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이 '꼰대' 라는 소리를 많이 듣는이유[해군장교 3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669

  • @assachamsuri
    @assachamsuri 4 года назад +225

    He is kkondae ^^

    • @xilytole333
      @xilytole333 4 года назад +2

      티셔츠 구매처를 공유해주십사~합니다

    • @assachamsuri
      @assachamsuri 4 года назад +11

      진해 사제 마크사에서 구입했습니다ㅎㅎ

    • @kisungkim7408
      @kisungkim7408 4 года назад +3

      형 왜 여기서는
      에에~~~~????
      이거 왜 안해줘요 ㅋㅋㅋㅋㅋㅋ

    • @assachamsuri
      @assachamsuri 4 года назад +13

      에???????ㅋㅋㅋㅋㅋㅋㅋㅋ

    • @kisungkim7408
      @kisungkim7408 4 года назад +3

      @@assachamsuri 헤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tormrara
    @stormrara 4 года назад +386

    왜 전역률이 높아서 소령을 자동으로 달아주느냐하면 , 총각들이 배타고 한두해도 아니고 10년을 뱃놈으로 산다고 생각해봐라.
    장가도 가야하고 애도 키워야 하는데 , 훈련갔다오면 애가 아빠 얼굴을 몰라. 글고 마누라가 밤에 나이트클럽 가는지 술빨고사는지 알수가없음.그러니까 생활 자체가 안됨. 강제 기러기부부행. 님들같으면 이렇게 살고 싶겠음? 특히 잠수함은 답이 없음.

    • @aplaceforpeoplewhoneedtosp1207
      @aplaceforpeoplewhoneedtosp1207 4 года назад +50

      ㅇㄱㄹㅇ 독도함 이혼률 개높다는데

    • @너구리-k5n
      @너구리-k5n 4 года назад +20

      10년 근무해도 10년 내내 배는안타 ㅂㅅㅇ

    • @NeangDongfood
      @NeangDongfood 4 года назад +31

      잠수함 운용요원분들. 함장님부터 수병님들까지 진짜 고생하십니다...

    • @apc7296
      @apc7296 4 года назад +72

      @@너구리-k5n 10년 내내아니여도 진급하려면 많게는 7년 적게는 5년이상타고 육상보직가도 가족이 있는 지역일지도모르는데 살기힘든건 팩트지ㅂㅅㅇ..

    • @BTEF
      @BTEF 4 года назад +81

      해군 부대 근처 나이트 가보셈
      군인 마누라들 많이 볼꺼임

  • @My-Life-Archive
    @My-Life-Archive 4 года назад +21

    해군 장교 출신으로서 공감가네요 ㅎ cpo분들이 먼저 따뜻하게 다가와주니 되려 저도 깍듯하고 친절하게 대하려 노력하였습니다. 하지만 진짜 매너없는 장교분들 많죠.. 저도 근무하다 몇번 겪어보고 아니다 싶어서 뒤도 안돌아보고 나왔습니다.

    • @ncglorious.j-song307
      @ncglorious.j-song307 2 года назад

      이게 맞죠! 저는 해군 병으로써 그리고 함정요원으로써 지켜본결과 장교분들이 부사관들 cpo분들을 존중하시고....

  • @움직이는바람
    @움직이는바람 4 года назад +186

    해군이 위계질서가 철저한 것은 선상반란때문입니다 선장(함장)의 권위가 절대적이지 않으면 바다에서 통제가 안되기 때문입니다

    • @콘부라보
      @콘부라보 4 года назад +8

      이 말 들으니 그렇긴 하네요..

    • @cgy345
      @cgy345 4 года назад +6

      Bas M ... 군대도 사람이 하는거라 사람은 계층화되지 않으면 반역의 가능성은 많을 수 밖에 없어요

    • @컴퓨터-z7t
      @컴퓨터-z7t 4 года назад

      @@준-x8u 맘에 안들면 일단 일으키고 볼듯

    • @조개92-12
      @조개92-12 4 года назад

      Bas M 미필 아니면 땅개아님? 선상반란이라는게 월북으로 왜 이어질 수 없다고 생각함???ㅋㅋ개 멍청하네

    • @움직이는바람
      @움직이는바람 4 года назад +21

      대항해 시대 이후로 모든 나라의 해군에(민간배도 마찬가지) 적용되는 글로벌 스탠다드 입니다
      우리나라 해군만 그런게 아닙니다
      공해에서 배는 그 나라의 영토로 인정합니다
      그래서 위계질서가 철저한 겁니다
      바다 위라는 특수한 상황 때문에 생긴 관습입니다

  • @snubug
    @snubug 4 года назад +18

    5:25 수병 입장에서 써보자면
    함정 업무 특성상 부사관의 전문성을 요하는 부분이 많으므로 실제 함정 근무자 티오가 수병만큼 부사관 티오도 많습니다.
    13년 각종 영내 사고 이후 병영 문화 혁신으로 영내 수병 대우가 많이 나아져서 이때 힘써 주시던 분들이 장교, cpo 분들이라 형과 아버지 같던 분들이고요
    오히려 수병들은 막내 일을 나눠 맡는 하사 들과 기싸움이 많았죠 ...
    정리 하자면
    해사 출신은 그냥 모범 장교
    알티 ocs 는 동네 친한 형
    cpo 는 아버지
    중사는 다크템플러
    하사는 열혈청년
    장교분들께는 서운함 보단 왠지 모를 중 동변상련을 느꼈죠 ...
    중소위 분들 허구한날 털리기 쉽상이라 ..

    • @hjc7894
      @hjc7894 4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 그 시험 통과못해서 집 못가는거 보면 안타까웠어요

    • @damidang
      @damidang 4 года назад +1

      중사는..갠적으로 다크템플러 or scv 일 진짜 열심히하고 잘하는 중사들 있음

    • @김범수-n9b
      @김범수-n9b 4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ㅋ다크템플러

  • @최우석-p6m
    @최우석-p6m 4 года назад +24

    8:40 맞습니다. 저희 부모님이랑 저랑 딱 30살 차이가 나서, 만약 아버지가 군인이셨고 45살에 소령 전역을 하셨다면, 연금이 나오더라도 취직을 하시거나 하셔야 합니다. 결혼을 아예 안했거나, 사관학교 졸업하면서 결혼하고 애낳은게 아니라면 아이는 아직 한참 돈먹을때죠.

  • @halo0105
    @halo0105 4 года назад +87

    상선도 사관 부원으로 나눠서 생활하고 배안에서 거주공간, 식당도 다 다르게 생활하는데 와... 이런부분은 배타는 곳은 똑같구나 ㄷㄷ

    • @배드민턴-o7j
      @배드민턴-o7j 4 года назад +15

      이래서 뱃놈뱃놈 하나봅니다.. ㅋㅋ

    • @kimpol4911
      @kimpol4911 4 года назад +13

      원래 상선 사관문화가 건군기 때 해군에 들어온 걸로 알고있어요!

    • @blackcow_two_plus
      @blackcow_two_plus 4 года назад +5

      @@kimpol4911 그것도 있고 아무래도 해군의 현재 문화는 대항해시대때 영국해군이나 영국상선에서 내려온 전통이 많기도해서 그런듯

    • @끼윩끾꺆쓕뀱껼뺚쮹
      @끼윩끾꺆쓕뀱껼뺚쮹 3 года назад +2

      도망칠곳도 없는 망망대해에서 반란이 일어나면 정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선이고 해군이고 할거 없이 그런거 같아요. 유명한 페스카마호 사건도 있잖아요.

  • @도마왕-m4g
    @도마왕-m4g 4 года назад +32

    다른세계 사람같다ㄷㄷ 어렸을때부터 지금까지 인생사 영상으로 찍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ㅜㅜ 구독박고 기다릴께요

  • @koonghooni7773
    @koonghooni7773 4 года назад +42

    함정보직일때랑 육상보직일때랑 호칭과 생활이 많이 달랐던 것 같네요. 함정보직일때는 장교가 부사관 호칭에 님 붙이는것도 안되고(선배들이 그렇게 교육을 시키죠 주임원사한테도 얄짤 없습니다. 그리고 그것도 다 이해하는 분위기구요), 화장실 가는것도 식사도 생활도 구분된 공간에서 하지만, 육상보직에서는 님자도 붙여도 뭐라하는 사람 없고 생활하고 근무하는 공간도 같이 있었습니다.

