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야기 ep.10 [대한민국 사교육비 ROE 분석/ 주식시장과 사교육시장]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5

  • @ehdgk4.13
    @ehdgk4.1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일단 입시부터 단순,공정화 돼야할 듯ㅠ 정시가 가장 바람직한 건 아니지만 그래도 인강이 엄청 잘돼있기 때문에 가장 저비용인데다가 투명성, 공정성 만큼은 최고임. 정시 50~60%하고 나머진 수시 하고 특히 학종은 진짜 손을 좀 봐야된다고 봄. 내신학원,컨설팅학원 이런 것들로 고교3년 내내 쓰는 게 메가스터디 1년 프리패스 60만원보다 훨~~씬 비쌈ㅜ

    • @hoonenough
      @hoonenoug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메가스터디 1년 프리패스가 60만원 밖에 안하군요~ 이걸하지 왜 굳이 몇백만원씩 주면서 학원을 갈까요?? ^^;;;

  • @bye6256
    @bye625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최근 학생과 학부모들을 만나 상담을 하면서 사교육비를 들이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더라구요.
    학교에 계신 분들은 열정 넘치는 분들 한정하여 왜 사교육을 시키는지 이해가 안된다고 하시지만, (저도 솔직히 사교육 쓸데없는 건 안시켜도 된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사교육을 시켜야 할만한 요인들이 아직도 존재합니다.
    대한민국의 민간 사교육비를 전체적으로 놓고 비교해보면 절대 비싼 편이 아닙니다.
    학부모들이 지나치게 쓸데없는 교육들을 많이 시키기 때문에 효율도 없는 사교육이 남발하는 것이죠.
    제 개인적으로 사교육비가 부담이라고 할 정도 수준은 연간 약 3천만원 정도라고 봅니다.
    국가에서 학생 1명당 들어가는 교육비를 보면 1년에 연간 교육비가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약 3천 만원이 들어갑니다.
    이 예산의 상당 부분은 교원 인력의 인건비로 소비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짬만 채운 세금 루팡 교원들만 잘 정리하고 젊은 인력으로 채우면 이 문제도 어느 정도는 해결될지도 모릅니다.
    초등 사교육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보육, 즉, 아이들을 맡기기 위함이 큽니다.
    요즘은 맞벌이 부모님들이 많아서, 아이들을 이왕이면 교육적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학원에 맡기는 것이죠.
    사실 20년 가까이 학원비가 요즘 식자재 값 오르는 정도로 상승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교육 기관에서 늘봄, 돌봄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전국 단위로 운영하지 않는 한 이런 성격의 사교육은 절대 없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두 번째 요인은 대한민국에서 공교육기관이 교육기관이 아니라 평가/선발을 위한 기관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알기로 교내 내신 성적을 상대평가 제도로 만들어둔 나라는 선진국들 중 대한민국이 유일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공교육기관이 학생의 교육적 성장을 목표로 했다면 학교의 모든 시스템이 '형성평가'에 맞춰져 있어야 합니다.
    상대평가는 학생을 평가하는 기관과 교사들이 편리한 제도이지, 학생들의 교육적 학습 역량 향상과는 맞지 않다고 봅니다.
    초등학교조차도 학습 진도를 따라가지 못해 낙오되는 아이들의 학습 결손에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나마 민간에서 사교육이라도 싼 가격에 이용할 수 있으니 다른 나라들에 비해서 학습역량이 지나치게 뒤쳐지지 않고 유지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형성평가보다 상대적으로 편한 상대평가 제도 하에서도 학교별, 지역별 난이도가 상이하여, 학습을 성실한 태도로 하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학습 역량 수준 파악에 오히려 방해가 됩니다.
    자신의 학습 역량에 대한 메타인지가 시스템과 환경에 의해서 방해가 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운영할 거면 차라리 내신 시험도 전국 단위로 출제하든지, IB를 할 거면 국제 기관 가이드에 맞춘 형성 평가가 가능한 교사들을 계약제나 인센티브제로 채용해서 월급 루팡들이 남아있을 여지 자체를 없애는 것이 아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출산으로 안그래도 아이들이 많이 줄어드는데, 있는 아이들이라도 제대로 교육하려면 가장 먼저 쓸데없는 인력 감축이 필요할 듯 합니다.
    선생님 영상들 재밋어서 구독 누르고 이것저것 보다가 장문의 댓글을 남기네요.
    유튜브 잘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hoonenough
      @hoonenoug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교육계에 종사하시거나 교육계에 관심이 많으신 분이신 것 같네요! 학생 1인당 교육비가 연간 3천만원이나 든다니, 이렇게나 많은 비용이면 좀 문제가 되겠네요. 이부분은 좀 더 공부해보겠습니다. 정리해주신 댓글 내용이 제가 참고할 부분이 많아 저장해두었다가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road_star_go
    @road_star_g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먹고 잔 계산까지 넣어야지요. ㅋㅋ 아마 대충 3억 5천 정도겠지만요. 3억 5천에 대한 정기예금 6개월 최고 이자가 4.0% 더군요. 그럼 연 8%. 단리로 치면 이자 수익이 연 2천8백정도 이자네요. Roe가 보통 10이상이어야 하니 조금 못 미치는 거네요. 직장 다녀서 10년 이상 그대로 다 모아야 원금 회수가 되네요. 생활비 나갈 테니까 20년? 정도 해야 헐 듯..그럼 나이가 여자는 45세 남자는 48세에 회수되네요. 그러나 다시 자식이게 퍼 부으니 걸혼하자마자 빚..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