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eing turned 56-year old 737 into "High tech the MAX"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июн 2024
  • B737 max and quality control problem of Boeing.. recent incident of door panel ripping off in Alaska airlines. As a pilot who has flown B737 NG for 3years, I give you my thought about this Boeing and MAX issues.
    #737max #boeing #mcas #pilot #A320 #airpremia
    References :
    Gimhae circling
    가면 쓴 파일럿
    • 김해공항 #Circling approac...
    B737-100
    Classic Airliners & Vintage Pop
    • Boeing 737-100 - "Roll...
    KE 737NG, A330
    SKY cabin films
    • KAL Boeing737-800 HL7566
    • KAL Airbus A330-300 HL...
    A330 landing
    MT Aviation
    • Smoothest Plane Landin...
    B737-200
    Alex Praglowski Aviation
    • TRIP REPORT | Canadian...
    B737-300 Engine start
    Bank Angle
    • CLASSIC!! Close view B...
    A320 neo
    Airbus
    • The A320neo Family: Un...
    Leap Engine
    CFM International
    • LEAP Engine: The Power...
  • РазвлеченияРазвлечения

Комментарии • 117

  • @Playyboxxx
    @Playyboxxx 3 месяца назад +4

    Love the channel and the content nice to hear from an actual pilot with experience with both airbus and Boeing

  • @mhsiehmd
    @mhsiehmd 3 месяца назад +3

    Thank you for a truthful summary of the 737 issue.

  • @Barbomon
    @Barbomon 3 месяца назад +6

    전역 후 다소 늦게 파일럿의 꿈을 꾸고 있는 학생입니다. 기장님 영상 보며 차근차근 준비해보고 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제 영상들이 조금 동기부여나마 된다면 너무 보람될 것 같습니다..
      준비 잘 하셔서 원하시는 꿈 반드시 이루시기 바랍니다 👍🏻👍🏻❤❤

  • @ASIANRAVIN
    @ASIANRAVIN 3 месяца назад +6

    Thank You for the informational video! Safe Travels ❤

  • @koe_hosino
    @koe_hosino 3 месяца назад +4

    NG의 약자 No Good에 박수치고갑니다😍
    내용설명들도 무엇하나 반대의견 내지못할정도로 맞는말씀이셔요
    1:20 NG계열의 문제점중 하나가 동체를 확잡아늘려서 테일스트라이크 위험이 있다는것😢
    착륙할때 타기종보다 유독 심한 다이나믹하고 긴장감 넘치는 콕핏의 풍경도 그저 웃어요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여행다니고 계신가요? 😊
      737 교육 받을 때 교관들이 그랬습니다.. 737은 가만히 점잖게 비행하면 안된다구요 ㅎㅎ
      330은 바람 없고 고요한 경우, 사이드 스틱을 거의 만지지 않아도 될 정도예요..
      하지만 737은 그렇지 않습니다. 플레어 할 때도 그렇구요 😄

    • @koe_hosino
      @koe_hosino 3 месяца назад +1

      @@captainjksaviationlife248 오늘 지금이 2월 28일 밤 10시 20분...
      내일이 일본 3년 마지막날이에요
      3월 1일부터
      일본나리타 -> 대만 타오위안
      -> 태국 방콕 -> 베트남 다낭 -> 한국인천
      보름간 여행하고 한국에서 다시 시작해요^^
      기억해주셔서 정말감사드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koe_hosino 저도 여행을 다니긴 하지만.. 그리 긴 여행은 어려운데 ㅠㅠ 부럽습니다!!
      더구나 대만은 비행만 갔었지.. 여행을 못 다녀본 곳~
      모쪼록 즐겁고 안전하게 잘 다녀오세요! 😊

  • @anjinsanx44
    @anjinsanx44 3 месяца назад +2

    Thank you Capt. Enjoy your videos! Keep them coming.....

  • @linfa603
    @linfa603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드려요!

  • @sansacompany
    @sansacompany 3 месяца назад +4

    Amazing commentary sir😍 lovinit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Thanks.. How's your Mocha doing today?
      I've been following up him doing a good job these days through your FB!!
      Have a great weekend ❤😉

  • @user-bz1lz7ql1w
    @user-bz1lz7ql1w 3 месяца назад +2

    보잉이 MD 인수 당시 MD 경영진을 보잉의 자리에 앉힌게 지금의 결과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덕분에 보잉의 철학은 온데간데 없고 오로지 생산성만을 추구해 결국.. B737 MAX, 초창기 B787 설계결함 그리고 T-7 레드호크까지..
    보잉이 현재로써 명성을 되 찾기 위해선 회사 개편 진행하면서 다음 세대 항공기 시장에서 시장을 주름 잡는게 해답일것 같네요. 그 길은 잔혹하게도 오래걸리고 험난하겠지만.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맞습니다.. 그때부터 수년 간 쌓여온 것이 터지고 있는 셈이죠 ㅠㅠ
      건전한 경쟁을 위해서라도 보잉은 꼭 다시 살아나야 합니다.
      지금 잘 하고 있는 에어버스도 단독 1등을 유지하다보면 보잉의 길을 걷지 말란 법은 없죠..
      오래 걸리고 고되더라도 잘 고쳐나가길 기대해 봅니다...

