 한의대 4위 서울대 순서입니다 이게 현실이에요

    • @user-tv4sf7lv3i
      @user-tv4sf7lv3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if1xp1fs5f애를들어서
      치과병원에를들어보겠습니다
      의사들은출신학교가들리조
      사울대부산댜전남대
      의사들이많조
      요즘그렇게이야기바보소리들어요
      경북대부산대전남대들

    • @user-tv4sf7lv3i
      @user-tv4sf7lv3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먹고사는데지장이 없조

    • @user-tv4sf7lv3i
      @user-tv4sf7lv3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서울대는국립이조

  • @mensan333
    @mensan333 Месяц назад +1

    서울시립대가 공립대라 홍보를 잘 안해서 실제보다 많이 과소평가 됨. 등록금 전국 최저 인서울이라 실제 입결은 졸라 높음

  • @user-fy4ig4cv6e
    @user-fy4ig4cv6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요즘 대학순위
    의대 치대 한의대 설 약대 카포 연고 수의대 기타...

  • @KWON-hi1
    @KWON-hi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같은 라인이면 같은 급이지 뭔 ㅋㅋㅋ

  • @jayyoo906
    @jayyoo906 Месяц назад

    지금 대전 한밭대 전신 대전 전문학교 5년제 졸업하고 충남대에 편입학해서 박사학위 받고 카이스트 교수가 되었다. 특정 학과장으로 정년퇴직했다.
    그는 "카이스트 아이들 보다 옛 전문학교 학생들이 머리가 훨씬 좋아"
    이 이야기, 어떻게 생각하나?

  • @user-rn9ox6ub1w
    @user-rn9ox6ub1w 15 дней назад

    이런 영상의 조회수를 올려주고 말다니 분한 마음이 드네요.. 헛소리를 해도 박수 쳐주는 대중들이 있으니 유튜브로 신분 전환도 한번 꿈꿔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굳이 대학 안 나와도요 ㅎㅎ..

  • @3aeho
    @3aeh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그냥 한양대 공대처럼 전국민이 인정하는 확실한 우위를 가진 학과만 빼면 같은 대학 급간 안 같은 학과는 그냥 또이또이임.. 대학 고학년이 되고 사회진출하다보면 느끼는 점임..

  • @josephlee4604
    @josephlee460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혹시 몰라 한번 국내 메이저 증권사에 근무하시는 삼촌들한테 여쭤봤는데요, 현재까지도 취업우대할때는 서성한이 맞다고 합니다. 학생입장에선 한양도 파경이랑 서강 경영이면 비슷하다고 느낄수도 있겠으나 취업당담 입장에선 여전히 서강이 그나마 낫다고 생각하신답니다 - 한투

    • @Spica_00
      @Spica_0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태클 거는건 아닌데 아마 삼촌 나이대이시면 서강 금융이 꽉 잡고 있을거에요 서강 금융이 유명하잖아요
      아마 파경 좀 뜨고 난 이후 입학한 졸업자들이 업계에 아웃풋을 어떻게 세우냐에 따라서 바뀔것 같네요
      뭐 그래도 다 대단하지만요 서성한 금융 모두

    • @josephlee4604
      @josephlee460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Spica_00 그분 현직이시고, 추가적인 자문도 하우스에서도 구한거라 신입사원분들의 의견과 경험또한 만장일치로 그렇게 말씀하셨습니다

    • @Spica_00
      @Spica_0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josephlee4604현직자 피셜을 반박하려는건 아닙니다 지금도 앞으로도 서강 금융의 위상은 높을 것이라고 판단해요 다만 파경이 좀 뜬게 제가 알기론 2017년? 이후일텐데(학과는 그 이전에 설립했지만 다이아 장학금 때문에) 그 사람들이 자리를 잡아야 좀 현세대 입결이 반영되지 않을까 싶었어요
      물론 그래도 금융권은 서강 출신들이 많기도하고 실력이 있기에 서강 선호도가 더 클거라곤 생각됩니다 적어도 그때돠면 말씀하신대로 만장일치 정도까진 안가지 않을까.. 싶은 정도의 가벼운 생각이었습니다

    • @josephlee4604
      @josephlee460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Spica_00 아 방금 제가 단 답글의 스탠스가 공격적으로 생각하셨다면 죄송합니다. 물론 저도 한양 좋아하고 실제로 현재 내년 입학으로 서강 한양 경영 둘다 합격한 상황인지라 그분들에게 진심어린 조언을 구하다보니 듣게된 조언들을 바탕으로 작성한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였습니다. 파경도 물론 좋지만 현재까지 해외IB 비공개 취업공고는 서연고 서 이렇게만 도는 경향이 있긴하다 라고 하셔서 소신발언 한거였습니다 :D

