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에도 보이지 않는 미스터리한 섬이 태평양을 떠다니고 있는 이유(쌓여있는 수천 마리 새들..?) | 과학을 보다 EP.105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Комментарии • 205

  • @Jinoo_tv
    @Jinoo_tv 3 часа назад +24

    김응빈교수님 눈높이 낮춰서 친근하게 말씀해주시는 모습 정말 감사합니다. 존경합니다

  • @스틸어웨이
    @스틸어웨이 4 часа назад +130

    김범준 교수님 존경스러운게 나이드시고 사회적 지위가 충분히 높으신데도 모르면 모른다고 바로 말씀하시고 새로운 거 배울 때 좋아하시는 거 / 자존감은 높으시고 자존심은 굽힐 수 있는 좋은 교수님

    • @moneyis-thebest
      @moneyis-thebest 3 часа назад +15

      천생 학자
      몰랐던 새로운 사실 알게되면 좋아하심 ㅋㅋㅋㅋㅋ

    • @메이플스토리월드
      @메이플스토리월드 3 часа назад +14

      사람이 유쾌하고
      진짜 천재다운 면모같음 ㅋㅋ
      내가 모르는게있다니..힝 ㅠ
      이게아니라
      오오 나도 모르는게있어!!ㅋㅋ
      천재라서 반가울수있는

    • @user-gg7pk3hs6s
      @user-gg7pk3hs6s 3 часа назад +5

      멋진 어른

    • @chipmunk5852
      @chipmunk5852 3 часа назад +2

      틀린 정보는 정정하고 바로 잡아주는 단호함도 있으심

    • @먹고싶다치킨-b1g
      @먹고싶다치킨-b1g Час назад

      @@moneyis-thebest맞아요. 찐 학자 마인드.

  • @쎄마네임-p5u
    @쎄마네임-p5u Час назад +12

    김응빈 교수님이 답변 못하는 질문들이 있는 게 물리학은 평소에 생각해보지 않았던 질문도 사고실험으로 추론해서 답을 해줄 수 있는데 생물학은 그렇게 할 수가 없다보니 그런 것 이해하고 있습니다ㅎㅎ 신경쓰지 마시고 고정댓글 자주 달아주세요ㅋㅋ

  • @jeonbuda
    @jeonbuda 4 часа назад +18

    주말 최고의 선택

  • @wagon00
    @wagon00 5 дней назад +13

    32:37 김백민 교수님의 리액션이 마치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통합되는 순간이 아닐까 싶네요

  • @Fgeefg
    @Fgeefg 40 минут назад +1

    8:06 취향저격해서 빵터진 아조씨교수님들과 와중에 논리적으로 잘못된건 또 진지하게 정정해주시는 찐물리학자 김범분교수님 ㅋㅋㅋㅋ 환상의케미 ㅋㅋㅋㅋㅋㅋㅋ 왜케웃기냐

  • @ming9738
    @ming9738 7 дней назад +177

    곧 김응빈교수님의 추가설명 댓글이 달릴 예정입니다.

    • @seyjang4548
      @seyjang4548 6 дней назад +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읭-k9w
      @읭-k9w 4 часа назад +14

      응생물학 아조시 너무 유쾌하고 좋아요

  • @주콩-b6w
    @주콩-b6w День назад +17

    늘 재밌데 시청합니다 최고❤

  • @Dhdj-x3z
    @Dhdj-x3z 4 часа назад +8

    오늘도 재밌게 봅니다.

  • @wooreung
    @wooreung 6 дней назад +9

    너무 재미있었어요 ^^

  • @Mars_Starship
    @Mars_Starship 6 дней назад +11

    최고의 밥반찬과 최고의 과학채널

  • @cdj601
    @cdj601 4 часа назад +4

    오늘도 감사합니다!