  • @user-or7ol1jz3l
    @user-or7ol1jz3l 3 месяца назад +2

    보잉이 지피지기를 못했군요
    오늘도 영상 잘 봤습니다.
    환절기 감기 조심하세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너무 안이했죠 ㅠㅠ 맥도넬 더글라스 흡수 이후 경영에 참여한 임원들이 비용 절감과
      인원 삭감에만 몰두하고, 그 전에 해오던 보잉 방식의 새로운 연구 개발에는 소홀했다고 전해집니다.
      현서님도 감기 조심하세요~ 😉

  • @TM-li7bl
    @TM-li7bl 2 месяца назад +2

    I really appreciate this!
    Thank you 🙏

  • @yxcheah7215
    @yxcheah7215 3 месяца назад +2

    Hi nice the video , welcome to Malaysia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Thank you so much 🥰 I used to go to Malaysia many years ago..

    • @yxcheah7215
      @yxcheah7215 3 месяца назад +1

      @@captainjksaviationlife248 ok haha I see

  • @Aviator._.
    @Aviator._.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항공기 착륙 속도는 보잉이든 에어버스든 상관없이 길이나 바람, 무게 등으로 결정되는 줄 알았는데 회사별로도 다르군요!!
    또한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보잉이 이렇게 된 이유가 과거 명성때문이라고 생각도 드네요 과거에 잘 해왔으니 이렇게 만들어도 우린 잘하겠지라는…😂😂
    기장님과 이렇게 생각도 나누고 배워가는 채널이라 참 좋은것 같습니다
    늘 안비즐비하시고 건강하세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늘 함께 해 주시는 Aviator님 덕분에 저도 영상 제작이 즐겁고 보람됩니다^^
      오늘 도 감사드리고, 새로운 한 주도 즐겁게 시작하세요 😊😊

    • @Aviator._.
      @Aviator._. 3 месяца назад +1

      @@captainjksaviationlife248 넵 감사드립니다 기장님도 즐거운 시작 되시길 바랍니다

  • @user-zi7vb2nm7h
    @user-zi7vb2nm7h 3 месяца назад +4

    공항에서 737기종들 랜딩하는거 자주 보면서
    랜딩속도가 빠르다 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유를 기장님 영상 통해서 알게 되었네요😃
    기체사고도 있었고, 737이 안전성에 문제가 많은 것 같네요
    든든한 787 기종으로 운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장님
    오늘도 수고 많으시구요, 바쁘신 와중에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소영님!
      20노트의 차이가 작다면 작을 수 있지만, 착륙 단계가 다가올 수록 부담으로 느낄 때가 꽤 있습니다.
      활주로에 내릴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때 5노트, 10노트의 바람 조차 영향이 크거든요.
      787 역시 예전 초기에 이런 저런 이슈가 많았지만 잘 보완해서 지금은 구할 수가 없을 정도로 귀한 비행기가 되었죠.
      현재 보잉의 품질 이슈로 에어버스 쪽으로 눈을 많이 돌리는 추세라.. 보잉은 더 늦기 전에 극단의 조치를 내려야 할 것 같아요~

  • @user-ne5pb6cm4v
    @user-ne5pb6cm4v 3 месяца назад +1

    Jk기장님 영상 잘봤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axflame163
    @daxflame163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오늘도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잘보았습니다 항상 영상알람켜놓고 기다립니다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오와... 감동입니당.. 영상에 더 신경 써야겠습니닷 😂❤️

  • @th7321
    @th7321 3 месяца назад +3

    Well said

  •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3 месяца назад +4

    B737Max 기종이 이런저런 문제가 계속 터지고 일부 항공사들도 A320neo 계열로 전환중이긴 하지만 그래도 기존 NG 계열보다 항속거리가 늘어나고 연비가 좋다보니 기존 B737 을 운용하던 저가항공사들은 여전히 B737Max기종을 추가로 주문하고 기존에 취항하지 못하던 중장거리 노선도 취항을 시작해서 연명중이긴 하죠. 저가항공사들에게는 애증의 대상일것 같아요. A320neo로 전환하거나 대형기를 도입하기에는 비용과 시간이 너무 걸리고 그렇다고 언제까지나 B737NG 계열로 굴릴수도 없으니 말이죠.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영상에서도 말씀을 드렸지만, 이미 NG 자체도.. 특히 900 이나 900ER은 어거지로 늘린 티가 꽤 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착륙 속도가 빠른 것 이외에도 착륙 자세나 피치 리미트 등 여러가지 아슬아슬한 느낌이 많았었죠.
      사실 56년이 된 비행기에 아직도 개량을 하려는 시도 자체가 많이 아쉬운 부분이예요 ㅜㅜ
      오버헤드만 봐도 한숨이 절로 나오지요.. 그 넘의 동일 레이팅을 유지하기 위해..
      항공사의 급한 요구들.. 보잉의 뒤늦은 개발 시도 등이 맥스같은 어거지스런 변종을 만들어낸 게 아닌가 싶습니다.

  • @aquarius8676
    @aquarius8676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최근 보잉의 행보를 보면 거의 반백년에 걸쳐 쌓은 신뢰가 무너져버린 느낌이라 참 안타까울 뿐입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러게 말입니다 ㅠㅠ 저도 그 부분이 참 안타깝더라구요 😥

  • @jbs7946
    @jbs7946 3 месяца назад +4

    DC-10 도 그렇고.... MD-11 도 그렇고.... 737MAX 까지..... 서두르면 결국 끔찍한 재앙으로..... ㅎㄷㄷ

  • @dyk497
    @dyk497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이미737은 끝..판매량부터 321한테 떨어지는..
    더 큰 문제는 보잉의 나머지도..777도 개발지연으로 계약취소로이어지고있고,787도 과거 초창기 배터리문제...
    결국 과거 보잉은 본사를이전하면서,주주들눈치보고,민항기가아닌,군용기에 투자하고,스피릿같은 항공사만 생각하다 기업신뢰도 떨어진거라..이제 에어버스를 넘기기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777X도..당분간 출시예정을 알수없으니..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쵸.. 꽤 어려운 지경까지 몰린 것 같아요.. ㅠㅠ 아쉽습니다...