    • @snubug
      @snubug 4 года назад +5

      함정이 진짜 위험해서 그렇다고 생각해요
      매번 터지는 일들이 곧바로 실제 상황이다 보니 저는 어느 정도의 위계질서와 똥군기는 필요하다고 생각 했습니다.

    • @dolllllloooo
      @dolllllloooo 3 года назад +3

      군대에서 ~님이라는 호칭은 상급자 윗사람에게 쓰는 말이라 아무리 소위라도 원사에게 ~님이라는 호칭을 쓰진 않아요. 일하면서 인품자체가 좋고 자시고는 개인 문제지만 아무리 좋은 사람도 기본적으로 장교와 부사관 구분은 철저합니다. 아무리 친해도 장교는 장교끼리 가깝지 부사관과는 거리가 있어서 존중해주면 좋은 거지만 아니라도 심적으로 불만을 가질 것이지, 부딪치면 바위치깁니다....

    • @ekse4852
      @ekse4852 2 года назад +1

      @@snubug 위계질서 군기는 있어야하지만 똥군기 잡는다고 말 잘듣는거 아님 오히려 반항심만 키워지지 사람 심리가

  • @kim2671
    @kim2671 4 года назад +23

    두분 다 너무 멋진거 아닙니까?

  • @까꿍튜브-t8b
    @까꿍튜브-t8b 4 года назад +33

    90년대 부사관으로 7년간 복무했던 사람입니다. 폐선된 PCC 경주함만 4년 근무했었습니다. 제가 느낀것은 해군장교들은 부사관과의 관계에 있어서
    명확하게 선을 긋습니다. 너는 부하고
    나는 상관이야 혹은 경례는 사람을 보고 하는게 아니고 계급에다가 하는거야 처럼
    장교부심 정말 많이 봤네요. 하대 하는것도 실제로 많이 봤구요. 제가
    개인적으로 친하게 지냈던 포술장(대위)이 있었는데 술한잔 하자고
    하길래 제 밑에 애들 데리고 소주한잔
    마셨습니다. 그런데 술 먹으면서 하는 얘기가 장교들한테 복종해라. 상명하복해라 라는 말이 대부분 이어서
    그 다음부터는 제가 멀리 했었어요
    당시는 90년대라 맞고, 때리고, 욕설하고
    폭언은 비일비재 했었습니다 물론 장교들에게 맞아 본적은 없지만 요즘말로
    그들만의 선을 그어놓고 그 선을 못 넘게 얘기하고 자신들이 우월한 존재임을 항상
    강조 했었습니다 또 장교들은 식판이 아니라 접시에다가 밥을 먹었었는데
    영상에서 처럼 철저하게 행동과 방식이 구분 되어 있었습니다 전입해서 첫 인사자리에서 신임소위가 반말로 자기가 누구라고 말하는일도 있었습니다(물론 자기윗 사람들은 없었을때였죠)
    제가 말한것들 다 사실이고 과장 아닙니다
    그래서 저는 생각하기에 육군은 간부와 병사가 있다면 해군은 장교와 사병이 있는것 같습니다. 부사관 주제에 어디감히
    ~~~라는것이 제 7년 군생활의 장교에
    대한 느낌 입니다.

    • @JAYJAYHOi
      @JAYJAYHOi 4 года назад +1

      저도 2009년 경주함탔습니다!! 보수병으로요

    • @까꿍튜브-t8b
      @까꿍튜브-t8b 4 года назад +2

      @@JAYJAYHOi 반갑습니다~저는 96년에 한번
      99년에 한번 근무 했네요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4 года назад +2

      근데 부사관도 병들 괴롭히는사람 많잖아...

    • @작은악어-d1f
      @작은악어-d1f 4 года назад

      파고 높고 피항가면 사관식당 접시박살나는 소리가 자주 났던거같음

    • @작은악어-d1f
      @작은악어-d1f 4 года назад

      @Игорь Ян 진심 제대하면 집쫒아가서 죽여버릴라고 했는데 그때되니 흐려지더라구요.참..

  • @seal6215
    @seal6215 4 года назад +36

    기관부사관으로 전역한사람입니다 부사관이 장교에비해 장기복무가 쉽고 또 힘든직별일수록 더잘됩니다
    내연/내기 지금은 추진으로 바뀌었다고 들었습니다만 하지만 어떻게 말로 표현하고싶지만 다적을수없을꺼같아 몇가지만 적겠습니다
    제동기중에 한명은 초급부사관일떄 견디지못하고 스스로 안좋은선택을했습니다
    제가 전역한 이유중에 가장큰 이유는 과중한 업무가 주어지는것 그리고 장교및 상급자 떄문에 스트레스가 가장 컸습니다
    부사관으로 항해시 인원중 절반이상이 간부이기떄문에 초급부사관은 거의 쓰레기 취급 받습니다.
    24시간중 8시간 근무 8시간 일과 하면 쉴꺼같지만 자는시간말고는 전부일합니다 청소부터 잡무까지
    오히려 수병은 의무이기떄문에 터치를 안하는 감이 더있습니다.
    자는 시간마저 꺠워서 유류관리를 했으며 20대초반에 과중한업무로 몸이 건강한편인데도 불구하고
    업무중 정신을 잃었던적이있습니다.(기관실에서 수리중에) 블랙아웃을 살면서 처음경험해봤습니다
    그떄 기관장을 맡던 소령의 말이 아직도 생각납니다
    사람이 기절을했는데 "어제 잠안자고 다른거해서 오늘쓰러진거 아니냐 " 라는 말에 이집단에서 오래 있으면
    내가죽겠다 싶어 전역했습니다. 특히 초급 부사관은 나눠서 해야될일 또한 짬처리 하기떄문에 정말 생각많이 해보시고
    지원하세요 오래된 배일수록 장비 정비는 힘들고 한달동안 매일 밤12시까지 수리일에 매달린적도있습니다.
    군대라는건 원래 사람사이에 스트레스가 심하지만 1~2주 심할떄는 3주를 같이 협소한공간에서 같이있어야됩니다 .
    잘적응하는 사람은 있지만 거의 없으며 케이스마다 다 다르겠지만 신중하게 생각하세요 당신의 인생중 5년은 짧은시간이아닙니다
    두서없이 적었지만 OCS분 말씀만 듣고 해군부사관을 하시려는분들께 남깁니다

    • @뿔버섯-r8t
      @뿔버섯-r8t 4 года назад

      나도 작년에 추기로5 년하고 전역햇는데
      초임때는 너무 힘들었다ㅋㅋㅋ
      남들 다 쉬는 화이트 직별보고 얼마나 부러웟던지
      우리 추기는 평상시도 바쁘고 수리때도 바쁘고 ㅅㅂ

    • @루이-s5d
      @루이-s5d 4 года назад

      조타출신입니다. 공부는 많이하지만 항해가 좋긴하네요..

    • @alcadis1010
      @alcadis1010 4 года назад

      전탐사 4년 복무했습니다 내연 내기는 저도 인정합니다
      참고로 전탐은 몸은 편하지만 정신적으로 너무 힘듭니다....

    • @seal6215
      @seal6215 4 года назад

      @@루이-s5d 기관쪽도 공부많이 해야되요 ㅠ.ㅠ 생각보다 많이 어렵습니다

    • @루이-s5d
      @루이-s5d 4 года назад +1

      @@seal6215 음 그렇죠 공부도 많이 하시겠죵~~참수리탈때 내연사 온몸에 기름떡칠... 넘 힘들어보이더라구요..
      저는 2함대에서 근무했는데 꽃게철만되면(일년중 6개월) 하루에 밥먹는시간 한끼당 10분, 배운전만 14시간...옆에 항상정장이나 편대장있고 승조원들 안전을 책임진다는 부담감에 계속 긴장하면서 운항하고.. 장교가 항해관련 모르는거 물어보면 대답해줘야하고... 또 조타는 나밖에 없으니까 공부도 틈틈이 해줘야하고.. 일주일에 한번씩 해도수정하고 입항하면 매일매일 일지써야하고... 저도 여러가지로 힘들어 죽는줄알았습니다... 근데 생각해보면 참 재밌는 일도 많았어요
      저는 전역하고 개인사업하는데 코로나때문에 요즘 많이 힘들어요.. 군생활하던때가 그립네요.. 수호님 고생많이하셨습니다.