    • @Spica_00
      @Spica_0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josephlee4604 아 아니에요 공격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저도 해외 금융이나 메이저 금융권들이 예전에 스카이+서까지 설명회했다는 글 많이 봤거든요 저도 서강대가 금융권이 홈그라운드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자연계로 입학했다보니 문과는 특히나 금융권은 자세히 아는건 없고 그냥 타 학과 사람들한테만 줏어들어서 문외한이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제 생각은 그냥 한 귀로 듣고 흘려주세요ㅎㅎ 그냥 지나가다 아무생각없이 댓글 달아봤어요

  • @user-fhei38ehdb1h4
    @user-fhei38ehdb1h4 20 дней назад +2

    3:57 다른 대학 비교는 워낙 유명해서 다들 알겠지만 서성한은 서열이 바뀌고 있는 게 맞는 거 같음.. 성한서로 바뀌다가 시간이 걸리겠지만 중대가 서강대 앞지를 날도 올 거 같음..대학 규모도 너무 작고 소수 정예 학구파 이미지가 강해서 기업체에서 지원을 안하면 힘들어 질 위기가 올 거 같음. 이번 글로벌 대학 평가에서도 한양대보다 훨씬 밑이어서 놀랐음. 확실히 의대 약대 메디컬과 가 있는 게 대학 순위에도 영향을 끼치는 건가 생각해 봄

  • @user-ji1es7kt5y-1
    @user-ji1es7kt5y-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9

    서울대와 연고대 차이가 크다고 하셨는데 제가 보기에 이 분은 1980~90년대 얘기를 하는 것 같습니다.
    일단 그 당시는 서울대 입학정원이 5000~6000명 정도였습니다. 지금은 3200명 정도이고 2024년 첨단학과 218명 늘리는 걸 교육부 허가 받아 진행하고 있습니다. 3200명중 지역균형 (국립대로서 당연하고 좋은 제도이나 학업성취도가 떨어질 가능성은 높음), 예체능 (서울대는 국악을 비롯해 모든 예체능이 다 있음) 제외하고 나면 일단 비슷한 분야에서 경쟁할 수 있는 학생이 확 줄어듭니다.
    그리고, 정말 중요한 변화중 하나는 학교 위주보다 전공 위주로 선호도가 급격히 바뀌고 있다는 것입니다. 서울대 공대보다는 연고대 의대를 가고 (심지어 지방의대를 가고), 서울대 사범대 보다는 연고대 상경계를 갑니다.
    서울대 생명공학 보다는 연고대 전자공학이나 컴퓨터 공학을 하는 게 앞으로 생을 살아가는 데 훨씬 유리합니다. 물론 적성과 신념이 있다면 다른 얘기가 됩니다만 대세를 거스르기는 어렵습니다.
    특성화 학과나 계약학과, 반도체/컴퓨터/정보통신 등을 전공하면 서울대에서 어설픈 공대, 사범대, 인문대 다니는 것보다 훨씬 유리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서울대와 연고대 차이가 크다는 건 거짓말입니다. (20~30년전에는 맞는 얘기)
    물론 동일 전공일 때는 서울대를 선호합니다. 하지만 연고대는 동일 전공에 인원이 대부분 많습니다. 충분히 경쟁할 만 합니다.
    각종 시험도 마찬가지인데 2022년 기준 각종 시험결과 입니다.
    로스쿨 : 고려대 431, 서울대 416, 연세대 308
    행시 : 서울대 60, 고려대 52, 연세대 35
    공인회계사 : 고려대 175, 연세대 106, 서울대 99
    기술고시 : 서울대 18, 연세대 14, 고려대 12 (2021년 : 고려대 19, 연세대 16, 서울대 13)
    변리사: 서울대 45, 고려대 39, 연세대 31 (2020년, 이후 자료없음)
    과거에는 최소 50% 이상을 서울대가 가져가던 시험들 입니다. 판이 바뀌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서울대가 인풋과 아웃풋이 아직 대한민국 최고인 것은 맞지만 과거처럼 압도적이지 않습니다. 시대를 읽어야 분석을 잘 할 수 있는데 이 영상은 엉성하기 짝이 없습니다.

    • @jamesan7884
      @jamesan788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0년대는 서울대가 법대 상대 등 특정학과만 좋았고 농대, 철학과 등은 중위권 대학의 그저그런과도 가기 힘들었어요.

    • @sewonkim2290
      @sewonkim229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와우... 고려대 화이팅!! 80년대 대학생활한 노딱입니다. 많이 바뀌었네요.. 공감합니다..