  • @blessed_on_w
    @blessed_on_w 32 минуты назад

    100퍼센트 이해는 못하지만 그래도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는 재미도 꽤 크네요ㅎㅎ 학자분들끼리 티키타카 하시는 것도 너무 좋고. 과학을 보다 항상 화이팅입니다❤

  • @itzkitty2013
    @itzkitty2013 2 часа назад +1

    피가되고 살이되는 과학을 보다입니다. 오늘은 더 두번 세번 다시보고 싶은 주제였네요. Rethinking, 나 하나라도 플라스틱 줄여보자 다짐해봅니다. 감사합니다 😊

  • @pinkbear1011
    @pinkbear1011 6 дней назад +5

    오~ 엠티 영상 좋아라 합니다
    교수님들의 뒤풀이 얘기도 재미있고
    이정모관장님이나 다른 과학자분들
    담엔 몇분도 좀더 가도 잼있을듯

  • @가을꽃게0
    @가을꽃게0 5 дней назад +3

    다음영상 너무 기대됩니다

    • @sjp2850
      @sjp2850 4 дня назад

      늘~ 다음 영상이 너무 기대돼요~

  • @hanchulihh
    @hanchulihh Час назад

    과학을 보다 때문에 토요일도 수업 듣는 느낌 나고 좋다

  • @starpix1004
    @starpix1004 4 часа назад +5

    김백민 교수님은 자꾸 형사님이 과학이야기 해주는것 처럼 느껴지네 ㅋㅋㅋ

  • @토리아리-r9g
    @토리아리-r9g 4 дня назад +2

    넘 잼나요!

  • @sjp2850
    @sjp2850 4 дня назад +1

    젭알~ 재밌는 과학 얘기 더더더! 많이 해주세요!
    사랑해요~ 보다~❤

  • @rodr275
    @rodr275 4 дня назад +8

    17:21 chill한 화학거부😊

  • @sjp2850
    @sjp2850 4 дня назад +1

    미리 볼 수 있음에 감사~^

  • @zoo2_dev
    @zoo2_dev 3 часа назад +15

    음식물 미생물 분해 처리기 같이
    플라스틱 미생물 분해 처리기를 각 가정에 설치할 수 있게 만들어주세요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3 часа назад +5

      자네 대학원와서 그거 연구할 생각 없는가?ㅋㅋㅋ

    • @seojd71
      @seojd71 Час назад

      오호라 좋은 생각 같아요
      완전히 분해가 아니더라도
      분해 속도를 앞당기더라도.
      기술적으로 가능하지 싶은데요

    • @deltax9471
      @deltax9471 53 минуты назад

      구러다가 전지구에 퍼져서 모든 플라스틱 제품 수명 한달이 될수도

  • @Ryubani
    @Ryubani 7 дней назад +1

    과학을보다 3권 예약신청 했습니다 ㅋ🎉

  • @botongmanx
    @botongmanx 4 часа назад +8

    해양 오염 문제는 우리가 일일이 다 감시를 할 수 가 없는 바다 위에서 생활, 생존 하시는 수많은 어부분들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긴한데 워낙에 민감한 문제라..... 어부분들이 스스로 알아서 잘 처리해 주기를 바랄 수 밖에 없겠네요

  • @냥이사랑-f8r
    @냥이사랑-f8r Час назад

    바다로 가게 하는거보다는 소각하는게 더 좋을거 같은데요 물론 굴뚝에 정화장치를 잘해야겠지만요
    처음부터 분리수거를 강제하다보니 오히려 바다로 가는거 같은데 일단 쓰레기로 모아서라서 소각하는게 더 바다나 지구에 도움이 될듯 한데요
    기술은 계속 연구하는데 적용이 가능해지는 시점까지는 더 피해가 안생기게 하는게 좋을거 같은데요

  • @dajoy1245
    @dajoy1245 6 дней назад +2

    오 또 엠티간건가요????? 빨리 보고싶어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Fgeefg
    @Fgeefg 45 минут назад +1

    김백민교수님 인상은 카리스마있고 위엄?한느낌인데 말씀하시면 부들부들
    친근감남치는 교수님느낌!!! 자주나와주셨으면 ㅠㅠㅠㅠ 이조합 재밋따

  • @gimgankoomg4168
    @gimgankoomg4168 46 минут назад

    소비줄이기가 제일 이상적이지만 너무 힘들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플라스틱이나 여러 소비제품에 쓰레기 재처리비용을 세금으로 물리는 방법으로 가야 할 듯. 이것을 서민들 부담은 줄이면서 사회 전반적으로 분담하는 방향으로 하고 한꺼번에는 못하고 조금씩 장기적으로 그렇게 가야 맞는 듯. 그리고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라 생각함. 예를들어 차를 이용해도 대중교통 경차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리라 봄. 차가 아니더라도 쓸데없는 낭비를 줄이는 방법을 고민해야 인류가 오래 살아남을 것이라 생각함. 그리고 전기차나 신재생 에너지도 어떻게든 자원과 에너지를 소모하고 막대한 쓰레기와 함께 공해물질을 내품을 수 밖에 없음. 이런 건 절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님.

