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럼밀(듀럼 세몰리나)로 만든 파스타가 혈당을 급격히 올리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파스타 자체가 다른 곡물 제품(예: 흰 밀가루 빵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혈당지수(GI)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챗지피티 피셜 특히 파스타는 알덴테(살짝 덜 익혀서 심이 씹히는 정도)로 조리했을 때 전분의 호화(糊化)가 덜 진행되어 소화·흡수가 더디게 일어나기 쉽습니다. 이렇게 되면 식후 혈당 상승 폭이 완만해지는 효과가 있죠. 반대로 너무 오래 삶으면 전분이 훨씬 더 많이 호화되어 GI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듀럼밀 파스타 자체가 다른 정제 탄수화물 음식 대비 낮은 GI를 갖는 편이고, 알덴테로 조리하면 이 장점을 극대화하여 혈당이 급격하게 오르는 것을 좀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일상에서 “듀럼밀 파스타는 혈당 관리에 좋다”고 할 때는 보통 알덴테 조리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가 쓰는 올리브유는 백설 올리브유 인데, 영양정보를 살펴보면 100g당 칼로리는 900kcal 포화지방은 16g (하루 권장량의 107%) 입니다. 저는 보통 하루에 25g 정도(4스푼)를 쓰는데, 그러면 칼로리는 225kcal 포화지방은 4g(하루 권장량의 26% 정도) 입니다. 여기에 파스타 칼로리가 100g당 250kcal 라서 합치면 475kcal 인데, 칼로리상 낮은 칼로리는 아닌 것은 맞습니다. 다만, 살이 찌는게 걱정이 되신다면 1-2스푼 줄이고, 면의 양을 100g보다 더 적게 하면 좀 부담을 더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듀럼밀이 단순히 일반 밀보다 혈당지수가 낮다, 단백질과 섬유질 함량이 높다라는 정도의 정보로는 이게 몸에 건강한건지 아닌지 알 수가 없습니다. 건강식이라고 여겨지는 곡물류나 권장 혈당지수, 단백질 및 섬유질 함량과 비교를 해야겠지요. 제가 본 농촌진흥청의 자료에 따르면 스파게티면의 혈당지수는 55로 흰 식빵(71), 쌀밥(70) 등과 비교하면 낮지만 당면(60), 우동면(57)과는 차이가 크지 않으며 쌀국수면(52), 라면(49), 칼국수면(48) 등과 비교하면 높습니다. 이 자료에서 스파게티면을 일반 밀가루로 만들었는지 듀럼밀 밀가루로 만들었는지는 모르지만 제가 본 스파게티면은 비싼 제품이든 싼 제품이든 모두 듀럼밀 밀가루를 사용했었네요.
다 맞긴 하고 알고 있는 내용이긴 한데.. 당연한 얘기지만 알리오올리오는 말 그대로 그냥 사실상 자체가 탄수화물이라 파스타만 먹는다고 하면 칼로리, 영양 성분 생각해보면 부담스러움.. 남자 기준으로 적당히 먹어도 1000칼로리 가까이 먹게 됨.. 많이 먹으면 뭐 말 할 것도 없고
진심. 마늘 기름에 페페론치노 살짝 튀기듯 넣으면, 진짜 마늘향과 페페론치노의 향과 바디감?이 미침 개맛있음
감사합니다!
듀럼밀(듀럼 세몰리나)로 만든 파스타가 혈당을 급격히 올리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파스타 자체가 다른 곡물 제품(예: 흰 밀가루 빵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혈당지수(GI)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챗지피티 피셜
특히 파스타는 알덴테(살짝 덜 익혀서 심이 씹히는 정도)로 조리했을 때 전분의 호화(糊化)가 덜 진행되어 소화·흡수가 더디게 일어나기 쉽습니다. 이렇게 되면 식후 혈당 상승 폭이 완만해지는 효과가 있죠. 반대로 너무 오래 삶으면 전분이 훨씬 더 많이 호화되어 GI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듀럼밀 파스타 자체가 다른 정제 탄수화물 음식 대비 낮은 GI를 갖는 편이고,
알덴테로 조리하면 이 장점을 극대화하여 혈당이 급격하게 오르는 것을 좀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일상에서 “듀럼밀 파스타는 혈당 관리에 좋다”고 할 때는 보통 알덴테 조리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시면 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알덴테 보다 2~3분 더익혀서 식감이 조금더 부드러워진 파스타라 할지라도 혈당지수는 꽤 낮은편입니다. 충분히 익혀도 일반적인 쌀밥, 흰식빵 등 정제탄수화물보다 GI지수가 낮습니다.