    • @memphis1592
      @memphis159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왜 설낮 연고높 으로 비교를 하시나ㅋㅋㅋ 그리고 메디컬은 논외로 쳐야지 지방의대 들고 오시네 설낮 연고높 비교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똑같습니다

    • @user-ji1es7kt5y-1
      @user-ji1es7kt5y-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memphis1592 예전에도 연대 의대는 높았지만 서울대 자연계 10개과 정도보다는 낮았습니다. 지금은 서울대 의대 다음 연대 의대입니다. 서울대 공대도 전기전자, 컴퓨터 등 몇개 학과 빼고는 연고대 전기전자, 컴퓨터, 반도체 등에 밀리고 있습니다. 서울대 조선항공공학과를 가겠습니까? 연고대 전기전자를 가겠습니까? 대부분의 학생은 연고대 전기전자를 가야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동과가 연대 189명, 고대 230명을 뽑는다는 겁니다. (오르비 입시결과표 확인) 인문계도 서울대 문사철과 사범대는 이미 연고대 상경, 신방 (과거기준) 등에 밀린다고 봐야 합니다. 과거와 같다고 할 수 없습니다.
      이건 정부가 의도한 바이기도 합니다. 과거 사법고시 300명 정도 뽑을때 서울대 160~170명, 고대 40~50명, 나머지 대학들 max. 20명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서울대 로스쿨이 정원을 제한 하면서 압도적일 수 없게 됐습니다. 변호사 아웃풋을 학부 기준으로 보면 연고대와 비슷해졌습니다. 양은 질을 수반합니다. 로스쿨과 행정고시 등이 이렇다는 얘기는 법조계, 행정부, 정치인들의 서울대 비중이 현저히 줄어들 미래를 말합니다.
      1980~90년대에 대학을 다녀본 사람은 격세지감을 느낍니다.

    • @user-cb5ry2lx4d
      @user-cb5ry2lx4d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얼 기준으로 밀린다하시는건지는
      잘 모르겠으나 서울대는 입결로 메디컬 제외하면 연대에 안 밀립니다ㅋㅋ 2과목 필수와 내신반영으로 인해 낮아보이는거지 결코 낮지 않음…ㅋ
      아직도 설대와 연고대 차이는 굳건합니다ㅋㅋ

  • @ringstar9348
    @ringstar934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우리나라는 학벌이 되게 약한 나라입니다

    • @user-fd8rm3uw1m
      @user-fd8rm3uw1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래서 대학 어디?

    • @ringstar9348
      @ringstar934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외국일 해보면 알아요. 외국은 공정할 것 같나요. 미국만 땅이 넓어서 막 섞이는 것 같지만 실상은 안그래요. 유럽 동남아 러시아 중동까지 어차피 똑똑한 애들은 좋은 학교 보냅니다. 그들이 친구로 커서 끈끈한 네트워킹을 하죠

    • @moonsangsong3142
      @moonsangsong3142 24 дня назад

      동감.... 이력서에 출신학교 안 쓰는 나라가 어디 있을까요?

  • @user-yf8xx7mi8h
    @user-yf8xx7mi8h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고졸후 공돌이해서 자금마련후 대출받아 음식장사해서 연10억이상 버는 친구들이 가장부러움ㅋㅋ

  • @user-he3dc9tp1w
    @user-he3dc9tp1w 3 месяца назад

    연세대가 고려대보다 항상 근소하게 앞서는데 머가 우열을 가리기 힘든지

  • @JW-7
    @JW-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7

    만약 이공계가 중경외시 밑으로 갈 바엔 인서울 고집하지 말고 차라리 아주대 인하대 가는 것도 괜찮은 선택임.

    • @JW-7
      @JW-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Jiuwvriusrvonusor-ml8vj 동건홍까지도 사회적 인식 매우 좋다는...걍 인하대 아주대가 예로부터 취업이 잘 되니까...

    • @user-dt7uq1qw7t
      @user-dt7uq1qw7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JW-7 요즘은 숭실 공대, 과기대 공대도 괜찮음 숭실 it, 컴공 유명하잖아 LG 계약학과도 학부에 신설하기로 확정했음

    • @user-tc6li5rr3c
      @user-tc6li5rr3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그럼 외대 공대 가라
      외대공대 경기대 공대 급인돼

    • @akaraka00
      @akaraka0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건동홍보다는 아주 인하가 메리트 있지,, 졸업해보면 알게될거에요

    • @JW-7
      @JW-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akaraka00 딱히 그렇게 큰 차이까지야...

  • @user-tc6li5rr3c
    @user-tc6li5rr3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공대 입결 건대 공대와 게임도 안돼는
    반쪽 짜리왜대가
    건대 위라는건 말도 않된다 취업도 안돼는 어문
    계열 문과 투성이인 왜대가 언제까지 중경외시 인가

    • @HsSffrkk
      @HsSffrk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거 맛춥범이나 좁 지키소

    • @user-il5xr7yq1j
      @user-il5xr7yq1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외대ᆢ근데 말은 백퍼 공감. 외대는 종합대라 하기엔 ㅜㅜ

    • @user-dj8hw3rm4c
      @user-dj8hw3rm4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user-or8wu7pw4k이미 입결은 중/시경건 임

    • @qowkdnx4963
      @qowkdnx496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맞춤법도 못지키는 건대따리가 뭔 반쪽자리 외대 ㅇㅈㄹ하고 있냐 이미 22 23 입결 기준 평백에서 외대 하위과랑 겹칠까 말까 하고 있는데 뒤질라고;;

    • @user-jz3kf1wt7e
      @user-jz3kf1wt7e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과롤 줄세우면 외대는 건대 아래가 맞음. .