  • @user-nv6fp5vv6y
    @user-nv6fp5vv6y 3 месяца назад +2

    나무위키나 위키피아 에서 볼수없는 경험담 너무 좋아요 737이 또 새롭게 느껴지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NG 이후의 737을 타보신 기장님들은 느끼실겁니다. 비행기가 뭔가 좀... 하고 말이죠.
      오늘도 감사합니다 명진님^^

  • @user-gc9sq1xq1s
    @user-gc9sq1xq1s 3 месяца назад +2

    그나저나 기장님 댄시절에도 잘 생기셨군요 ㅎㅎ 영상기다렸습니다.
    효율좋은 neo포함 a320 비행하다 (neo로는 6시간까지 비행해봤네요) 이직한 새항공사 737 class day가 딜레이 되는바람에 아직 이니셜 트레이닝 전이지만 받은 시스템 자료만 봐도 A320보다 어지럽습니다. 시스템 명칭도 아예 다르다보니 외울게 많네요.
    가장큰게 Non FBW
    장점: 직관적이고 직접 조종한다는 점에서 매력 느끼시거나 그리워하는 기장님들 있으십니다.
    단점: Non fly by wire... AP disengage이후 랜딩시 확연히 많이 correction하는 737영상 접하신 경우 있을겁니다. 737 기종 특성상 많게는 5leg를 비행하는 경우도 있는데 바람 부는날에 PF로 몇번을 하루에 비행한다 상상하면 피로도 상상가실까요? ㅎㅎ Jk기장님에게는 세계에서 가장 바쁜루트 그것도 바람많이 부는 공항에서 많이 힘드셨을거 같습니다.
    MAX는 사고 전에도 애초에 climb rate도 느리고 조종성도 둔해서 Noot Good 이MAX되었다고 선배기장님들 안좋아하셨습니다.
    737와 MAX관련된 자료들은 사고이후 다큐영상등 찾아보면 많습니다. 차량으로 따지면 풀체인지 한번없이 737 페이스리프트만 수십년째라고 볼 수 있겠네요.
    에어버스는 첫출발부터 철학까지 각각모드에서 파일럿 input을 컴퓨터가 제한하기에 어쩌면 더 안전하다고도 할 수 있겠네요. a320에서 최신기종 a350까지 기종전환도 조종사 입장에서는 쉽습니다. max도 그런 기종전환 비용을 아끼기 위해 발생한 사고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어쩌면 안전성, 쉬운 조종성도 미국의 경우 파일럿들이 첫 narrow body로 비행하게되는 ULCC에 경우 모두 A320을 채택하고 있는이유입니다.
    그래서 미국은 단일기종 항공사들 중에서는 737운영 항공사들이 도 오래된 항공사이고 파일럿 시급도 더 많이 받습니다. 일종에 737 비행 고생비 라곤 할까요? ㅎㅎ
    jk기장님처럼 wide body 장거리 기회빨리 왔으면 좋겠습니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jet leg없고 red eye도 싫어하지 않기에 스케쥴면에서 Pax 장거리노선이 잘 맞을거 같습니다.
    영상마지막 말씀처럼 다시 엔지니어링에 목숨거는 보잉이 되길 바라면서 ruclips.net/video/DGkg_R3_llk/видео.htmlsi=C7sadKVoGIwBJMBq 777x 영상링크 첨부합니다.
    보잉과 에어버스 차이를 알고싶다면 jk님 영상 ruclips.net/video/Mc4hvcBW4TM/видео.htmlsi=sGHA5Bc1fS9Rp70y 참고부탁드립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헉......
      이런 장문의 댓글을 쓰시다니요 워.. ㅎㅎ 우선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사실 320이 좋다 737이 낫다.. 이런 의견은 객관적으로 말하기가 어렵죠.. 잘 아실테구요.
      그저 조종사마다 느끼는 필링이 다 다르고 그러다보니 선호하는 방향도 다릅니다.
      지금 737이 몇 년째 이리저리 깨지고 있는 이유는 원래 비행기가 나빠서가 아니라는 건 자명한 사실이고..
      맥스로 진화시키는 것 까지도 이해할 수는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자세히 소개가 되지 않았지만
      외국 뉴스나 미디어를 보면 맥스 디자인 과정에 어이없는 부분이 많습니다 ㅠㅠ
      지금이야 어느 정도 해결은 되었지만 말이죠..
      링크까지 걸어주시고.. 여러모로 너무 감사합니다~ 그리고 잘 생기지 않은 얼굴을 잘 생겼다고 ㅎㅎ 더 감솨!!~
      늘 안전 비행하시고, 대형기 타시는 날까지 가끔이나마 소통하시죠 🥰

