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참고로 이 제품 특이한게, 요즘 포트 구성들이 HDMI 1개 DP 3개인데, 얘는 HDMI 2개 DP 2개입니다. 보통 여러개 못넣는 이유가 라이선스 비용 때문인데, 얘는 HDMI를 1개를 더 넣었네요? 좋긴한데... 굳이? 4060 Ti 자체는 50만원 초반대라면 살만하다 생각합니다! 00:01 신제품 출시 예정 00:22 스펙 둘러보기 00:43 ☆ 타스 & 게임 테스트 02:40 ★ 종합 게임 성능 그래프 03:36 단점1 : 4K에서 떨어지는 성능 04:18 단점2 : 아쉬운 MSRP 04:43 2가지의 장점 06:10 제품 둘러보기 07:20 결론, 가격이 문제다
13600k + 대장급 공랭+ msi b760보드 조합시 수율 안좋거나 과전압 걸렷을때 온도 잡는 영상좀 만들어 주세요 구글에 13600k 과전압 13600k 온도 검색하면 아주 많이 나올겁니다. 바이오스 업데이트 + 각종 드라이버를 깔고 바이오스 셋팅을 잘못해서 과전압이 걸리는건지 아니면 셋팅을 잘해도 과전압이 걸리는건지도 궁금하네요
질문이 있습니다. 저는 i9-9900kf 를 사용중인데 영상 편집 작업을 많이합니다. 병목현상을 감안하고서라도 4060ti 를 사는게 나을까요 3070을 사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아예 다른 그래픽카드를 사는게 나을까요?? 꼭!! 답변좀 부탁드릴게요 ㅠ.ㅠ 최근.. 막 공부하면서 부품 구매중인데.. 잘못해서 막 서버램 32기가 짜리를 4개를 사고..막 이런 뻘짓을좀 했답니다.. 램은 결국 기존16x2 에다가 추가적으로 같은거 16x2 할예정이예요.. 맞는 선택이겠죠..? ssd 삼성꺼 500g 5년정도 썻는데 새로 구매해서 마이그레이션 할까요..?
영상 편집을 프리미어로 하시나요? 그럼 CPU 부터 바꾸시는게 더 체감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인텔 기준 이름에 F가 붙어있으면 내장그래픽이 없는 모델이거든요. 프리미어는 인텔 내장 그래픽은 엔비디아와 듀얼로 사용해, 더욱 효율이 좋아요. (바이오스에서 따로 설정해줘야합니다. 구글링. 라이젠 CPU는 효과없음) 영상 편집은 GPU의 3D 성능이 아니라 VRAM, 렌더러 능력을 봐야하는데요. 렌더 성능은 4060 Ti가 더 좋긴 하지만, 체감적인 차이는 적을거고요. 둘 다 VRAM이 8GB이기 때문에, 저렴하게 중고로 구한다 하시면 RTX 3070이 좋습니다. 영상 편집 목적이시면 게임 성능은 큰 의미가 없어요. 램은 프리미어 기준 64GB면 웬만해선 문제없는 것 같습니다. 제 영상 원본은 다 4k60p인데 64GB 다 못쓰는 경우가 많네요. 램 슬롯이 4개고 기존에 16x2었다면, 16GB 짜리 남는 슬롯에 더 채워주면 좋죠. SSD는 바꾸시면 좋지만 안바꾸셔도 문제없습니다. 맨 첨에 영상 불러올 때 속도 차이지 편집하면서&영상 내보내면서 SSD 속도 때문에 문제되는 경우는 적어요.
4060 Ti의 래스터 성능이 3070 보다 안좋아서 고해상도에서 약간의 격차가 벌어지고 대역폭으로 인한 약간의 성능 손실있지만, 저해상도에서 대용량 캐시와 고클럭 덕분인지 3070과 대등하게 나오는데, 지오메트리 스루풋이 높아서 그런건 아닐까 합니다. 고해상도로 가면 대용량 캐시 적중률이 떨어지고 처리햐야할 픽셀 데이터가 많아지니까 대역폭과 래스터 성능이 요구되는 것 같습니다.
05:53 DLSS 및 RT에 대해 잘못된 내용이 있는거 같습니다. DLSS의 경우 과거 모델에는 영상 내용대로 엔비디아에 리소스를 보내 해당 게임을 AI가 학습해야했지만, 현재 사용되는 모델은 생성형 AI와 같이, 이미 학습을 완료한 모델에 적절한 입력값을 주어 결과(업스케일링 및 프레임 제네레이터)를 뽑는 방식이라 엔비디아에 리소스를 보낼 필요가 없습니다. (물론, 최적화된 노출값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별도의 개발비용이 투입되야하는 건 동일합니다.(dlss의 고스팅 현상은 잘못된 노출값에 의한 것) 별도의 노력이 필요한 건 fsr2.0도 마찬가지..) 때문에, dlss를 미지원하는 게임에 dlss를 적용하는 유저 모드가 나올 수가 있죠.(스카이림,폴아웃4,(dlss2) 스타워즈 제다이 서바이버(dlss3) 등) RT의 경우에도 필요하다면 엔비디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이지, 기본적으론 SDK(DXR, Vulkan(RTXDI, RTXGI) 를 통해 개발하는 것이기 때문에 엔비디아에 리소스를 보내는 건 불필요 하죠. 대신에 적용안한 GI랑 RT를 적용한 GI를 동시에 구현해야하는 개발비용의 문제가 있는거지만요.
1060이나 2060또는 그 전세대 쓰던 사람들은 4060ti 요즘 40만원 후반대도 보이던데 바꾸면 개만족함 기존 3060ti 이상급 쓰던 사람들은 굳이 바꿀필요 있겠나 싶음. 써보지도 않고 여기저기 커뮤니티에서 숫자놀음만 보고 많이들 까제끼는데 써보면 나름 만족함 어차피 창 띄워놓고 프레임 숫자딸 칠거면 최소 4080이상 가면 되는거고 예산 딸리면 그냥 존버하면 됨
@@DOVAHKIIN77777 아니... 난 이렇게 흑백의 이분법적으로 밖에 세상을 보지 못하는 인간들이 정말 참 어이가 없더라고.. 애초에 3070 쓰다가 옮긴거라 딱히 어느 한쪽만을 찬양하는 빠돌이도 아님ㅋㅋ 컴터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라데온의 드라이버 이슈를 모르는 사람은 당연 없을테지만 AMD가 지난 1-2년간 이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대대적인 작업을 해왔고 시스템을 완전 갈아엎었음. 그 이후로는 많이 안정화됬고 해외 테크 커뮤들에서나 IT 관계자들, 유튜버들은 이미 라데온의 드라이버 이슈는 과거의 이미지로 생기는 편견에 불과하다는 것이 컨센서스를 이루고 있고 엔비디아도 드라이버 이슈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다는 것은 해외에선 누구나 알고 있음.. 그럼에도 시장에서 여전히 압도적으로 밀리는건 기존에 쌓인 브랜드 이미지 + 허접하기 짝이 없는 마케팅 전략 + 출시 가격 책정 실패 + 항상 한템포 느린 신기술 개발 같은 것이 주된 이유임. AMD가 GPU 시장에서 실질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한지는 사실상 얼마 되지 않았고 애초에 소비자들은 브랜드에 대한 편견을 쉽게 바꾸지 않기 때문에 이미 구도가 정착된 현 시장에서 단기간 안에 판도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함.
