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있습니다.1.다른 벽체는 콘크리트로 되어 있는데 유독 화장실부분이 조적벽으로 되있는데 무슨 이유가 있는지요?콘크리트는 타설만 하면되지만 조적벽은 인부가 일일히 손으로 쌓아야해서 인건비가 더들어 갈것 같은데 맞나요? 2. 지붕 파라펫 방수올림을 한뒤 조적으로 쌓는다고 했는데 조적이 아닌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조적벽보다 튼튼할 것같은데 조적으로 하는 이유가 있는지요? 답변부탁드립니다^^
아 네 조적벽에 대한 너무 좋은 질문이라 컨텐츠를 한번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일단 해당 건물에서의 조적 시공 이유는 건물의 구조가 철골 기반이기에 이미 골조가 완료되어 있는 상황에서 벽 철근을 배근해 거푸집을 짜더라도 콘크리트를 부어 넣기가 어렵습니다. 계단실, 엘리베이터등의 코어부는 철골과 결합되어 구조체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타설을 하기에 어려움이 없도록 애초에 반영을 해 놔서 상관이 없 는 것이고요. 그러니 비 내력벽들은 자연스럽게 아무 때나 쌓기만 하면 되는 조적으로 갈 수 밖에 없는 것 입니다. 그리고 화장실등에 조적을 쓰는 이유는 그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건 나중에 영상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또한 비용 면에서도 콘크리트벽이라고 타설만 하면 되는 게 아니고 벽 안에 철근 배근과 거푸집 설치, 양생 후 거푸집 제거 등 여러 공정이 있어서 조적보다 오히려 비싸다고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파라펫 방수 보호벽 또한 일단 위가 방수턱으로 막혀있어 콘크리트를 부어 넣기가 일단 어렵고요..부어 넣더라도 상부까지 밀실하게 하기가 어렵겠지요..방수를 위한 보호벽이니까 잘 막아야 합니다. 또한 내부쪽 거푸집은 타설하면 막히니까 제거를 할 수도 없겠구요..또한 유지보수를 위해선 벽을 헐어내야 할 수도 있는데 콘크리트 벽이면 허물기가 어렵겠지요. 등등 종합적으로 봤을때 조적이 효율적이라는 결론입니다. 답글이 길어졌는데 이해가 잘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시청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물론 설계자입장에서 볼때 겨울공사를 피할 여건이 되면 피하는게 좋지만 대부분 그렇지 못합니다. 시간은 자금과 이어지기때문이죠.. 일단 겨울에 콘크리트타설을 하게 되더라도 중요한건 양생 온도인데 요즘은 건설사들도 저마다 노하우들이 있어서 겨울에도 큰 무리없이 공사를 진행 합니다. 또 겨울중에도 너무 추운날은 왠만하면 타설을 못하게 일정조정을 하기도 하니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보통의 일반건축물에서 감리는 보통 건축사가 합니다. 보통 시공기술사는 건설사 현장소장님으로 많이 계시죠. 정확히는 저도 모르겠지만 책임상주감리일경우에 건축사 외에 건설기술진흥법에 의한 건설기술영역업자도 감리자를 할 수 있는걸로 아는데 아마 그 이야기를 하시는건지 모르겠네요..
항상감사드립니다
넵~감사합니다!!
감리시리즈 보다가 아키윤 팬됬습니다. 너무 설명 잘해주시고 도움됩니다. 너무감사합니다
팬이 되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자주 방문해 주세요^^
감명깊었어요 늘 꼼꼼하게 얘기하는모습. 고마워요 더 열심히 보고 배우고파요♡
네~칭찬 감사합니다. 저도 열심히 영상 만들어 보겠습니다!!
너무 흥미롭고 유익해요. 친절한 설명이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벌써 다음화가 기대돼요.
넵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100번째 쪼아요^~^
우와~ 진짜 100번째군요^^ 감사합니다~행복한 한 주 보내세요!!
이야.. 이 컨텐츠 중독성있네요.ㅎㅎ
꾸준한 시청 감사드립니다 박물관님~!!^^
하나도 안지겨워요 ㅠㅠ 건축 전공 공부하는데 너무 쉽게 설명을 잘해주셔서 이해가 쏙쏙 됩니다!!!! 목소리도 너무 좋으셔요
이렇게 단계별로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시니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앗~이런 응원의 말씀 감사드립니다! 뿌듯하네요^^ 힘을 얻고 더욱 열심히 좋은 영상 만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과정도 기대하겠습니당
넵 시청 감사드립니다^^
주차장이 아쉽습니다. 주차장으로 한 3층은 있어야 카 리프트 설치한 보람이 있을텐데요 ㅎㅎ
그러면 카리프트 한 대로 커버하긴 어려워보이는데요....
