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 가려진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월급 평균 (김경민 대표 통합본)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exeiii
    @exeii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33

    여러분 250받으면 보통 다른사람처럼 버는거에요~~ 좌절 하지 마세요. (주7일하는사람이) 주5일 휴가있고 250받으면 괜찮은 삶이다~ 긍정적으로 살면 좋은일이 생깁니다~~

    • @나도훈-n5o
      @나도훈-n5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1

      혼자살때나 가능한 만족입니다

    • @괴물로살지마라
      @괴물로살지마라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6

      @@나도훈-n5o 능력이 250이면 혼자 살아야지 능력 보다 큰 욕망이 더 문제

    • @테나달
      @테나달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9

      실수령 혼자 250이면 괜찮죠

    • @DDG2-d5o
      @DDG2-d5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44

      어차피 250 받는 사람들은 결혼 생각이 거의 없을겁니다 결혼도 이제 돈많이 버는 사람들이나 하는거지요 그러니 혼인률이 이렇죠

    • @하영선-c6v
      @하영선-c6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1

      250받으면 중간입니다.

  • @Hello-Annyeong
    @Hello-Annyeon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43

    유튜브는 줄이라고 말하고싶고
    인스타는 아예 끊으라 말하고 싶다..
    인스타는 정말 아니야..

    • @DiSilk-s7r
      @DiSilk-s7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비교문화 ㅋㅋㅋ 내가제일잘나가~~크아아앙

    • @바통령신
      @바통령신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인스타 하는 사람들은 다 부자에요.. 해외여행 기본에 좋은차타고다님

    • @linkarts908
      @linkarts90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남놀러댕기는건 관심없고 보드정보만 봄 ㅋㅋㅋㅋ

    • @shb200
      @shb20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인스타는 장사하는 사람들이 광고하고 물건팔려고 하는 곳.
      거기에 넘어갔다? 그 자체로 호구

    • @qqpe8491
      @qqpe849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인스타는 광고 목적으로 만들어졌는데 일반사람들은 그냥 sns줄 알고 쓰는사람이 많더라고요. 엉뚱한곳 보면서 마인드만 박살 나는지도 모르고.

  • @castrated-u6c
    @castrated-u6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74

    진짜 열심히 살았습니다. 지방국립대 졸업하고 중소기업15년 차입니다..중산층 까지 될려고 그동안 날 꾸미지도 못하고 결혼도 못하고 병만 얻었습니다.. 많은걸 느끼게 합니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건 남이 아니라 내 건강한 나라는걸

    • @dT_Tb
      @dT_T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거레알 정답 !

    • @andlscjsgk
      @andlscjsgk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진찌 열심히 살았습니다. 지방국립대 졸업하고 중소-중견-대기업 7년차 연봉 8천입니다. 배당투자로 월 300 추가로 들어옵니다. 중산층 까지 될려고 그동안 날 꾸미지도 못하고 결혼은 이쁜여자와 했습니다. 병은 아직없고 많은걸 느끼게 합니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건 남이 아니라 현실탓 하지않고 올바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노력해서 결과를 내는 건강한 나라는걸.
      같은조건이지만 결과는 사람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긍정이 힘입니다.

    • @xxnunoxx
      @xxnunoxx 4 месяца назад +27

      ​@@andlscjsgk 염장질 하면서 뭔 긍정의 힘 ㅇㅈㄹ~

    • @andlscjsgk
      @andlscjsgk 4 месяца назад

      @@xxnunoxx 이게 무슨 긍정의 힘에 염장이냐.. 현실탓하지말고 제대로 살면 어느정도는 성공한다고 비꼰거지. 문해력도 떨어지고 뭐눈에는 뭐만보인다더니 평생 그렇게사세요

    • @킹루루
      @킹루루 4 месяца назад

      ​@@andlscjsgk 너말고 다염장질이라고 느낄거같은데 계속 고아처럼티내고펑생 살어~

  • @provence3900
    @provence390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0

    우리가 아는 다른 사람들의 월급이 너무 부풀러져 있어요. 커뮤니티 게시판을 보면 연봉 1억이 너무 흔한 것 처럼 알려져 있어요. 거리에 너무나 흔한 외제차, 수십억 연봉 받는 프로 선수, 연예인들 소식이 넘치니 모두가 월급이 높고, 나만 낮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이번 동영상에서 설명해 주는 것이 정확한 정보인 것 같습니다.

    • @yesyousong2006
      @yesyousong200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저도 그런줄 알앗는데 아니더라고요.... 고딩동창 갔었는데 생각보다 잘 버는 애들 엄청나게 많다는걸 깨달앗어요 ㅋㅋ 그렇다고 좌절하고 그런건 아니고 신기햇음

    • @초랭이-t7e
      @초랭이-t7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yesyousong2006누군가는 적게 벌어서 평균이 맞겠죠

    • @훈하현
      @훈하현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yesyousong2006장담하건데 그중 허세 허풍 50프로 정도 물론 찐도 있겠죠

    • @swk3164
      @swk316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2

      @@yesyousong2006 보통 동창끼리 월급 엄청 부풀립니다. 속빈깡통이 많습니다.

    • @hjk1618
      @hjk161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yesyousong2006 그런모임은 sns와 다를바가 없습니다...