fhd.. 아직도 쓰는 사람들이야 있긴하지만 고사양게임 과 하드웨어 신경쓰는 사람들은 보통 qhd 이상으로 보죠 전성비 낮고 20%~30% 높은성능, 전성비는 높지만 동세대 라인과 비슷하거나 못한 성능.. 여기서 고민할게 없는게.. 사실 클럭 제한 걸거나 수냉쓰면 온도나 전력은 어느정도 잡힙니다.. 그냥 좋은거 사서 성능 리밋걸면 그만인건데 시퓨도 터보부스트 필수로 쓰고 k붙은걸로 오버하면서 전력이고 수명이고 갉아먹으면서 까지 어떻게든 클럭높이려고 발악발악 하는데 전세대동일성능+전성비가 정말 메리트가 있는건가요..???
DLSS 3도 직접 써보면 그렇게 좋은가 싶음. 지싱크(거의 짭싱크)없찐은 테어링 감수하거나 수직동기화 켜려면 게임할때마다 모니터 설정을 새로만져줘야함. dlss2 자체도 약간의 레이턴시 상승이 있는데 3까지 켜면 추가지연.. 그런데 그거라도 일정하게 이어지면 큰 체감은 아닌데 쓰다보면 키입력이 밀리는 구간이 꼭 있음. dlss3 끄고 dlss2만 쓰면 그런 구간자체가 없기 때문에 dlss3의 추가지연 자체도 일정하지 않음.
지금 보다 가격이 10만원 이상 낮아지면 유저들이 납득할 것 같습니다. 엔비디아 황씨는 분명한 메세지를 준거죠 이제 더이상 3060TI 같은 제품은 만들어주지 않을 것이다. 즉 가격대 성능 좋은 제품은 절대 없을꺼다 선언한 겁니다. 이제 어떤 소비를 해야 할지는 소비자들 선택에 남은 것이겠죠. 적어도 30사용자들은 40을 살 이유가 전혀 없다!
제가 그런 케이스인데요, 추가 파워 구매로 인한 예산을 그만큼 쓰기 어렵거나 싫으시면 3070 도입 시뮬레이션 검토해보세요. 시퓨가 80W 정도 먹고, 3070이 게임 시 240W, 기타 팬, 안전율(80%) 계산해보시고요. 이 계산값이 가지고 계신 파워 수준에서 업그레이드가 필요하신지 다시 검토해 보세요. 저는 파워 재투자 예산, 비용 감안해보니 좀 아까워서 그냥 4060ti로 구매했습니다. 하는 게임도 프레임이 더 중요해서 옵션을 낮춰 사용하기도 하고요.
이렇게 보면 3000번대가 진짜 잘나온거 같네요 그때 코로나 반도체가격사태만 아니였다만 글카가격이 지금처럼 안정화됐다면 진짜 역대급 라인업이였는데 지금 fhd 유저들 중고로 30중반후반에 3060ti 30후반에서 40초반때 3070사는것도 나쁘지않는 선택같네요 전 배그때문에 작년 11월인가 1660에서 중고 3060ti로 넘어갔는데 만족스럽네요 씨피유가 좀 딸려서 그렇지 i5 9400임 ㅜㅜ
단순한 전력의 소모값이 낮아진 차이점을 보이고 있지만, 오히려 전력이 낮아짐으로써 그 CPU의 향상이 적극 이루어졌다고 볼 정도로 4060 ti는 파워를 아끼고 싶어하는 사람의 픽이 아닌가 싶슴다. 3070으로 간다면 성능은 비슷할지언정, 온도랑 전력 소모량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더 좋은 쿨러, 더 많은 파워가 요구되면서 결국 가격값이 조금씩 올라가게 됩니다. 쿨러 또한 전력이 필요하기에 결론적으로 4060ti는 할인을 하는 거면 최고의 픽이 아닌가 싶슴다.
40시리즈 부터는 게임성능 으로만 그래픽카드 급을 나누는게 무의미 해졌고 AI연산 성능까지 봐야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AI인공지능 연산 성능에선 3070보다 4060ti 가 강점이 있습니다... 4060ti VRAM 16GB 모델이 나온 이유도 AI인공지능 프로그램 을 염두해두고 나오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40시리즈는 게임성능 보다도 AI인공지능 쪽을 겨냥해서 만들었기에 게임으로만 비교 하였기에 가격대비 30시리즈 보다 못하다는 생각이 드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경쟁의 중요성을 제품 나올 때 마다 보여주는 4천번대 시리즈네요 예전엔 성능은 더 좋고 신기술도 들어간 제품을 더 저렴하게 살 수 있었는데 이제는 그냥 성능은 똑같고 신기술만 들어간 제품을 같은 가격에 사는 수준 ㅋㅋㅋ 더 열받는건 엔비디아는 이제 대놓고 DLSS들어간 성능을 자기들 스펙 기준으로 팔고있는데 반대로 말하면 DLSS안되는 게임들은 같은 돈 내고 남들보다 못한 제품 쓰는거랑 똑같다는거
수 년째 엄청난 폭리를 취하던 Nvidia가 조금씩 정신 차려가고 있는듯 보이기도 하네요 하여튼 게임시장만을 보고 일하기에 돈이 안되니 엔비디아의 행보는 이해는 되지만 그로인해 수 년간 실제 게임 소비자와 유저들이 좋지 않은 환경에서 플레이를 하며 버텨온 걸 생각하면 여전히 엔비디아의 독점 체제는 괴씸하긴 하네요. 가격이 적정선이 되어 소비가 활성화 되고 제작자들도 더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도록 엔비디아가 더 정신차려주길 바래봅니다.