  • @user-bluering
    @user-bluering 4 часа назад +1

    16:42 나무도 처음 등장 했을 때에는 분해하는 미생물이 없어서
    죽은 나무를 분해하지 못하니까 계속 쌓이고 쌓였으니

  • @킴-q7r
    @킴-q7r 3 часа назад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AI랑 로봇도 다뤄주세요

  • @vnfma7
    @vnfma7 3 минуты назад

    방사능 물질같은 비교적 질량은 적은데 지역사회에 굉장히 위험한 물질들은 우주로 보내는 방법이 최고이긴한데, 재사용로켓의 발사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적어지고있어서 국가차원에서 충분히 해볼만한 아이디어라고 생각. 다만 로켓이 아무리 안전하게 우주로 보내지고 있더라도 1천번중 한번이라도 실패했을경우의 문제가 있기때문에 도저히 시도하기 어렵다는것이 문제 ㅠㅠ

  • @brc1794
    @brc1794 4 часа назад +2

    옥신으로 인해 휘어지는 걸 들으니까 식충식물이 생각나네요. 식충식물 중 벌레에 반응해서 움직이는 종은 어떤 원리로 검지하고 어떤 원리로 움직일 수 있는건가요?

    • @brc1794
      @brc1794 Час назад

      식충식물은 옥신으로 세포분열이 많이 일어나서 휘는 것 보다 훨씬 빠르게 움직여서 생각해봣습니다.

  • @김수빈-t2r5o
    @김수빈-t2r5o 42 минуты назад

    달걀의 쌍란은 자연 상태에서 부화 되나요?부화된다면 병아리가 두마리 부화되는지 궁금하네요.😊

  • @booke5692
    @booke5692 50 минут назад +1

    아기새에게 플라스틱 먹인다는 게 너무 가슴 아프네요ㅜ

  • @그림작가-m4y
    @그림작가-m4y Час назад

    이정모 관장님 중간중간 훅훅 들어오실때 너무 웃겨요. 감초 같은 역할.

  • @tubeyou1490
    @tubeyou1490 Час назад

    지금 가능한 이야기는 아니겠지만, 먼 미래에는 자연계가 플라스틱에 적응해버려서, 플라스틱이 썩는 시대도 언젠간 오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에너지적으로 탈 수 있는거면 이용할 수 있는거고 플라스틱은 잘 타는거니까요.
    나무에 미생물이 적응하기까지 엄청난 시간(석탄기)이 걸렸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자연스럽게 그런 미생물이 출현하기 전에 인간이 그게 가능한 효소를 가진 미생물을 만들거 같기도 하네요.

  • @sarahpark-r2t
    @sarahpark-r2t Час назад

    매번 집안일 하며 배출해내는 플라스틱 양이 너무 많아서 정말 골치가 아파요... 이걸 어떻게 안쓰고 싶은데 방법은 없고.... 일회용품은 진짜 방법이 없는건지. 근데 동남아 여행가고 바로 포기요. 정말 그냥 대수롭지 않게 길에 버리고 태우는걸 보며 이젠 인간은 노답이다 싶어요. 우리만 멸종하면 될거 같아요. 그러면 또 지구는 정화해서 새로운 종을 만들어 낼거에요😊

  • @예비주펄
    @예비주펄 3 часа назад +1

    눈 결정을 보면 모양이 각기 다르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그럼 지금까지 내린 눈 결정의 모양과 앞으로도 내릴 눈 결정의 모양이 절대로 겹칠일이 없는건가요? 궁금합니다..!