  • @부스터2016
    @부스터201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0

    sns한번 끊어보세요.
    2주만 끊어보면 뭔가 편안해요.

  • @최욱진-t8i
    @최욱진-t8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62

    1500 년전 원효대사가 말 했잖아여
    세상만물 이치는 내마음 속에있다고
    남하고 비교하지 말고 살아여..😅

    • @뀨-b9r8n
      @뀨-b9r8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원효대사도 아무것도 없는 산에서 살았기때문에 가능한말인듯
      예수도 원효대사도 자본주의에서 살았으면 달랐을거 같은데
      무소유 책까지 썼던 혜민스님도 강남건물주에 슈퍼카 타고다니더만

    • @집돌이-y4t
      @집돌이-y4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법정스님이겠지 혜민은 풀소유

    • @좌파는정신병이다
      @좌파는정신병이다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원효대사가 뭐하는 10색이인데 고인물을 뭐하러 꺼내 해골바가지 흙탕물이나 쳐마시더니 정신이 으띃게 된건가

    • @덕이-f2p
      @덕이-f2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비교하면 불행하다고 해도 어쩔수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그렇게 살아야지

    • @아따마-t1t
      @아따마-t1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뀨-b9r8n 그양반은 원래 ㅅㄱ꾼

  • @nalk9724
    @nalk972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2

    이분 어쩜 이렇게 설명을 잘하시지. 진짜 잘 듣고 갑니다

  • @user-gv3ey8fw2b
    @user-gv3ey8fw2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3

    어느순간 250월급받으면서 명품가방메고 출퇴근하는 내 모습에 현타가 와서,,, 아끼고 모으고 형편껏 살려고 한다. 고작 20대 후반이었는데 남들 다 있는 명품 없으면 도태될줄 알았다. 한국은 사치와 올려치기가 너무 심해;; 해외도 밥 먹듯이 가길래 난 그게 당연한건줄 알았짛ㅎㅎ

    • @현정환-f9s
      @현정환-f9s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에구..명품이 뭐가 당연하다고!
      내형편에 맞는 현명한 소비가 더 아름다운데...통장에 돈이 있음 그냥명품없어도 든든함

    • @ahahwgqye12
      @ahahwgqye12 Месяц назад

      전 월급 400인데도 명품 절대 안사고 최대한 아끼고 당근해서 중고로 사요..

  • @J크루
    @J크루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24

    -욕심부리지 말고 비교하지 말고,
    작은 것에 만족하면서 오늘을 즐겁게 살자,
    마지막 순간에 "참 좋은 인생이었다." 라며
    웃을 수 있게.

    • @성이름-i2b3e
      @성이름-i2b3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돈좀 줍쇼

    • @바람-k2f
      @바람-k2f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성이름-i2b3e그지냐?
      니가 벌어서 당당하게 살아

    • @kor6764
      @kor676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명언입니다.

    • @핑동-v6y
      @핑동-v6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멋지지만 창으로 어려운 말입니다
      뇌에새기도록 항상 상기해야겠네요

    • @꿍이-m6l
      @꿍이-m6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는말이고 그렇게 해야된다고 하지만.. 맘처럼 안되요..

  • @柳修翰
    @柳修翰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궁금해서 나이대별 통계청 자료 확인하고 왔습니다.(22년 기준)
    만19세~24세 평균소득 199 중위소득 191
    만25세~29세 평균소득 287 중위소득 266
    만30세~34세 평균소득 351 중위소득 315 입니다
    참고하셔용

    • @마운틴-t6k
      @마운틴-t6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평균이라 애매해 잘받는 사람은 많이 높아서 전체적인 평균이 올라가는 거임

    • @柳修翰
      @柳修翰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마운틴-t6k 말씀하신 내용은 평균소득에 해당하며, 그에 따른 통계적 오차를 해소하기 위해 중위소득의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쉽게 말해 1등부터 100등까지 줄 세워놓고 그 중에 50명째의 소득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평균 값이 아닌 실제 중간 값을 어느정도 유추할 수 있습니다

    • @마운틴-t6k
      @마운틴-t6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柳修翰 ㅇㅇ 그니까 평균값보다는 대체적으로 못받는다구

    • @leatube2202
      @leatube220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런건 세전인가요 세후인가요????

    • @박민규-p5e
      @박민규-p5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leatube2202 세전용

  • @sweety5135
    @sweety513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56

    sns는 믿을 게 못 돼요 안 하는 게 상책...별스타만 끊으시면 돼요

    • @jsb8718
      @jsb871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5

      인스타같은 sns 끊고 그 시간에 도서관에서 독서만해도 인생의 절반은 먹고 들어감

    • @saenantv8372
      @saenantv837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ㅇㅈ

    • @괴물로살지마라
      @괴물로살지마라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ZhugeLiang1004 욕망을 능력만큼만 가지면 충분히 삽니다

    • @김동호-z3h
      @김동호-z3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자기만의삶 살아야ㅡㅡㅡ

    • @ARAM-YEE
      @ARAM-YE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어릴 땐 치킨 2주에 한번 시켜먹었나... 짜장면도...