  • @user-le5eq1qz4e
    @user-le5eq1qz4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삼육대 이번에 붙었는데 안쳐주나요?😢
    내신 4.49로 붙어놓고 할말은 아니긴 한데.. 삼육 식영과는 인지도 별루인가욤..

  • @ALEXLEE-me7uk
    @ALEXLEE-me7uk 27 дней назад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서 중고등학교 생활을 갈아넣은게 노력이 아니면 뭐가 노력이냐

  • @morningsnow2675
    @morningsnow2675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근데 사실 설카포 빼면 다 거기서 거기인것 같음

    • @user-bf2lh6tb1f
      @user-bf2lh6tb1f 3 месяца назад +1

      ㅇㅇ 솔직히 설카포 밑부터는 학과에 따라서 신분이 달라짐

    • @user-eq7yk3or6m
      @user-eq7yk3or6m 24 дня назад

      ⁠@@user-bf2lh6tb1f꼭 애매한 인서울애들이 이렇게 후려치더라
      지랑 동일선상으로 만들려고 ㅋㅋㅋ
      설카포 밑으로 하나도 안똑같으니까
      평생 그렇게 자위하면서 살아라 ~ ㅋㅋㅋㅋㅋ

  • @user-dt7uq1qw7t
    @user-dt7uq1qw7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수정해서 다시 올립니다)국숭세단도 메리트가 아예 없는 학벌은 아닙니다 저는 국숭세단 아래에서 숭실대로 왔는데 주변 반응이 확실히 달라요
    그리고 대성, 종로학원, 시대인재, 교육청 등 많은 대형 교육기관이 국숭세단까지 주요대학으로 분류중입니다 메가스터디, 이투스, 대성 같은 교육업체들 모두 국숭세단까지 합격하면 환급해줍니다
    한국경제, 중앙일보 대학평가, 각종 세계적인 대학평가를 봐도 국숭세단과 그 아래는 확연히 차이가 나죠
    대기업 계약학과는 숭실대 아래로 없어요(가천대만 있음) 국숭세단은 대기업 리쿠르팅도 많이 오죠 숭실대는 수험생, 업계 사이에서 it로 유명해요
    공대는 네이버, 삼성, LG, ibm 같은 기업들과 오랫동안 협력했고 최근에는 삼성전자 임원을 동국대, 시립대와 비슷하게 배출했어요
    문과도 국사편찬위원장, 장관들, 유명 사학자, 황순원 황석영 김동인 같은 소설가들을 배출했죠
    국민대는 현대차 입사자 수 3위를 찍었을 정도로 예전도, 지금도 많이 갑니다
    또한 전문직 아웃풋을 봐도 단국대는 사법고시 누적합격자 수가 시립대 이상, 마지막 전국 수석도 단대 출신입니다
    2009~2020 세무사 합격자 수는 단국대가 고려대에 이어 8위, 숭실대가 9위고 회계사는 숭실대가 2019년, 2020년 모두 10위권, 2021년은 이회여대 다음 가는 순위였어요 올해는 63명이 1차에 합격했죠
    관세사는 숭실대가 서강, 건국에 이어 5위권, 12년간 기술고시 합격자 수는 숭살대가 경희대보다 3명 더 적고 동국대와 비슷해요

    • @user-dt7uq1qw7t
      @user-dt7uq1qw7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그리고 수능 입결도 높습니다 국민대, 숭실대 문과는 6~10퍼센트고 숭실 이과는 10~22퍼센트입니다(홍대 전자전기공이 17퍼)
      이번에 LG 계약학과가 국숭세단 라인에 신설될 예정이죠 그리고 숭실대 같은 경우 금융학부, 경영 쪽은 은행, 증권사도 많이 가요

    • @user-dt7uq1qw7t
      @user-dt7uq1qw7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기업에서 유츌된 학벌 분류 자료에도 국민대, 숭실대, 단국대는 나와요 삼성이 예전에 대학별 인원 할당제 검토할 때 국민대, 숭실대에 서울시립대와 동일하게 30명으로 배정했었죠 국민대, 숭실대, 단국대는 대기업 임원도 많이 배출했어요 숭실대만 해도 안준길 삼성전자 무사장, 김종호 삼성전자 사장, 현대백화점 사장, 현대중공업 부사장, 농혐 은행장 등 많은 기업 임원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조만식, 안익태, 황순원, 황석영, 김동인, 김현승, 손정도, 김형직 등 근현대사에 중요한 인물들도 배출했어요

    • @moonsangsong3142
      @moonsangsong314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user-dt7uq1qw7t 김형직도 있습니다. 김일성 아버지.
      문익환 목사. 윤동주도 잠시 다녔었고.
      저는 숭실고 졸업.

