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년 전 유럽 왕의 책상에 한국 전통 종이 한지가 있다? / 스브스뉴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737

  • @Ciel59owo
    @Ciel59owo 4 года назад +1061

    한지가 세계 문화재 복원해줄 재료로 톡톡히 쓰이고 있다니 너무 좋네요ㅎㅎ

    • @koreansethniccleansing
      @koreansethniccleansing 4 года назад +12

      100년전까지 원시인처럼 살고있던것들을 사람만들어놨더니 이제는 과거를 조작하려고하는구나

    • @qazwsxedcqazwsxedc1019
      @qazwsxedcqazwsxedc1019 4 года назад +2

      @@koreansethniccleansing I am your fan. I really respect you. I agree with ur idea

    • @overmind1998
      @overmind1998 4 года назад +28

      @@koreansethniccleansing 그건 우리가 할말임 불교도 주고 철도 주고 쌀 도 주고 백제를 신처럼 받들기도 했다지???

    • @서진혁-z8r
      @서진혁-z8r 4 года назад +18

      @@koreansethniccleansing 일본은 2500년전까진 옷도 안입고 다녔다지?

    • @서진혁-z8r
      @서진혁-z8r 4 года назад +22

      @@koreansethniccleansing 이말 한마디면 끝 일본 천황은 백제왕족 후손이라지?

  • @junichitiger
    @junichitiger 4 года назад +215

    한지 만드는 공정이 복잡하고 토나올 정도라고 해서 만드는 사람이 적던데 이 전통 사업을 이어갈 인재양성이 먼저가 아닐까 싶네요!

    • @Jeong-eun
      @Jeong-eun 2 года назад

      한지 만드는 공정 복잡한가요. 그정도 손은 가야ㅡ하지 않나요.

  • @MJ-cr9hm
    @MJ-cr9hm 4 года назад +400

    오 안그래도 이탈리아 갔을때 성당 그림 복원재료로 한지 사용하고 있다길래 신기했었던 기억이 있음 일본문화는 공부하면 공부할수록 마케팅,이미지 세탁을 잘했다 싶음..명성에 비해 막상 공부해보면 별거없고 중국이나 한국에서 내려온것들이나 원조가 대부분임..그만큼 나라의 이미지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함

    • @이스터12
      @이스터12 4 года назад +2

      아니..화지 원조가 한지라는 근거없는 소리는 대체 어디서 나온건가요?

    • @이스터12
      @이스터12 4 года назад +2

      @t i 음식과 애니메이션은 전혀 다른 분얀데 대체 왜 그렇게 비교를 하시는 건가요? 그렇게 따지면 J-pop보다 K-pop이 훨씬 인기가 많은건 뭔가요? 그리고 요즘은 한식집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 @극혐둠발
      @극혐둠발 4 года назад +2

      @t i 잉 파리가요? 거기 한국 음식점 널렸는데? 전 리옹 살다가 보르도 사는데 보르도도 삼성 가맹점 깔려있는데? 영국은 일식집 밀어내고 한식집이 점령하고 비오면 트람에서 불닭볶음면 사가지고 들어가는 프랑스인들 엄청 많은디...?

    • @극혐둠발
      @극혐둠발 4 года назад +1

      @t i 최근에 오신 거 맞아요?

    • @극혐둠발
      @극혐둠발 4 года назад +2

      @t i 전 다음 주에 일 때문에 파리가는데 한식먹으러 파리 가거든요;; 여기는 전통 한식집이 없어서;; 하나 걸러 하나가 한식집인데....?

  • @_paso1515
    @_paso1515 4 года назад +363

    한지가 전세계에서 복원재료로 쓰인다니... 자랑스럽네요,..

    • @a.p2872
      @a.p2872 4 года назад +4

      일본 화지가 세계시장99%를 차지한이유는 스모가 세계올린픽에 나온것처럼 일본은 돈으로 밀었기 때문이예요

    • @XXXTENTACION0123
      @XXXTENTACION0123 4 года назад +1

      한지가 중국 채륜이 만든 건 알고 쓴거죠?ㅋ

    • @BaehrChaney
      @BaehrChaney 4 года назад +11

      ​@@XXXTENTACION0123 정확하게는 채후지 말씀이시죠?? 초기엔 목간보다 우수하다하여 황실에서 애용했습니다.. 다만 한지와는 제조방식이 달랐습니다. 채후지는 식물의 원료를 갈아 얇게 펴서 종이를 만든거라면 , 한반도의 한지는 닥나무 껍질을 두들겨 종이를 먼들었습니다. 때문에 더 질기고 튼튼했습니다. 고구려 담징이 610년엔 일본에 기술을 전수했다고 일본서기에 나오고있고 700년대부터 중국에 본격수출하기 시작합니다. // 송나라 손목은 계림유사에서 '고려의 닥종이는 흰빛이 아름다워 모두 좋아하며 이를 일러 백추지라 한다' // 명나라 문헌에도 '고려의 종이는 누에고치로 만들어서 종이 색깔이 비단처럼 희고 질기며, 글자를 쓰면 먹물을 잘 먹어 좋다. 이런 종이는 중국에는 없는 것으로 진귀한 물품이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PS : 한지가 누에고치로 만들었던건 아닌데 종이가 너무 부드럽고 하얀색이라 누에고치로 만든줄 알았답니다ㅋㅋㅋㅋ 다르게 예를 들자면 모토로라가 "무선전화기"라는 개념을 세계 최초로 성공했고 그 업적은 존중하지만, 지금의 아이폰에는 미치지 못하는것처럼 [채륜의 채후지는 모토로라]고 [한국의 한지는 아이폰]이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ㅋㅋㅋ