  • @RooRoo1023
    @RooRoo102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64

    전 저런 시기 질투가 너무 스트레스여서 sns 다 끊은지 5년 되었어요 그 전엔 인스타 열씸히 하다가 확 끊어버렸는데 비교 안하는 삶 진짜 건강하고 사랑스러워요

    • @anjdizz
      @anjdiz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저도 sns 안한지 5년정도 된 것 같네요. 그동안 자존감이 많이 올라갔어요. 어쩌다 sns 잠깐 들어가보면 와 신기하다.. 싶다가도 좀 불편한 감정들이 많이 생기더라구요. 저도모르게 게시물 볼때마다 비교를 하게 되고. 이런데에서 자기 자존감을 갉아먹는 것 같네요. 오랜만에 찾아도 진짜 의미없구나 싶어서 3분도 안되어서 다시 꺼버려요 ㅋㅋ

    • @RooRoo1023
      @RooRoo102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anjdizz 너무 공감되네요!!!!!!!

    • @gmvisck
      @gmvisc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anjdizzSNS도 자신의 소소한 일상생활을 일기처럼 기록한다고 생각하거나 정보 저장용으로 하면 나쁘지 않은데 허세질로 SNS하면 스트레스만 받음...

  • @manyiw
    @manyi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0

    와.... 정말 오랜만에 모든 말을 하나도 흘리지 않고 전부 몰입해서 봤네요! 주변에 지인들에게 공유 공유 공유 해봅니다!! 👏🏼👏🏼👏🏼
    전 저장해서 두번 세번 봐야할 것 같네요!

  • @상큼발랄-l5j
    @상큼발랄-l5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0

    세상에나 알고리즘떠서 집안일하며 틀어놨어요 너무 소중하고 유익한강의에 맞는말씀과 깨우침까지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이런 강의를 무료로 볼수있다는 것 만으로도 행복하네요 많은분들이 영상 볼수있도록 좋아요 누르고갑니다~~

  • @Jasonmraz643
    @Jasonmraz64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5

    월300만 벌어도 상위 15%라는건 안타깝네요...
    월200이 최저시급인데
    물가 오르고 회사는 성장해도
    월급은 최저시급만큼 오르는게 현실이니

    • @JuneLegend
      @JuneLegen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근로소득 기준이라서 그렇고, 사업해서 버는 사람들은 수배에서 수십배 이상 벌기도 하죠.
      또, 그만큼 국가경제적으로 상위권 사람들이 하위권 사람들을 돕고있다는 뜻일 수도 있습니다.

    • @2342-u8h
      @2342-u8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JuneLegend 자영업자 70%이상이 월소득 300만원 이하입니다,

    • @Simizu31
      @Simizu3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300이 상위 15%라고?
      유튜버중에 직장인들 연봉 묻는 유튜브 영상 보고오셈
      월300은 절대 상위 15%아님

    • @namedno320
      @namedno32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300 아니에요. 약 400, 작년통계기준 연봉5000이 상위 20%로 였습니다. 15퍼면 한참 위일겁니다.

    • @qnpfr5623
      @qnpfr562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

      ​@@Simizu31 본인연봉이 적다고 생각하는사람은 인터뷰에 응하지 않습니다.
      부끄럽다고 생각해서요.
      연봉얼마세요 인터뷰 통계로 평균을 생각하는건 부적절하다고 생각되네요

  • @gichan-song
    @gichan-son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3

    단순히 직장인 월급 평균이 궁금해서 들어와봤는데... 삶의 본질을 깨닫고 가네요 취준생 입장에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minio6285
    @minio628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5

    60대 이상이 집 자산 많은 것은 하나도 문제 아님.. 문제 삼는 사람도 거의 없고. 어차피 그 분들의 자산은 시간이 지나며 자녀세대로 이전될 것이니까요. 문제는 저 분들이 일군 자산이 자녀세대로 이전되면서 잘사는 베이비부머를 윗대로 둔 젊은층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이제는 신분을 이루고 살게 되니까 그렇죠. 자기 신분이 정해졌는데 왜 그걸 자녀에게 물려주고자 하겠습니까

    • @킨메다이-f6l
      @킨메다이-f6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그렇죠... 계층이동이 막힌 게 크죠. ㅎㅎ 자산 가격이 너무 비쌉니다... 특히 집... 부동사 시장만 잡히면 노동임금만으로도 살만할텐데요.

    • @이승진-z4e
      @이승진-z4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 그들이 투기로 집값을 좆같이 만들어 놓은게 문제라고 봅니다

    • @jinnoel8467
      @jinnoel8467 4 месяца назад

      한국은 사실상 계급사회임

    • @nameno379
      @nameno379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선진국에서 상속세 폐지시킨게 중산층하고 부자가 줄어서 세수가 줄어서인건 모르시죠? 우리나라만봐도 10프로가 90프로의 세금부담하는것도 모르시죠? 그리고 대충 10억 이상부터 20~30프로 30억까지... 40억 40프로 50억 50프로 입니다. 결국 아버지대 부자나 중산층이었던 사람중 10명중 8~9명이 아래로 계층이동 합니다. 그래서 유럽이나 북미 OECD선진국이 상속세 증여세 폐지하고 소득형 자산이나 소득에 세금 많이 때리는겁니다. 심지어 알바도 80인가 60만원 이상이면 세금 내기시작하는 나라도 있구요

    • @임림제
      @임림제 Месяц назад

      ㅇ휴 소중국 마인드 ㅡㅡ

  • @고길동-g4g
    @고길동-g4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71

    통계를 보면 답나오는데, 커뮤상에는 전부 상위권이여ㅋㅋㅋㅋㅋㅋㅋ

    • @실화냐-j1g
      @실화냐-j1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레알ㅋㅋㄱㅋ

    • @kor6764
      @kor676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커뮤니티는 허영심을 엄청 심한 집단이라서 무시하면 괜찮습니다.