60쪽은 게임을 상옵으로 안해도 되는 사람들이 구매하는 중급 카드라 돈 조금 아끼겠다고 사면 호구임. 지금 3070 이상 그래픽카드로 못돌리는게 없는 게임 시장에서 굳이 40번대 살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훗날을 보고 미리 업그레이드 한다는 사람들 2~3년뒤에 5000번대 출시하면 또 후회함
13600k + 대장급 공랭+ msi b760보드 조합시 수율 안좋거나 과전압 걸렷을때 온도 잡는 영상좀 만들어 주세요 구글에 13600k 과전압 13600k 온도 검색하면 아주 많이 나올겁니다. 바이오스 업데이트 + 각종 드라이버를 깔고 바이오스 셋팅을 잘못해서 과전압이 걸리는건지 아니면 셋팅을 잘해도 과전압이 걸리는건지도 궁금하네요
개인적으로 전력소모와 온도가 적게 나온 이유는 버스가 낮아서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애초에 통행량을 통제하는 거다보니까 코어가 무리하게 일을 할 여건이 안 잡히는 게 아닐까.... 전력사용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합니다. 통행차량이 많지 않으니 그만큼 기름도 적게 드는... 문제는 왜 굳이 버스를 줄였나 싶은 의문이 들기는 하는데, 원가절감을 이유로 들기는 좀 아닌 것 같고, 위에서 제가 말한 게 맞다고 가정하면 역으로 70라인업과 같은 버스로 동작한다고 하면 2배의 온도와 전성비를 갖게되어버리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fhd급의 사용자라면 말씀하신 가격에 고려해볼 만하다고 봅니다. fhd급이라는 조건에서 확실하게 전성비와 dlss3라는 매리트를 어필할 수 있으니까요. 그 이상으로 가면 좀.....
리뷰 잘봤습니다... 그런데 기가바이트 제품은 가격은 착하지만 소음이 너무 크기 때문에 비추천합니다.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거겠죠. 소음, 온도 낮은 제품은 한 돈 10만원 더주고도 살 가치가 있어요. 진짜 좋은 제품은 중고시장에 잘 나오지 않습니다. 출시한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중고시장에 많이 나온 제품들이 곧 쓰다가 불만족한 제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의외로 하자있는 제품들을 싼 값에 파니까 사람들이 많이 사게되고 다시 불만족해서 중고시장에 나오고... 악순환이죠. 고사양으로 갈수록 하자를 가성비로 둔갑시키고 있지요. 그리고 전성비는 매우 중요한 사람들도 많습니다. PPW가 조악한 제품은 24시간 PC 여러대 켜두는 사람들한테는 상당히 좋지않아요. 4000번대 모든 제품, 특히 70ti, 90 이런애들은 전성비 개선부분에서 정말 칭찬해야 되는 제품라인입니다
아 참고로 이 제품 특이한게,
요즘 포트 구성들이 HDMI 1개 DP 3개인데,
얘는 HDMI 2개 DP 2개입니다.
보통 여러개 못넣는 이유가 라이선스 비용 때문인데,
얘는 HDMI를 1개를 더 넣었네요?
좋긴한데... 굳이?
4060 Ti 자체는 50만원 초반대라면
살만하다 생각합니다!
00:01 신제품 출시 예정
00:22 스펙 둘러보기
00:43 ☆ 타스 & 게임 테스트
02:40 ★ 종합 게임 성능 그래프
03:36 단점1 : 4K에서 떨어지는 성능
04:18 단점2 : 아쉬운 MSRP
04:43 2가지의 장점
06:10 제품 둘러보기
07:20 결론, 가격이 문제다
뻘형 영상 하루 4개씩올려줘
오잉 ㅋㅋ 싱기하네요 4090에도 없는걸 ㅋㅋ
새로 사는 사람이야 살만한거지
3000번 쓰던 사람이 굳이 바꿀이유 1도 없긴함..
13600k + 대장급 공랭+ msi b760보드 조합시 수율 안좋거나 과전압 걸렷을때 온도 잡는 영상좀 만들어 주세요
구글에 13600k 과전압 13600k 온도 검색하면 아주 많이 나올겁니다.
바이오스 업데이트 + 각종 드라이버를 깔고 바이오스 셋팅을 잘못해서 과전압이 걸리는건지 아니면 셋팅을 잘해도 과전압이 걸리는건지도 궁금하네요
형~ 형은 우리에게 연예인보다 더한 스타인데
몸관리좀 하는게 좋지 않을까여? 건강이 걱정되요~~
질문이 있습니다.
저는 i9-9900kf 를 사용중인데
영상 편집 작업을 많이합니다.
병목현상을 감안하고서라도 4060ti 를 사는게 나을까요 3070을 사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아예 다른 그래픽카드를 사는게 나을까요?? 꼭!! 답변좀 부탁드릴게요 ㅠ.ㅠ
최근.. 막 공부하면서 부품 구매중인데.. 잘못해서 막 서버램 32기가 짜리를 4개를 사고..막 이런 뻘짓을좀 했답니다..
램은 결국 기존16x2 에다가 추가적으로 같은거 16x2 할예정이예요.. 맞는 선택이겠죠..?
ssd 삼성꺼 500g 5년정도 썻는데 새로 구매해서 마이그레이션 할까요..?
영상 편집을 프리미어로 하시나요? 그럼 CPU 부터 바꾸시는게 더 체감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인텔 기준 이름에 F가 붙어있으면 내장그래픽이 없는 모델이거든요. 프리미어는 인텔 내장 그래픽은 엔비디아와 듀얼로 사용해, 더욱 효율이 좋아요. (바이오스에서 따로 설정해줘야합니다. 구글링. 라이젠 CPU는 효과없음)
영상 편집은 GPU의 3D 성능이 아니라 VRAM, 렌더러 능력을 봐야하는데요. 렌더 성능은 4060 Ti가 더 좋긴 하지만, 체감적인 차이는 적을거고요. 둘 다 VRAM이 8GB이기 때문에, 저렴하게 중고로 구한다 하시면 RTX 3070이 좋습니다. 영상 편집 목적이시면 게임 성능은 큰 의미가 없어요.
램은 프리미어 기준 64GB면 웬만해선 문제없는 것 같습니다. 제 영상 원본은 다 4k60p인데 64GB 다 못쓰는 경우가 많네요. 램 슬롯이 4개고 기존에 16x2었다면, 16GB 짜리 남는 슬롯에 더 채워주면 좋죠.
SSD는 바꾸시면 좋지만 안바꾸셔도 문제없습니다. 맨 첨에 영상 불러올 때 속도 차이지 편집하면서&영상 내보내면서 SSD 속도 때문에 문제되는 경우는 적어요.
@@BullsLab 와..자주보는 채널이여서 혹시나하고 글 달아본건데 답변 너무감사합니다!! ㅎ그럼 마지막으로 혹시.. 추천해주실만한 CPU가 있을까요? 그래픽카드며 씨피유며 직접 교체작업하는건 어렵지 않겠죠? 유튜브 보면서 하면ㅎㅎ
(위에 답변 해주신것 처럼 CPU를 그래픽카드가 내장된걸로 바꾼후 듀얼로 사용하려면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하다~ 는 말씀이시죠?)
4060 전혀 기대가 안되는데요. 여태 실망만 끼쳐왔는데, 기대될 리가 있나요. 그냥 중고가 답입니다. 고장은 대부분 팬문제이니, 알리에서 팬만 교체하면 문제 없어요.
3070 쓰는데 영상 녹화할때 프레임 드랍 땜에 업글 하고 싶었지만 40이 개똥같이 나와버렸어요 ㅠㅠ
4080이라도 살까 고민중인데 진짜 너무 비싸서 손이 안가네여
3090ti 씹어먹는 전성비갑 4080 무조건 강추요.