    • @건전한사용자명
      @건전한사용자명 4 года назад

      @@a.p2872 그냥 성능차이인거 같은데?별 핑계를 다대가노
      99%점유율이면 딱 답이 나오자너 ㅋㅋ

    • @BaehrChaney
      @BaehrChaney 4 года назад

      @@건전한사용자명 근데 윤서인채널이랑 일베는 좀 끊어라 엄마를 생각해서 ㅎㅎㅎ

  • @sehunlee9989
    @sehunlee9989 4 года назад +218

    몇년 전부터 한지 기사 나왔지 않나? 근데 아직까지 시장점유율 1퍼센트도 못 딴거여?
    좋은 물건을 가지고 있으면 뭐하나... 팔지를 못하는데

    • @中華民國萬歲_韓國人
      @中華民國萬歲_韓國人 4 года назад +5

      좋은게 있어도 성장을 못하노

    • @이스터12
      @이스터12 4 года назад +2

      좋긴 뭐가 좋아. 보존성이 아무리 좋아봤자 쓰기 불편하면 모든게 빨리빨리 돌아가는 사회에서 누가 그런걸 쓴다고. 보존성은 전기밥솥보다 전통밥솥이 압도적으로 좋지만 누가 요즘 전통밥솥 씀?

    • @wisdomPark
      @wisdomPark 4 года назад +4

      @@이스터12 문화재 복원은 아주 천천히 조심해서 한다. 걔네들은 빨리빨리는 부차적인 요소일 뿐.

    • @이스터12
      @이스터12 4 года назад +2

      @나는앵두벌레 아날로그와 디지털은..일단 아직도 제대로 된 한지들은 수제로만 만들어지며, a4지는 공장에서 자동화와 전기를 통해 만들어지는데 전기밥솥과 전통밥솥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a4지와 기능 차이가 '크게' 안난다고 하셨는데, 한지에 연필로 글을 적어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실제로 써보면닥나무 섬유 돌출이 심해 a4지에 비해 필감이 좋지 않고 가독성이 심히 떨어집니다. 볼펜 같은 액체성 필기구는 아예 잘 써지지도 않을 때도 있고요. 한지가 실무에 사용되지 않는 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물론 말씀하신 것처럼 보존성이라는 장점이 있긴 합니다. 영상에 나온 것처럼 문화재 보존에 대한 긍정적인 가능성도 있고요. 하지만 효율이 중시되는 현대 사회에서 보존성은 크게 부각되지 않는 장점입니다. 제가 글을 부정적으로 쓴 이유는 말씀하신 것과 비슷하게 이 댓글이 너무 긍정적이지 않은가 해서였어요.

    • @viollang
      @viollang 4 года назад +5

      @@이스터12 애초에 누가 한지에 연필로 씁니까 다 먹 갈아서 붓으로 쓰던 때에 썼던거지...

  • @user-bj3n4b5tc9a
    @user-bj3n4b5tc9a 4 года назад +517

    그러나 한지를 만드는 장인이 많지 않아 공급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런지..... ㅠㅠ

    • @sibalsinalsmsmk
      @sibalsinalsmsmk 4 года назад +4

      프사 졸귀

    • @many2533
      @many2533 4 года назад +31

      수요가 생겨 생계가 가능해져 배우는 사람이 늘어났으면 하네요ㅜ

    • @보샤-y8o
      @보샤-y8o 4 года назад

      좋아요 누르고 싶은데 222 라서 누르기가 어렵네여...

    • @jwowo4294
      @jwowo4294 4 года назад +4

      계십니다. 많이사용해주시고 관심가져주시면 그분들도 좋아하실거에용

    • @이경한-n6d
      @이경한-n6d 4 года назад

      오씨 뭐야 내가 쓴줄

  • @neocry7335
    @neocry7335 4 года назад +373

    이렇게 띄워줘도 당장 필요할 때는 한지가 없습니다
    교수님이 보존 복원에 필요한 한지는 그때마다 다르고 1년 내내 생산되는게 아니라고 하셨습니다
    그만큼 생산도 느리고 생산하는 곳도 적습니다

    • @조바보-l9q
      @조바보-l9q 4 года назад

      +종이접기 할때도 보면 화지가 한지보다 헐 좋습니다.

    • @모르는사람-j7s
      @모르는사람-j7s 4 года назад +94

      @@조바보-l9q 아니 세상에 한지를 종이접기를 할때 쓰는 사람이 어딨어ㅋㅋ

    • @LeeJunWoo.
      @LeeJunWoo. 4 года назад +26

      @@모르는사람-j7s ㅇㅈ ㅋㅋㅋ 그림이나 붓글씨 쓸 때 쓰지 ㅋㅋ

    • @결론못생김
      @결론못생김 4 года назад +41

      @@조바보-l9q 그저 닉값...

    • @김현규-w9m
      @김현규-w9m 4 года назад +22

      솔직히 화지 마케팅이네 뭐네 해도 한지의 가장 큰 문제는 이거지 ㅋㅋㅋㅋㅋ 생산물량 딸리는거 ㅋㅋㅋㅋ

  • @Hjw511
    @Hjw511 4 года назад +864

    국뽕러: "유럽 왕실이 인정한 한지의 우수성."
    일본: 저거 우리꺼 배낀거임
    중국: 저거 우리꺼임

    • @Tundra-ie6zz
      @Tundra-ie6zz 4 года назад +87

      ㄹㅇ 셋다노답임

    • @이름없음-r5o3z
      @이름없음-r5o3z 4 года назад +43

      국뽕이 가장 노답임ㅋ

    • @Hjw511
      @Hjw511 4 года назад +61

      @@바닐라-y9f 국뽕의 과장됨을 표현하기 위해 "왕실" 이라고 적었습니다.

    • @9394-c5s
      @9394-c5s 4 года назад +59

      @@이름없음-r5o3z 국뽕이 없는나라가 있나요

    • @hello_world_root12
      @hello_world_root12 4 года назад +2

      @@Hjw511 ㄹㅇ 비유 전설

  • @이준혁-h9j
    @이준혁-h9j 4 года назад +445

    한지는 워낙 튼튼해서 사형도구로도 쓰이는 일이 있었죠
    백지사라고 사형우의 얼굴에 젖은 한지를 한장씩 겹쳐서
    결국 숨을 못 쉬게 해서 죽여버리는 형벌이였습니다...