치킨스톡듬뿍 뿌리면 존마탱임 파슬리 후추팍팍 페페론치노 넣으면 파는거보다 더맛있음
맛습니닸!
저도 자주 먹는데 먹을 때마다 올리브오일 때문에 살찔까 걱정돼요.. 한두 스푼도 아니고 저만큼 넣어도 건강한 것 맞나용?
제가 쓰는 올리브유는 백설 올리브유 인데, 영양정보를 살펴보면
100g당
칼로리는 900kcal
포화지방은 16g (하루 권장량의 107%) 입니다.
저는 보통 하루에 25g 정도(4스푼)를 쓰는데,
그러면 칼로리는 225kcal
포화지방은 4g(하루 권장량의 26% 정도) 입니다.
여기에 파스타 칼로리가 100g당 250kcal 라서
합치면 475kcal 인데, 칼로리상 낮은 칼로리는 아닌 것은 맞습니다.
다만, 살이 찌는게 걱정이 되신다면 1-2스푼 줄이고,
면의 양을 100g보다 더 적게 하면 좀 부담을 더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ㅏ!!
칼로리 개념은 낡았습니다. 냉압착 올리브유의 경우 부담없이 드셔도 됩니다.
올리브유는 살 별로 안찜
칼로리식 계산은 구시대의 산물임.
잡채 떡국 전 사골국 이딴 트래쉬 음식보다 파스타가 몇배는 건강식임 ㅋㅋㅋㅋ
떡국이 사실 엄청나게 안좋긴하죠..ㅠㅜ
듀럼밀이 단순히 일반 밀보다 혈당지수가 낮다, 단백질과 섬유질 함량이 높다라는 정도의 정보로는 이게 몸에 건강한건지 아닌지 알 수가 없습니다. 건강식이라고 여겨지는 곡물류나 권장 혈당지수, 단백질 및 섬유질 함량과 비교를 해야겠지요.
제가 본 농촌진흥청의 자료에 따르면 스파게티면의 혈당지수는 55로 흰 식빵(71), 쌀밥(70) 등과 비교하면 낮지만 당면(60), 우동면(57)과는 차이가 크지 않으며 쌀국수면(52), 라면(49), 칼국수면(48) 등과 비교하면 높습니다. 이 자료에서 스파게티면을 일반 밀가루로 만들었는지 듀럼밀 밀가루로 만들었는지는 모르지만 제가 본 스파게티면은 비싼 제품이든 싼 제품이든 모두 듀럼밀 밀가루를 사용했었네요.
우리나라 주식이 쌀밥인데 당연히 쌀밥에 비해서겠져
@@Sa-js2pc 만약 그렇다면 영상에서 굳이 듀럼밀을 일반 밀가루에 비교해서 언급할 필요가 없겠죠?
혈당은 모르겠고 탄단지 성분은 굳
다 맞긴 하고 알고 있는 내용이긴 한데.. 당연한 얘기지만 알리오올리오는 말 그대로 그냥 사실상 자체가 탄수화물이라 파스타만 먹는다고 하면 칼로리, 영양 성분 생각해보면 부담스러움.. 남자 기준으로 적당히 먹어도 1000칼로리 가까이 먹게 됨.. 많이 먹으면 뭐 말 할 것도 없고
라면이나 흰밥같은 탄수화물이랑은 다름 그리고 알리오올리오는 칼로리가 높을 수가 없음
웬만큼 먹어서는 1000칼로리 까지는 안갈텐데, 이것 저것 많이 넣으셔서 그런가보네요!
한번에 500g씩 드시나요? 절대 남자 평균 아님. 알리올리오는 1인분 200g에 400칼로리정도입니다;
1000칼로리 양을 먹는다고?
건강한 사람은 혈당을 덜 올릴지 몰라도 당뇨환자는 작살남
이상하게 맨들어먹네
알리오올리오 너무 맛없다 ㅜ
그건 본인이 못 만들어서 그런 것..
@ 그닥 맛잇진않아요 조미료좀 써여 할듯
파스타중에 제일 맛있던데.. 치킨스톡 좀 넣어보셔요
맛있는데 님이 요리를 잘못하는듯요
@@bergkampdennis5673 맛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