    • @user-ym8vk4dk8h
      @user-ym8vk4dk8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loll610=에리카

    • @user-pi8eu6vu7m
      @user-pi8eu6vu7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시립대 컴과 어떤가여

  • @byongkiyiyi3445
    @byongkiyiyi344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대학서열 은 낮밤으로 변하는게 아니다 ᆢ ㅉ ㅉ 전세계가 똑같은 거야 !

  • @lanyroa399
    @lanyroa39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삼성전자 오피셜
    최우수: 서카포
    우수: 연고서성한
    이상입니다

    • @user-qx7mf4cn5c
      @user-qx7mf4cn5c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삼전 앞에서서 출신대학 물어보세요...
      서 연 고 성 한은 넘쳐나도 서강대출신은 진짜보기 힘들던데요...
      실제 시도한 유튜버도 있던데 서강대 출신은 한명도 못만나던데요 ㅋㅋㅋ

    • @lanyroa399
      @lanyroa39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그건 애초에 숫자가 적어서 그런거지
      나 포함 동기들 많이 다니는데요

    • @qweru2852
      @qweru285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user-qx7mf4cn5c 내가 서강대 출신이고, 삼성전자 다니는데? 동기 선후배들 삼전 엄청 많은데? 이상한소리 하지 마시죠??

    • @user-qx7mf4cn5c
      @user-qx7mf4cn5c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qweru2852 그렇군요... 전 본대로만 말씀드린겁니다
      물론 동문들이 여러분있겠죠. 삼전직원이 12만명인데 유튜브 인터뷰영상들 보다보면 표본이 너무 적은것은 잠깐 잊게 되더라구요...^^
      다 떠나서 갤럭시폴드는 정말 물건이네요
      지갑에 10억이있어도 제스스로 직접 절대 만들수 없는 것들이기에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잘 쓰고있습니다...

    • @hyepiazzo9369
      @hyepiazzo936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서강대 출신 진짜 드물어요

  • @kk34fcn
    @kk34fc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우리학교 순위 왜캐 낮냐... ㅣ

  • @user-oe9nv5dm7c
    @user-oe9nv5dm7c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건동홍 밑으론 라인이라고 하지말길 단용은 광운에 문과입결 따인지가 오래됨

  • @user-ic7fb8zb3w
    @user-ic7fb8zb3w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나때는 한양대 인문계열은 전남대와 비비는 수준이었는데. 물론 공대는 예외였고, 성균관대 공대는 전남대 공대 수준 쯤!!

    • @_ENDOR_
      @_ENDOR_ Месяц назад

      세상은 바뀌는법

  • @user-vt5br7qb8t
    @user-vt5br7qb8t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이야 ~ 이사람 입시는 해봤나 ~?

  • @user-cm8mh3ks7s
    @user-cm8mh3ks7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국숭세단까지는 어느 정도 자신감 가져도 되지 않을까 ?? …. 아니라면 말고

    • @mkj8722
      @mkj8722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회 나와봐... 말도 안꺼내게 된다

    • @user-bh4eq6sx9f
      @user-bh4eq6sx9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mkj8722 사회는 SKY나 서성한부터 엄청난 학벌로 쳐주지 않나요?

    • @user-jz3kf1wt7e
      @user-jz3kf1wt7e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국숭세단 공대면 괜찮아요. 요센 과를 무시 못합니다..

    • @seoulvibeseoulista3544
      @seoulvibeseoulista3544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bh4eq6sx9f설카포>>>>연고>인서울로 퉁칩니다 거짓말 아니라

    • @user-bf2lh6tb1f
      @user-bf2lh6tb1f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서성한 밑인 대학 나와도 미국 대학원 석사 이상만 따면 위상이 달라진다 ㅋㅋㅋㅋㅋㅋ 미국은 학사보다 대학원을 높게 쳐줘서 글로벌 기업 진출 쌉가능

  • @user-bt1wo4ep7b
    @user-bt1wo4ep7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4

    이런 순위가르는 컨텐츠는 없애야한다고 봅니다! 입시지옥으로 몰아넣어 출세한 애들 현재를 보세요! 온갖 갑질에 판사들은 비상식적인 판결 일삼고 하여튼 순위를 가르는 컨텐츠보다 유럽 선진국의 대학교를 보시고 참고 하시길!

  • @jinohkim1668
    @jinohkim166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수시제도 바꿔야합니다

  • @user-hx8ls8tz3u
    @user-hx8ls8tz3u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9

    전공이 훨 중요합니다...문이과 상관없이
    대학한칸 내리더라도 꼭 전공은 원하는걸
    선택하세요
    대기업 과장 아재가...
    학교는 필터값미적용이고 감점으로구분
    전공은 아예 필터값 직용...