  • @danh2709
    @danh2709 3 часа назад

    플라스틱은 이미 퍼질 대로 퍼진 상태라 어떻게 할 수가 없음... 그렇다고 당장 끊을 수도 없고...이대로 계속 살아야 하고 최대한 피해 없도록 노력하는 방법뿐이 없는 듯 하네요..

  • @에이치-k2i
    @에이치-k2i Час назад

    8:25 해뜨면 봉우리 열리고 저녁에 봉우리 닫기는 꽃이있던데.. 이름이 기억안나네요

  • @nsw6341
    @nsw6341 2 часа назад

    역시나 핵폐기물을 비롯해서 각종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태양으로 보내는 방법 뿐이라고 봅니다.
    로켓 엔진의 신뢰성 문제가 남아 있어 논의가 더 진전하지 못하긴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료를 연소시켜 추진력을 얻는 로켓 엔진 방식이 아닌 실패 위험이 극히 적고 실패 하더라도 방사능 오염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면 괜찮지 않을까 싶네요.
    예를 들어 전자기력을 이용한 코일건이나 매스 드라이버와 같은 발사 방식을 생각해볼 수 있죠.
    핵폐기물이나 쓰레기만 담은 탄두에다 우주 공간용의 작은 자세 제어용 분사엔진만 장착하고 코일건으로 쏘아 올려서 특정 궤도상에 모아서 한꺼번에 태양으로 보내는 거죠.
    특정 위치에 거대한 그물망 같은 걸 설치하면 자세 제어용 분사엔진조차도 필요 없을 수도 있구요.
    수만년간 방사능을 내뿜는 물질을 땅속에 보관 하기 위해서 엄청난 예산을 들이지만 한순간의 관리 소홀로 사고가 발생할 경우 또한 매우 위험한데 당장 몇 년, 몇 십년간 우리만 괜찮다고 정말로 괜찮은 건가요?

  • @i12u4u
    @i12u4u Час назад +1

    응빈이형 잘생겼다!!

  • @진현-q7c
    @진현-q7c 7 дней назад +1

    오오!

  • @X침
    @X침 42 минуты назад

    궁금한게 지구나 태양계나 우리은하가 이동한다는데 우주선이 우주로 나가면 순식간에 멀어지는거 아닌가요?

  • @MrJeon-st8gu
    @MrJeon-st8gu Час назад

    ㅋㅋ 자원 아닌가요? 처리선 끌고가서 기름 만들면 남는 장사가 될까요? ㅎㅎ

  • @Nobodynobody1212
    @Nobodynobody1212 2 часа назад +1

    10:50 1세대는 나온다는게 무슨 얘기인지 궁금하네요
    매머드랑 코끼리는 염색체수가 다른걸로 알고 있는데, 이종교배를 통해 1세대 매끼리 창조가 가능하다는 이야기 인가용?

    • @overadhd
      @overadhd Час назад

      확실하진 않지만 라이거처럼 생식능력이 없는 1세대만 유지하는 동물을 의미하는거 같습니다

    • @동제이-k5x
      @동제이-k5x Час назад

      응 맞아 2세는 안나오지

  • @hierophant_mk
    @hierophant_mk 3 часа назад

    보다 과학자님들 진짜 존경. 느므 좋아. 모른다 처음 알았다 진짜 학자의 삶

  • @ericyoon6053
    @ericyoon6053 Час назад

    원자력 발전이 친환경으로 분류된건 탄소배출을 줄일려고 모두 차단했더니, 유럽의 에너지를 포함한 전반적인 산업이 몰락하고 중국의 전기차, 태양광 산업만 키워진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죠. 그나마 강점이 있던 자동차까지 몰락해버리니, 그래서 자존심때문에 친환경 포기는 못하고 그나마 경쟁력있는 원전 산업을 친환경으로 돌려놓은 것이죠.

  • @lehmanbrothers.
    @lehmanbrothers. 2 часа назад +1

    2번 보고 좋아요 구독도 2번 누를게요!

    • @79violin
      @79violin 38 минут назад

      구독 2번 누르면까 unsubscribed 로 변해요.

  • @atomfarmer4331
    @atomfarmer4331 Час назад

    씨앗에도 병원성 미생물이 있습니다. 대표적임것이 벼에서 생기는 키다리병입니다.