저도 안지겹고 자동으로 복습되고 좋습니다. 상급자분들꼐서는 좀 지겨울수도 있겠지만... 그런분들은 전체 영상 다 안보시고 필요한 시공 영상만 찾아서 보실듯 해요 ㅎㅎㅎ
아 네~그러시다면 다행이네요^^ 시청 감사드려요!
질문있습니다.1.다른 벽체는 콘크리트로 되어 있는데 유독 화장실부분이 조적벽으로 되있는데 무슨 이유가 있는지요?콘크리트는 타설만 하면되지만 조적벽은 인부가 일일히 손으로 쌓아야해서 인건비가 더들어 갈것 같은데 맞나요? 2. 지붕 파라펫 방수올림을 한뒤 조적으로 쌓는다고 했는데 조적이 아닌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조적벽보다 튼튼할 것같은데 조적으로 하는 이유가 있는지요? 답변부탁드립니다^^
아 네 조적벽에 대한 너무 좋은 질문이라 컨텐츠를 한번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일단 해당 건물에서의 조적 시공 이유는 건물의 구조가 철골 기반이기에 이미 골조가 완료되어 있는 상황에서
벽 철근을 배근해 거푸집을 짜더라도 콘크리트를 부어 넣기가 어렵습니다. 계단실, 엘리베이터등의 코어부는
철골과 결합되어 구조체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타설을 하기에 어려움이 없도록 애초에 반영을 해 놔서 상관이 없
는 것이고요. 그러니 비 내력벽들은 자연스럽게 아무 때나 쌓기만 하면 되는 조적으로 갈 수 밖에 없는 것 입니다.
그리고 화장실등에 조적을 쓰는 이유는 그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건 나중에 영상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또한 비용 면에서도 콘크리트벽이라고 타설만 하면 되는 게 아니고 벽 안에 철근 배근과 거푸집 설치, 양생 후 거푸집
제거 등 여러 공정이 있어서 조적보다 오히려 비싸다고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파라펫 방수 보호벽 또한 일단 위가 방수턱으로 막혀있어 콘크리트를 부어 넣기가 일단 어렵고요..부어 넣더라도
상부까지 밀실하게 하기가 어렵겠지요..방수를 위한 보호벽이니까 잘 막아야 합니다.
또한 내부쪽 거푸집은 타설하면 막히니까 제거를 할 수도 없겠구요..또한 유지보수를 위해선 벽을 헐어내야 할 수도
있는데 콘크리트 벽이면 허물기가 어렵겠지요.
등등 종합적으로 봤을때 조적이 효율적이라는 결론입니다.
답글이 길어졌는데 이해가 잘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시청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건축사님 영상 잘 봤습니다~ 근데 궁금한게 철근콘크리트골조공사는 겨울에 하게되면 하자가 많이 발생하나요?
물론 설계자입장에서 볼때 겨울공사를 피할 여건이 되면 피하는게 좋지만 대부분 그렇지 못합니다.
시간은 자금과 이어지기때문이죠.. 일단 겨울에 콘크리트타설을 하게 되더라도 중요한건 양생 온도인데
요즘은 건설사들도 저마다 노하우들이 있어서 겨울에도 큰 무리없이 공사를 진행 합니다.
또 겨울중에도 너무 추운날은 왠만하면 타설을 못하게 일정조정을 하기도 하니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archiyoontv3226 아 답변 완전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될 거 같아요^^
제가 나중에 건축시공기술사로 일을 하고싶은데 제가 알기론 시공기술사가 보통 감리를 하는걸로 아는데 아키윤님처럼 설계자가 감리를 하는 경우에는 공동으로 감리하나요??
보통의 일반건축물에서 감리는 보통 건축사가 합니다. 보통 시공기술사는 건설사 현장소장님으로 많이 계시죠.
정확히는 저도 모르겠지만 책임상주감리일경우에 건축사 외에 건설기술진흥법에 의한 건설기술영역업자도 감리자를 할 수 있는걸로 아는데
아마 그 이야기를 하시는건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