  • @김반석-p5n
    @김반석-p5n 4 года назад +176

    장교로 가려면 해군, 부사관으로 가려면 육군, 병으로 가려면 공군, 하지만 면제가 쵝오!!

    • @대격변이퍽내가바로
      @대격변이퍽내가바로 4 года назад +60

      단기는 공군이 최고죠
      장교든 병사든 공군이 최고입니다
      (조종사는 닥치고 장기라 제외했습니다)

    • @Whqusoejsbshdoe
      @Whqusoejsbshdoe 4 года назад +11

      전투기 조종사가 짱임

    • @youngbeompark8760
      @youngbeompark8760 4 года назад +14

      공군도 병과 부사관이 최고입니다.

    • @youngbeompark8760
      @youngbeompark8760 4 года назад +12

      공군도 병,부사관,장교가 최고죠

    • @기비-s5n
      @기비-s5n 4 года назад +76

      @@Harry-kq6kj 왜 나라지키는 부사관한테 자살하라 하는거냐..? 개념은 있냐?

  • @정원-x2m
    @정원-x2m 4 года назад +11

    참전용사 후손입니다.
    좋은 컨텐츠입니다. 필승!

    • @ballmoney1468
      @ballmoney1468 4 года назад

      참전용사 후손인데 뭐 우짜라고? ㅋㅋㅋ

    • @ballmoney1468
      @ballmoney1468 4 года назад

      @구독하면 서울대 합격O 후손이 특권의식 가지는게 웃겨서 그럼 참전용사는 너무나도 대단하지만 후손이 멸했는데?

    • @gioijo7874
      @gioijo7874 4 года назад

      애 이상한게 딴데에서는 마지막 고려왕족 후손이라 그러고 여기서는 참전용사후손이라 그러네ㅋㅋㅋㅋㅋ

    • @정원-x2m
      @정원-x2m 4 года назад +1

      gioi jo 참전용사의 후손도 맞고 왕씨 말살을 당한
      고려 왕실의 후손도 맞습니다.

    • @정원-x2m
      @정원-x2m 4 года назад +1

      ball money 특권의식이 아니라 전 지금 남아있는 참전용사 분들의 처우가 개선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하는겁니다.

  • @큰괭이
    @큰괭이 4 года назад +7

    두분 영상 보고 추억이 새록새록 돋는군요.

  • @천년집권민주세력
    @천년집권민주세력 4 года назад +171

    해군출신인데 장교들 권위 진짜 높은거 인정따리 인정따.
    상사들도 소위한테 진짜 깍듯했음

    • @kneesong8026
      @kneesong8026 4 года назад +87

      Cpo들이 먼저 깍듯하게 하니 중쏘위들도 함부로 안하고 고마워서 잘하게되죠..그러다보니 Cpo 딸이랑 장교랑 연애하는걸 종종 봤습니다.

    • @snubug
      @snubug 4 года назад +16

      이게 거지 같이 당직이 많아서 하급 장교와 cpo는 거의 내외지간 처럼 공생관계 였음...
      하급 장교는 평판 챙기고 cpo는 배 생활 편하게 하고

    • @vicviper9232
      @vicviper9232 4 года назад +22

      그랬죠. 육군의 하극상은 해군에서 들어본 적 없어요. 위병오장, 선임하사, CPO, 주임 모두 깎듯했습니다. 물론 위관장교들도 그분들 잘 대우했고요. 우리때는 직별장 계급에 ~요를 많이 붙였지요. 주임요, 이거 해주세요. 조타장요, 이거 어때요, 이런식으로. ^^

    • @blackcow_two_plus
      @blackcow_two_plus 4 года назад +4

      @@vicviper9232 우리 통신관님ㅋㅋㅋㅋㅋㅋ진짜 사람좋았는데 나름 짬중윈데 병사들 잘 챙겨주고 CPO들을 삼촌같이 생각하면서 어른대우 깍듯하게 해드리고

    • @dudgusdudgus
      @dudgusdudgus 4 года назад +6

      @@snubug 하급장교말고 초급장교라고 표현해주면 좋을것같습니다

  • @벌스맨
    @벌스맨 4 года назад +8

    말씀을 너무 조리있게 잘해주셔서 재밌게 즐기고 갑니다~~

  • @popeye1550
    @popeye1550 4 года назад +20

    상선도 사관 부원 사는층/식당/세탁실 다 다르고 상하관계가 꽤나있는편인데 군함은 역시 더하겠죠.

  • @콜라곰-j7t
    @콜라곰-j7t 4 года назад +48

    육군 사병 입대해서 운 좋게 국군 통신 부대 배치받아서 육해공 부대에서 전부에서 근무해봤는데 확실히 3군마다 느낌이 엄청 다름. 병사 간의 관계도 군마다 다르고 부사관, 장교들 느낌도 다르고

    • @아이언철
      @아이언철 4 года назад

      국통사에서 근무하셨나봅니다? ㅎㅎ

    • @zehn-4019
      @zehn-4019 4 года назад

      꿀통사 ㅎㅎ

    • @김당근-q6r
      @김당근-q6r 4 года назад +1

      마 나도 엠따블유 통신병 출신 아이가 반갑다

    • @명동중간손
      @명동중간손 3 года назад

      @Bruce Lee 억.. 난57대..ㅋㅋ

    • @명동중간손
      @명동중간손 3 года назад

      @Bruce Lee 와... 인서울 .. 부럽네요

  • @jihoonkim3114
    @jihoonkim3114 4 года назад +54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고 했다. 참된 계급의 의미를 알고 리더의 본질이 권한과 우월의식이 아니라는걸 알자. 존경 받아야 할 위치의 지휘관은 그에 마땅한 참된 리더쉽으로 부하들을 이끌어 나가는것이고 그렇게 되어야 전시상황에서도 서로 신뢰하는 상황에서 전력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 @공공공공-n6j
    @공공공공-n6j 4 года назад +7

    아 빨리 다음편 올려줘요 현기증나요!

  • @dubu999
    @dubu999 4 года назад +3

    알티 해군 중위 출신 친구가 참수리 생활하면서 들려준 저런 해군 특유의 엄격하게 구분되는 위계와 계층질서가 육군인 나에겐 굉장히 생소하게 느껴졌었다. 나도 진짜 개막장 개파워풀 중대장과 빡쎈 또라이 장교진 밑에서 군 생활해서 부사관층을 짓누르고 사는 기쌘 장교들에 대한 기억이 많고 다른 육군 친구들은 너네 부대 왜 그렇냐 할 정도로 장교 우위의 분위기에서 군생활을 했음에도 해군은 뭔가 단순히 알력싸움이나 이런걸 넘어 제도적으로 구분이 엄격하고 경직되어 있구나 하는걸 많이 느꼈음. 참수리안에도 상사 있고 원사 있는데 대위 정장한테 함부로 못 개기고 쩔쩔매는구나 중위 부장 기관장도 단순히 상호 존중을 하는게 아니라 장교와 부사관이라는 확고한 차이와 선이 그어져 있구나 하는 생각이 많이 들었음. 사실 해군의 이런 분위기는 외국도 비슷하다고 들었는데 대항해시대 때부터 생겨난 근대적인 해군 전통이 그다지 큰 변화 없이 현대를 넘어 우리에게도 이입된게 아닌가 싶더라. 영국해군은 병사랑 장교가 겸상했다고 장교를 좌천시켜버리고 했었지. 원래 장교가 귀족출신으로 부터 시작되었고 부사관이 숙련병으로 부터 파생되었는데 육군보다 이런 흔적이 더 심하게 남은듯

  • @jsy5485
    @jsy5485 4 года назад +52

    군인은 결국 내 직별 직책 똑바로 하면서 싸바싸바 인간관계 잘하는 엘리트 수준이 아니면
    했다가 되려 시간손해만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병보다 자유와 얻는게 조금 더 많지만 결국은 군이라는 내부 안에서는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정말 엘리트로 갈 자신이 있는 분들은 장교 부사관 어딜 지원하셔도 됩니다
    그 외에는 자신의 취향에 결정되는것이죠