    • @CODEDIS
      @CODEDI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ㅇㄱㄹㅇ 특히 편입할거면 무조건 메이져과 가야합니다

    • @user-ci2lc6pc3u
      @user-ci2lc6pc3u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서강대 들어가서 복전하면 그만이야~

    • @hdjjdsjensn
      @hdjjdsjens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

      @@user-ci2lc6pc3u서강대는 아무나 들어가냐ㅋㅋ

    • @Rosie_black
      @Rosie_blac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문과 고3인데ㅠ 대학 간판만 보고 가서 그나마 취업 잘되는 경제나 경영으로 복전 or 편입할 생각인데 ㅠㅠㅠ 괜찮을까요?-? 복전 편입 많이 어렵나요….

    • @on_my_book
      @on_my_boo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hdjjdsjensn진짜 '열심히' 공부했다면 비장애인기준 아무나 가능함. 노력도 재능이다 이런소리를 서강대부터 적용하는건 아니겠지?

  • @user-mj8vs6rp5k
    @user-mj8vs6rp5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본중 가장 정확하다

  • @user-rf8ru3sm6j
    @user-rf8ru3sm6j 4 месяца назад +8

    명문 서강대를 왜 이리도 싫어하시는지요?
    2023년 정시입결도 한번 보시길 바랍니다..이런 주관적인 서열 매기기는 좀

    • @user-bf2lh6tb1f
      @user-bf2lh6tb1f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서강대 명문대는 맞지만 성균관대 한양대보다 아래인건 팩트

    • @_ENDOR_
      @_ENDOR_ Месяц назад

      서강대 입결 높은건 알겠는데
      사실 동급이라 불리던 한양대 성균관대가 엄청 치고 나가고 중앙대가 뒤에서 바짝 붙는데 영향 당연히 받죠. 메디컬 없는건 둘째치고 문과 강세인 학교라서 이공계가 인기인 지금 어쩔수 없는듯. 산업공학, 원자력공학같은 학과도 존재하질 않아서 사실 좀 안타까움.

  • @hawaiiansun21
    @hawaiiansun2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4

    성대 90년대 중후반까지도 이공계는 완전 전멸수준이었고(그냥 수원에 있는 지방 공대였음.) , 문과도 서강대에 비해 한참 밀렸다.

    • @glasskim5368
      @glasskim536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넌 대학은 나온겨? 전문대졸? ㅋㅋ

    • @user-qh5xi5tv5k
      @user-qh5xi5tv5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끄덕끄덕

    • @user-nc5iw4pq5w
      @user-nc5iw4pq5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96년에 삼성이 재단되고 지금은 성한서죠 ㅋㅋㅋㅋ

    • @romiwhan
      @romiwhan Месяц назад +1

      삼성이 성대재단 하기 전에는 성대공대는 그냥 지방대 수준.. 95학번 기준에선.

  • @sjwon
    @sjwo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서강대는 80년대만 해도 공대도 없는 단과 대학 였습니다. 이공대는 있었는데 공학의 기계공학과도 없었다. 문과중심 학교.

    • @user-bh4eq6sx9f
      @user-bh4eq6sx9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서강대는 리버럴 아츠 칼리지를 지향하죠

  • @sjdsjh
    @sjdsjh 2 месяца назад

    음. 4등까지 올랐네 땡큐

  • @user-hm9xo7fz9y
    @user-hm9xo7fz9y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서강대가 아웃풋적으로는 성한에 밀릴 수 밖에 없지만(메디컬도 없고 인원수도 적어서) 아직 서강 문과 입결은 서성한 중 1위로 봐요... 이과순위 기준으로 서강대가 견고한 3위라는 것 때문에 좀 내려쳐지는 듯

    • @user-nc5iw4pq5w
      @user-nc5iw4pq5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입결도 밀리던데

    • @user-zj5nz1nq9o
      @user-zj5nz1nq9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user-nc5iw4pq5w서강 영문이 한양대 파경이랑 겹치는데 이게 무슨 말인지..
      한양대 문과 중에 제일 자랑하는 파경도 다이아몬드 장학 올해부터 사라지고 입결 중앙대 응통에 따임ㅋㅋ

    • @user-nc5iw4pq5w
      @user-nc5iw4pq5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zj5nz1nq9o 문과 서>한 은 인정

    • @user-bf2lh6tb1f
      @user-bf2lh6tb1f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요즘 시대에는 이과가 비중이 문과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서강대는 전체적으로 보면 한양대 성균관대 밑이 맞음

  • @profilexxx253
    @profilexxx25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내가 극상위권은 잘 몰라서 물어보는건데 어차피 하나 더틀리면 연고대고 하나 더 맞으면 서울대 아닌가요??