    • @컨셉-w6c
      @컨셉-w6c 4 года назад +38

      쉐에....ㅌ

    • @꿀꿀이-g8s
      @꿀꿀이-g8s 4 года назад +18

      ㅁㅊ...

    • @Yomanghangeot
      @Yomanghangeot 4 года назад +14

      도모지인가 그거랑 같은거죠?

    • @김용석-y5b
      @김용석-y5b 4 года назад +5

      ㄷㄷ

    • @S.H__
      @S.H__ 4 года назад +53

      +한지 장인분께서 말씀하시길 백지라고 불리는 이유는 하얀 종이라는 뜻도 있지만 한지를 만드는데 손이 백번 간다하여 백지라고 한다고도 하시더라구요~

  • @천사표-d3h
    @천사표-d3h 4 года назад +95

    정작 국내에서는 점점 설자리가 사라져 가고 있는데...
    국내에서 더 많이 사용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해야한다.

    • @티모-i3w
      @티모-i3w 4 года назад +6

      뭔 제도야 쓸지 말지는 자유지

    • @europa_jupiter_moon
      @europa_jupiter_moon 4 года назад +1

      ㅇㅈ

    • @서승우-c1c
      @서승우-c1c 4 года назад +2

      @6명예이서정 개꼬였네

    • @기뚜래미
      @기뚜래미 4 года назад +1

      @@서승우-c1c ㅇㅈ

    • @이정희-r6y6d
      @이정희-r6y6d 4 года назад

      한지가 좋긴 한데 비싸기도 하고... 그 특유의 섬유질? 그게 가끔 툭 튀어나온 부분이 있는데 그런 것 때문에 붓이 아닌 연필이나 펜으로 글씨 쓰긴 힘들더라고요ㅠㅠ 종이의 주요 기능은 글씨를 남기는 도구인데 그게 어려워서 힘들 것 같아요. 저도 한지는 거의 포장지로만 써요

  • @LeeJunWoo.
    @LeeJunWoo. 4 года назад +296

    1주일 뒤
    일본: 한지는 원래 일본에서 유래..
    중국: 조선의 역사는 중국의 역사나 다름없..

    • @강원도감자0121
      @강원도감자0121 4 года назад +40

      아 생각만해도 개빡치네 ㅋㅋㅋㅋ

    • @하진-t6g
      @하진-t6g 4 года назад +31

      아놔 글로만 봤는데도 ㅈㄴ 빡쳨ㅋㅋㅋ

    • @中華民國萬歲_韓國人
      @中華民國萬歲_韓國人 4 года назад +6

      + 한지 검색 했는데 전부 국뽕 영상으로 도배되어있음

    • @LeeJunWoo.
      @LeeJunWoo. 4 года назад +4

      @@中華民國萬歲_韓國人 그래 잼민아

    • @wj8671
      @wj8671 4 года назад

      일본은 억지인데... 조선이 중국 속국인 건 사실이었으니...

  • @user-suminlee
    @user-suminlee 4 года назад +100

    곧 뜰 영상 제목: 전세계사람들 한지에 화들짝 모두 놀라 까부러칠 정도 일본 눈물의 열폭질에 중국 원조 주장중

  • @sunghyunlee5245
    @sunghyunlee5245 4 года назад +41

    일본처럼 한국도 장인들이 세련된 전통 작업실에서 좋은 작업복 입고 느낌있게 제품에 도장 찍어서 멋있게 마케팅 하면 더 경쟁력도 생기고 대우도 좋아지지 않을까요

    • @gogijopchaeyong4348
      @gogijopchaeyong4348 4 года назад +4

      한국은 일본보다 못한게 딱 두가지 있음. 바로 기초과학 교육이 ㅈㄴ 부실하다는 거랑
      장인, 기술직을 별로 안 좋아하고 문과계열 직업을 훨씬 선호한다는 거임.
      옛날에 선조때 도자기공 일본에 포로로 잡혔을때랑 상황이 바뀐게 없는듯

  • @Dhaefbjytr46h7
    @Dhaefbjytr46h7 4 года назад +63

    난 이거 썸넬 보고 고려시대때 아라비아 상인들이 한지를 사가고 유럽에 가서 판건줄 알았네 실크로드 따라서 ㅋㅋㅋ

    • @user-oksh
      @user-oksh 4 года назад

      저두 그렇게 생각했는뎈ㅋ

  • @김민석-r2n
    @김민석-r2n 4 года назад +71

    일본한테 배울건 배우자 마케팅 저런거 일본이 개잘한다 계속 까기만하면 뭐해 일본이 99퍼 독점하는데 ㅋㅋ

    • @pneumonoultramicroscopicsi5947
      @pneumonoultramicroscopicsi5947 4 года назад

      ㄹㅇ

    • @gogijopchaeyong4348
      @gogijopchaeyong4348 4 года назад

      사실 사무라이나 일본사, 카미카제 같은걸로 외국에 일뽕 많이 생긴것도
      애니매이션이나 마케팅한게 엄청 영향이 큼.
      마케팅은 참 잘하는것같음

  • @tree4630
    @tree4630 4 года назад

    우와 한지로 문화재 복원이 가능하다는 걸 처음 알았어요! 한지가 문화재 복원에 사용이 되었다니 자랑스럽기도 하구요. 이렇게 좋은 한지들을 만들어주시는 장인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한지가 세계에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어요.