    • @user-gc9sq1xq1s
      @user-gc9sq1xq1s 3 месяца назад +1

      PC로 시청하다보니 댓글이 길었네요! (늦었지만 아직 737공부중입니다 ㅎㅎ)
      네 맞습니다. 선호하는 기종은 있을지언정 많은 기종경험해보는것도 좋은 경험인거 같습니다.
      Downfall: The Case Against Boeing 보셨겠지만 정리 잘되어서 보기 좋더군요.
      PC랑 휴대폰 로그인된 계정이 달라서 기억하시질 모르겠습니다만, LAX에서 실제로 보고 운좋게 기장님이 PF로 기내방송까지 하셨던 비행기에 탔던 좋은 기억이 있습니다. 젊은 부기장님이랑 계셨는데도 유투브 팬심제외하고 얼굴도 비행오래하셨는데도 하얗고 깨끗한피부에. 기장님 실물과, 기내방송&존함, 랜딩까지 일석 3조 첫 에어프레미아, 2번째 동일 787기종 비행이였습니다.
      항상 안비즐비하시고 루트가 다양해서 부럽습니다. 다음번에 안바빠보이시면 사진조심스럽게 요청하겠습니다 ㅎㅎ
      영상감사드리며 애독자는 항상기다립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gc9sq1xq1s 아 그러시군요 ㅎㅎ 암튼 너무 감사한 구독자님이고..
      다음엔 바빠보이든 아니든 그냥 불러주세요^^ 저기요.. JK 기장님~ 하구요 ㅎㅎ

  • @redditbro777
    @redditbro777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저는 777을 제일 좋아 하지만 777-9마저 맥스 처럼 나오면… 저는 과감하게 에어버스로 눈을 돌릴거 같아요. 아무리 747 777 737등 명작 타이틀의 이름을 달고 나온다고 해도
    결국에는 안전이 우선이니… 심지어 저또한 퍼일럿을 준비 하려는 학생으로서 더욱더 그럴거 같아요 777다음으로 좋아하는 기종이 330 이니… 아마 330으로 눈을 돌릴거 같아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4

      777 좋아하시는 팬들이 정말 많네요. 아쉽게 저는 타보지 못했지만 지금 787로 아쉬움을 달랩니다.
      330을 제일 많이 탄 조종사로 에어버스 계열을 좀 더 좋아하지만, 보잉이 이렇게 내려앉는 건 참 안타깝습니다.
      얼른 재정비 해서 예전의 이미지를 되찾고 건전한 경쟁을 해주길 바랍니다..

  • @michuhol2842
    @michuhol2842 3 месяца назад +7

    737은 올드 수동 머스탱 같은 느낌이고 에어버스 계열은 유로피언 럭셔리 세단 느낌 같습니다 기장님 잘보고 있습니다 안전 즐비 하세요!

  • @forthebettertomorrow3177
    @forthebettertomorrow3177 3 месяца назад +4

    그 Greed에게 잡아먹힌 보잉이 과연 transforiming이 아닌 새로운 폼의 버전을 언제쯤이나 선보일 수 있을까...
    거대 집단-국가나 사회, 기업이 무너지는 전형을 보는 거 같아 보잉을 좋아하는 제겐 정말 안타깝네요.
    그들은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정말 크게 맘먹고 뜯어 고치지 않으면 뒤집힌 자리를 영원히 바꾸지 못할 수도 있을거 같아요 ㅠㅠ
      지금부터라도 보잉.. 화이팅하기를!!~

  • @DaengDaeng0128
    @DaengDaeng0128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 이 에피소드에서 살짝 다뤄주셨었군요. 지금 운항 하시는 드림라이너가 경쟁사 기종 A350 대비 더 안전한걸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이번에 K-항공시가 에어버스에 크게 오더 넣은게 최근 뉴스로도 나왔잖아요. 보잉을 선택 안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최근 사고도 너무 많이나서 이겠죠...? 당연한 말이겠지만 승객은 안전한 비행기를 타고 싶어하니까요. 그리고 미주노선은 기장님들이 한 운항당 총 세분이실까요? 한 분이 아프면 안되시니까...😅 괜시리 궁금해집니다! 안전, 또 안전 그리고 항상 최고의 컨디션이시길 바라겠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2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말씀 우선 감사드립니다!
      K사가 최근 대량의 350을 오더한 배경은 말씀하신 부분보다는 인도의 지연때문으로 보여집니다. 이미 꽤 오래전에 787을 여러대 주문한 상태지만 거의 인도가 되지 못하고 있다보니 노선이나 비행 확대에 걸림돌이지요.
      저희 회사도 마찬가지구요. 787 신규기재로 계획하고 출범을 했지만 인도가 너무 늦어지다보니 시장의 중고기라도 우선 들여와 운항을 해야하는 입장이 되었습니다.
      인도의 지연은 보잉에 대한 미국 FAA 감찰이나 허가조건 등이 엄청나게 강화된 탓입니다. 보잉은 예전처럼 빨리 비행기를 만들어 인도할수 없는 환경에 처해 있습니다..

  • @mhsiehmd
    @mhsiehmd 3 месяца назад +4

    Boeing needs to clean house. Scrap the MAX!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2

      It seems Boeing has a lot to do to make themselves go back to the era of "number.1"

  • @SmartMan0403
    @SmartMan0403 3 месяца назад +3

    갠적으로 에어버스가 더 맘에 들기는 하지만 보잉쪽이 NG부터 이미 문제가 있을 줄은 몰랐네요.. 게다가 착륙속도가 빠른 편이었다니...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NG까지만 해도 "문제" 라고까지 할건 아니었습니다. 조종성이나 여타 특성이 에어버스와 꽤 달랐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노력이 좀 필요했었죠..