    • @pony-123
      @pony-12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백수에 미래가 안보이는 에들이 자기만족 할려고 컨셉질 하는거 아님?

    • @hcy29
      @hcy2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ㄹㅇ 커뮤 보면 무슨 150억 있다는 사람이 개미처럼 일만한다는 ㅅㄲ도 있고
      무슨 50중반에 30억은 좀 부족하고 최소 60억은 있어야 한다고 ㄱ소리하고 ㅋㅋㅋ
      그 밑 댓글에 30억을 누구 코에 붙이냐고 100억은 있어야 한다고 하고 ㅋㅋㅋ
      30억 있는 전문직인데 죽을때까지 벌어야 한다고 하고 ㅋㅋㅋ
      일반인 기준이 순자산 100억 있어야 여유롭게 자식도 도우면서 살 수 있을거 같다고 하고 ㅋㅋㅋ
      죽을때까지 벌어도 현금 5억 벌수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데 무슨 30억 100억 150억이 막나옴 ㅋㅋㅋ
      지금 월급쟁이 기준 연봉 1억이 상위 6%정도 인가 그런데 ㅋㅋㅋ(이것도 20대부터60대 전체 통합으로)

    • @yjm9068
      @yjm906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중학교 가보면 자기는 스카이 아니면 안간다는 애들 많음 비슷한거임 ㅋㅋ

  • @Unicum1004
    @Unicum100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을 볼때 단순 연봉만 가지고 계산 하면 안됨
    눈에 안보이는 복지까지 따지면
    격차가 훨씬 더욱더 많이 차이가 납니다

  • @TEMA-923
    @TEMA-923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좋은 강의이자 정보를 알려주시는 영상 콘텐츠 정말 조용하게 끝까지 두번 시청했습니다.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 @Galileo9.81
    @Galileo9.8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비교는 대도록이면 하지말되 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는 희망과 꿈 계획 실천까지 하는 모두가 되길 바랍니다. 이왕 한 번 사는거 현실 안주는 노노노~😊

  • @soosia716
    @soosia716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도 그저 제목만 보고선
    “야 나는 평균 이상인가 이하인가??”
    그저 그 값만 보고선 위안이든 의지든 현타 정도만 느껴야지 하고 봤는데,
    정말 깊이있고, 생각할 거리와 나를 돌아보게해주는
    그저 ”값“보다는 “가치”가 있는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jse5217
    @jse521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집을 가지면 중산층이니 뭐니 그러는데... 요즘에 주변사람들 보면 집을 이제 안살거라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더라구요. 어차피 빚내서도 평생 못사는 미친 부동산 가격에 그냥 평생 무주택자로 살겠다네요. 굳이 내 소득이 안되는데 억지로 사주면서 노예가 되지 않으리라 하는 깨닫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는데... 과연 향후 부동산이 어떻게 될지... 근데 지금 살 수 없는 가격인데 그걸 정부가 저금리로 사라고 부추기는걸 보면 정부 입장도 이해는 되는데 그래도 부동산 부양하는 정부가 역겹네요.
    아무튼 SNS의 왜곡이 참..

  • @buynghoon
    @buynghoo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18

    일단 "명품"이란 단어부터 버려야한다."사치품"맞는 단어다.

    • @이관호-w2b
      @이관호-w2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2

      @@jjjjs4016당연히 잘하고 다니죠;; 그럼 버림?

    • @user-wd9ts3bk7w
      @user-wd9ts3bk7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jjjjs4016 님도 원 댓글이 말하는 요점을 파악 못한듯ㅋㅋㅋㅋㅋ

    • @삐돌이-d6m
      @삐돌이-d6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풉ㅋ

    • @user-wd9ts3bk7w
      @user-wd9ts3bk7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jjjjs4016 님도 원댓글 요점 파악 못한듯ㅋㅋ

    • @사슴벌레-n3k
      @사슴벌레-n3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jjjjs4016 근데 그 요점이랄 게 확실히 생산적이진 않구만

  • @드리미-l2h
    @드리미-l2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3

    스스로 위로하며 살면 좋을 것 같아요. 자기 만족도 필요하니까요!

  • @꾸준히잘했다
    @꾸준히잘했다 3 месяца назад +8

    3:40 ~17:45 대한민국 현실 월급
    26:00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말고, 어제의 나만 비교해라. (12가지 인생 법칙)
    28:50 다른 사람 사는걸 비교하면서 계속 쳐다 보고 살면,
    내 행복과는 점점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29:13 직장이 단순히 돈 버는게 아니라, 내 실력을 쌓을수 있는 필드다.
    일=즐거움, 놀이

  • @DariAlbes
    @DariAlbe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0

    주말 빨간날 다쉬고 연차 자유롭게 쓸수 있고 주40시간 이상 일 안하고, 퇴근 후 연락 안오고 실수령250이면 좋은겁니다.