4060 Ti의 래스터 성능이 3070 보다 안좋아서 고해상도에서 약간의 격차가 벌어지고 대역폭으로 인한 약간의 성능 손실있지만, 저해상도에서 대용량 캐시와 고클럭 덕분인지 3070과 대등하게 나오는데, 지오메트리 스루풋이 높아서 그런건 아닐까 합니다. 고해상도로 가면 대용량 캐시 적중률이 떨어지고 처리햐야할 픽셀 데이터가 많아지니까 대역폭과 래스터 성능이 요구되는 것 같습니다.
메인스트림인 xx60은 gtx1060때까지 그랬듯이 30만원 이하가 적정가격이죠. ti 붙어서 한 5만원 더 붙더라도 35만원 이하. 채굴광풍 이후로 그래픽카드 가격이 미쳐날뛰고 있네요. 그나마 최근들어 가격이 좀 누그러졌는데 그래도 미친 가격은 여전한
인생 첫 조립컴 맞추려고 1주일동안 겁나 알아보는중인데 이영상보고 고민되네요.. 견적은 : AMD 라이젠5-5세대 7600 (라파엘) (멀티팩(정품)) / Thermalright Peerless Assassin 120 WHITE ARGB 서린 / GIGABYTE A620M GAMING X 제이씨현 / GIGABYTE 지포스 RTX 4060 Ti EAGLE OC D6 8GB 피씨디렉트 / FSP FSP750-50ABA 이렇게 구성은 해놨는데... 컴잘알 형님들 어떤가요..?
얼마전 친구 견적 알아본다고 짜봤던것과 비슷하네요. 가성비로 괜찮은것같아요. 근데 친구한테는 어정쩡하니까 차라리 더 싸게 중고로 사자고 했어요. 디아블로4 fhd로 돌리는것만 목적이었던 친구였거든요. 케이스까지 풀로 했을때 120 나오던데 과연 이가격이 맞나 싶은 사양이라서요. 5년전만해도 이정도의 가성비 보급형 라인이면 80 언저리 였던것 같아서요. 현명한 선택 하시길 바라요.
확실히 최신 제품이라 전성비랑 온도가 기존 제품에 비해 좋아진 건 맞는데 그냥 성능이 부족하네요 그러다보니 가격도 높게 느껴지고... 그래도 정말 가격만 좋게 구해온다면 나쁘지 않은 제품인 것 같습니다
2년전과 비해 너무 후덕해 지셨습니다. 마치 저를 보는것 같습니다.
😠
뼈때리네
프사 보니 믿음이 갑니다
@@BullsLab 형 다이어트 해야해.. 팩폭이라는 연료로 달려보자고..
@@vegaagev😂😂
3070 lhr as 2년 가까이 남은것도 35-38선에서 굴러다니는데 신품 꼭 사야하는거 아니면 40후반 아니면 살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4090 벤치를 보면서 실제로 구매 가능 가격에 도달하는 6-70 라인업에 기대가 많았는데 영 .. 군전역하고서 다시 봐야할 듯😂
05:53 DLSS 및 RT에 대해 잘못된 내용이 있는거 같습니다.
DLSS의 경우 과거 모델에는 영상 내용대로 엔비디아에 리소스를 보내 해당 게임을 AI가 학습해야했지만, 현재 사용되는 모델은 생성형 AI와 같이, 이미 학습을 완료한 모델에 적절한 입력값을 주어 결과(업스케일링 및 프레임 제네레이터)를 뽑는 방식이라 엔비디아에 리소스를 보낼 필요가 없습니다. (물론, 최적화된 노출값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별도의 개발비용이 투입되야하는 건 동일합니다.(dlss의 고스팅 현상은 잘못된 노출값에 의한 것) 별도의 노력이 필요한 건 fsr2.0도 마찬가지..)
때문에, dlss를 미지원하는 게임에 dlss를 적용하는 유저 모드가 나올 수가 있죠.(스카이림,폴아웃4,(dlss2) 스타워즈 제다이 서바이버(dlss3) 등)
RT의 경우에도 필요하다면 엔비디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이지, 기본적으론 SDK(DXR, Vulkan(RTXDI, RTXGI) 를 통해 개발하는 것이기 때문에 엔비디아에 리소스를 보내는 건 불필요 하죠. 대신에 적용안한 GI랑 RT를 적용한 GI를 동시에 구현해야하는 개발비용의 문제가 있는거지만요.
확실히 fhd에서는 3070과 비슷하고 고해상도로 갈수록 3070보다는3060ti에 가까워 진다는 말이 맞네요
fhd 쓰시는 분들이면 3070 보다는 4060ti를 구매하는게 나아보이고 qhd60이나 qhd75 모니터 쓰시는 분들이면 3060ti보단 4060ti로 가는게 더 나아보이네요
1060이나 2060또는 그 전세대 쓰던 사람들은 4060ti 요즘 40만원 후반대도 보이던데 바꾸면 개만족함 기존 3060ti 이상급 쓰던 사람들은 굳이 바꿀필요 있겠나 싶음. 써보지도 않고 여기저기 커뮤니티에서 숫자놀음만 보고 많이들 까제끼는데 써보면 나름 만족함 어차피 창 띄워놓고 프레임 숫자딸 칠거면 최소 4080이상 가면 되는거고 예산 딸리면 그냥 존버하면 됨
저도 1060 이라 하나 사려하는데 6700xt가 가성비라고 말이 있네요.근데 라데온은 발열 소음 꺼짐 등이 있다는 얘기도 많더라구요.4060ti보다 15만원 싸던데 비싼값하려나요
어떤 가격대든 그냥 사면 안됨.. 해외 유명 테크 유튜버들은 6000시리즈부터 이제 라데온을 더 추천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는데 편견없이 7900xtx 사파이어 니트로+ 써보니 4080보다 이쪽으로 사기 매우 잘했다는 생각이 듬.
@@DOVAHKIIN77777우와... 대깨비아...