    • @user-hm9xo7fz9y
      @user-hm9xo7fz9y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문제 차이가 엄청나다는걸 모르시나요... 어차피 그정도 수준에서 변별장치인 문제가 그리 많다고 체감되지 않아서 1문제 차이는 실력상으로도 크고 점수상으로도 커요

    • @user-gb7gv8su7g
      @user-gb7gv8su7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빙고

    • @kaye11222
      @kaye11222 3 месяца назад

      1문제? 아닌데요 연고대 경영 점수로 서울대 문과 최하위과 갑니다

  • @user-ss1tj2fk7p
    @user-ss1tj2fk7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숭실대 공인회계사 합격율은 중겨뫼시급에 해당
    건동홍보다 더 합격자 높음

  • @user-mn5jf3ud1p
    @user-mn5jf3ud1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서성한이 중경외시 이런거 좀 하지 맙시다.

  • @ArikiNao
    @ArikiNao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그냥 서강대합격했으니 다닐란다

  • @user-zk8ik9tv1f
    @user-zk8ik9tv1f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저는 성적우수생들이 몰려서, 평판이 좋아진 것이 아니라, 평판이 좋아서, 성적우수생들이 몰린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기준이 학생 1인당 학교의 예산 지출 금액이라고 합니다. 이범 교육평론가에 따르면, 서울대 연 5천대, 연고대 연 3천대, 서성한 연 2천대 후반, 중경외시 연 천 5백이 넘는다고 합니다. 국내에서,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이 있는 대학은 연고대 이상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국내 평균은 연 천 3백이라고 합니다. 6조(정부 1년 예산의 1%)만 투입하면, 대학 평준화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교육 당국자들의 신속한 정책 결정과 집행이 필요한 때가 아닌지...!!!

    • @user-qx7mf4cn5c
      @user-qx7mf4cn5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THE나 US뉴스의 국내대학평가 보고오세요

  • @user-mm2dm6hp8q
    @user-mm2dm6hp8q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사실상 아직까지는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이가 맞음 23학년도 입시 컷만 봐도 바로 답 나옴 근데 이 채널 주인이 23학번 입시를 잘 모르는듯 ;;

    • @user-ib6pi6jh8m
      @user-ib6pi6jh8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지금은 서연고 한성서 중시경외 건이동홍이 맞습니다....

    • @user-mm2dm6hp8q
      @user-mm2dm6hp8q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user-ib6pi6jh8m 입결을 보면 서연고 서성한 중이경시외가 맞음

    • @user-mm2dm6hp8q
      @user-mm2dm6hp8q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user-ib6pi6jh8m 대충 23 입결만 봐도 대충 보이는데 🤔 쫌 찾아보시고 말좀 하길😩

    • @user-uo4kb1jm5z
      @user-uo4kb1jm5z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대 다니시는구나~

    • @user-sz1vc3cw1k
      @user-sz1vc3cw1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입결만 볼게 아니라 대학의 아웃풋을 봐야죠 ㅋㅋㅋㅋ

  • @user-oh4fv3ft3z
    @user-oh4fv3ft3z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과는 중시경건입니다

  • @klarenzjeong8031
    @klarenzjeong8031 15 дней назад

    진짜 상위권은 작곡과는 한양대까지밖에

  • @user-be6mn6kp1u
    @user-be6mn6kp1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최근의. 인서울 집중 현상은.
    이미 대졸자로 기성세대가 된 세대들이 부모가 되어.
    학벌이 중요치 않음을. 알기에.
    집가까운 서울에서 다니길 원해서 그런것임. 과거에는 부산.경북 대등도 스카이에. 견줄 이름이 있었음
    그 아래. 지방국립대도..

  • @oliverlli2332
    @oliverlli233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서카포 연한고 성서중 경이시 건동홍 국숭세단
    인가, 여기까지

  • @user-wr7ou7dr7r
    @user-wr7ou7dr7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서울 경북 부산.
    2.전북 전남 충남 강원.
    3.연세 고려 충북 경상.
    4.성균관 한양 이화 제주.
    5.중앙 경희 외국어 서울시립.

  • @user-yj9hf9fh4v
    @user-yj9hf9fh4v Месяц назад +3

    이런걸 정보라고 보는게 더 웃기는거네요.
    아마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학생이나 졸업자가 이런 영상 올릴까요.