    • @차짬
      @차짬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위 조건이면 250이 맥시멈이긴 하겠네요. 많이 받으면 많이 받는만큼 책임질 일이 많아집니다.

    • @insupnet
      @insupne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정답!!!! 전 하루 16시간일을 하고 월 천이상인데 주말딱 하루쉬고요 삶이 정말 피폐합니다 차라리 시간많이남고 따뜻한 저녁이란 자리를 택하고 싶습니다 으휴~

    • @불당삼봉
      @불당삼봉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잔특근안하믄 세금띠구180이죠.울회사 신입들.
      밤늦기일하는 생산직은 실제 300이상받는데.
      다 외노자죠.
      불경기일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 @jaylee3388
      @jaylee3388 Месяц назад

      주말 빨간날 다 쉬고 연차 자유롭게 못쓰고 주43시간정도 일하고 퇴근 후 연락 가끔오고 450임

  • @닉이-c6b
    @닉이-c6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직장인 월급 다 비슷해요.
    그냥 내 자신의 삶의 행복을 찾고 거기게 가치를 두는게 현명합니다.

  • @아재파탈-m8j
    @아재파탈-m8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평균에속지말고 상위 무슨 1억 10억이 평균월급을 올리고있다 현실은 250만 더잘번다면 300만 전후가 현실이 아닌가
    사치에 눈멀지 말고 본인 인생을 만족하고 잘살자

  • @cyjyjc3739
    @cyjyjc3739 4 месяца назад +2

    28살 청년입니다. 말씀하신대로 겉 따지지 않고 실력을 올릴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작은 곳에 취업해서 차근차근 실력을 쌓아가고있는데,,, 이런친구들이 훨씬 많은데, 언론에서는 소수의 생각없는 사람들을 그저 나이로만 mz에 묶어서 허황된 삶만 사는 것으로 20대를 그려내는 현상도 무력하게 만드는 요소인것 같아요,,, 또 20년전보다 물가와 경제눈높이는 치솟았는데, 20년전과 기업내 연봉차이는 얼마 차이 안나는것도 문제인듯 싶어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신경호-e1h
    @신경호-e1h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연봉 5천 받아봤는데요 고졸이고 특별한 기술없이 진짜 시간 갈아넣고 주말없이 일했는데요 남는거 없습니다.. 건강 버리고 지금은 이직하고 연봉 3천 중반정도인데요 주5일제에 공휴일 쉬고 명절쉬고.. 7년만에 명절에 쉬어보네요..
    그냥 진짜 적당히 벌고 쉴때 쉬는게 좋네요

  • @moutainisalwaysright
    @moutainisalwaysright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와 37분동안 이렇게 말을 잘하실 수 있다는 것에 대해 감탄하고 갑니다.. 내용도 좋은데 말 정말 잘하십니다!!

  • @leeminwoo6566
    @leeminwoo656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와 말씀을 진짜 빨리 하시는데 귀에 팍팍 꽂히네요... 한 10번은 봐야하는 영상입니다.. 요즘 한국인들이 왜 불행한지를 너무나 잘 알려주는 영상이네요...

  • @내가그린기린그림-s5d
    @내가그린기린그림-s5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나도 중소로 최저임금 시작했고 sns도끊고 열심히 자기개발해서 퇴사후에 30대초지만 5-600평균도 푸리랜서로 찍어봄 모두 화이팅합시아

  • @은둔자-d1b
    @은둔자-d1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한국인들은 상위10%를 미들클래스 즉 중상층이라고 상상들을 한다.그러면서 다들 우울해한다.. 미친.
    저렇게 국가 통계수치를 보여줘도 "아무일이나해도 300벌려요" 하면서 안믿는사람들이 있다.키보드 워리어.
    대한민국 근로자 대부분 실질적으로 미들클래스 중위구간 200~300만원대 월급여를 받고있는데..나는 왜 상위10%가 아닐까하고 우울해하는 이상한 나라국민들.

    • @hcy29
      @hcy2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ㄹㅇ 무슨 300,400,이 막나옴 ㅋㅋㅋ
      그냥 저냥한 고졸,대졸(명문대 제외) 들은 그냥 몸 갈아넣어야 300 버는건데
      무슨 월급 500이 어쩌고 연봉이 1억이 어쩌고 ㅋㅋㅋ
      지금 은퇴 직전까지 일해도 실수령 500도 못찍고 퇴직하는 사람들이 허다한데 뭐만 하면 월천 억대연봉 ㅋㅋㅋ

    • @oyo4115
      @oyo411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실제로 아무일이나 해도 300이상은 무조건 법니다. 300도 못벌면 사람도 아니에요. 잉여인간임. 산소가 아까움.

    • @이종엽-n7i
      @이종엽-n7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oyo4115 자기소개 참 거칠게 하시네

    • @oyo4115
      @oyo411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wortglim8004 월급 300도 못벌면 인생패배자 수준임. 아무리 못벌어도 월급 9000만경 달러 정도는 벌어야 사람으로 인정해준다.

    • @강아지-w5z
      @강아지-w5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oyo4115애미없이 자람?