  • @lyricsaviciikygomusic
    @lyricsaviciikygomusic 4 года назад +2

    이정도로 우리나라가 발전했다니 감격스럽다 한지가 세계 문화재를 복원할 재료였다니 정말 우리선조들 존경스럽가

    • @Espresso_crema
      @Espresso_crema 4 года назад

      고려까지는 자랑스러운데 명나라 식민지 조선은 아님

  • @김다비-i5z
    @김다비-i5z 4 года назад +12

    1번50%이영상에대한댓글
    2번20%중국:우리꺼야/일본:우리꺼따라함
    3번10%국뽕댓글
    4번은개인주위야
    5번0%한석원의 머리카락

  • @이재환콧대가내미래보
    @이재환콧대가내미래보 4 года назад +7

    아니 근데 전부터 궁금했는데 왤케 이런거 자랑스러워 하는 사람 국뽕러라면서 욕하는 사람이 많지?? 우리나라의 것이 널리 널리 퍼져서 잘 쓰이고 있으면 당연히 기쁘지 않은가? 글구 어느정도의 자문화에 대한 자랑스러움은 가져도 된다고 생각하는데 '아...자랑스럽다!'막 요론 댓에도 국뽕러라고 욕박는 사람들은 뭐지?? 솔직히 우리나라 문화만 너무좋아!! 다른나라 문화 개나줘버려!! 이러지만 않으면 되는거지...우리나라 문화의 좋은점이 나와도 응~어차피 미개한 조선! 이러면서 어떻게든 까내리려고 하는 태도는 더 안좋은것 같다. 그냥 어느 문화든 칭찬할거 칭찬하고 나쁜점은 나쁜점 대로 지적 하면서 바라보면 안되나??

    • @jflfk3928
      @jflfk3928 4 года назад +2

      트래블튜브같은 채널 한번 가보세요 그럼 이유를 알게될겁니다

    • @피아마-u8f
      @피아마-u8f 4 года назад

      @@jwl_william9276 애초에 한지가 왜 우리꺼임? 우리가 잘만들었다고 우리꺼면 뭐 라면도 우리꺼임? 애초에 중국 소유물이지

    • @피아마-u8f
      @피아마-u8f 4 года назад

      @@jwl_william9276 현지화 현지화 이러는데 ㅋㅋ 재료가 달라도 중국 기술이고 중국 문화임

    • @이재환콧대가내미래보
      @이재환콧대가내미래보 4 года назад

      @@피아마-u8f 아니ㅋㅋ '한지'는 우리꺼 맞지ㅋㅋ 중국 기술이 더해졌어도 우리나라 식으로 더 낫게 만들고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 오면 우리나라꺼지ㅋㅋ그렇게 치면 일본 도자기도 우리 백제시대 기술들어갔으니까 우리꺼임? 아니잖아ㅋㅋ 모든 문화는 교역을 통해 발전하는거고 그걸 현지화 함으로써 전통으로 만들어간다는게 맞음ㅇㅇ

    • @이재환콧대가내미래보
      @이재환콧대가내미래보 4 года назад

      @@피아마-u8f 그리고 최초의 라면, 라면의 시초는 일본꺼지만 진라면, 신라면, 삼양라면 이런거는 우리나라꺼 맞잖아ㅋㅋㅋ무언가의 시초가 되는 물품을 고대로 가져와서 고대로 쓴다면 그 나라 것인게 쉽게 인정 되지만 그걸 현지화한다면 얘기가 달라지지 자극전파라고 들어봤나 모르겠네

  • @소연-u1u
    @소연-u1u 4 года назад

    한지가 문화재를 복원하는데도 탁월한 역할을 해내고 있다는걸 이번에 처음 알았어요! 다른 재료보다도 한지가 문화재 복원에 월등하게 좋다니까 괜히 기분이 좋아지네용
    공급이 그만큼 뒷받쳐줄지는 걱정되는 면이 없지않아 있지만 어서 문화재 복원에 한지가 많이 사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당 영상 잘 보고 가요!

  • @user-suminlee
    @user-suminlee 4 года назад +8

    확실히 일본이 마케팅 하나는 쥰내 잘한다 여태 복원에 화지가 쓰이는줄 몰랐네 이제 한국도 인정받은김에 물들어 올때 노젖자

  • @ganekim
    @ganekim 4 года назад +27

    그럼 한지가 그렇게 좋다면 대중화시켜라 말로만 떠들지말고!

    • @_AHN_
      @_AHN_ 4 года назад +4

      내구성이 좋다는 게 실생활에서 쓰기 좋다는 말이 아니잖아요... 내용도 문화재 복원 재료로 우수하다고 알려주는데 무슨... 뭘 읽거나 들어도 이해를 못하는 인터넷 문맹이 심각하다더니 진짜 장난아니네ㄷㄷ

    • @leeseung3974
      @leeseung3974 4 года назад +1

      볼펜으로는 적합하진 않음 그게 문제지

    • @김영훈-r7l8r
      @김영훈-r7l8r 4 года назад

      대중화를 왜 시키노

    • @마포대교
      @마포대교 4 года назад +3

      실생활에서의 기록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공예나 벽지, 한지를 안감으로 사용한 옷 등의 대중화가 필요하죠

  • @hee8107
    @hee8107 4 года назад

    한지 질감 색감 너무 좋은데 ㅜ 한지 화이팅!!

  • @건강댓글로구독자1000
    @건강댓글로구독자1000 4 года назад +1

    어이 스크롤내리던 당신 기다려
    1.눈을 감고 시계방향으로 5번 돌리고 눈을 떠
    2.눈을 감고 반시계방향으로 5번 돌리고 눈을 떠
    (가끔은 손을 씻고 눈주변을 좀 눌러줘)
    3.눈을 뜨고 먼곳(먼산)을 바라봐
    가끔은 이렇게 눈건강 지켜야해..안그러면 이런 뉴스 못본다구

  • @NothelpButhalp
    @NothelpButhalp 4 года назад +1

    한국이 그래도 정말 대단하긴 한게 세계의 어디선가 모르는 곳에서 그 능력을 인정받고 있는 듯. 방금 설명해준 한지나 한글을 문자로 택한 나라가 있다거나 등등

  • @sanghwibae924
    @sanghwibae924 4 года назад +23

    우리나라 물건 보면 다 대단한거 같다

    • @koreansethniccleansing
      @koreansethniccleansing 4 года назад +1

      개소리

    • @마포대교
      @마포대교 4 года назад +6

      @@koreansethniccleansing 니가 쓰는 폰에는 디스플레이 없고 형광등 달렸냐?

