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강 너 위하야 닐오리라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59

  • @nb2jf
    @nb2jf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소중한 영상. 다시들어도 감동입니다.

  • @물보라-b3l
    @물보라-b3l Год назад +1

    👏 👏 👏 젊은이들 이 바로섣을때 나라가 바로서는것.
    강의 감사 합니다

  • @mint727i
    @mint727i 6 лет назад +25

    오래된 강의지만 깊은 감동을 느끼며 강의를 듣습니다. 선생님 얼마전에 티비에서 뵜는데 항상 건강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새벽창
    @새벽창 4 года назад +18

    대학 연구실을 차지하는 교수가 아니고, 국민의 큰 스승님으로 국민의 품격을 높여주셔서
    고맙습니다.☆

  • @tmxosem7535
    @tmxosem7535 10 лет назад +16

    최고의 지성을 듣다. 감사합니다.

  • @srs2466
    @srs2466 Год назад

    건강하세요~

  • @chinttamani
    @chinttamani 4 года назад +4

    싼스크리스트어로 듣는 반야심경 👏👏👏👏👏👏👏👏👏👏👏👏👏👏👏👏👏

  • @이영락-j5j
    @이영락-j5j 4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한경규-g3e
    @한경규-g3e 5 лет назад +3

    불국토 부처님 세상에 삶이 행복하다.

  • @연화-i4e
    @연화-i4e Год назад

    선남선녀는 모든 남,녀를, 그리고 보살의 의미는 부처님의
    말씀을 믿고, 배우고, 실천해서 다른 사람에게 전하는 사람을 보살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 @chinttamani
    @chinttamani 4 года назад +2

    옴 가떼 가떼 빠라 가떼 빠라삼가떼 보디 스바하~~~~~~~~

  • @박형주-m9b
    @박형주-m9b 10 лет назад +17

    실천하는 지성인 멋지십니다

  • @chinttamani
    @chinttamani 4 года назад +6

    빨리어로 듣는 코뿔소의 외뿔경 👏👏👏👏👏👏👏👏👏👏👏👏👏👏👏👏👏👏👏👏👏👏👏👏

  • @미래예언-j3c
    @미래예언-j3c 3 года назад +6

    선생님 강의는 뭐든지 재밌고 배울점 많습니다!

  • @meesun66
    @meesun66 6 лет назад +24

    고대 교수님이 아니시고 전 국민의 선생님이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blaubeer1000
    @blaubeer1000 10 лет назад +6

    감사합니다.

  • @eunjuang
    @eunjuang 11 лет назад +3

    Thanks for these wonderful videos.

  • @chinttamani
    @chinttamani 4 года назад +2

    👏👏👏👏👏👏👏👏👏👏👏👏👏👏👏👏👏👏

  • @하미자-q4e
    @하미자-q4e 2 года назад

    찐찐 멋있다

  • @근거를가지고
    @근거를가지고 2 года назад +1

    좋다..

  • @소설가지안씨
    @소설가지안씨 4 года назад +2

    저기 수능끝난학생분들 이제 40가까이 되셨겠네요 :)

  • @우창호일상
    @우창호일상 9 лет назад +5

    감사합니다

  • @byeoungtaesun9586
    @byeoungtaesun9586 10 лет назад +13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 가떼 부드히 스와하~

  • @toysbunnytom4020
    @toysbunnytom4020 10 лет назад +5

    금강경의핵심적요체는 첫장 흐름에서 찾을수있다.탁발을 나갈때 스승은 수많은제자들과 함께 동네로 탁발행렬을 동참했다는것에 찾을수있다.즉 상대적관계을 설정하지않을려는의도을찾을수있다.

  • @남희정-z9l
    @남희정-z9l 3 года назад

    불교도 모르고 천주교도 잘 모르는데.신들이 이끄는대로 안 살았을뿐인데.무당으로 살았다면 편하게 살았을텐데.일하는걸 좋아하고 회사가 망하고 흥하는 이유를 연구했을 뿐인데.쉬운길 놔두고 내 고집으로 힘들게 살아왔구나.그래서 깨닫다니.별일이네요.