    • @SmartMan0403
      @SmartMan0403 3 месяца назад +1

      @@captainjksaviationlife248 아하... 기체 특성이 그저 좀 까탈스러웠던 편이었군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SmartMan0403 맞습니다^^

  • @absolute9157
    @absolute9157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항상 잘~시청하고 있습니다^^
    짧은 소견으로 보잉은 시카고 금용세력의 현 CEO 집단의 교체가 필요합니다.
    수익, 이익에 개발 및 생산의 현장 목소리를 철저히 막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GM의 길을 가고 있구나 생각이 듭니다.

  • @uzzeol6887
    @uzzeol6887 3 месяца назад +3

    NG가 No Good이네요ㅋㅋㅋㅋ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넵 ㅎㅎ 2010년 당시 같은 737 NG를 타던 동료들이 그렇게 많이 불렀습니다..
      지금 맥스 같은 안전 이슈까지는 아니었지만, 약간 어거지스럽게 길이를 늘여 놓은 듯한..

  • @gr63K
    @gr63K 3 месяца назад +3

    737맥스10은 이륙할때 테일스트라이크방지를 위해 랜딩기어가 늘어난다고 들었는데 진짜 이게 맞나 싶었습니다,, 높이가 낮은 기체를 정말 억지로 늘려놓은거 같아요.. 점점 여행갈때 737은 기피하게 될거 같습니다 ㅠ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아이고 이제 다리까지 ㅠㅠ 성장을 멈춘 아이에게 강제로 주사를 놓으며 커져라 커져라.. 하고 있군요.
      부디 좀 환골탈태하고 다시 태어나길 👍🏻👍🏻

    • @b2spirit86
      @b2spirit86 3 месяца назад +1

      ​@@captainjksaviationlife248 여기서 또 주목할만한 점이 있습니다. 랜딩기어를 늘렸으면 상식적으로 동체의 attachment point를 다시 설계해야 정상이겠죠? 더 긴 랜딩기어는 retraction시 더 큰 회전 반경을 보일 테니까요. 하지만 보잉은 그러지 않았습니다. Retraction시 랜딩 기어가 이전 모델 길이와 같이 짧아지도록 하는 '추가적인 장치들'을 랜딩기어에 집어넣었습니다. 굉장히 MCAS와 같은 사고방식이지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b2spirit86 아... 그렇군요. 그건 처음 접하는 내용이네요 ㅜㅜ

    • @b2spirit86
      @b2spirit86 3 месяца назад +1

      @@captainjksaviationlife248 유튜브 정책 상 직접 링크는 안되겠지만 유튜브에 737 max 10 landing gear 로 검색해보시면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에 자랑스럽게 "From a Pilot's perspective, there's nothing different" 라고 홍보를 하네요. 이것도 어디서 많이 들어봤던 말이죠?

    • @b2spirit86
      @b2spirit86 3 месяца назад

      @@captainjksaviationlife248 유튜브에 737 max 10 landing gear 로 검색하시면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후반부에 "From a pilot's perspective, there's absolutely no different..." 라고 자랑스럽게 홍보까지 하는데 이거 어디서 많이 들어봤던 말이죠?

  • @jbs7946
    @jbs7946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초창기 737은 귀엽게? 생겼고, 후손?으로 갈수록 점점 날렵하게 변하더군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아무래도 적당히 통통했던 녀석도 길어지면 날렵하게 보이게 되지요..

  • @jbs7946
    @jbs7946 3 месяца назад +1

    737 기장 시절에는 인상?이 지금하고 약간? 달랐네요....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아.. 그렇습니까? ㅎㅎㅎ 지금이 더 낫다는 말씀이시죠? 😄
      지금보다 한 6-7키로 더 말랐었죠..
      사진이 너무 어둡게 나와서 밝게 보정을 해도 무섭게 나옵니다 ㅎㅎ

  • @tgvpos4402
    @tgvpos4402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최근 몇년간 737-800ERX를 살짝 개조한 해군초계비행기를 수백대 팔아먹을 정도로 짤짤한 재미를 봤다는 보잉사에 저런게 있는지는 저도 몰랐습니다.
    근데 맥스에 뭔가 설계상 중요한 결함이 있다면 그 까다로운 연방정부와 항공청의 감항인증은 어떻게 받았는지가 궁금하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러게 말입니다 ㅠㅠ 사실 MCAS로 개선한다는 것 자체가 꼭 나쁜 건 아닙니다.
      그걸 적용했던 방법이나 심도있는 테스트가 없었다는 게 큰 두건의 사고를 부른 게 아닌가 싶습니다

  • @hayu812
    @hayu812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맥스는 안타고 싶습니다 기장님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불안하시긴 하죠 ㅠㅠ 하지만 일단 맥스의 치명적인 결함은 이미 해결이 되었고
      몇년째 문제 없이 잘 운항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도어가 떨어져 나간 일은..
      보잉 QC 의 일부 문제로 드러났지만, 이젠 더 이상 이슈가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 @hayu812
      @hayu812 2 месяца назад

      @@captainjksaviationlife248 예~ 기장님 ^^ 감기 조심하십시오

  • @ShiningColdRice
    @ShiningColdRice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새로운 민항기제작사가 생길수는 없겠죠..?ㅎㅎ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사실 몇몇 군데 민항기 제조하는 곳이 있습니다. 잘 성장시킨다면 보잉을 넘어서 에어버스와 대등하게 경쟁할 새 회사가
      나오지 말라는 법도 없지요.. 이번 기회에 보잉은 정신 바짝 차려야 합니다~

    •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브라질의 엠브라에르와 프로펠러기 생산하는 ATR 이 대형 상업용 제트기들을 생산하고 발전한다면 보잉과 경쟁이 되긴 할겁니다. 다만 그럴 가능성이 높은편은 아니고 가능성이 있다해도 시기가 오래걸리겠죠.
      A220 도 원래 캐나다 봉바르디에에서 개발한건데 에어버스로 넘어갔죠 만일 에어버스로 넘어가지 않고 계속 독자노선으로 발전했다면 마찬가지로 경쟁업체로 떠올랐을거구요.
      오히려 중국 C919가 A320/B737 을 겨냥하고 나오긴 했는데 중국 및 우방국가 한정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려는 모양이긴 하더군요.