    • @中華民國萬歲_韓國人
      @中華民國萬歲_韓國人 4 года назад

      @@koreansethniccleansing 인정함니다

    • @user-oksh
      @user-oksh 4 года назад +1

      @@마포대교 형광등ㅋㅋㅋㅋㅋㅋㅋㅋ

    • @gogijopchaeyong4348
      @gogijopchaeyong4348 4 года назад +1

      @@마포대교 일본은 삼성.아이폰 써서 자국산 폰이란것도 잘 없음
      차만 잘만드는듯

  • @야미-y7m
    @야미-y7m 4 года назад +12

    중국:우와 우리민적은 대단하다
    일본:으으으으으으 왜 우리까 빼끼냐
    한국:ㅅㅂ 뭐지????

    • @buddababy
      @buddababy 4 года назад +1

      먼소리람 ㅋㅋ

  • @procyon7708
    @procyon7708 4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의 한지가 문화재 복원에 많이 쓰인다니 자랑스럽네요. 비록 일본의 화지에 밀려 있긴 하지만 곳곳에서 쓰이고 있네요. 우리나라의 한지를 더 홍보해서 더 널리 쓰일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도합니다.

  • @까까묵자
    @까까묵자 4 года назад

    잘 몰랐던 좋은 정보 감사해요♡ 신기하네요...그리고 마케팅의 중요성 다시한번 느낌..

  • @하물이
    @하물이 4 года назад +29

    그러니까 직지심체요절좀 주면 안되냐
    우리나라유물점 다 줘

    • @contrail__
      @contrail__ 4 года назад +1

      직지심폐소생술

    • @sssseol07
      @sssseol07 4 года назад

      직지심체요절

    • @하물이
      @하물이 4 года назад

      엌ㅋㅋㅋㅋㅋㅋ오타났닼ㅋㅋㅋㅋㅋ

    • @xorbs8520
      @xorbs8520 4 года назад +2

      루브르박물관에서 모라리자 한국밀수해서 교환하자고하면 ㅆㄱㄴ임

    • @진지한진지희
      @진지한진지희 4 года назад

      ㅠㅠㅠㅠ

  • @내가귀여운탓인가
    @내가귀여운탓인가 4 года назад +1

    한지 화이팅〰️

    • @hy34706
      @hy34706 4 года назад

      1등 축하요

  • @hyeyeonjung5351
    @hyeyeonjung5351 4 года назад

    썸네일만 보고 또 훔쳐갔구만 이라고 생각했어요

  • @ff-dj3ji
    @ff-dj3ji 4 года назад

    한지가 세계 곳곳에 쓰이고 있다니 정말 자랑스러워요. 앞으로 우리나라 전통한지를을 아끼고 사랑해야겠어요. 한지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응원합니다!ㅎㅎ

  • @user-qo7zu3zx5s
    @user-qo7zu3zx5s 4 года назад

    마케팅의 중요성이네요.
    그래도 이렇게 품질이 좋다면 기회가 온단 점도 신기하고 좀 더 일찍 알려졌으면 좋았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 @Woodz-y6b
    @Woodz-y6b 4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에서도 한지 사용량이 많이 늘면 좋겠네요! 저는 간단하게 다꾸처럼 취미생활을 할때 한두번 한지를 사용했는데 한지의 생산,소비가 많아지면 좋겠네요 그리고 마케팅도 잘해야겠네요... 우리나라가 문화 사대주의 경향이 좀 있는것 같아서요... 나라에 대한 자부심은 크다해도 우리 고유의 물건에 조금더 관심을 가지면 합니다

  • @천둥벌거숭숭이
    @천둥벌거숭숭이 2 года назад

    그것보다 어떻게만들었지...?
    진짜 가슴이 웅장해진다

  • @도신도신-g2d
    @도신도신-g2d 4 года назад

    한지는 예로부터 중국에서도 질기기가 가죽과같다고 할정도로 유명했습니다.
    일본의 화지는 쌍발뜨기 단순하게 한방향으로만 짜서 기술수준이나 질이 외발뜨기로 가로세로로 뜨는 한지에 비할바가 못되죠.
    그리고 제조방법이나 닥나무 재료를 볼때 일본의 화지는 한지를 모방했다고 볼수있습니다.
    중국의 선지는 짚등 여러가지를 섞어서 만들기 때문에...

  • @isLime-vs2ni
    @isLime-vs2ni 4 года назад +2

    1조원 시장에도 저러면서 훨씬 큰 게임시장에는 왜 그럴까

    • @마포대교
      @마포대교 4 года назад +2

      학부모들 표 무시 못하거든 우리나라 사람들은 변화시키려 하면 튀는거니 남에 맞춰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학부모들의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고치기 보다는 거기에 정치인들이 맞출 생각밖에 안하는거죠.. 저도 답답합니다 ㅠ

    • @컨트리볼-q3o
      @컨트리볼-q3o 4 года назад +1

      그게 아니라 그냥 가챠겜이 돈이 더 잘벌려서 그런거임. 린저씨들 덕분에. 한명이 기본 몇천만에서 많게는 몇십억을 쓰니까.

  • @heyuebaba4745
    @heyuebaba4745 4 года назад +14

    전주한지박물관(전주페이퍼) 전주전통한지문화원(전주한옥마을)

  • @hhy3202
    @hhy3202 4 года назад

    화지의 장점 : 한지처럼 흡수성이나 통풍성이 뛰어남.
    화지의 단점 : 복원작업시 한지나 화지를 이용하는 이유는 작품에 사용된 원료(페인트따위)가 안 떨어지게하면서 원료 위에 있는 접착제를 때내는데 사용함. 근데 화지의 경우 이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기엔 비용이 좀 들고 물따위를 흡수했을때 잘 찢어진다 함.

    • @m4ki9h76
      @m4ki9h76 4 года назад

      오히려 물에 반응하는 접착제(물고기 어교 등)를 같이 써서 탈락 위험이 높은 원료를 고정 후에, 보존 작업을 끝낸 후 물로 화지와 같이 불려서 떼기도 한다 하네요.