@@DOVAHKIIN77777이런 돌대가리들이 있어야 엔비디아도 먹고살지 ㅋㅋ 딱 amd한테 쳐맞은 인텔보는느낌이네
@@Ugly_KKoreano나도 amd로만 세팅했는데 글카는 엔비로 교체함 좃같은 글키 드라이버 때문에 ㅋㅋㅋ 솔직히 드라이버는 좃같긴함
@@DOVAHKIIN77777 아니... 난 이렇게 흑백의 이분법적으로 밖에 세상을 보지 못하는 인간들이 정말 참 어이가 없더라고.. 애초에 3070 쓰다가 옮긴거라 딱히 어느 한쪽만을 찬양하는 빠돌이도 아님ㅋㅋ 컴터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라데온의 드라이버 이슈를 모르는 사람은 당연 없을테지만 AMD가 지난 1-2년간 이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대대적인 작업을 해왔고 시스템을 완전 갈아엎었음. 그 이후로는 많이 안정화됬고 해외 테크 커뮤들에서나 IT 관계자들, 유튜버들은 이미 라데온의 드라이버 이슈는 과거의 이미지로 생기는 편견에 불과하다는 것이 컨센서스를 이루고 있고 엔비디아도 드라이버 이슈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다는 것은 해외에선 누구나 알고 있음.. 그럼에도 시장에서 여전히 압도적으로 밀리는건 기존에 쌓인 브랜드 이미지 + 허접하기 짝이 없는 마케팅 전략 + 출시 가격 책정 실패 + 항상 한템포 느린 신기술 개발 같은 것이 주된 이유임. AMD가 GPU 시장에서 실질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한지는 사실상 얼마 되지 않았고 애초에 소비자들은 브랜드에 대한 편견을 쉽게 바꾸지 않기 때문에 이미 구도가 정착된 현 시장에서 단기간 안에 판도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함.
Amd 드라이버 데여본 사람만 앎
fhd.. 아직도 쓰는 사람들이야 있긴하지만 고사양게임 과 하드웨어 신경쓰는 사람들은 보통 qhd 이상으로 보죠
전성비 낮고 20%~30% 높은성능, 전성비는 높지만 동세대 라인과 비슷하거나 못한 성능.. 여기서 고민할게 없는게..
사실 클럭 제한 걸거나 수냉쓰면 온도나 전력은 어느정도 잡힙니다..
그냥 좋은거 사서 성능 리밋걸면 그만인건데
시퓨도 터보부스트 필수로 쓰고 k붙은걸로 오버하면서 전력이고 수명이고 갉아먹으면서 까지 어떻게든 클럭높이려고 발악발악 하는데 전세대동일성능+전성비가 정말 메리트가 있는건가요..???
있긴 있지만이. 아니라 대다수가 거기라서 돈되는 시장은 거깁니다. 매달 400kw넘갸서 전기요금 10만원 전후로 내보면 자연스럽게 알게되요. 요센 오버 안합니다..언더볼팅이 대세지
@@MIRINA-I몇년전 배그 유행할때만 해도 오버 못해서 안달이었는데 요즘은 다들 하는걸 못봄
@@guest_230 몇년 전 정도가 아니라 근 10년 넘었을걸요
DLSS나 FSR 이나 뛰어난 기술인데 문제는 내가 하는 게임이 지원이 안됨....
사견이지만 깡으로 쓰시는 분들도 일리가 있음...옵션타협을 하기 싫고 144HZ 해상도에서는 부자연스럽다고 함...
요즘엔 글카 세대 끝판왕 사서 오래 쓰는 게 더 나은 것 같네요.
Titan Xp에 수랭키트 달아서 6년 넘게 쓰는데, 앞으로도 4년은 더 쓸 거 같구요.
7090이나 80XX세대를 기다려봅니다.
DLSS 3도 직접 써보면 그렇게 좋은가 싶음.
지싱크(거의 짭싱크)없찐은 테어링 감수하거나 수직동기화 켜려면 게임할때마다 모니터 설정을 새로만져줘야함.
dlss2 자체도 약간의 레이턴시 상승이 있는데 3까지 켜면 추가지연..
그런데 그거라도 일정하게 이어지면 큰 체감은 아닌데 쓰다보면 키입력이 밀리는 구간이 꼭 있음.
dlss3 끄고 dlss2만 쓰면 그런 구간자체가 없기 때문에 dlss3의 추가지연 자체도 일정하지 않음.
그래도 글카, CPU모두 전성비가 잡히는 추세같으니 500W~600W급 비교적 싸고 많이 보급된 파워로 컴 맞추기 좋은시기 일지도 모르겠네요
지금 보다 가격이 10만원 이상 낮아지면 유저들이 납득할 것 같습니다. 엔비디아 황씨는 분명한 메세지를 준거죠 이제 더이상 3060TI 같은 제품은 만들어주지 않을 것이다. 즉 가격대 성능 좋은 제품은 절대 없을꺼다 선언한 겁니다. 이제 어떤 소비를 해야 할지는 소비자들 선택에 남은 것이겠죠. 적어도 30사용자들은 40을 살 이유가 전혀 없다!
3060ti 쓰다가 4000번대 나오는거 보고 업그레이드는 하고싶어서 as 1년반 남은 as3대장 3080 a급 풀박스 40대 중반으로 갈아탔습니다^^ 이걸로 4000번대 넘기고 5000번대에서 스펙업해야죠ㅋㅋ
좀 극단적으로 암드에 호의적인 관점으로 보긴 하는데 엔디비아는 80,90급 이거나 출시초기 아니면 굳이 살 필요를 못느끼겠음.
70급은 성능은 괸춘한데 VRAM이 너무 부족하고 60급은 엔디비아로써는 가성비인데 라데온가면 그것보다 더 좋은거 많은데 굳이?
라고 생각함.
3060ti는 전세대 2티어를 잡은거고, 4060ti는 전세대 6티어한테 털린겁니다.. 7티어한테도 가끔 털림.
냉정히 말해 이녀석은 20만원 위라면 절대 사면 안 됨.
가성비 문제가 아니라, 소비자는 이런걸 절대로 용납안한다는 목소리를 내야하는 순간임.
콘솔게임 중옵정도 플레이 생각하고 있다면
라이젠 5600에 rtx3060쓰는데 4060ti로 업글해도 괜찮나요?
3070으로 가면 파워도 올려야돼서 10만원 플러스 되고
4060ti는 파워 교체없이 쓸 수 있는 상황입니다 ㅎㅎ
제가 그런 케이스인데요, 추가 파워 구매로 인한 예산을 그만큼 쓰기 어렵거나 싫으시면 3070 도입 시뮬레이션 검토해보세요.
시퓨가 80W 정도 먹고, 3070이 게임 시 240W, 기타 팬, 안전율(80%) 계산해보시고요.
이 계산값이 가지고 계신 파워 수준에서 업그레이드가 필요하신지 다시 검토해 보세요.
저는 파워 재투자 예산, 비용 감안해보니 좀 아까워서 그냥 4060ti로 구매했습니다.
하는 게임도 프레임이 더 중요해서 옵션을 낮춰 사용하기도 하고요.
이번 4000번대는 4090빼고 4080 - 4070 - 4060으로 가면서
점점 스펙과 가성비가 똥망으로 가는 이상한 세대인것 같네요.
특히 70과 60급에서 이렇게 실망했던 적은 없었던듯 싶습니다.
4080 유저로써 저는 만족하는데...dlss3가 너무 맘에드네요
@@BABA.R 저도 msi 4080게이밍트리오 쓰면서 너무 만족하고있어요
4090은 혁신이고 4080까지는 4000 이름값 하고 그 아래부턴 걍 3000급인듯
엔비디아 저것들 5000번대도 성능비 가격 똥처럼 낼거라고 하더라구요...