    • @ShiningColdRice
      @ShiningColdRice 3 месяца назад +1

      @@churu_addicted 저도 짜잘한 제작사가 있는건 압니다 다만 그게 보잉만큼 체급이 커질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죠

    • @jbs7946
      @jbs7946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독과점 체제를 깨는 게 사실 어려운 일이죠....

  • @sangkyupark9236
    @sangkyupark9236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음… 좀 뜬금 없기는 하네요. MAX 설계문제의 경우는 이제 개선이 된지 꽤 됐고 도어 플러그 문제는 품질관리 문제이지 설계 문제는 아닌데. 그리고 에어버스 또한 엔진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기에 대한 부분은 보잉에 대한 비판보다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것 같네요. 그리고 사이드 스틱의 고질적인 문제인 서로 다른 조작을 알 수 없는 문제 해결을 위해 에어버스도 기존의 사이드 스틱을 포기하려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글쎄요. 단순히 처음 설계가 오래 됐다고 무조건 비닌 받을 일일까요? 이익을 위해 품질관리 등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심각한 문제 맞지만 글쎄요 오랜 설계지만 확장성이 충분하다면 (신소재를 적용하는 등의 개선) 오랜 설계 철학을 이어 받는 것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에어버스도 마찬가지 보잉보다 후발이니 설계 연도가 보잉보다 짧은 것이지 글쎄요 동체 크게하고 신소재 사용한 것 말고 달라진 설계가 있나요? 에어버스 항공기 철학이 동일한 형식의 조종석을 추구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 기종 전환 비용을 줄인다는 것을 장점으로 내세우는데 제가 보기엔 보잉이 기존 항공기 개선해서 내어 놓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봅니다. 엄밀히 이야기하면 보잉 맥스 사고는 그동안 보잉 설계 철학을 무시했던 것도 원인으로 볼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항공기 생산 업체들에게 급진적으로 적용되는 규제들도 어느 정도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맥스 사고와 관련해서 한편으로 궁금한 부분은 AOA vane 결함이 촉발한 것인데 여기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설계에도 분명 문제가 있었던 것이 분명합니다. 한쪽 신호만 받는 다는 것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었지만 한편으로 결함이 많이 발생하는 부품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는데 생산한지 얼마 안된 항공기들이 모두 같은 결함이 발생했다는 갓도 의아한 부분이었는데 여기에 대한 정보가 없네요…
    클래식 정비하다 맥스를 했었는데 부품 품질은 클래식이 훨씬 좋았던 것 같고 편의성은 뭐 그래도 신 기술이 많이 적용돼 그런지 맥스가 좋았던 것 같습니다.
    을 하먄서 느낀 것이 그래도 경험은 무시 못한다 맥스가 그립다 입니다.
    뭐 보잉의 명성을 빨리 되찾았으면 좋겠네요.. 안전한 항공 업계가 계속되기를 희망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엔지니어시군요.. 맥스도 정비를 하셨다니.. 댓글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사실 보잉이나 맥스에 대한 얘기를 진작에 했어야 했지만 많이 늦어졌죠..
      말씀 하신대로 이젠 MCAS 문제도 해결이 된 상태이구요.
      날아간 도어 플러그 문제는 QC의 문제가 맞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런 아쉬운 QC가 진행되게 된 부분이
      뭔가 보잉이 안고 있던 더 윗 단계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이 영상은 제 채널에 오시는 "일반 시청자" 분들의 눈높이에 맞춰 보잉의 아쉬운 부분을 공유하고자 함입니다.
      이렇게 수준이 높으시고 항공 소식에 먼저 다가가 알고 계신 분들에겐 뜬금으로 보일겁니다^^; 양해 부탁드려요~
      솔직히 저는 보잉이 나쁘고, 에어버스가 좋다.. 이런 생각은 전혀 없는 사람 중 하나입니다.
      다만 조종의 취향 상 에어버스를 조금 더 선호하는 정도이고, 현재 787도 적응해서 잘 타고 있습니다 😊
      얘기 나누다보면 정비하시는 분들도 에어버스가 낫다... 아니 난 보잉이 편하더라.. 의견이 좀 갈리더라구요~
      언급하신 AOA 오류는 우리나라에만 잘 나오지 않았을 뿐 외국의 뉴스나 매체에는 이미 3-4년 전에 보도가 되었습니다.
      맥스가 나오기 전, 전신인 NG에서 AOA vane과 plate 사이에 불규칙하게 얼음이 어는 현상이 2004년부터
      200건이 넘게 나왔고, 이로 인해 RTO 또는 비상 착륙의 건도 40여 건 기록되었습니다.
      맥스로 와서도 꾸준히 나온 이유로 2013년, 2016년 두 번의 AD를 발행했지만 깔끔히 개선되지는 않았습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보잉은 하나의 AOA에 실속 각도가 감지되면 MCAS가 작동되도록 했고..
      문제가 그리 많았던 AOA였음에도 AOA 오류가 MCA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테스트조차 진행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보잉이 다시 원래의 명성을 찾았으면 하는 건, 제가 보잉을 좋아해서가 아니라 건전한 경쟁의 필요성 때문이예요..
      큰 탈 없어 보이는 에어버스도 단독 질주를 하다 보면 나중에 그러지 말란 법은 없지요.
      암튼 지식 수준 높으신 엔지니어께서 이리 장문의 댓글을 주시니 저는 너무 감사할 따름입니다! 😊
      바쁘시더라도 종종 지식 공유 부탁드립니다~