  • @sadasfasdf
    @sadasfasdf 4 года назад +11

    일본은 진짜 자기문화 홍보랑 마케팅 잘하는거 같음

    • @qaz-vc1im
      @qaz-vc1im 4 года назад +2

      ㅇㅈ 후쿠시마산 해산물도 홍보하드만

    • @gogijopchaeyong4348
      @gogijopchaeyong4348 4 года назад

      @@qaz-vc1im 그건 아무도 안사지만
      사무라이, 일본도, 닌자에 미치는 외국 씹덕들만 봐도 마케팅 존나 잘하는게 보이자너

  • @두대발
    @두대발 4 года назад

    그게 아니라 화지는 만들어내는데 한지보다 훨씬 싸게 만들어 냅니다 한국의 한지는 아직도 가내수공업형태로 만들어내는데 일본의 화지는 오래전에 기계화공정 도입했고 표준화 계량화까지 시켰어요 가격면에서 화지가 한지보다 아직도 많이 쌉니다 화지가 한지보다 먼저 유럽에 알려지기도 했지만 결국 산업화 자동화공정 가격면에서 한지가 아직 치고들어가기가 힘들어요

  • @서연-z5o
    @서연-z5o 4 года назад

    이때 루브르 박물관에서 해설 들었는데 일본 종이보다 한지가 더 뛰어나서 한지로 복원한다네요!!

  • @snbc9601
    @snbc9601 4 года назад +8

    제목이랑 썸네일만보면 옛날 처음 제작할때부터 한지가 들어간줄알았더니 복원재료라네

  • @3101이세연
    @3101이세연 4 года назад

    조상님 사랑합니다...!!♥

  • @tozuxee
    @tozuxee 4 года назад +1

    🌸한지가 왜 거기서 나와..?🌸

  • @Sirokawa032
    @Sirokawa032 4 года назад

    어떠한 일에는 항상 이유가 있고, 우리가 왜 저럴까 하는건 그 이유를 모르기 때문임. 외국에서 보기에 화지보다 한지가 종합적으로 뛰어나면 한지를 썼겠지. 마케팅은 성능이 비등비등할 때 의미가 있는거지.

    • @kimk8780
      @kimk8780 4 года назад +1

      아그래 일뽕 아무리 질이 좋아도 안알려 졌으면 안쓰는거지 지금이라도 알려지니 다행인거고
      이젠 적극적으로 마케팅해서 문화재 복원 시장에서 화지가 차지하고 있는걸 한지로 바꿔가야지

    • @Sirokawa032
      @Sirokawa032 4 года назад

      @@kimk8780 이해가 안 되요? 전문가들은 정말 말도 안 되는거 까지 다 테스트해보는데 우리나라 한지가 안 쓰이는 거면 그만한 결함이 있다는겁니다. 그 결함은 어떤건진 몰라도 마케팅 문제는 아니라는 겁니다. 이미 성공적으로 복원한 사례는 여럿 있고, 성능 역시 증명이 됐는데 왜 안 쓰일까요. 댓글창 보니까 제 때 제 때 공급을 하지 못한다는데, 그러면 당연히 공급이 원활한 화지를 쓰지 누가 한지 씁니까? 일부에서 최상의 퀄리티를 원해서 기다릴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확률이 더 높고, 우리가 지금 필요한건 생산을 원활하게 하는겁니다.

    • @dri13829
      @dri13829 4 года назад

      @@Sirokawa032
      애초에 서양 사람들 중에 학자라도 한지가 뭔지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 것 같음?
      학자도 사람이기에 관성으로 써오던 것을 계속 쓰는 습관이 들 수 밖에 없음.
      거기다 기존의 종이가 어떤 이유에서든지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으면 다른 선택지를 찾으려고 해도 원하는 양을 공급해 줄 업체가 단가 문제 때문에 포기할 가능성이 더 큼.

  • @백랑호
    @백랑호 4 года назад +22

    중국책상고치가위해 한지를 사용했다니..신기하네요! 오늘도 넘 재밌습나당

    • @김동석-s1s
      @김동석-s1s 4 года назад +4

      지금의 독일인 바이에른 왕국껀데요?

    • @주박-d7s
      @주박-d7s 4 года назад

      @@김동석-s1s ㅋㅋㅋㅋㅋ

    • @주박-d7s
      @주박-d7s 4 года назад

      중국책상 아니에여

  • @mongnijot8325
    @mongnijot8325 2 года назад

    참 이런 뉴스보다 일본은 다방면으로 정말 어떻게 저렇게 전세계에 스며들어 있는지 놀라움.
    마케팅의 중요성을 절실히 깨달음.

  • @Turn_off
    @Turn_off 4 года назад

    한지가 그래도 나아갈 수요층이 있으니 다행이네...국내에서는 가성비 문제로 수요는 줄어만 가는데....

  • @필러슨
    @필러슨 4 года назад

    나라에서 힘을 실어 주면 좋겠네

  • @min-happymemory
    @min-happymemory Год назад

    세계가 이렇게 인정하고 있는데 정작 국내에서는 한지를 홀대하고 아무런 지원도 안해주니 참 답답하네요..

  • @dory1043
    @dory1043 4 года назад

    옛 조상들은 방바닥에 한지을 깔고 콩기름 발라, 콩주머니로 문질러 코팅해 노란 방바닥을 완성했답니다! (그래서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노란 장판을 쓰는거에요!) 그만큼 한지가 바닥소재로 쓸만큼 튼튼하답니다!

  • @arondight
    @arondight 4 года назад

    0:51 아니 형....? 형이 왜 거기서 나와....???