4050으로 나왔어야 할 제품 이름을 4060으로 바꿔서 마치 가격을 안올린거 마냥 개수작 부려놓은게 너무 괘씸함...
1080TI 유저인데 늘생각해요.
한 GTA6급 게임이 4K 144HZ정도 돌아갈정도가 될때 바꾸겠다고..5천번대가 발매되면 이런날이 오겠죠?!
gta6에 4k 144는 아무리 생각해도 힘들듯 ㅋㅋ
6090ti 400만원 짜리면 가능할듯
GTA6 가 생각보다 사양이 높아서 안될것같군요.. 권장사양이 8700K 2070 이니..
그냥 돈이 없다고 하세요
전작보다 쿠다 코어 수도 적은게 딱 공정개선으로ㅠ인해서 올라간 클럭빨 이상이 아니네요. 깡클럭이 1Ghz 정도 올라간거니 글카에서 IPC 논하는게 이상하지만 IPC를 고려하면 더 너프된 거 아닌가요?
구조는 암페어와 동일하고 텐서/RT 성능 개선말고는 달라진 점이 없는 것 같습니다. 고클럭일 수록 지오메트리 스루풋이 높아져서 저해상도에서 유리하게 나올 수 있으니까요.
이렇게 보면 3000번대가 진짜 잘나온거 같네요 그때 코로나 반도체가격사태만 아니였다만 글카가격이 지금처럼 안정화됐다면 진짜 역대급 라인업이였는데 지금 fhd 유저들 중고로 30중반후반에 3060ti 30후반에서 40초반때 3070사는것도 나쁘지않는 선택같네요 전 배그때문에 작년 11월인가 1660에서 중고 3060ti로 넘어갔는데 만족스럽네요 씨피유가 좀 딸려서 그렇지 i5 9400임 ㅜㅜ
그건 채굴 대란이 터져서 가격이 급상승해서 그런거라서 3천대 자체가 성능대 가격이 좋게 나와서 그렇습니다.
미개봉품으로 42만원에 3060ti 구매했습니다
4090 가격 하락폭이 꽤 심하더라구요
딱 두달전에 조탁 4090 화이트 214만원에 구매했었는데
몇일전에 뜬 특판은 198만원까지 내려갔더라구요...(만리 4090은 180만원대까지 하락했었음)
4090 생각이신분들 타세요 게시판 자주 보세요~
만리 180은 충격적이네요....ㅋㅋㅋㅋㅋ
다른 모델도 190 후반까지 떨어지는 경우도 있나보군용
고민되는 가격....
@@BullsLab 전 7달전에 263주고 이노삼디 아이칠 샀어요 흑흑
@@BullsLab 그 가격이 포인트나 사은품(디아4,메모리등등) 같은거 제외한 가격이예요 ㅎㅎ
230에 긱바에어로 화이트 샀는데...
4090ti나올거같아서 그런거아닌가요? 그저께 유출사진도 떴던데
단순한 전력의 소모값이 낮아진 차이점을 보이고 있지만, 오히려 전력이 낮아짐으로써 그 CPU의 향상이 적극 이루어졌다고 볼 정도로 4060 ti는 파워를 아끼고 싶어하는 사람의 픽이 아닌가 싶슴다.
3070으로 간다면 성능은 비슷할지언정, 온도랑 전력 소모량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더 좋은 쿨러, 더 많은 파워가 요구되면서 결국 가격값이 조금씩 올라가게 됩니다. 쿨러 또한 전력이 필요하기에 결론적으로 4060ti는 할인을 하는 거면 최고의 픽이 아닌가 싶슴다.
온도가 낮은 이유는 코어가 숫자가적기 때문이죠..
일꾼이 힘은 좋아졌는데 일꾼 숫자는 줄은 겁니다..
힘이 좋아진들 일꾼1명당 일할수있는건 한계치가 있습니다..
숫자가 줄었으니 일꾼식비가 줄은거죠..
요때까지만 해도 깡성능이면 장땡이었는데 요즘은 90라인 글카 아니면 dlss+프레임생성기능이 제법 중요해져서...ㅋㅋㅋㅋ 실제로 요즘 나오는 겜들은 업스케일+프레임생성 옵션을 거의 반 강제적으로 권장하더군요...
40시리즈 부터는 게임성능 으로만
그래픽카드 급을 나누는게 무의미
해졌고 AI연산 성능까지 봐야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AI인공지능 연산 성능에선 3070보다
4060ti 가 강점이 있습니다...
4060ti VRAM 16GB 모델이 나온
이유도 AI인공지능 프로그램 을
염두해두고 나오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40시리즈는 게임성능 보다도
AI인공지능 쪽을 겨냥해서 만들었기에
게임으로만 비교 하였기에 가격대비
30시리즈 보다 못하다는 생각이
드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3060ti D6X 구매자는 오늘도 존버에 성공했습니다.
자기 그래픽카드를 더 오래 써도 된다는 마음을 가질수 있기 때문이죠.
착각은 자유
@@고길동-f9p웃기네 ㅋㅋ
@@고길동-f9p 니 얼굴이 자유롭겠지
3070 포호5에서 dlss 성능으로두고 모래밭 한번 밟으면 먼지날리는 이펙트가 진짜 못봐줄수준으로 떨어지고 품질로 둬봐도 별차이 없길래 아예 끄고 썼습니다
지금은 팔고 1060 다시 쓰는데 60ti 16기가는 좀 나으려나 존버타는중
DLSS3를 적용한 성능지표를 기준으로 삼고 있는거 아니냐는 말이 있을정도라 중하위 라인업에서의 부진이 너무 크게 다가옵니다 그러다보니 4090을 갈 수 밖에 없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제법 나왔던거기도 하겠지만요 황통수 명치 존나 세게 때리고 싶음
집적도는 올랐는데
tsmc 7n -> 5nm 집적도 개선 75~85%
암페어 삼숭 8lpp -> tsmc5nm
쿠다 코어 줄어든건 레전드네 ㅋㅋㅋㅋㅋ
엔비디아 이 미친놈 ㅋㅋㅋㅋ
전 pc 유튜버들에게 사기를 당했습니다. pci 3.0도 충분하다고 해서 b450 b550 갈등하다가 450 샀는데 어찌 이런일이 ㅠㅠ
이렇게 세상일은 아무도 모르는 건가봐요. 저전력 글카를 살때까지 기다렸것만 대역폭 ㅅ...ㅂ....