  • @OE_Banchan
    @OE_Bancha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국민의 대다수가 250 평균으로 버는데 , 250 벌면 거지인 것 처럼 인식하게 만든 sns는 병이 맞다

  • @llIlllllllllllllll
    @llIllllllllllllll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과거의 나도 다른 사람에게 보여지는게 중요하게 여기었지....
    이것이 우리의 삶의 가장 큰문제로 보인다.
    남들과의 경쟁에서 좀 더 앞선 사람들이 대기업에 다니게 되고, 대기업내에서도 수 많은 경쟁을 하고 있다. 그 안에서 살아남기 위해 항상 경쟁.
    그 경쟁과 경쟁에서 살아 남는 자들이 상위권이라고 생각한다.

  • @고라닝-w6s
    @고라닝-w6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37살인데. 주변에. 30명 친구들 중에 대기업 1억 이상 친구들은. 2명입니다. 절반받는 친구들도 몇.안되구요. 강의 잘듣고 갑니다.

  • @cwryu5286
    @cwryu528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말 좋은 강의 잘 봤습니다.

  • @날렵한달팽이
    @날렵한달팽이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5

    세후 300도 잘버는겁니다 꾸준한게 중요해요

    • @서동현-f9s
      @서동현-f9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그건아님;

    • @lgh1072
      @lgh107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서동현-f9s 그건 아님

    • @y.s6622
      @y.s662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주5일에 남들쉴거 다쉬는 사무직 300 이면 괜찮은거지

    • @서동현-f9s
      @서동현-f9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y.s6622 솔까 그건아님;;

    • @강형욱-o7d
      @강형욱-o7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8

      백수들이나 300별거아님 이난리 치지 ㅋㅋ.

  • @태담-e4s
    @태담-e4s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사실 절대적인 급여액보다 본인의 상태가 어떤 조건에 놓여있는지가 중요하죠. 결혼을 한 가장인지, 빚이 있는지, 차는 뭘 모는지, 아이가 볓인지 등등.. 똑같이 300을 받아도 외벌이 가장이면 저소득층이고 반면 총각인데 새어나가는 돈 없이 저축 잘하면 300도 아주 적은 돈은 아니죠.

  • @smith5326
    @smith532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멋진 통찰 감사합니다

  • @breezybeforerain
    @breezybeforerai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편집하느라 고생하셨겠어요. 덕분에 편하게 잘 보았습니다. 고맙습니다.

  • @엑셀신
    @엑셀신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노후보장되지않는곳에서 행복이란 뭘까..

  • @지금한다
    @지금한다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월 1000만원 벌어도 능력 이상의 사치에 행복을 느끼다가 말년에 폐지줍는 사람도 있구요. 월 250 벌지만 조금씩 자기개발하면서 돈 굴리는게 즐거운 사람도 있어요. 연봉은 아주 중요한 요소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결국 사람이 중요해요. 나에게 사치와 행복이란 무엇인가를 정확히 정의하고 나면 박탈감을 느끼는 일은 거의 없을 겁니다.

  • @allgalwog9171
    @allgalwog917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8

    구체적이고 수치적으로 정확한 설명 감사합니다. 전적으로 동의하며 대한민국 국민들의 눈만 높아져서 중산층 기준이 지나치게 상향 평준화가 되었습니다. 미디어에서 편집 된 최상위 연예인 라이프와 SNS의 찬란한 순간들을 구경하며 중위층임에도 불구하고 체감상 하위층으로 느껴지는 상대적 박탈감과 불안감으로 평생 불행하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성공한 인생이나 회사의 기준을 자산이 아닌 사회적으로 인류를 위해 얼마나 의미 있고 가치 있는 물건을 팔거나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로 평가 기준을 바꾸고 선의의 경쟁하는 건강한 사회가 된다면 수 많은 사회적 문제와 우울증 같은 정신적 문제도 많이 해결될 것 입니다. 건강한 대한민국의 미래를 응원합니다.

  • @jangpd2149
    @jangpd214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진짜 말씀 잘하십니다.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좋아요, 댓글, 구독 꾹!

  • @ckse5676
    @ckse567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우리나라만 sns이용하는게 아니고 다른 국가들도 이용하는데
    남과 끊임없이 비교하고 올려치기하는 건
    우리나라가 유독심해

  • @김찡콩
    @김찡콩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7

    24년한회사 다니고 현장에서 일하다보니 저인간 아직도 저회사다닌다 월급 많이 받겠네~ 한다
    24년쯤다니면 50살다된다.. 근데 30대가 받는 320만원정도 받는다..50살이 다되는데 물론 인센티브가 있기는 하지만
    그건 성과급이고...50살이 넘도록 500만원받는거 특정기업아니면 못받는다.. 고로 하고 싶은거 하고 사세요
    그리고 오래다는 회사 사람 뭐라 하지 마시고 능력없어 보이지만... 끈기있는 사람이라고 평가해야 한다
    얼마를받든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다르고 자기 만족에 살아야 한다.. 남과 비교 하지 말자 일단 빚만 없으면 산다...

    • @chardri8660
      @chardri866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당신같은 숙련자가 있기에 기업이 돌아가는겁니다. 자부심 가져도 됩니다.