  • @양승주-m2s
    @양승주-m2s 4 года назад

    화지도 엄청 질기고 종이의 질 자체는 한지와 비교해도 크게 떨어지지 않음. 하지만 난 한국인 이니까 한지가 화지 잡았으면 좋겠다 ㅠㅠ 한지도 엄청 좋은 종이인데 ㅠㅠ

  • @DS-nl5pp
    @DS-nl5pp Год назад

    어떤분은 한지가 세계 수출하지 않았고
    언론만 떠들어댄다고 하던데 어떤게 맞는지 모르겠음. 중국이랑 일본의 종이는 세계유산에 있는데, 한지는 🇨🇳 이랑 일본의 종이에 뭔가 중복되서 등재 신청했다가 안 됐다고 하는데 한지도 세계유산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함

  • @polyonomata
    @polyonomata 4 года назад

    한지로는 갑옷도 만들 수 있지요. 물론 종이를 처음 발명한 나라는 중국이 맞는데 닥나무의 긴 섬유조직을 사용한 한지 특유의 제법은 한국 고유의 것이라고 합니다.

  • @박준수-y1c
    @박준수-y1c 4 года назад

    한지에 이런 기능이 숨겨져 있는지는 정말 몰랐네요. 앞으로는 우리의 한지 시장이 커지게 되어 외국으로도 수출되어 화지만큼 쓰이는 날이 왔으면 좋겠네요

  • @sj7013
    @sj7013 2 года назад

    내용전후를 짜집기 해서 내용을 알기 힘들도록 했네요

  • @hrdjhddbhtfd
    @hrdjhddbhtfd 4 года назад

    형이 거기 왜 나와?

  • @kkuletoon
    @kkuletoon 4 года назад +9

    이 댓글 보신 분들은 모두 행복하고 건강하세요^^

  • @MAD01-CO
    @MAD01-CO 4 года назад

    마케팅 전략을 잘 세울 필요가 있겠네요 홍보만 잘하면 될거같은데

  • @Hanchi한지
    @Hanchi한지 4 года назад +13

    개인적으로 일본은 재질은 별로인데 마케팅하나는 잘하는거 같고 우리는 재질은 우수한데 마케팅이 별로인거 같다

    • @지-k8k
      @지-k8k 4 года назад

      애초에 시작점이 달랐죠 우리가 힘든시기에 쟤네들은 벌써 이것저것 하고있었고 스타트가 다름 기회주의적인것도있고 게다가 일본종이도 아마 한국에서 넘어온걸수도있어요

    • @Hanchi한지
      @Hanchi한지 4 года назад

      @@지-k8k 뺏아 가는거 하난 탁월 하잖아요 아마 저기 문화 절반 이상이 한국 기술 이었을 수도 닭갈비도 뺏고 싶다고 징징거리든데

    • @gogijopchaeyong4348
      @gogijopchaeyong4348 4 года назад +1

      @@Hanchi한지 닭갈비는 아베도 한국거라고 인정함.
      아베가 직접 닭갈비라고 말하고 발음하는것도 있던데
      근데 솔직히 우리나라에서 뺏어온것도 많지만
      우리나라가 자진해서 준 것도 많음...

    • @Hanchi한지
      @Hanchi한지 4 года назад

      @@gogijopchaeyong4348 그런데 다른놈들이 닭갈비 일본꺼라고 우끼기 거리잖음

  • @bebop469
    @bebop469 4 года назад +1

    화지에 화학약품이 사용됐다는걸 알고 천연 한지가 각광받고 있음.

  • @건전한사용자명
    @건전한사용자명 4 года назад +2

    성능은 화지가 더 압도인가보죠 ^^
    한지가 안쓰이는거 보면

    • @bhop7744
      @bhop7744 4 года назад

      이게팩트 점유율 99%가 ㅈ으로 보이나

    • @건전한사용자명
      @건전한사용자명 4 года назад

      @@bhop7744 별 핑게를 대가면서 국제적 위상차이 ㅇㅈㄹㅋㅋㅋㅋㅋㅋㅋ
      반일감정 ㅆㅅㅌㅊ임

  • @admiralyisoonshin4995
    @admiralyisoonshin4995 2 года назад

    한지(Korean paper)의 우수성이 전세계에 폭넓게 알려지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 @jinhyun0718
    @jinhyun0718 4 года назад

    한지는 엄청 튼튼해요 한지 공예 해봤는데 좋아요

  • @수박-o7s
    @수박-o7s 4 года назад

    일본 화지보다 한지가 좋다고 하니까 일본 처럼 마캐팅을 잘 하면 지금보다도 더 널리 쓰일수 있겠네요!

  • @ciabattabockmbob7720
    @ciabattabockmbob7720 4 года назад +3

    그렇게 기술자, 장인들을 천민 취급하더니 일본에 타이틀을 다 빼앗기는구만

  • @현-l5z3x
    @현-l5z3x 4 года назад

    뭐든지 세계화가 되려면 규격화가 되고 믿을 수 있는 브랜드가 생겨야 한다...

  • @wdb0420Love
    @wdb0420Love 4 года назад

    은근히 우리 나라는 우리 전통을 부끄러워하는게 느껴져요 부끄러워하지 말고 당당히 밀고 나가자구요

  • @pyeonghwa0115
    @pyeonghwa0115 4 года назад

    근데 문제는 정작 지금은 그렇게 많이 사용을 안한다는 점이죠...

  • @ddukdo
    @ddukdo 4 года назад +9

    화지가 다른장점이 있지않을까 너무 국뽕에 빠져있는거보다 냉정한 판단을 해야 발전하지않을까

    • @김재중-r6b
      @김재중-r6b 4 года назад +2

      그런거 그들은 안봄
      아마 화지는 일본따위에서 만든 저급한 종이다 라고 밖에 생각 안들거임
      특히 트레블튜브인가 그딴거나 쳐보는 사람들에겐

    • @knowpeople
      @knowpeople 4 года назад

      이미 일본 종이가 엄청 유명해서.. 리스토어채널들 보면 다 일본화지 써요

    • @user-suminlee
      @user-suminlee 4 года назад

      사실 재료가 뭐가 드갔느냐이지 큰차이는 없을것 같기는 함 그래서 이미 자리 잡은 화지를 뒤집기 좀 힘들거임

    • @dri13829
      @dri13829 4 года назад

      @@김재중-r6b
      그러면 해외 박물관의 큐레이터들은 전부 바보들이라 한지를 인정해 주는 거임?
      웬만한 전문가라 하는 사람들도 수십년 동안 그 분야에서 복원작업을 해왔던 그들 앞에서는 작아질텐데?