    • @sangkyupark9236
      @sangkyupark9236 3 месяца назад +2

      @@captainjksaviationlife248 평소 많이 공감하는 부분도 있고 체감하는 부분이 항공기 개발 시 신소제를 많이 사용하는 것과 원가 절감을 너무 선을 넘도록 했다는 부분입니다. 90년 대 제가 일을 시작할 때만해도 미제 부품을 받으면 선배들은 확인이 필요 없다고 할 정도로 신뢰성이 좋았지만 2000년대 넘어서는 새 제품도 문제가 많았던 기억이 있고 맥스로 넘어와서도 솔직한 느낌은 일회용으로 만든 것 아닌가 싶을 정도의 내구성을 가진 부품들이 의외로 많아 정비 시 애로사항이 훨씬 많아졌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사실 보잉만의 문제라기 보다 더 가볍게 만들어 연료 효율을 높이려는 노력의 부작용이라 생각되는데 그나마 보잉이나 에어버스의 경우 노하우와 그동안 축적된 데이터로 정비 프로그램에서 손을 대는 경우를 줄여나가고 있는데 ERJ나 Dash-8 시리즈 항공기는 정비 프로그램이 손을 대는 곳이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고 인해 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라 항상 조마조마한 마음을 가지고 일을 합니다.
      정비쪽 선배들이나 동료들 선호도를 보면 B777이 품질이나 운영 및 정비성에서 가장 좋다고 평가를 하고 있고 에어버스는 결함이 발생하기 직전까지는 상당히 좋은데 결함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정신을 못차릴 정도라고 (농담으로 320이면 결함 320개 정도는 가지고 비행 가능하기 때문에 320이라고 ...) B737 시리즈는 -300을 베스트로 꼽고 NG시리즈는 700을 베스트로 보통 꼽았습니다. 뭐 제가 만난 동료들의 평균적인 평가가 그렇다는 것이고 여러 유튜브 채널 운영하시는 조종사분들을 봤는데 사실 많이 도움이 됩니다. 정비에 임하는 자세도 더 바로잡을 수 있구요.
      항상 안전 운행 하시고 그냥 많이 부족한 개인의 댓글에 장문의 답을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그저 시대의 흐름과 기술발전의 방향과 속도로 인해 제조사들이 압박을 느끼고 안전과 타협하는 문화가 생긴 것 같은데 보잉만의 문제로 비춰지는 듯 해서 감히 글을 남긴 것이니 오해 없으셨으면 합니다. (보잉 옹호하는 것 절대 아닙니다. 항공 산업 전체 신기술적용 시 신기술이란 포장으로 안전에 대한 그리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성능 요구치보다 경제성에만 포커스가 맞춰진 것 같다는 제 개인적인 소감에 근거한 부분이니 정말 오해 없으셨으면 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sangkyupark9236 댓글을 보니 정말 일에 대한 신념이 확실하신 분 같습니다. 어느 항공사인지 부럽습니다!
      예전 KE있을 때 에어버스 컴퓨터 리셋하느라 하루가 다 간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ㅎㅎ
      777은 조종사나 정비사 모두 좋아하는 비행기로군요.. 저는 타보질 못해서.. 787보다 낫다고들 하더라구요.
      그리고.. 댓글 주신 내용에 대부분 동감하고.. 오해 없으니 ㅎㅎ 걱정마십쇼~

    • @Ruy_Lopez
      @Ruy_Lopez 3 месяца назад

      보잉 737은 원래 고바이패스비가 적용되기 이전의 엔진을 기반으로 만든 기체라 랜딩기어가 짧아서 NG에서 대형화된 엔진(고바이패스)를 장착하기 위해 엔진을 앞으로 빼고 밑을 찌그려서(?) 해결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NG보다도 엔진이 대형화되고 mcas시스템을 넣을 정도로 무게중심이 이동했다면 소프트웨어를 개선하는게 아니라 하드웨어를 바꿔야 되지 않나요? 전문가는 아니지만 일반인으로서 박수칠 때 못 날라간 비행기로 보입니다...

    • @sangkyupark9236
      @sangkyupark9236 3 месяца назад

      @@Ruy_Lopez 그러니까 왜 하드웨어를 ㅏ쑤지
      않고 소프트웨어로 해결할까요? 그리고 소프트 웨어로 해결한 부분이 MCAS만 있을까요? 자동조종계통을 사용하면 컴츄터가 플랩 항공기 속도 등을 감안하여 알아서 보정값을 적용합니다. 에어버스도 컴퓨터 없이 완전 수동 비행이 가능하지만 비행 특성이 상당히 나빠지죠. 왜 그럴까요? 신기술 적용의 관점이 경제성에 초점이 맞춰지니 그렇다고 봅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나쁜 것일까요? 아니라고 봅니다. 나쁜
      것이라면 에어버스도 동일하게 그 나쁜
      짓을 하고 있죠. 결과가 다르게 나왔을 뿐이죠.