    • @군성장
      @군성장 4 года назад

      문제는 그판단을 막상들어가기전에는 정확히 할수 없다는거죠.. 정말 많은 변수들이 있어서

    • @하마오-p8e
      @하마오-p8e 4 года назад +2

      ㅇㅇ 맞음ㅋㅋㅋ
      간부들 승진하는데 인관관계엄청중요함
      에초에 주임원사 정작과장한테 밉보이면 육사나 진급할만한 특별한공로가있지않는이상 절대진급못함
      중령이나 부사관 장기하려면 10년동안 자잘한사고한번도없어야되는데
      인관관계 잘해놓은사람들은 사고쳐도 걍 부대선에서 짜르거나 커버쳐주는데
      인관관계 개판인사람들은 그냥 한번실수하면 진급물건너갔다고보면된다
      병사생활하면서느낀게
      진급 물건너간 대위 중사들보면 군생활 진짜 대충대충하고
      전역하면 뭐할까 이이야기만 하루종일하더라
      본인이 장기못할거같으면 장교부사관하지마셈
      진급 물건너간 대위 중사들 말고 따른간부들은
      전부다 주임원사 정작과장 똥구멍핥느라 정신이없음
      그게 병사인 내눈에까지보일정돈데
      지새끼들도 사람새끼들일텐데 병사들앞에서는 있는가오 없는가오다잡으면서
      상급자들 똥구멍핥는거보면 참 ..
      이게 사회생활인가싶더라

    • @군성장
      @군성장 4 года назад

      @@하마오-p8e 님 나온부대가 유독심한가봄
      상명하복집단이라 어느정도 후장찜질은 있지만 그냥 자기위치에서 자기할일 열심히 하면 알아주는곳도 많음 그리고 요센
      사고쳤는데 커버는 절대불가..

  • @사랑-h2l
    @사랑-h2l 2 года назад

    TV러셀님이 취재하시는거 보고 있는데요 웬만한 지상파 방송사 기자들보다 훨씬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고 계시네요. 왜 해군의 진급률이 높은지 등 여러가지 부문에서 칼 같이 질문하고원하는 대답을 얻어내시는게 신기합니다.

  • @untitl6d
    @untitl6d 4 года назад +46

    더 좁은 사회라 더 보수적인 경향이 있죠 해상 쪽은

  • @yougosu
    @yougosu 4 года назад +5

    해군 함정병과로 장기복무하는 부사관 장교들은 진짜 대단한거임 토쏠리는 멀미 속에서 먹고 자고 싸고 훈련받고 모든걸 다 하는건데...

  • @PXGKOREA
    @PXGKOREA 4 года назад +1

    0:55 제가 잘모르지만, 왠지 육군 소령이야 나와서 보험판매 자동차판매나 해야하지만, 해군 대위 소령으로 전역하면 항해사나 기관사 등 해상운송 그런데 고소득 좋은 직업으로 갈길이 많이 있으니 장교가 부족하고 전역하시는분들도 많을듯

  • @홍지인-r9b
    @홍지인-r9b 4 года назад +14

    진짜 해군은 극한직업이네요

  • @eyon44
    @eyon44 4 года назад +5

    선상반란이 나서 상관을 죽이고 귀순한다라면 그 어떤 나라도 받아주지 않고 처벌하거나 송환합니다. 만국공통.
    그런 분위기라 위계질서가 더 엄격한거같더라고요.
    근데 또 좁은 공간에서 생활해서 그런지 화기애애한 면도 있어보이더라구요.

  • @qwert2184
    @qwert2184 4 года назад

    예비역인데 좋은정보 얻네요 감사해요
    솔직하게 얘기하는 모습 보기좋으네요

  • @jugitube
    @jugitube 4 года назад +10

    재밌게 잘봤습니다 ㅎㅎ 해군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 도움이 되겠네요 ocs 출신으로서 공감 많이 하고 갑니다~

  • @서재웅-x1u
    @서재웅-x1u 4 года назад +3

    선댓글 후감상 ㅎㅎㅎ

  • @꾸준함이힘
    @꾸준함이힘 4 года назад +8

    군무원에 대해서도 한번 다뤄주세요~~

    • @장경원-j6b
      @장경원-j6b 4 года назад

      @가보옥 맞아요 제일 큰 단점.. 좀 많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ㅠㅠㅋㅋ

  • @백두대간-o7n
    @백두대간-o7n 3 года назад

    부사관이랑 화장실 따로 쓰셔서 참 뿌듯하시겠습니다~ㅋㅋ

  • @anoutsider9364
    @anoutsider9364 4 года назад +2

    재밌읍니다 ~

  • @thankyouforyourservice4243
    @thankyouforyourservice4243 4 года назад +18

    부사관과 장교의 관계는 예전엔 하사관으로서 병사의 연장 개념이어서 아직도 수직적인 그런 느낌이 남아있지만 실질적으로 부사관들은 부대의 여러 직별들중 한 직별의 전문가이다. 장교가 일일이 그 직별 하나하나를 케어 할 수 가 없기때문에 부사관들 역할이 너무너무나 중요하다. 장교는 지휘관으로 결정권을 가지고 부사관들은 각 분야별로 그 결정을 수행하는 마스터들이다. 따라서 장교(결정자)와 부사관(전문가)의 관계는 군대가 첨단화 될 수 록(기술군화 될 수록) 점점 수평적으로 될 것 같다.

  • @드래곤볼-r8d
    @드래곤볼-r8d 4 года назад +4

    계룡대에 가보면 해군은 대령이하 장교분들 식사하는곳에 병사들이 없음.병사들이 못가는게 아니라 장교분들이 싫어함.그외에도 해군은 아직도 부정적인 모습이 많음.우수한 부사관분들을 뽑기위해 부사관능력평가와 부사관진급시험이 있음.매년 보던데 준비하는것 보면 함정일정도 바쁜데 공부까지...난 육군.공군도 있는줄 알았으나 해군만 있더라구요.장교내부 또한 함정생활을 하면 아주 아주 보수적인 부분이 너무 많고.나도 시간이 흐르다보니 부정적으로 보였던 부분이 나도 변해갔다는것.

  • @lukiperus
    @lukiperus 4 года назад +6

    장교 - 함장실, 각 부서장별 부서장실 등의 장교침실, 장교화장실, 사관실
    CPO - CPO침실, CPO화장실, CPO식당
    선임하사 - 중사침실, 승조원화장실, 승조원식당
    하사이하 수병 - 승조원침실 승조원화장실, 승조원식당
    근데 저 모든 곳의 청소는 수병이...
    그냥 함교부터 후타실까지 모든 격실 청소를 수병이...

    • @NeangDongfood
      @NeangDongfood 4 года назад

      Cpo가 먼가요 - 육군 예비역

    • @kdkd.2
      @kdkd.2 4 года назад

      @@NeangDongfood 상,원사말하는고같은데 아닌가용

    • @lukiperus
      @lukiperus 4 года назад

      @@NeangDongfood Chief Petty Officer의 약자로 상원사를 통틀어 말합니다.

  • @이디-n7u
    @이디-n7u 4 года назад +8

    공군 장교랑은 정말 다르네요. 저희 포대장님은 만날 입에 씨발씨발 욕을 달고 다니시면서 자기 그라운딩 시킨 군의관 만나면 목졸라 죽일거라고 매일 읋조리고 다니셨습니다. 흑화해버린 즐겜러 느낌

  • @iljoongkim9291
    @iljoongkim9291 4 года назад

    해군 이야기는 처음 듣네 ㅋㅋㅋ 잼있네요

  • @속으로세상
    @속으로세상 4 года назад +3

    해군이야기하면
    무조건 그 양심적인 진짜
    해군아재 내부고발 하셨던
    그 해군아재가 기억난다!