  • @연화-i4e
    @연화-i4e Год назад

    부처님의 말씀인 원본을 각 나라마다 얼마나 잘 번역해서
    일반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느냐가 중요한게 아닌지요?
    부처님 말씀은 우리말로 얘기해도 못알아 듣는 사람들이 많은데 산스크리트어로 말해본들 배운 사람들은 알아 듣겠지만 그뜻을 아는 사람은 얼마나 된다고 굳이 배운티를 내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일반 사람들이 알아듣고 살아가는데 도움이 돼야 대중불교라고 알고 있는데 일부 번듯한
    집 사람들이 믿는거라면 소승불교라고 봐야겠지요.
    선생님께서 공부는 많이 하셨겠지만 불교에 대해서는 제대로 모르는것 같습니다.

  • @강승호-g7c
    @강승호-g7c 9 лет назад +17

    해박하고 수준높은 강의 감사드리며.. 강의중에 늙은이들만 있는 종교는 발전이 없다는 말에 한표. 젊은 신도들이 없으니 이대로 가면 사라질 종교불교는 심오하고 포용의 종교임에도 불구하고 작금의 염불보다 잿밥에 둔이 먼 승려들을 보면 한숨나온다....지금 승려들 전부 도올선생한테서 무룹 꿇고 금강경 공부 다시해야. . .

    • @정변지1正遍知
      @정변지1正遍知 9 лет назад

      크흐 싸잡아메기 선수시네 모든 승려라니 불교는 아니지만 참 어처구니없는 소리하시네요

  • @법화정화
    @법화정화 2 года назад

    32 상 80 종호 강설 추천드리빈다
    ruclips.net/p/PL9Hp8NrMPXdcS1UQRj52tgMvMFV3qjGuX

  • @StLimb
    @StLimb 8 лет назад +1

    교主 ㅎㅎㅎ 박수

  • @현지용-j7y
    @현지용-j7y 5 лет назад +1

    我像을 만든다 XXXXX 종교는 자유로와야 한다

  • @toysbunnytom4020
    @toysbunnytom4020 10 лет назад +2

    베리긋

  • @buenobeo860
    @buenobeo860 7 лет назад +5

    산스크리트어나 고대 중국어나 다 외국어인데 이제 불경은 중국어는 빼고 원판을 찾아가야하지 않을까요?

    • @kkyfilm2021
      @kkyfilm2021 6 лет назад +1

      중국을 빼고 갈수없죠, 불교와 가장 직접적으로 접촉한 나라고, 중국을 통해 동 아시아로 들어와서 발전 됐으니까. 그리고 한국은 중국, 일본처럼 고대 문헌 연구를 할 인재나 인프라 능력이 안됩니다. 선진국들이 괜히 선진국이 아니죠.

    • @DymaxionKim
      @DymaxionKim 6 лет назад +1

      위키 같은데서 찾아보니깐, 금강경의 경우에는 원본 산스크리트어본은 현재 실전된 상태고, 가장 오래된 판본은 8~9세기 티벳어 번역본과 바미얀 간다라어 번역본이 있고, 한문 번역본 중 최고본은 현존 최고본인 한국 해인사 팔만대장경본(구마라습 번역 버전, 4세기)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산스크리트어판 금강경은 거꾸로 티벳어 번역본은 산스크리트어로 재번역한 판본이라고 하네요. 그런식으로 따지고 보면, 구마라습 한역본 금강경이 가장 이른 시기의 원판을 한어로 번역한 거니깐, 문헌학적으로는 오히려 가장 원본에 가깝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장원-d8e
      @장원-d8e 6 лет назад

      왜 중국인도 현재 쓰지 않는 고전 한문 게다가 아무런 의미도 없는 음사어까지 배워가며 중국을 통해 가야 합니까? 그 발상자체가 중국 사대주의 아닌가요?
      팔리어3장을 직접 영어나 불어로 완역하여 초기불교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는 영국 옥스퍼드 대학이나 프랑스 파리 대학은 중국을 통해 불교를 배웠나요?
      우리도 얼마든지 영어나 불어로 팔리어 3장을 읽을 수 있고 또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산스크리트어를 배워 원문을 읽는 것이 훨씬 쉽고 가치있는 일이라 생각됩니다.
      중국을 통하지 않으면 불교를 못배운다?
      너무 시대착오적이고 사대주의적 발상입니다

    • @연화-i4e
      @연화-i4e Год назад

      산스크리트어 이던 중국어 이던 부천님 말씀을 올바로 전한쪽을 선택하면 될것이고 서민들이 알아듣기 쉬운쪽으로 해야지 그 어려운 산스크리트어를 일반인이 어떻게 알아 듣는다고, 그렇게 배운걸 자랑하고 싶을까.