  • @user-nonamebutexist
    @user-nonamebutexist 4 часа назад

    26:01 Rethinking... 어쩌면 현 인류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일지도

  • @VEGA_253
    @VEGA_253 7 дней назад +1

    오 한시간전이당

  • @콩콩냥-m7z
    @콩콩냥-m7z 3 часа назад

    우주팽창속도가 어떻게 빛 보다 빠를수가 있나요? 물질은 빛 보다 빠를수 없다는데 컨텐츠 부탁 합니다

    • @태백산맥-t9w
      @태백산맥-t9w 3 часа назад

      우주먼지.
      지웅배채널보면
      자세하게설명나와있습니다.

  • @jaebaree
    @jaebaree 3 часа назад

    점점 착석하는 과학자님 숫자가 늘어나네요.
    재미있고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CcCc-eh2tm
    @CcCc-eh2tm 3 часа назад +2

    플라스틱 용기로 배달음식 먹고있을때 최악의 선택.....

  • @이도-j9i
    @이도-j9i 3 часа назад

    12.3 러시아 상공 대기와의 마찰로 타버린 것으로 추측되는 2024 XA1이 별똥별이 아니라 그냥 소행성으로 불리는 이유가 뭔가요?
    대기에 타서 없어졌는지(이 경우 별똥별), 땅에 충돌했는지(이 경우 운석) 불확실해서인가요?

  • @healingdon1965
    @healingdon1965 Час назад

    롤로코스트를 눈을 감고 즐기는 것? 소설을 보는것과 그 소설을 영화로 보는것의 차이 아닐까....

  • @hanamoka4058
    @hanamoka4058 4 дня назад +1

    8:05 ㅋㅋㅋㅌㅌ😂

  • @윤케이-r1o
    @윤케이-r1o 4 часа назад

    김범준 교수님 우주먼지님 롤러코스터 안타보셨나 보다 ㅋㅋㅋ

  • @VVIP-pt8wp
    @VVIP-pt8wp 4 часа назад

    👍 👍 👍

  • @mirrorspring5112
    @mirrorspring5112 Час назад

    제가 저거 때문에 다른 건 몰라도 플라스틱은 정말 철저하게 분리수거합니다...
    이건 거의 기계적으로 강박적으로 습관적으로 하고 있어요

  • @venikukor
    @venikukor 4 часа назад +1

    내게 과학계의 무한도전인 보다~

  • @bigzio1222
    @bigzio1222 Час назад

    꽃이 태양을 향해 핀다는것이 곤충은 태양을 등지고였나 머리위에 있을때 날기때문이라는 가설이 있던데

  • @pvp7600
    @pvp7600 4 часа назад +2

    아직인가요?김응빈교수님?

  • @123carth
    @123carth 4 часа назад +3

    4:02 행성 방위 어쩌고 하는 조직 마크 밑에 있는 라틴어가 더 멋진데요? '힉 세르바레 디엠 = 이 곳에서 하루를 지킨다' 간지 폭발이네?

  • @young7274
    @young7274 3 часа назад

    24:34 핵폐기물은 우주 엘리베이터가 만들 지면 패기가 가능하지 않은 까요?

  • @oneJun-d1e
    @oneJun-d1e 2 часа назад

    23:07 종말 아저씨 ㅋㅋㅋㅋㅋㅋㅋㅋ

  • @공룡알-p9u
    @공룡알-p9u 4 часа назад

    빙하기가 와서 인류가 멸망해도 빙하기가 지나고 인류가 다시 태어나고 살아갈수있게 그림을 그릴수있나요 에일리언은 그게 가능하잖아요 궁금하네욤

  • @Paulwish
    @Paulwish 3 часа назад

    실제로 병리학적 이유가 있긴 한데
    그런 사실을 떠나서 쓰면 안 되는 이유는 뭔가요 ?