  • @하나의심장
    @하나의심장 4 года назад +33

    그 원,상사가 훈육요원(DI,ADI) 출신이라면 함장들도 더더욱 함부로 못합니다 그정도로 CPO같은 직별장분들 대우가 어마어마합니다 또 실질적으로 함내 분위기까지 이끌고있구요

    • @mgnoble15
      @mgnoble15 4 года назад +17

      상 원사는 모르겠는데 하사 중사가 di출신이면 무시당해요
      일단 이분들은 진급은 잘되지만
      지식은 하사인데 계급은 중사 이런경우가 많아서.
      제가 탔던배에 저희기수를 가르쳤던 악마교관이 있었는데 실무에서 많이 시달리던데

    • @rredshell
      @rredshell 4 года назад +6

      해군은 상사이상부터는 진짜어마어마함... 왠만한장교들도 막대하지못함

    • @mgnoble15
      @mgnoble15 4 года назад +4

      @@rredshell 그건 아는데 훈육관 출신들이 실무에서 무시당하는걸 실제로 봤기때문에 악마였던 사람들이 쩔쩔매는걸 이분들은 진급이 다른 부사관보다 빨리 진급하거든요

    • @parkjuke8171
      @parkjuke8171 4 года назад +4

      해군은 계급 보다 기수가 더 중요해서... 특히 부사관
      Cpo되서도 기수로 따지던데

    • @소수림-g1x
      @소수림-g1x 4 года назад +7

      ADI 출신 선 후배들...장비 운용면에서 부족한게 사람들이 있는게 사실이지요, 그런데 자신이 지식이 부족한거 잘아니까 밤새서라도 메커니즘 습득하고 운용이나 수리법 결국에는 오기로 알아내더라구요 직별 맞선임이 그랫었는데...
      케바케겠지만 훈육교관 출신들 그 훈련 버텨낼 능력이면 다시 실무와서 노하우나 운용법 습득도 어렵지 않은듯.

  • @primary3371
    @primary3371 3 года назад +3

    앗참님 목해대 출신 아닌가 싶네요 얼굴이 낯익으신게 06학번인데..
    휴학하고 해군부사관 갔다가 해도해도 너무하는 차별과 권위의식에 자존심도 상하고 이런대우 받으면서 직장삼아 다닐생각 하니 바로 제대가 떠오르더군요. Cpo가 내 미래다 생각하니 고민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동기중에 성적 좋은 똘똘한 친구들은 다 제대했습니다.

  • @NeangDongfood
    @NeangDongfood 4 года назад +4

    'U-571'이라는 2차대전배경의 미국 해군 영화가 있습니다. 왜 함상에서(혹은 군대에서) 위계가 확실해야하는지 알 수 있는 영화입니다...

  • @자본주의노예-l1q
    @자본주의노예-l1q 4 года наза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City_and_Moon
    @City_and_Moon 4 года назад +16

    다음에 준사관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user-Estard
    @user-Estard 4 года назад +2

    한 6분쯤에 나오는... '주임원사' '주인원사님' ... 원래 직책명 뒤에는 '님'을 붙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실제론 사회에서 부터 '사장님' '회장님' '부장님' 등 직책명 뒤에 님자 안 붙이면 이상한 놈 취급 받죠.. 아마 거기에 익숙해져서 안 붙이는게 어려울 겁니다. 지금은 붙여도 된다는 식으로 너무 만연해서 하지 말라고 하기도 힘든 상황이지요.

    • @sangyongpark7901
      @sangyongpark7901 4 года назад +5

      님자 붙이는 문화가 일본에서 왔다는 말도 있고 여러가지 말이 있는데 원래는 문법적으로는 안붙이는게 맞다고는 합니다. 참고로 일본같은경우는(님'様 사마 라고 읽습니다) 이라고하는데 직책뒤에는 붙이지 않습니다. 그런걸로 봐서 일본에서 왔다고는 보기 어려운거같기도 하는데 알수는 없네요. 이유는 모르지만 그런문화가 정착되서 그게 당연하게 된걸로 보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논점은 문법상 어원보다는 상급자에게는 님을 붙이고 하급자 에게는 님을 안붙이는것이 문법상 관례상 전부 정답이라고 가정하였을때 장교가 부사관에게 님을 안붙이는 거에 대해 이야기하는것이니까 조금 다른 관점인거같긴하지만 계급상 낮으면 계급에 존칭은 안붙이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도 나쁜지 않을거같습니다.
      저도 부사관출신이고 갑자기 저보다 나이어린 장교가 직책만 부르면 순간 기분나쁘겠지만 직책을 안붙여서 기분나쁜게 아니라 그런 문화에 익숙하니까 그런거라고 봅니다. 옷을 안입으면 창피하니까 옷을입는게 아니라 옷을 입으니까 안입은 상태가 창피한거죠.. 직책과 계급에 관한 정리는 그에 맞게 하고 존댓말사용하고 인격적으로 서로 존중해주면 될거라는 생각도 듭니다.

  • @To_your_fate
    @To_your_fate 4 года назад +10

    다음편 빨리요 ㅠ

  • @leehyunkida
    @leehyunkida 4 года назад +6

    장교 화장실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부사관 화장실이 따로 있다는 개념이 맞아요.
    왜냐하면
    화장실을 같이 사용하면
    계급이 높은 장교가 오면
    계급이 낮은 상사와 원사가
    그 장교에게 화장실을 양보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든요.
    그래서
    그렇게 분리를 한 겁니다.

  • @kwangsungkim7417
    @kwangsungkim7417 4 года назад +1

    해병 중위제대했는데, 상륙훈련때 타본 배에서 병들이랑 같이 밥먹다가 함장님이 '그래도 장교가 승선했으면 사관실 밥 먹여야지' 해서 하루 3끼 딱 사관실 밥 먹어봤습니다.
    작은 배에선 어쩔지 모르지만 4000톤급이상 큰배에서는 사관실 밥은 사기그릇에 나오고 디저트랑 커피도 수병들이 서빙해줍니다... 너무조아..
    해병들 배 타면 운동만 조금씩 하고 멀미로 고통받거나 아무것도 안하는게 보통인데 ㅋㅋㅋㅋㅋ 그러면 저는 사관실 짱박혀서 낮잠 때리고 그랬음

    • @beardogcatlover
      @beardogcatlover 4 года назад

      @Игорь Ян 제주도에 실어주셨었나 보네요.

  • @ldy9946
    @ldy9946 4 года назад

    해군 부사관 생활했던건 내 인생의 큰 축복중 하나지..^^

  • @Viva-s5y
    @Viva-s5y 4 года назад +3

    육군이랑 해군은 많이 틀려요...이런 영상 좋습니다. 너무 육군 위주로 해석을 하는 사람들이 사회에서 너무 많아요....

  • @Kunsandulgi
    @Kunsandulgi 4 года назад +2

    미군이랑 같이 있는데 얘들은 거의 장교냐 병사냐 로만 나뉘죠.. 부사관은 병사를 관리하는 고급 병사임. 경례도 보통 장교한테만 한다고 합니다.

  • @피자돌이-t2d
    @피자돌이-t2d 4 года назад +16

    위계 때문에 필요에 의해 선을 그어도 하대하고 우월의식, 권위의식 느끼는 건 인성문제라고 보는데..

    • @andrew3870ify
      @andrew3870ify 4 года назад

      한국 해군 육공군에 비해서 밀리는데
      부심이라도 있어야겠다 하는 것같습니다.
      대학교 마이너학과 교수들이 젤 빡시게 해대는거 보면 이거랑 비슷하다는 기분이 드네요 ㅠㅠ

  • @woojeryong
    @woojeryong 3 года назад

    모든 조직의 유연성과 합리성이 없으면 불예측한 상황에서 대처가 어렵기 마련이지...
    뭐든지 지나치면 한쪽으로 기울기 마련..

  • @정민서-w2h
    @정민서-w2h 4 года назад +4

    이게뭔데 육군공식유튭채널이 본거얔ㅋㅋ

  • @청룡-m3s
    @청룡-m3s 4 года назад +9

    해군 학사장교 출신입니다. 말씀 다 맞습니다. ^^

    • @TV러셀
      @TV러셀  4 года назад +2

      그렇다면 구독과 좋아요

    • @청룡-m3s
      @청룡-m3s 4 года назад +1

      @@TV러셀 당연히 했지요 ^^

  • @jaehwna
    @jaehwna 4 года назад

    개꿀잼

  • @joon6093
    @joon6093 4 года назад +11

    정답!