경쟁의 중요성을 제품 나올 때 마다 보여주는 4천번대 시리즈네요
예전엔 성능은 더 좋고 신기술도 들어간 제품을 더 저렴하게 살 수 있었는데
이제는 그냥 성능은 똑같고 신기술만 들어간 제품을 같은 가격에 사는 수준 ㅋㅋㅋ
더 열받는건 엔비디아는 이제 대놓고 DLSS들어간 성능을 자기들 스펙 기준으로 팔고있는데
반대로 말하면 DLSS안되는 게임들은 같은 돈 내고 남들보다 못한 제품 쓰는거랑 똑같다는거
빡치지만 아쉬운건 소비자 입장이라 그럼..그놈의 ai 딥러닝만 아니었어도...코인 끝나자마자 또다른 지옥이..기술의 발전은 좋지만 게이머에겐 악재네요 ㅋㅋ
근데 솔직히 말해서 4080미만에선 4k는 의미없다고 생각합니다....uhd 쓸정도면 글카는 최소 4080이상으로 갔어야맞을거같아서 4000번대 시리즈에선 성능보단 전성비를 높힌거같은데 qhd fhd만본다면 4000번대 나쁘지않은 선택같네요
3000시리즈가 성능은 깡팬데 발열을 못 잡아서 4000시리즈엔 최적화에 좀 더 초점을 맞춘듯? 그럼 5000시리즈에선 발열+성능 둘 다 잡는 그래픽카드가 나오지 않을까요
수 년째 엄청난 폭리를 취하던 Nvidia가 조금씩 정신 차려가고 있는듯 보이기도 하네요
하여튼 게임시장만을 보고 일하기에 돈이 안되니 엔비디아의 행보는 이해는 되지만
그로인해 수 년간 실제 게임 소비자와 유저들이 좋지 않은 환경에서 플레이를 하며 버텨온 걸 생각하면
여전히 엔비디아의 독점 체제는 괴씸하긴 하네요.
가격이 적정선이 되어 소비가 활성화 되고 제작자들도 더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도록 엔비디아가 더 정신차려주길 바래봅니다.
어떤 컴퓨터 가 편집용에 좋을까요 i7-13700f rts 3060 다른것은 i7-13700 uhd 770 다른 성능은 동일함 가격차이 있음
최고의 가성비는 4070이 되버렸음 체감가 60초반이었으니....요즘 추세는 가격이 기다리면 떨어지지가 않더라고요 아예 값이 더 오름. 특가 뜨면 바로 사는게 장땡
근데 4070ti랑 두체급 느낌으로 격차가 나서 아쉽더군요.. 가격은 대중적으로 특가떠서 쓸만한데
엔당서 가성비 카드는 4090 하나뿐입니다.(단호)
성능을 생각하면 30만원 초반대에 있어야 할 놈 같은데...
솔직히 가격이 동일하다고 하면 전성비 면에서는 조금 개선이 된 것 같은데 3070급에 좀 더 나은 전성비를 원한다는 아주 좁은 시장만큼만 유리하네..
전성비 좋아진거 빼고는 역대급 망 라인인듯하네요...
보통 60라인이 전세대 80 이랑
비슷한 성능인데...
명색이 4060ti인데 3070이랑 큰차이가없거나 qhd 이상서는 딸리는 상황이라니...
amd... 글카쪽에서도 힘좀 내주세요
50이면 괜찮은것 같은데 중고로 3070ti가 40~50쯤이고 3080도 50중후반에 구할수 있으니 좀 애매한것 같긴하네요
분명 처음봤을땐 버터누나 면적이었는데 지금은 잼아저씨가 되셨네
60쪽은 게임을 상옵으로 안해도 되는 사람들이 구매하는 중급 카드라 돈 조금 아끼겠다고 사면 호구임. 지금 3070 이상 그래픽카드로 못돌리는게 없는 게임 시장에서 굳이 40번대 살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훗날을 보고 미리 업그레이드 한다는 사람들 2~3년뒤에 5000번대 출시하면 또 후회함
어설픈 지식으로 그럴싸하게 글싸질러놨노
기다리고 기다리던 리뷰 감사합니다
ㅎㅎ 4060 Ti는 많이 늦었네요 ㅠ
풍채가 커지시면서 가져오는 정보도 커지는군요 잘보고가요
소비전력도 적고 컴퓨터도 소음도 적고 굉장히 좋은 느낌 가격도 뭐 40만원대에 줏어간 분들 축하드려요
지금은 코인때문에 50만원 대네요 ㅋㅋ
중국 할인 할때 진짜 쌋었는대 아쉬움 그때살껄.
그래픽도 갈수록 커지고 우리형도 커지고... 😊
무슨 얘긴지 모르겠네?
현재 3070 35만 4060ti 48만
1070에서 업그레이드 하면 어떤게 나을까요?
as생각하면 40인듯한데 고민이네요
AI 이미지/텍스트 생성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VRAM이 깡패입니다.
8GB는 사지 맙시다. 후회하면서 금방 다시 중고로 팔게 됨.
4천번대는 성능보다 전력량을 낮추는 목표를 잡고 만든 제품같네요. 보급형은 게임용보다 AI, 채굴 쪽 수요가 훨씬 많아서 그런가?
중고는 사기 싫고 그나마 가격좀 떨어지면 새거! 라고 정신승리 하며 살꺼 같네요 (사고싶다는 소리 입니다) 그렇다고 지금 3060ti 가격이 4060ti 랑 비슷하게 뜨는거 같은데
이번 4060ti는 3060ti 오피셜 언더볼팅 버전입니다.
3070이 맛이 갈때까지 쓰렵니다ㄷㄷㄷ
저전력과 저발열, 낮은 메모리버스는
전통적으로 xx50급의 종특이라
200달러 대의 가격으로 4050 ti로 나왔으면 괜찮았을 것 같은데 60ti로 나와서 아쉽네요
모 게임 콜라보로 안녕마트에서 나온 컴 샀었는데 그게 이 글카인데...
뭔가 통수 맞은 기분이 드네요ㅋㅋㅋ 재고떨이식인가ㅋㅋㅋㅋㅋ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고 싶다면, 온도차이라고 하던데..., 맞는가요?
4060ti가 대체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하던데요....
가격만 잘 맞쳐지면, 괜찮은 그래픽카드이라 생각함.
1년반, 2년 남은 3070이 좀만 잘찾으면 30만원 후반~40만원 후반 사이에서 살 수도 있는데 50까지는 내려와야 메리트가 있을 것 같네요
당근이나 번개장터에서 구매하는 경우인가요?
@@하해 보통 그렇죠
박스, 그래픽카드에 있는 시리얼이나 구매 영수증 확인하고 중고거래 하시면 2년 남은 3070, 3060ti을 싸게 살 수 있습니다
사고싶지 않게 만드는 그래픽카드 세대는 이번 4천번이 유일함
온도랑 전력차이는 크네요. 그것 말고 게임 성능은 생각하던 그대로 나온듯.
FHD 유저라면 전성비 좋아진 RTX 3070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당
13600k + 대장급 공랭+ msi b760보드 조합시 수율 안좋거나 과전압 걸렷을때 온도 잡는 영상좀 만들어 주세요
구글에 13600k 과전압 13600k 온도 검색하면 아주 많이 나올겁니다.