  • @user-lf3wm9vp8h
    @user-lf3wm9vp8h 8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이화여대는 사실 중경외시 아래급
    영상에서 서울하위권 학벌 메리트 없다는데
    사회 나가면 졸라 큼
    그래도 인서울이면 상위10%이내라는거
    그 성실성, 기본지능이 높다는거
    그런걸 쳐주는것

  • @user-ng5je4vb6r
    @user-ng5je4vb6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2

    이번 해 입시도 서강대가 문과 이과 할 것 없이 1등입니다
    정원 수를 많이 뽑으면 컷이 내려 간다는 데 서강대는 학부생 수가 적은 만큼 과도 적어 단일 계열에서 입학 정원은 한양대보다 많습니다
    그리고 정원 수 이야기 하실 거면 아웃풋도 정원에 맞게 3배 해 주시면 되겠네요? 실제 로스쿨 입학시험 리트조차도 학벌 순서대로 서성한 순서임

    • @newbie771
      @newbie77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의치한약수 하나도 없어서 차피 10년안에 수직 추락함

    • @user-ng5je4vb6r
      @user-ng5je4vb6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newbie771 의치한약수가 없는데도 입결 바르는데 뭔 상관임 ㅋ 님 논리면 경희대 원광대가 최상위권이어야 함
      메디컬 가는 애들이 넘사인거지 일반과랑은 별 상관도 없음 ㅅㄱ

    • @recrescendo
      @recrescend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3

      현실은 문과 성서한 이과 성한서

    • @user-ng5je4vb6r
      @user-ng5je4vb6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recrescendo 성대는 문과 반 급간 차이나고 이과는 비교 하기에도 민망할 정도로 서강대한테 동일과 개털리는데요? 근거 없으면 걍 훌리로 생각 함

    • @wsy104
      @wsy10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성대 이과 의대 약대 반도체는 서울대수준

  • @user-dd7wo1gx5d
    @user-dd7wo1gx5d 4 месяца назад

    솔직히 학벌 안 궁금함. 서성한 이상 아니면 기억도 못함.

  • @sskim.9603
    @sskim.9603 4 месяца назад

    이 세상에 대학가려고 노력 안하는 나라가 있나?

  • @wojj1173
    @wojj117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이과는 서 연고 한성서 중 시경이건 동홍
    문과는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이 건동홍 순입니다.

    • @user-do3sx4kq6y
      @user-do3sx4kq6y 4 месяца назад

      이게 정답

    • @user-ep4qk5uj2b
      @user-ep4qk5uj2b 25 дней назад

      손주은이나 윤도영이 국숭세단도 언급하던데

    • @feel-tp4ul
      @feel-tp4ul 14 часов назад

      24학년 정시 입결컷 설고연성서한 입니다 팩트이니 확인해보세요

  • @ubermenschk5482
    @ubermenschk5482 4 месяца назад +3

    걱정마. 나 성대 나왔는데 서강대나 한양대나 다 내 라인이지 뭐. 어차피 서성한 다니는 애들은 연고대 가려다가 한두문제 더 틀려서 반발짝 부족해서 못 간 거 우리끼린 다 아는데.
    잘 모르는 인간들이 서성한은 어쩌고, 서강대는 하락세, 이런식으로 씨부려대도 의미 없는 호사가들 헛소리밖에 안 됨.
    어차피 그런 애들한테 인정받겠다고 공부했던 것도 아니잖아

    • @GyeomKwon
      @GyeomKwon Месяц назад

      서강대 24학번
      동의합니다.

  • @user-ho8lg2mo7v
    @user-ho8lg2mo7v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미국에서20년 살면서 보았는데 미국도 아이비리그.출신이 최고로 대우함 미국도 학벌사회다 한국도 스카이나외야 출세한다. 어쩔수 없는현실.

  • @user-ex1kz5qb8t
    @user-ex1kz5qb8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이과 성한서는 인정하는데요
    문과 성서한이라고 생각해요
    서강대가 인원이 부족하긴 하지만
    절대적인 아웃풋을 봤을 때
    한양대보다 좋아요

    • @angrydustpan
      @angrydustpa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한양대가 확실히 이공계를 밀어주는 경향이 강하긴 하죠

    • @alexkim1428
      @alexkim142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이과가 성한서라구요? 지나가는 개가 웃겠네요.... 입결이나 파워 .모든면에서 체급이 다른 한양공대와 비교라인에 두지마세요.. 문과가 엇비슷하다구 이공계에서 적당히 묻어가려 하지 맙시다 성대이공이 중경외시공대보다 떨어지는데 서강보다 낫다는것도 웃기네요,

    • @power_99135
      @power_9913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문과는 시장에서 경쟁 자체가 안 됩니다. 모든 순위를 다 깎아먹고 있어요. 괜히 문과 없애자는 게 아닙니다.

    • @user-fb4dv6ys3n
      @user-fb4dv6ys3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

      ​​@@alexkim1428요즘은 솔직히 성대 한양대 공대 입결은 비슷하더라

    • @Spica_00
      @Spica_0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다들 모르시던데 서강문과 인원수랑 한양대 문과 인원수 자체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억지로 이과 문과 사이 애매한 과 끼워넣으면 한양대 문과가 조금 더 많고 정통 문과만 합치면 서강대 문과 인원수가 더 많습니다 비슷해요 인원수

  • @jinohkim1668
    @jinohkim166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합리적 평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