  • @metaku19
    @metaku19 4 года назад +9

    ㅋㅋㅋ
    장교는 넓게
    부사관은 깊게
    군무원은 더 깊게
    ㅋㅋㅋ

  • @kslee0913
    @kslee0913 4 года назад +30

    승조원식당 필수품 음류수 자판기 * CPO 식당 필수품 커피자판기 * 사관식당 필수품 커피머신

    • @blackcow_two_plus
      @blackcow_two_plus 4 года назад +1

      ㅇㄱㄹㅇㅋㅋㅋㅋㅋㅋㅋㅋㅋ 더해서 각 서무실 특히 전탐실 커피포트 필수템ㅋㅋㅋㅋㅋㅋ

    • @구름비-f4w
      @구름비-f4w 4 года назад

      미안합니다...

  • @leecali7062
    @leecali7062 4 года назад +9

    진짜 해군 서열은 인정한다 진짜 부사관 장교 심지어 병들사이에도 서열이 있음 존나 빡세... 오 진짜 "님"자 안붙이던데;; 이런 이유가 있는진 몰랐네

  • @INFOcube2
    @INFOcube2 4 года назад +3

    12년도 수병출신인데 후반기끝나고 배로 실무배치 받았는데 부대(배) 가 항해중이라 강제 홈리스처지됨 그래서 일주일동안 육상부대(보통배치받은 배상급부대) 대기생활함
    급똥와서 화장실 갔는데 똥간문에 장교용 부사관용?(위관급 영관급 부사관용 이였나?) 이라 써져있었음(60년대 미국 인종분리정책인줄) 10초 고민하다 장교용에 몰래쌈 ㅋㅋㅋㅋ
    배(큰배기준)는 더심함 함장전용 화장실쓰면 돼짐.. 몰래잘써야함
    장교(준사관이상)부터 사관인데 밥도 사기그릇으로 먹음(대신 내용물은 같음) 그 이하는 스댕임
    장교로오면 주말출근, 오침없음(육군말로 오침인가?)전투휴식? 각오해야함. 장기할거면..
    장교는 때깔좋은 노예임
    Ps 예비군6년동안 해군동원예비군 딱한번 갔는데 7할이 장교or부사관이였음 신기했음

  • @zehn-4019
    @zehn-4019 4 года назад +1

    옛날부터 뱃사람의 삶은 항상 빡셌다.
    소령진급이 쉽다한들 10년의 세월이
    녹록치 않았을 것이다. 인정할수밖에 없음.

    • @blackcow_two_plus
      @blackcow_two_plus 4 года назад

      해군 CPO들이나 소령들 보면 진짜 나이에 비해 삭은 분들 많음..바닷바람 비바람 나무 맞아서

  • @snubug
    @snubug 4 года назад +13

    제가 애들이랑 술 자리서 입 닳도록 하는 말 ㅋㅋ 인생 2회차는 해군 알티로 가서 소령 달고 칼전역 후 예비군 동대장 시험을 준비 하는 것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4 года назад +2

    해군 중사 전역한 제 친구도 하사시절 소위가 상사한테 너무 심하다 싶을 정도로 막말하는 거 듣고 충격받았다고 하더라구요

  • @morirafl9954
    @morirafl9954 4 года назад +5

    소위중위가 상사한테 반말한다라.. ㅋㅋ
    육군 포병출신으로 신선하네요.

  • @dolllllloooo
    @dolllllloooo 3 года назад +1

    해군이 장교, 부사관, 수병 구분이 엄청 확실한 건 군대에서 당연한거 아닌가요? 저도 부사관 출신이지만 꼬우면 대학교 나와서 장교로 들어가서 대우받으면 되는 거고 자기가 고졸로 부사관하면서 뭘 그렇게 불만이 많은지...실제로 부사관 수가 많은 만큼 초임장교들 무시하는 부사관들이 태반입니다. 그 중에 정말 일부의 자기 위치 자각하고 자기 업무와 계발에 충실하며 초급장교들에게 깍듯한 부사관들은 알아서 장교들이 알아서 인정해줍니다. 꼭 안 그런 사람들이 장기 후 근속 하나 믿고 개차반부사관들이 정말 많고 그런 사람들이 장교들과 반목하죠...

  • @사라아범
    @사라아범 4 года назад +4

    행정병으로 연대급 부대에서 복무했는데, 상사에게 반말한 소위 본 적 있습니다 ^^; 물론 얼마 안가 작전장교한테 대차게 까이고 고쳤지만요.

    • @blackcow_two_plus
      @blackcow_two_plus 4 года назад +4

      그런 쏘가리 병들도 ㅂㅅ취급할텐데..

  • @David_H_An0408
    @David_H_An0408 4 года назад +1

    이건 우리나라 해군만의 문제가 아니라 옛부터 뱃사람들은 위계질서가 매우 강한걸로 알고있습니다

  • @한잔하루에
    @한잔하루에 4 года назад +1

    CPO는 중삽니다
    SCPO 상사
    MCPI 원사
    입니당~^^

    • @김세진-o3j
      @김세진-o3j 3 года назад

      해군출신임 해군에서는 상원사를 cpo라함 아는척 ㄴ

  • @youngdidi4196
    @youngdidi4196 3 года назад

    저 옛날 백골부대 처음 갔을때 6주 훈련 받고
    부모님들 단체 면회 아버지 공수부대 원사인데
    별이 뛰어 오더니 어떻게 오셨습니까?
    우리 아들 여기 왔어~
    아~~ 그렇습니까~~
    나도 놀라고 우리 아버지 반말
    별은 존댓말 주위에서 놀랐음.
    나중에 알고 보니 아버지 보다 군 짬이 낮음
    아버지 소위부터 본사람 인데
    승진 하면서 별이 된분

  • @자막-d8d
    @자막-d8d 4 года назад +12

    와 작전관님 러셀님채널에도 나오시누

  • @이지원-n5l3k
    @이지원-n5l3k 4 года назад

    군사학과 좀 알려주세요 군사학과에서장기적으로 직업군인하고싶어요 여군으로요 현재 17살여자입니다!!
    1)군사학과해도 육사 육삼 출신처럼 오랫동안 직군할수있는지
    2)단점과 장점
    3) ROTC와 군사 차이알려주실수있을까요???,

    • @이지원-n5l3k
      @이지원-n5l3k 4 года назад

      사관학교갈 성적이 안되요....자신이없어요

    • @沈明俊
      @沈明俊 4 года назад +1

      @@이지원-n5l3k 그런 정신 상태로는 어딜 가도 진급 못합니다. 고1이면 공부랑 운동 열심히 하세요... 특히 여자면 더더욱 -육사 80기 합격자

    • @으이그고고
      @으이그고고 4 года назад

      삼사관학교 편입도 생각해보세요

    • @zerojoom
      @zerojoom 4 года назад +1

      군사학과 절대가지마세요... 차라리 그냥 여군알티 되는 학교가서 멀쩡한 학과 다니다 알티를 하세요 전역하면 뭐하실라구...

    • @이지원-n5l3k
      @이지원-n5l3k 4 года назад

      @@zerojoom 장기군 하려고요

  • @handle._.
    @handle._. 4 года назад +2

    원래 부사관과 장교들은 서로서로 존칭씀 아무리 장교가 계급장이 더 높을지언정 부사관도 무시못할정도라서 부사관과 장교사이에 반말쓰고 이러면 너무 싸가지가 없는거죠

  • @apple_production
    @apple_production 4 года назад

    육군 부사관 출신으로 궁금한건데...장교분들은 거진 중위,대위 달면 보직따라 가거나 타부대 전출을 많이 가는데 부사관은 웬만하면 그부대 토박입니다. 해군 부사관은 한배만 타는건가요? 아님 배는 바뀌고 그 인원 그대로 다른배를 타는건가요?

  • @jds631012
    @jds631012 3 года назад

    전대 군수참모가 기관대위였는데
    예하 항지대 정장님들(원사 상사) 참모실에 불러다놓고 고함치고 공개적으로 윽박지르는데도(간혹 욕설 나감) 그분들이 개별적으로 불림받아서 그런가 전대장님한테 따지질 않더군요.
    참 정말 저런거보고 해군 부사관들 열 많이받겠다... 싶었습니다.