바이오스 업데이트 + 각종 드라이버를 깔고 바이오스 셋팅을 잘못해서 과전압이 걸리는건지 아니면 셋팅을 잘해도 과전압이 걸리는건지도 궁금하네요
바이오스업뎃으로 언더볼팅나와서 잘잡혀요 이제
므시보드면 라이트로드기능써야지 애초에 인텔이 출고할때부터 오버클럭에 과전압 먹이고 출고하는거라 언더볼팅 무조건 해줘야하는데 므시는 간단하게 조절해주는 라이트로드 지원하니까 그걸로 하나하나 벤치돌리면서 스윗스팟찾으면 됨
@@oo00-s4o6h 라이트로드는 씨퓨하자잇능애 걸리면 벤치반토막나요ㅠㅋㅋㅋ
5천번대 나왔을때 효과를 극대화 하기위해 4천번대는 전세대 대비 그저그렇게 나온듯 아니면 꼬우면 4090사던가 라는 느낌으로 황회장이...
1060TI를 쓰는지라... 4060으로 업글할까 생각합니다만...
DLSS3 사용하면 전력사용량같은데서 상승하거나 합니까?
다른 비교영상을 찾아도 DLSS사용시 전력상승같은걸 다루신분이 없어서요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순 있지만 기본적으론 별 차이 없습니다.
혹시 너무 늦지 않았다면 dlss 3 비교 가능하시간여? 아니면 4060 에서는 다뤄주실수 있으신가여?
2080ti가 최대 180만원이었던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중고에 반값밖에 안된다니
128비트..어.. 4050은 64비트 확정인가? 거기다 원가절감까지 한다면 남는 gtx1630기판을 쓸듯한... (DP1,HDMI1,DVI1)
64비트로 구성하면 4GB가 되기 때문에 3050보다 안좋을 수 있어서 96비트로 나오는 것 같습니다.
7:59 놀랍게도 50 시리즈가 출시된 지금까지도 60만원 대를 호가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전력소모와 온도가 적게 나온 이유는 버스가 낮아서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애초에 통행량을 통제하는 거다보니까 코어가 무리하게 일을 할 여건이 안 잡히는 게 아닐까....
전력사용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합니다.
통행차량이 많지 않으니 그만큼 기름도 적게 드는...
문제는 왜 굳이 버스를 줄였나 싶은 의문이 들기는 하는데,
원가절감을 이유로 들기는 좀 아닌 것 같고,
위에서 제가 말한 게 맞다고 가정하면 역으로 70라인업과 같은 버스로 동작한다고 하면 2배의 온도와 전성비를 갖게되어버리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fhd급의 사용자라면 말씀하신 가격에 고려해볼 만하다고 봅니다.
fhd급이라는 조건에서 확실하게 전성비와 dlss3라는 매리트를 어필할 수 있으니까요. 그 이상으로 가면 좀.....
오늘도 착한 수염자국 잘 보고 갑니다
컨텐츠 보다 외모 믿고 보는 채널
🙄
리뷰 잘봤습니다... 그런데 기가바이트 제품은 가격은 착하지만 소음이 너무 크기 때문에 비추천합니다.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거겠죠. 소음, 온도 낮은 제품은 한 돈 10만원 더주고도 살 가치가 있어요. 진짜 좋은 제품은 중고시장에 잘 나오지 않습니다. 출시한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중고시장에 많이 나온 제품들이 곧 쓰다가 불만족한 제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의외로 하자있는 제품들을 싼 값에 파니까 사람들이 많이 사게되고 다시 불만족해서 중고시장에 나오고... 악순환이죠. 고사양으로 갈수록 하자를 가성비로 둔갑시키고 있지요. 그리고 전성비는 매우 중요한 사람들도 많습니다. PPW가 조악한 제품은 24시간 PC 여러대 켜두는 사람들한테는 상당히 좋지않아요. 4000번대 모든 제품, 특히 70ti, 90 이런애들은 전성비 개선부분에서 정말 칭찬해야 되는 제품라인입니다
긱바가 HDMI 좀 후하게 넣어줌. 3천번대 상위급은 HDMI 3개, DP 3개 짜리도 있어서 맘에 들었는데 4천번대는 줄인듯
이제 더한 4060이 다가오니 40세대는 여러모로 전설이네요 슈퍼 루머가 기대는 되네요
아마 슈퍼는 안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적어도 지금까지는요
오늘은 이거다!!!!!
4K는 오바지만 QHD라면 중사양게임할때 60ti에서 쓸수 있는데 거기까진 커버해줘야 하는데요. 아쉽네요.
3:12 자막 오류인건가요...?? 아니면 벤치 결과를 못 적으신건가여....?? 배틀그라운드로 적혀있는데 오버워치라고 말씀하셔서 적어둡니다!
4090에 괜찮은 파워서플라이랑 호환되는 ㄱ자형 그래픽카드 케이블 추천해 주실 수 있나요? 아시는분 좀...
2차선 신호 최적화 vs 4차선 적당히 맞춘 신호 그래도 아무차나 막 들어와버리면 무조건 4차선이 빠르지
여름이라 머리 시원하게 깍으셧네요 보기좋습니다 저도 내일 이발하러 고고싱
Este es el comentario en español que estabas buscando... and also, this is also the english comment you were looking for.. 👌
0:27 아니 쿠다코어 엄청 줄어든거 실화냐???
건강만 하세요:)
이젠 3060ti 새거팔때 가격이랑 거의 비슷해져서 가성비 아주 좋아짐
너무 어려워서 그런데... 옵치2만 하고 모니터 Qhd로 보고싶은데 그래픽 어떤걸사야하나요??
AMD 라이젠 5600 (버미어) 멀티팩(정품)
갤럭시 RTX 4060 EX WHITE OC D6 8GB
이거 충분하나요??
내일이 기말인데 이거 보는 내 인생 레전드
기말 파이팅!
외모가 점점 후덕해지네요 ㅎ
3000번대가 성능이 좋긴한데 요즘 전기세 생각하면 그양 4060ti 사는게 맞는거 같기도 합니다 전기 먹는거 무시 못해요
전기세는 그냥 수직동기화 걸면 해결될 일입니다. 항상 AAA급 게임하는것도 아니고 계속 풀로드걸어둘 이유가 없죠.
이 형은 글카숫자처럼 매년 커지는거 같애ㅋㅋㅋ
저역시 4060 제품이 기대가 됩니다.^^
기대를 저버리지 않네요 ㅠㅠ
안좋은 의미로 저버리지 않는.. ㅠㅠ
7천번대 너무비싸서 그냥 6800xt 윈10 그대로 씁니다 윈11깔면 마니 버벅대더라고요 ㅋㅋ 그래서 꽁짜인가봐요 윈11 😢
욕처먹고 있는 분위기 타고 16기가 버젼 캔슬되고 이름값하는 192비트 12기가 버젼 40슈퍼 내놨으면 좋겠네요 최근에 루버도 있긴했고 (안살거지만)
같이 살쪄가는 유튜버 좋습니다..저도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