    • @김재중-r6b
      @김재중-r6b 4 года назад

      @@dri13829 크으 주모~ 국뽕하나 말아주이소~~~

  • @Almond_bong2
    @Almond_bong2 4 года назад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일거라는 말이 떠오르네요

  • @양씨형
    @양씨형 4 года назад +14

    👏👍🇰🇷

  • @매초롬-y5t
    @매초롬-y5t 4 года назад

    새로운 시장 개척 가능성에 신난다

  • @user-GOMPU
    @user-GOMPU 4 года назад

    이정도면 파피루스가 아니냐??!

  • @user-asdghbj
    @user-asdghbj 4 года назад

    0:50 wow 😉👍

  • @지-k8k
    @지-k8k 4 года назад

    아마 화지(일본)도 우리나라가 쓰던 걸 가져다가 자기들껄로 만든걸수도있음 과거 침략했던 역사가 있으니까 뭔들 못하겠어 다만 이걸로 중국이나 일본이 우기지만 않았음 좋겠다

  • @ERICKIM-c2d
    @ERICKIM-c2d 4 года назад

    정말 궁금해서 그런데 한지를 발명한거는 중국의 채륜이라는 학자가 발명한거 아니였어요????? 다른건가요??

    • @이찬호-s3c
      @이찬호-s3c 4 года назад

      걔는 종이를 만든거고 그방법을 우리식대로 바꿔서 만든게 한지

  • @Espresso_crema
    @Espresso_crema 4 года назад

    몽골이 패권국일 당시에 고려인중에 귀족집안은 관리로 파견 나갔었지... 그때 물건들인가보네... 제발 한국사에서 이런것좀 가르쳐라...

  • @TLLSOTLP
    @TLLSOTLP 4 года назад

    난또 물건 만들었을때 한지가 들어갔다는줄 알았네 복원에 한지가 쓰이는거였구만

  • @조웨킴
    @조웨킴 4 года назад

    스브스 관계자분들 !
    저희동네만 그런진 모르겠는데 치킨집 업체에서 닭 크기를 줄인것같아요. 이유가 굉장히 알고싶습니다
    얼마전만 해도 2인1닭도 먹다가 치킨이 남았는데 요즘은 혼자서도 다먹을수있어요..부탁드립니다

    • @이스터12
      @이스터12 4 года назад

      님 장이 커진거

    • @조웨킴
      @조웨킴 4 года назад

      @@이스터12 진짜아님ㅠ

  • @미국한국혼혈쌍둥이
    @미국한국혼혈쌍둥이 4 года назад

    THIS IS KOREA

  • @수류탄-n7h
    @수류탄-n7h 4 года назад

    아니...ㅠㅠㅠ 시작할때 띠링 소리때매 에어팟 배터리 간줄알았자나...

  • @맨날배고파-m1p
    @맨날배고파-m1p 4 года назад

    화지에서 화학약품 사용한거 들통났다고 합니다 ~ ~

  • @시준-n6w
    @시준-n6w 4 года назад

    상상도 못했네

  • @Realbard485
    @Realbard485 4 года назад

    비단 한지뿐 아니라,
    당연히 동양 문화권에서 일본은 변방이었을 뿐이니,
    죄다 훔치거나 베낀 것들 일색이지, 그 정수가 일본에 있었을리가...
    일본을 통해 서구에 알려진 것들의 허실이 하나둘 드러나는 거죠.

  • @kremlin9898
    @kremlin9898 4 года назад

    한지가 나왔으니 말인데
    서예처럼 성격을 다스릴 취미는 없다고 생각하는데
    서예가 예전처럼 학교에서 널리 퍼졌으면......

  • @anaalaya
    @anaalaya 4 года назад

    미국 울 교수님도 제지술음 한국이 세계최강이라고 하시던데 그래서 다른 나라보다 우리나라 사전이 얇지만 내용은 다 많이 들어간다고.^^

  • @graycain
    @graycain 4 года назад

    요즘 한지 보면 퀄리티 떨어져 보임. 역사책에 사용된 한지보면 비치도록 아주 얇은데 그것도 두겹으로 페이지를 만들었는데.
    한장만으로도 질겨보임.

  • @DALZZI_
    @DALZZI_ 4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 조상님은 곰이 아니라 외계인이었을거야..

  • @gxhcubgxtog
    @gxhcubgxtog 4 года назад

    최근에 youtube가 예기치 않게 종료되었습니다

  • @wonwon1219
    @wonwon1219 4 года назад

    난또 저때도 침략해서 훔쳐갔다는 기사인줄... 하도 훔쳐가니 의심할수밖에
    루브흐 박물관 대부분 약탈한 건데

  • @오-c2m
    @오-c2m 4 года назад

    한국:국뽕
    중국:사실 우리 꺼
    일본 :그치만 우리가 발명

  • @김-c1e9c
    @김-c1e9c 4 года назад

    인사동 쪽에 한지거리있는데 적당한곳 들어가면 용도맞춰서 좋은한지 파세요
    저희엄마도 데리고가서 원하는종이(음식기름흡수용)쇼핑하게했더니 사다가 매우 잘 쓰고있음 기름흡수도 제대로임 종이호일 ㅈ까라 수준임

  • @50billion
    @50billion 4 года назад +1

    변명: 마케팅을 잘해서...

  • @vkdlqnwkrkehlqslek
    @vkdlqnwkrkehlqslek 4 года назад

    이정도면 드워프가 조상

  • @하핳냐-o8n
    @하핳냐-o8n 4 года назад

    아씨 제목 헷갈리게 지을래?????

  • @JUNOegg
    @JUNOegg 4 года назад

    이제 마케팅으로 졌다는 말 하지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