  • @김슬우-z9x
    @김슬우-z9x 2 часа назад

    오 쿠키 머임!
    개져아~

  • @DAAMKERR
    @DAAMKERR 7 дней назад +4

    아 밥 잘 먹었습니다

  • @하늘보리-z5c
    @하늘보리-z5c 2 часа назад

    저는 주사맞을때 절대로 못봅니다. 맞을 때 보면 더 아픈것같고 무서워서요. 그러니 놀이기구 탈때 눈 뜨는게 더 재미있지 않을까~ 라는 개인적인 의견 ㅋ

  • @안달마
    @안달마 2 часа назад

    저런 건 현상이고 그런 결과를 야기한 것은 사람들입니다. 모든 생물이 어떤 지는 모르겠지만 사람들도 이쁘고 아름다운 것이 좋다는 것은 알지만 세상은 파괴랑 치유라는 현상으로 작동하고 있어서 사람도 그런 행위를 해야만 생존할 수 있습니다. 이런 여건은 사람에게 부담스러운 모순을 안기고 매일 살려고 섭취하는 음식물에 대한 미안한 감정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건 아름답지도 이쁘지도 않습니다. 그 수 많은 고통의 의미는 부정적이고 추합니다. 그래서 흉하고 추한 행위를 할 수록 사람은 생존에 유리해지고 그래서 저런 섬도 생기고 모든 물에 나쁠 것으로 짐작되는 플라스틱이 섞여 있으며 지구 기온이 오르는 상황까지 만들었습니다. 한인들은 답이 안녕이라고 수 도 없이 일상에서 강조하고 있는 선조들의 우려를 알고 있으면서도 생존의 방식이랑 목표가 같다고 아직도 때를 벗지 않았습니다. 이제는 파괴로 생존하는 우리라도 안녕을 위해서 이쁘고 아름다운 것을 추구해야 하고 그러려면 생존의 행태가 흉하지만 있게되는 목표는 아름다운 것을 추구할 때가 됐습니다. 그래서 사람드은 이제 왜 있는지 합의할 필요가 있고 그게 이쁘고 아름다워야 마땅합니다.

  • @kwanyoung978
    @kwanyoung978 3 часа назад +4

    나무가 처음 지구상에 생겨났을때 리그닌을 분해하지 못해서 엄청난 목재가 지구에 그냥 쌓였고 나중에 석탄이 됐지만 지금은 나무는 다 분해돼는 것 처럼 플라스틱 문제는 결국 자연이 해결해줄 거임 과학의 발전 속도보다 미생물의 진화 속도가 아직은 더 빠르다는거 벌써 플라스틱 분해하는 미생물들이 나오고 있고 미생물간에 유전자 교환도 쉽게 이뤄지기 때문에 언젠가 지구상 대부분의 미생물은 플라스틱을 분해하게 될거임 결국은 시간의 문제인 건데 인간이 조금 도움을 줘서 플라스틱 분해하는 미생물을 널리 퍼트리면 생각보다 빠른 시기에 극복하게 될 듯..

    • @나연-d8e
      @나연-d8e 3 часа назад +1

      글쎄요. 나무는 자연 상태에서 생겨났지만, 플라스틱은 인위적으로 만든 거라서 다를텐데요.

    • @청호-p7q
      @청호-p7q 2 часа назад +1

      몇백만년 몇천만년 기다려야되는데요

    • @h.k-v4r
      @h.k-v4r 2 часа назад +1

      시간이 무한하다면..

    • @kwanyoung978
      @kwanyoung978 2 часа назад

      @ 그래서 인간의 노력이 필요한거죠 쉽게는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을 대량배양해서 널리 접종하는 것 만으로 가속화 할수있고요 좀더 노력한다면 분해 유전자를 유전자 교환이 숴운 플라즈미드 형태로 가공해서 생물학적 우점종에 삽입해서 널리 퍼트리는 거죠. 이익사업이 아니기 때문 국가나 세계수준의 지원이 있다면 더 빨리 실현시킬 수 있을겁니다.

    • @kwanyoung978
      @kwanyoung978 2 часа назад

      @ 그리고 자연 상태에서도 그렇게 까진 오래 안걸릴 겁니다. 플라스틱이 생긴지 100년도 안되서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이 생긴 걸 보면..

  • @헛소리꾼-d4d
    @헛소리꾼-d4d Час назад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건 인도와 중국에서 바다에 버리는 양을 줄여야 한다는 겁니다.