    • @perypell
      @perypel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사실 이제는 이전처럼 한회사 오래다니는게 금전적인 측면에선 도움이 되지 않죠..ㅎㅎ 하다못해 중간에 2~3년정도 다른회사 갔다가 다시오면 몸값이 오르는마당이니 ㅋㅋㅋㅋ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곳에 꾸준히 다녔다면, 그 사람의 끈기와 우직함에 박수를 보내줘야 할거라고 봅니다. 어쨌든.. 어딜가도 받아주는곳이 없어 움직이지 않은게 아닌이상은 한곳에 꾸준히 다니는게 쉬운듯 하면서도 어렵거든요

    • @ddd3618
      @ddd361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대기업도 계약은 그리 안높아요 대부분 인센이 잘나오는거라 그걸 빼고 계산하시면 안돼요 ㅋㅋ

    • @asdsadad3845
      @asdsadad3845 4 месяца назад

      형님 저는 올해 서른이고 회사 3년 다녔는데 연봉 1억 넘겼습니다ㅎ 서울에서 근무하고 주5일, 1년에 휴가 35개, 야근 0분, 8시 출근 5시 퇴근합니다 ㅎㅎㅎㅎ 화이팅

    • @킹루루
      @킹루루 4 месяца назад +3

      ​@@asdsadad3845ㅇㅁ디진건왜빼고말하냐

  • @chuccaru5753
    @chuccaru575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7

    1억버는데 23년걸렸어요. 월급80으로 시작 100 120 150 180 200.특히 200때 서른살이었는데, 현금으로 꽉찬봉투(5만원권 없었음) 가슴팍에 꽂고 퇴근할때 그 벅찼던 심정 아직도 생생하네요. 우리자식도 그런거 느끼게 해주고싶어요. 노력으로 얻는 보람. 그게 합쳐져서 자존감이 되거든요.

    • @canzjon
      @canzjo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무섭다.
      난 다른걸 느끼고 싶음
      강요는하지 마세요

    • @JuneLegend
      @JuneLegen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월급봉투 들고 치킨 한마리 사가는 그런 감성이 좋긴 한데, 그만큼 강도와 뻑치기가 많았던 시절이죠.

    • @초코초코초-n6l
      @초코초코초-n6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그 자존감이 어디서 올까요? 만약, 당신 자식분들이 그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다면 어디서 자존감을 얻어야할까요? 2030인 제가 느끼기엔 현대의 많은 청년들이 느끼는 불행과 절망의 기원을 글쓴이님이 그대로 보여주시는 것 같습니다. 정말 고생하셨고 노력하는 모습 멋있습니다. 그렇지만 당신께서 그러했듯 자식분들도 스스로 자존감을 얻어야 진정한 자존감이 아닐까란 생각이 듭니다. 인생은 타의든 자의든 비포장도로를 걷게 될 수 있으니깐요

    • @dadajaeme1300
      @dadajaeme130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지출뺴고 저축으로만 1억버는데 평균 3~4달 걸립니다.일해서버는 돈이 가장 빠르다...현재에 감사하고 살고있습니다.

    • @하하-h1t
      @하하-h1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댓글은 성취감으로 자존감을 올릴 수 있다는거잖아요.. 1억 모으신걸 예로 드신거고.. 성취감이 스스로 자존감 얻는거지 뭐가 스스로 자존감 얻는 건가요ㅋㅋ

  • @멀더fox
    @멀더fox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타인의 욕망을 욕망한다 이거 진짜 맞말이다 내가진짜 원하는게 뭔지 찾아야되는데 인기많거나 매스컴에 노출되는것만 찾으니

  • @igy5688
    @igy568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 강의를 이렇게 편하게 볼 수 있다니 너무 좋네요 ^^

  • @단팥빵-v3z
    @단팥빵-v3z 6 месяцев назад +9

    41살인 나는
    월급 세후 200 만원임.
    나같은 사람도 있음.

  • @ds-k7878
    @ds-k7878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와... 머리를 띵~ 하고 한대 맞은거 처럼 감탄을 하게 되네요. 정말 놀라운 인사이트 입니다.

  • @akimototamaki
    @akimototamak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주 5.5일 일하면서 300초반 정도 받는데 확실히 SNS는 독이긴 합니다. 그냥 내 분수에 맞춰서 사는게 제일 속편한것 같습니다

  • @mug3154ify
    @mug3154if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강의가 하나도 지루하지 않고 정말 재밌어요 ㅋㅋㅋ 감사합니다. 자신의 가치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되었어요.

  • @TodaysGoals-u7y
    @TodaysGoals-u7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연봉이 중요한게 아니라 "저축할수 있는 돈"이 진짜 연봉이다.연봉 5000에 나가는돈이 월 350이면,연봉 3000에 월 저축 180가능한자가 더 연봉높은거다!

    • @abca9019
      @abca901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건 아닌데요ㅋㅋㅋ 연봉5천에 자녀있고 집있는 사람이면 연봉3천에 캥거루족보다 못버는거임? 경제관념 박살...

    • @TodaysGoals-u7y
      @TodaysGoals-u7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abca9019 투자.집 이런이야기를 하는게 아니라 연봉보다 현금보유가 중요하다는 말입니다.나가는 돈 많으면 연봉높은건 의미없음.

    • @TodaysGoals-u7y
      @TodaysGoals-u7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abca9019참고로 인구감소때문에 투자목적 대출로 집사는것도 의미없어짐.인구감소때문에 집값은 계속 떨어질걸로 예상.ㅋ 현금보유 현금부자가 가장 중요함!