  • @StLimb
    @StLimb 8 лет назад

    마음을 없앨 쑤가 인네유 ㅠㅠㅠ
    수행이 익으믄
    망상이 사라지네유....메롱

  • @장원-d8e
    @장원-d8e 6 лет назад +3

    불교를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우선 영어로 Pali어 3장을 읽고 영어 프랑스어 계통의 산스크리트어를 깊히 배워 직접 산스크리트어로 대승경전을 읽는 것아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이해가 안되는 것은 왜 우리가 중국인도 아닌데(설령 중국인이라도 간자체를 씀) 한문 경전들의 번역을 그토록 들어야 하는지 이해가 안 가는군요!
    그럼 산스크리트어- 중국어 - 한글 번역으로 그만큼 원뜻에서 멀어잔다고 생각합니다. 영어 불어등 2개 3개 외국어는 하는 입장에서 같은 인도유럽어족군인 산스크리트어를 1년간이라도 깊히 배워 직접 산스크리트어로 경전을 한글로 읽는 것아 훨씬 원뜻을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늘 현대 중국인도 쓰지 않는 고전 한문을 현학적으로 잃히고 가르쳐 불교를 더 난해하고 현학적으로 만드시는 도울 선생님의 의도가 이해가 안 갑니다.
    그리고 학자적 중립성과 언어의 순화가 참 아쉽습니다.
    얼마전 플라톤아카데미 강의에서 평생 우파드샤드를 연구한 서울대교수 강의와 도스토예프스키를 강의한 한 고려대 교수 강의가 비교대 한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강의마다 기독교를 불교에비해 폄하하며 심지어 03 아함경 발견에는 "개같은 아가페 사랑"과 같은 욕설로 기독교를 욕설을 하셨는데 위 플라톤아카데미 교수님들의 평생 인도 우파니샤드와 도스토예프스키를 연구한 교수님들의 겸손하면서 깊히있고 학자적 중립성을 끝까지 유지하려한 모습과 너무대비되는 군요..
    진정한 부처님을 깨달으셨다면 타종교를 그렇게 욕설을 하며 혐오섞인 비난과 무시는 하지 않을 것입니다. 적어도 제가 아는 법륜스님은 그런 모습을 볼 수 없었습니다.
    지식인 이전에 상대방을 존중하고 깊히 배려하는 기본 인격을 갖추는 것이 낫다라는 것을 더 확인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박희욱-h5p
    @박희욱-h5p 8 лет назад

    지식의 용옥이는 아이다.그래서 젊은이와 동류의식을 가진다.지혜는 늙어가면서 오는 것이다.

    • @김윤득-z2w
      @김윤득-z2w 5 лет назад +1

      선생님ᆢ
      강의를 들을수있어
      행복합니다ᆢ

  • @박창진-j1p
    @박창진-j1p 6 лет назад +1

    홈쇼핑여서선전하는스위치블레이드라는제모기절대로구입하지마세요고장나고as안되는저질중국산조잡빼기입니다사기꾼들입니다조심하세요

  • @xqweipo
    @xqweipo 9 лет назад

    the

  • @StLimb
    @StLimb 8 лет назад

    현재 싼스크릿은 변질된 것...이라던디...

  • @파천황파천황
    @파천황파천황 8 лет назад

    이자랑 박사님(이름자에 사내랑이!) 같은 분이 동경대에서 공부해야 했다는 구조가 참...도올 선생 때야 중국과 문호를 트지 않았으니 그렇다 쳐도...
    동경대 박사학위를 인정한다지만 일본 특유의 협량시각이 들어 있지 않을까... 지도교수 성향 나름이지만, 아쉽네요. 아깝다는...(이 박사님에 죄송^^)

    • @웨이웨이-i6z
      @웨이웨이-i6z 6 лет назад

      파천황 파천황 인도철학으로 유학을 간단하면 선택지가 다양하지는 않을겁니다. 저는 동양미술사 로 유학했지만요

    • @처락외베어
      @처락외베어 3 года назад

      일본의 초기불교 연구는 가히 일인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만큼 세계적입니다. 그렇게 안타까워할만한 유학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