  • @user-cq9oh7db4w
    @user-cq9oh7db4w 3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아시아나 에서 350 조종실 구경을 시도 봤더니 안된다고 하네요. 아시아나 350 조종사 한테 조종실 구경 직접 사정을 하니 아예 소용이 없어요. 그것도 안될 확률이 높아요. 기장님은 아시아나 조종실은 못 들어 가나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2

      당연히 못 들어가시는 게 맞습니다 ㅎㅎ 저도 다른 회사 비행기엔 들어가지 못해요

    •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한국 항공사에서는 정비사 이외의 지상직원들중 조종사에게 직접 서류 전달해야하거나 기타 인가된 지상직원들 외에 일반 지상직원들도 조종실 출입 할수 없습니다. 기껏해야 승객탑승전 조종실 열려있을때 빼꼼 쳐다보는게 다입니다. 조종실 안으로 발을 딛는순간 발각시 징계감입니다.
      타항공사 조종사라 해도 탑승한 조종사들이 모두 의식을 잃고 쓰러지거나 사망하는바람에 조종할사람이 아무도 없어서 비상조종 해야하는게 아니라면 일반승객으로 간주되어 조종실 출입 할수 없습니다. 하물며 일반승객이 조종실 출입하는것은 있을수 없는일이며 다음부터는 절대로 요청하셔서도 안됩니다. Sam Chui 같은 유튜버들도 다 항공사에 허가를 받은후에 조종실 출입 및 촬영을 하는건데 한국 항공사에서는 이마저도 허가해주지 않습니다. 티웨이나 에어부산 유튜브처럼 해당항공사에서 직접 촬영하는 경우에 한해 허가가 납니다.

  • @user-cq9oh7db4w
    @user-cq9oh7db4w 3 месяца назад

    옛날에 연예인 조종실에 태워서 기장 징계 먹었던 것 이야기 들었어요?
    옛날 대한항공 조종실에 가족 함부로 구경 하다 기장도 징계를 먹고 골치 아픈 일 이야기 들었는가 해서 물어 봤어요.
    아시아나도 인가 없이 조종실에 함부로 출입을 하다 파일럿도 골치 아플정도 일 커진 것 이야기 들었어요?
    그래서 기장님도 조종실 구경을 함부로 하기가 정말 무섭네요

  • @jbs7946
    @jbs7946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제가 어디서 카더라? 얘기를 들었는데.....
    90년대 후반 외환위기(IMF) 시절 대한민국은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미국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었고,
    (정부의 압력?이었는지는 모르지만) 당시 대한항공은 737을 대규모로 구입했다고 하더군요....
    나중에, 한미 정상회담 당시 클린턴 대통령이 김대중 대통령에게 737 대규모 구입해 줘서 고맙다는 얘기를 했다고 하더군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넵 저도 들은 내용 같습니다. 737뿐 아니라 비행기의 대량 구입은 워낙 금액대가 커서 나라 대 나라의
      딜로도 이용되는 듯 해요. 오래전 에어버스를 살린 A300 시리즈 구매도 그렇고, 예전 평창 올림픽 때도
      그런 말이 돌았었으니까요.. 아마 대한항공 뿐이 아닐겁니다..

    • @jbs7946
      @jbs7946 3 месяца назад +1

      @@captainjksaviationlife248 비행기 구매에 있어서는 중국이 엄청난 '큰손' 이더군요.... ㅎㄷㄷ 비행기 말고도, 중국하고 무역은 여전히 큰 이익인지라..... 미국 유럽 은 중국하고 척 질수는 없죠....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jbs7946 맞아요.. 큰 손 정도가 아니라 구매 레벨 자체가 다릅니다~

  • @DanielSHChoi
    @DanielSHChoi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보잉의 오만함이 불러온 현실이죠…이래놓도 전 CEO는 물러나면서 퇴직금으로만 수백억 받아가고요 ㅎㅎ 737이 사골도 아니고 너무 울궈먹은거 같습니다 ㅎㅎㅎ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업계 1등으로서 오만, 나태, 이익 추구... 결국 터지고 있죠 ㅜㅜ
      737은 정말 ㅎㅎ 사골이 아니라.. 뭐라 해야 할까요..
      영상에도 언급을 드렸지만, 이미 900 NG 부터 비행기의 조종성이 800 NG 하고도
      꽤 많이 다릅니다. 뭔가 어색하고 운신의 폭이 좁아진 그런 느낌..
      늘여도 너무 늘여놨지요 어거지로...
      그걸 10 시리즈로 더 늘인다는 보잉은 정말 각성해야 합니다..

    • @DanielSHChoi
      @DanielSHChoi 3 месяца назад +1

      @@captainjksaviationlife248 737-300 부터 900ER, Max 까지 경험으로….737-400이 👍🏼 ㅎㅎㅎ 맥스는 그래도 900보단 조종성이 나은데…이제는 콸리티를 믿을수 없으니까요ㅜㅜ
      맥스10 랜딩기어, 777X 접이식 윙렛….뭔가 냄세가 솔솔~ ㅎ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DanielSHChoi ㅎㅎㅎ 잘 좀 하시오 보잉!!

  • @user-ne5pb6cm4v
    @user-ne5pb6cm4v 2 месяца назад +1

    ruclips.net/video/dZYsf7gecoE/видео.htmlsi=lmP-6qRTNckGntbZ
    또 뉴스가...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2 месяца назад

      넵.. 저도 그 뉴스를 접했습니다.
      아직 정확히 기류탓인지 항공기 시스템 상의 문제인지 밝혀 지지 않았기 때문에..
      저도 기다리고 있습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