  • @june_joy
    @june_joy 3 часа назад

    gpgp 쓰레기섬의 상당수가 동일본 대지진때 떠내려온 플라스틱...

    • @동제이-k5x
      @동제이-k5x Час назад

      동일본 사고 전부터 있던거다 만물 일본썰이냐?

  • @fierwalt
    @fierwalt 35 минут назад +1

    뭐라고 하려는건 아닌데, 재처리 기술 관련해서 그런거 없다고 단정짓는 관장님 모습을 보니 식량 생산 안 늘어날거니까 인구 줄여야 한다는 멜서스 이론을 보는거 같은 기분도 들고 그러네요. 과학자들 모아놓고 소비를 줄여야 한다 이런 얘기나 하는건 좀 안 맞는거 같기도 합니다. 그 얘기가 틀렸다는게 아니라...

  • @firstund7978
    @firstund7978 3 дня назад +5

    몰매맞아야 하는 사람 리스트
    1. 플라스틱 제품들을 1회용 제품으로서 마케팅했던 인간
    2. 지구온난화를 막는 협약을 1980년 대에 결렬시킨 인간

  • @올바른단
    @올바른단 Час назад

    플라스틱 규제를 가장 배출량이 많은 나라부터 제재해야지 코딱지만한 우리나라의 기업도 아니고 일반시민이 한다고 해양 플라스틱이 줄어들까요? 대기업, 대량 배출 국가 부터 줄이고 마지막에 일반인에게 줄이라고 하는게 옳다고 봅니다

  • @최게바라_지존보
    @최게바라_지존보 2 часа назад

    플라스틱 먹이로 주는건 충격적이네 아

  • @skyclan
    @skyclan Час назад

    ㅎㅎ😅😅

  • @new3light
    @new3light 3 часа назад

    롤러코스터는 눈 뜨는게 더 무서운데 이유는 모르겠어요

  • @헬로이츠미-j8e
    @헬로이츠미-j8e 5 дней назад +1

    엠티올려얼른!!!

  • @홈런볼-g4d
    @홈런볼-g4d 7 дней назад +2

    밥먹으면서 볼게 생겼다

  • @yoojaewoong
    @yoojaewoong 2 часа назад

    미래소년 코난에 나오죠. 인더스트리아라고. 플라스틱으로 빵도 만들고...

  • @jeongjoonsung
    @jeongjoonsung 3 часа назад

    그래도 카프리썬 종이빨대는 못참음 기능이 박살이 나잖아

  • @woody8608
    @woody8608 3 часа назад

    바다 플라스틱 쓰레기의 거의 대부분이 어업쓰레기라는 이야기를 다큐에서 본 거 같은디

  • @kkxx4280
    @kkxx4280 Час назад

    인구줄어드는게 꼭 나쁜건아니네

  • @도깨비-j4v
    @도깨비-j4v 6 дней назад +1

    쵝5!

  • @출근크리
    @출근크리 3 часа назад +1

    바다에 육지의 일반 플라스틱보다
    해양 쓰레기가(그물 통발등) 더 문제라고 합니다 이

  • @닥터푸우-y4b
    @닥터푸우-y4b 3 часа назад

    육상쓰레기 잡을시간에 바다놈들
    어업쓰레기나 잡는게 더 도움됨

  • @DHyo-i2g
    @DHyo-i2g 7 дней назад

    12 등❤

  • @hee-jeankim3582
    @hee-jeankim3582 6 дней назад +2

    Rethinking. 소비를 줄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파파-g4n
    @파파-g4n 7 дней назад

    엠티갓다온거 빨리 좀… 정프로가 너무하네

  • @jinwookshin386
    @jinwookshin386 4 часа назад

    1분 되었는데.

  • @삼프로만본다
    @삼프로만본다 39 минут назад

    스타링크위성이 떨어져서 비행기가 맞는일도생기겠네

  • @호프-d8g
    @호프-d8g 3 часа назад +1

    보다도 이제 슬슬 가는구나 환경충들 들러붙네

  • @nayana._.98
    @nayana._.98 7 дней назад +1

    2등~

  • @baseboy5152
    @baseboy5152 Час назад

    두반장따라하네.ㅋㅋㅋ
    한 번 더 보세요.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