  • @엄마쟤흙먹어-e5f
    @엄마쟤흙먹어-e5f 4 года назад +5

    해군은 진짜.... 시험을 오지게 봐요 진짜...... 음탐 출신인데 아휴 시험만 일년에 몇번을 보는곀ㅋㅋㅋㅋㅋㅋㅋㅋㅋ 끔찍했다 증말 ㅋㅋㅋ

    • @alcadis1010
      @alcadis1010 4 года назад +1

      요즘은 부능 자주보나요?

    • @엄마쟤흙먹어-e5f
      @엄마쟤흙먹어-e5f 4 года назад +1

      @@alcadis1010 제가 18년에 전역했는데요~ 그때만해도 부능은 1년에 한 번씩 봤어요~ 작년 우수자는 제외 하구요! 음탐이 천안함 사건 이후로 시험이 많아졌어서 고통스러웠네요...으

    • @alcadis1010
      @alcadis1010 4 года назад +1

      @@엄마쟤흙먹어-e5f 아. 그렇군요 제 복무당시(06년 임관 10년 제대)에는 함종이 바뀔때만 부능을 봤었습니다 그래서 전 4년 복무하면서 부능을 두번 봤습니다(첫 발령지 pcc 두번째 발령지 lcu)

    • @엄마쟤흙먹어-e5f
      @엄마쟤흙먹어-e5f 4 года назад +1

      @@alcadis1010 오 피씨씨 타셨군요ㅎㅎㅎ 저는 pcc761 김천함 2년타다가 퇴역시키고 육상 갔었네요ㅎㅎㅎ

    • @alcadis1010
      @alcadis1010 4 года назад +1

      @@엄마쟤흙먹어-e5f 네 ㅎ 776제천 탔습니다 ㅎ
      1년 6개월 타다가 진해가서 오버홀 수리중에 물개 발령나서 물개2년 타고 제대했습니다 ㅎ

  • @snubug
    @snubug 4 года назад +1

    9:40 배는 바다에 있는 철이라서 맨날 부식됩니다.
    오늘은 여기 깡깡이하고 프라이머 바르고 해치데끼 바르고
    매일 매일이 모여라 미술 동산 입니다.
    자는건 작전부 꿀벌들이 잠자죠 ...
    포갑은 죽어 나가요

    • @damidang
      @damidang 4 года назад

      작전부도 바르는뎅 ㅠㅠ 구역이 너무많아서 부서별로 나눠바름

  • @lee-qq2hq
    @lee-qq2hq 4 года назад +1

    해군이 영국에서부터 나와서 그 전통이 유지되는건데. 그 당시 해군은 장교면 귀족이고 부사관이하는 평민, 그냥 신분 자체가 달랐고 그 전통이지. 근데 함정은 공간이 좁다면서 화장실도 다른 건 진짜 에러네. 배라는 폐쇄된 공간이라 부조리도 엄청나지. 이건 선진군이라는 미 해군도 마찬가지...

  • @AshHa2010
    @AshHa2010 4 года назад +5

    함정이라는 고유의 특성과 문화를 배제한 설명이네요. 왜 장교계층, 부사관계층, 수병계층을 분리하고 따로 살게하며 각각의 영역을 지키고 침범을 금지할까에 대한 고민에 대한 답변은 아닌거 같습니다. 함정은 인류역사에 아주 오랜기간 남아왔고, 이 위계간 질서를 철저히 하지 않으면 벌어지는게 함상반란입니다. 함정에서 가장 두려워하는게 바로 이거고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종 구분을 두는거죠. 미해군에서도 우리나라 부사관계층이 백단화를 신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거도 이런 부분입니다. 이런 계층간 구별을 뚜렷히하는것은 해군의 오랜 기간 역사에서 시행착오로 부터 생ㄱㅕ난 문화입니다..
    물론 이것이 나이든 cpo를 하대하거나 하는 것에 대한 말은 아니고, 왜 그 구별이 심한가에 대한 것이죠
    해군은 기술군이고 각각의 직별에서 처리할 수있는 가장 높은 수준의 전문지식을 직별장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절대로 장교는 직별장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막말로 분대장은 내리고 출항해도 직별장은 내리고 출항할 수 없습니다(파견직별장을 받아서 출항함)
    글로 쓰다보니 힘드네요 대략적으로 이런 차이점들을 정확하게 표현했으면 좋았겠지만.. 할말이 참 많은 주제이기도하고 실질적으로 도움이되는 말을 많이 할 수있는 주제인데 개인의 사견정도로 마무리되어서 아쉽네요..
    또 함정생활을 많ㅇㅣ 안해보셔서 그런지 곳곳에 중간중간 틀린 부분이 거슬리고 설명이 아쉽네요...
    배나가서 출동중에 배에서 그냥 잔다니요................ 충격이네요.............. 숙식이 불가능해 당일치기로 몇시간 항해하고 돌아오는 참수리의 경우에만 그렇지 2급함이상의 대형함정들은 출동중에 전투배치 훈련부터 일과하느라 바쁩니다.... 힘들게 일하니 야식도 주고 또 장기간 항해로 힘들어지는거 고려해서 출동중 이벤트도 하고.. 한달의 절반이상 바다에 떠있는데 배에서 아무것도 안하고 자기만하면 어떻게 그 부대의 일년농사를 하겠습니까.. 해야하는 훈련, 검열 ,평가 등등이 얼마나 많는데...... 답답하네요

    • @captine_lyon6170
      @captine_lyon6170 4 года назад

      배 나가면 자는시간말고는 쉴시간이없음. 하루죙일 일과, 훈련. 식판 뒤처리, 당직때문에 주말도 없음. 공부하고싶으면 자는시간 쪼개서 해야함.

  • @대격변이퍽내가바로
    @대격변이퍽내가바로 4 года назад +2

    공군도 소령은 100프론데 비조종은 중령부터 전쟁입니다 사관학교도 예외는 없습니다

    • @nass8410
      @nass8410 4 года назад +1

      학사출신들은 진짜 피터지도 가뭄이 콩나듯 중령다는듯 근무하면서 대령 학사출신 못본가 같네요 제가 못찾은거 일수도 있지만
      별은 뭐 무조건 사관학교만 ..

    • @대격변이퍽내가바로
      @대격변이퍽내가바로 4 года назад

      @@nass8410 학군 조종 대령은 봤는데 학사 대령은 못 봤네요

    • @Wveuwvwus
      @Wveuwvwus 4 года назад +1

      진짜 대대장만 봐도 공사출신인데 중령 진급 한번씩 떨어지고 붙거나 옷벗거나 옷벗은 분 3분 봄 5년동안 중령 진급 딱 한명됨 걍 조종 아니면 공사, 비공사 다 전쟁

  • @김지운-n6f
    @김지운-n6f 4 года назад

    본인이 장교가 아니었나보네요
    장교는 위아래 모르는 오랜 부사관 때문에 고달프겠는데요
    서로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할 듯 합니다

  • @이희곤-r3d
    @이희곤-r3d 4 года назад +1

    나 방위 인데 39사 훈련병 시절에 sky출신 따로 불러 내고 친인척중에 고위 장성들 불러 내고 그랬다 그게 있을 수 있는 일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거기에 해당하는 애들은 분명한 특혜를 받았을 것이다 그리고 군부대에 사진사가 독점을 해서 사진을 매번 찍었다 그리고 가죽장갑을 나눠 주는데 장갑이 모자라서 1/3 정도만 받았다 그리고 자대 배치 받았을때 대대장이 특히 방위들을 싫어 하셨다 항상 말이 상근중에 물론 괜찮은 상근도 많은데 이랬지 참고로 나는 육체는 udt인데 정신은 방위라 방위가 됐다 참고로 방위들의 퇴근은 군법에 명시 돼 있다 육군참모총장이라도 방위들의 퇴근을 막을 순 없었다

  • @chily10315
    @chily10315 4 года назад +16

    해군 부사관은 진짜 CPO 전 후로 나뉨 ㅋㅋㅋ 그 전까지는 진짜 ㄹㅇ 개무시당함 우리 갑판사관 대위(진)이였는데 짬 존나 찬 선임하사 출입항에서 실수하니깐 병 앞에서 바로 선임하사 밑으로 전부다 엎드려 뻗쳐시킴 ㅋㅋㅋㅋㅋ 근데 CPO는 절대 안건드림 ㅋㅋㅋ

    • @배드민턴-o7j
      @배드민턴-o7j 4 года назад +9

      상원사 잘못건드리면 태업 오지게함
      타 부서나 함선에 깔린게 선후배라 연락돌려서 업무협조 지지부진하게 만들어서 엿먹임

    • @namenamename77
      @namenamename77 4 года назад +5

      간부간 얼차려 없는데 개소리야

    • @chily10315
      @chily10315 4 года назад +2

      엥 10년전에 있었던 일인뎁쇼 ㅋㅋ 뭔 간부는 얼차려가 없어 빡신장교 만나면 까라면 까야지

    • @kneesong8026
      @kneesong8026 4 года назад +6

      @@namenamename77 해군이라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모함대 주임원사님이랑 밥먹은적이 있는데 자기 선임하사때 해사출신 소위들 배와서 구보시키고 못하면 빠따치고그래서 너무 힘들었다고 하시는걸 들어서..

    • @koonghooni7773
      @koonghooni7773 4 года назад +1

      간부를 얼차려 시킨다고...? ㅋㅋㅋ 옛날엔 그랬나보죠 요즘엔 안그래요

  • @HuntsmanKOR
    @HuntsmanKOR 4 года назад +2

    이거 팩트임 ㅋㅋㅋㅋㅋㅋㅋ

  • @끌누
    @끌누 4 года назад

    해군부사관 232기 7년 중사 전역했습니다.ddh2 2번 ffg인수 pkg 1

  • @smama6075
    @smama6075 3 года назад

    해사 졸업하고 오신 소위분께서 갑판사관 및 포술장 직책으로 전입 오셔서 같이 근무했는데 어느 날은 반말하셨다가 어느 날은 존댓말 쓰셔서 매우 헷갈리게 하신 분 있었음…

  • @조민양
    @조민양 4 года назад +1

    좁은 함정에는 보는사람이 많~아요... ㅎㅎ

  • @user-ri2vp7qt7f
    @user-ri2vp7qt7f 4 года назад

    계급구조가 지상군처럼 3각편제도 아니고 해서.. 해군이 툭하면 배 많이 지을려고 하는 게 자리 만들려고 하는 이유도 있어요.

  • @changyongshin1153
    @changyongshin1153 4 года назад +7

    함정근무라는 특성상 생활공간이 나눠져 있다보니 그런거지 육상근무지에 장교 부사관 화장실이 나눠져있진 않습니다. 오해의 소지가 있을까봐 댓글남깁니다^^

    • @상사공
      @상사공 4 года назад +3

      근데 진해복지 가면 영관이발소 위관이발소 이런식으로 나눠있긴 했음 그때 당시에 머리도 따로 잘라야 되나 생각 했던 기억이 남 근데 이발소를 진짜 왜 나눈거지?

    • @Gyrocompass
      @Gyrocompass 4 года назад +3

      육상도 나뉜데 좀 있습니다

    • @박용호-z7s
      @박용호-z7s 4 года назад +2

      진해 부두앞 육상화장실 나눠져이씀 ㅎ

    • @최성준-d7w
      @최성준-d7w 4 года назад +3

      나눠져있는데요..현역입니다..

    • @심재홍-u8e
      @심재홍-u8e 4 года назад

      부두 앞 화장실은 나뉘어진 곳도 있지만 사령부 건물이나 전단대 본부 건물은 구분 없이 사용합니다!

  • @김준수-x1h
    @김준수-x1h 2 года назад

    첫번째는 해사만 해당되는건가요?

  • @킹수방
    @킹수방 4 года назад +27

    제가 해군 겪은 썰
    야 내가 부장이야
    준위(기지대장)가 높아 ? 중위(감시대부장)가 높아 ?
    그 날 기지대장님은 미친새끼 아니야? 하시면서 핸드폰을 드셨고
    다음 날 부장은 개털렸습니다.

    • @킹수방
      @킹수방 4 года назад +3

      @@코코-q1n9l ㄹㅇ참트루...해군에서 준위랑 원사는 생각보다 흔한 계급이에요

    • @킹수방
      @킹수방 4 года назад

      @@코코-q1n9l 그럼 무슨근거로 미필타령?

    • @snubug
      @snubug 4 года назад +2

      진짜 필참이나 훈련 받을 때 준위 원사 무더기로 오면 그냥 죽고 싶었음 ㄹㅇ
      갑판 하사가 안들어와서 허구헌 날 내가 직별장 따라 다니면서 커피 타드리고 로비하고 시벌 ...
      그래도 수병이라 많이 예뻐해주시고 훈련 때 신경 많이 써주시긴 했음 ...

    • @yoonkki44
      @yoonkki44 4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 전진기지 잇으셧나?

    • @INFOcube2
      @INFOcube2 4 года назад +2

      기지대장이 준위고 부장이 중이인곳 도있음?? 섬인가??? 아님 ypk?

  • @hyskkmm
    @hyskkmm 4 года назад +15

    장교가 부사관들한테 "님"자 안붙이는건 해군이 육군보다 낫네요.

    • @길시코기
      @길시코기 4 года назад +1

    • @diesel-engine
      @diesel-engine 4 года назад

      그게 맞지않나

    • @oculus1621
      @oculus1621 4 года назад +1

      @@길시코기 병신인가 저게 맞는거지 철저하게 계급이 나눠서 있는데 낮은 계급한테 님 자 붙이는건 아니지 개인적으로 있을때는 모르지만 계급이 있는데 그걸 어기면서까지 할 필요는 없지

    • @길시코기
      @길시코기 4 года назад

      @@oculus1621 네 다음 미필 히히 ㅂㄷㅂㄷ?

  • @shdj1hshs1shshs1
    @shdj1hshs1shshs1 4 года назад +8

    원래 옛날부터 해군이 장교=귀족 병사=뭐가됬든 평민 이래서

    • @임채형-o2q
      @임채형-o2q 4 года назад +2

      그건 육군도 똑같지 않남

    • @이디-n7u
      @이디-n7u 4 года назад

      공군이 왜 비행 ‘단’이냐면 중세 기사단에 대입하면 완전히 이해가 감.
      귀족=기사=장교, 항공기=군마
      평민출신 전투요원=부관=부사관
      기초적 제반시설 운용=농노=병사

    • @NeangDongfood
      @NeangDongfood 4 года назад

      봉건계급이랑 현대조직의 계급은 같지 않습니다^^; 현대조직 내 계급은 책임과 권한에 바탕을 두고있습니다.

    • @shdj1hshs1shshs1
      @shdj1hshs1shshs1 4 года назад

      @@NeangDongfood ? 걍 해군전통말한건데 왜딴소리 육군보다 서열 확고하게나눴다는소리한건데

    • @shdj1hshs1shshs1
      @shdj1hshs1shshs1 4 года назад

      @@NeangDongfood 그걸누가모르나

  • @kychoi2653
    @kychoi2653 4 года назад

    함정에 부사관 숫자가 육군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기 때문일 듯..

  • @Kim-b1u
    @Kim-b1u 4 года назад

    육군의 경우 간부식당과 병식당으로 나뉘는데 해군은 장교식당과 사병식당으로 나뉘어서 부사관이 사병식당에서 밥 먹음.

  • @hjc7894
    @hjc7894 4 года назад +1

    저 분 배가 그렇지 실제로 하대하는 순간 장교들 골치 아파지죠~

  • @KONGGAEBA
    @KONGGAEBA 4 года назад +1

    14일 해군 부사관으로 재입대 하는데 육군이랑 해군의 다른점이 많네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 @benes3035
      @benes3035 3 года назад

      군생활 잘 하고계신가요? 화이팅입니다

  • @dchj20
    @dchj20 4 года назад

    pcc 전역자 입니다 수병 대우가 어디있었죠???????ㅋ 수리때 개고생한거 생각하면 아직도 화가 나내요 진심 노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