  • @joonlacas3261
    @joonlacas3261 Месяц назад +1

    학교가 명문일수록... 탑티어급 대기업을 선호하고... 반대일수록... 일반 공기업 선호도가 높은듯 하더군요. 아마 학벌에 따른 자신과의 타협의 결과인듯 합니다. 사실 공기업이라도... 또 대기업이라도... 업종에 따라 연봉은 두배 가까이 차이가 납니다. 예로 금융공기업과 보통공기업이 그렇고... 반도체 및 IT대기업과 유통대기업이 그렇습니다. 요즘 대학 다니는 아이때문에 요즘 세상은 어떻게 변했나 참 많은 조사를 해보는데... 우리때보다도 기업간 직종간 학력간 임금격차는 훨씬 차이가 큰듯 합니다. 다행히도... 우리때와는 달리 학벌보다는 실력을 보는 기업들이 더 많은듯 하더군요. 하지만 그 실력을 증명하기 위해선 참 열심히 공부하고 준비해야 하는듯 하더군요. 명문대 졸업한 조카들이 그러더군요. 대학은 또 다른 고3 4년이라고... 모든 노력하는 젊은이들이 그에 합당한 보상을 받길 바래봅니다.

  • @redwitchlynjunior9565
    @redwitchlynjunior956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연봉5천이 어려운게 아니라
    입사 후에 경험과 실적이 차곡차곡 쌓이는데도
    인정받지 못하고 연봉이 오르지 않는다는게 문제죠

  • @방구대장-g4g
    @방구대장-g4g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내가 남보다 못삶을 불행이라 느끼면
    불행이지만, 남처럼 살아봐야겠다 노력해서 나아지면 긍정입니다.
    그냥저냥 사는걸로 만족하는것도 복이지만 , 만족하고 살아라 하는 사람들의 말을 들어서 만족하진 맙시다.
    열심히 노력해보고 좌절도 하고 그러는게
    사는맛아닐까요

  • @HoyoungKang1234
    @HoyoungKang123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통계청 중산층 기준은 말이 안된다.. 중위소득의 절반이면 최저임금도 안되는 돈인데 그걸 어떻게 중산층이라고 하나? 그건 하층이다.
    통계청방식이라면 중위소득이 아니고 평균소득이라면 어느 정도 말이 된디ㅏ.
    중위소득에서 평균 소득까지가 중산층이 되지 않을까 싶다..
    또 다른 SNS가 말하는 중산층은 말이 안되는게 연 6000 실수령액을 받아서 어떻게 30평 집과 현금 억대가 통장에 있을 수 있나?

    • @미랑이-v8b
      @미랑이-v8b Месяц назад

      제가 최근 25년간 평균연실수령액으로계산하면 4000전후입니다
      현 50대초반에 30평아파트에 퇴직연금어에 수억대현금보유합니다
      살기나름입니다

    • @HoyoungKang1234
      @HoyoungKang1234 Месяц назад

      @@미랑이-v8b 4000이면 중위소득 정도 되니까요. 지역에 따라서 집문제는 다를 수 있지요. 저기서 말하는 30평형집은 서울기준입니다.

  • @이루다마
    @이루다마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연봉 2,400에서 지금은 7,200으로 10년만에 올렸습니다!! 현 직장 대기업 사무직 근무

  • @hennahlee7480
    @hennahlee748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 @버핏워렌-m6v
    @버핏워렌-m6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청약당첨이 지금만 힘든게 아니라 예전에도 경쟁률도 높고 힘들었습니다. 청무피사가 괜히 나온 말이 아니에요.

  • @이은호-p5n
    @이은호-p5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43살에 직장 18년차 중견기업 14년
    작년 본봉 5200에 수당 성과급하니
    6000조금 넘더군여
    월 1회정도 특근..
    월급세후로 약 350 와이프 200정도
    외동초등고학년 아들하나키우고
    지방 30평대 3억 초중반시세 아파트 대출 3000 남았음... 주택비용 부담이 적으니
    살만은 합니다
    요즘 입사하는 젊은친구들 20대 중후반 신입으로 연봉 3200 정도 받더군요...
    지역이나 생각하기에 따라 많이 다른듯합니다
    다들 화이팅하세요

    • @shp-me6jo
      @shp-me6jo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아니 어디 중견인데 그리 짜게 줌..? 우리회사 지방 중소기업인데 1년차 신입 연봉 테이블 3300이고 저 3년차인데 3900받음

    • @초이유choiyoo-z8n
      @초이유choiyoo-z8n 2 месяца назад +1

      ​​@@shp-me6jo중견기업은 아무리 년차많아봐야 신입이나 20년차선배나 별차이없음ㅋㅋ 그래서 남밑에일하면 답이없음

    • @붕어-n4f
      @붕어-n4f 2 месяца назад

      @@shp-me6jo 와 우리는 5인 이하인데, 2년차 26살 친구가 4200받아요. 근데 월급 적다고 그만둠 ㅠ.ㅠ

    • @shp-me6jo
      @shp-me6jo 2 месяца назад

      @@붕어-n4f ㄹㅇ 중소도 그렇게 주는데 중견 14년차가 5200이면 말이 안되지

    • @TRG-d7d
      @TRG-d7d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도 중견기업인데 초봉 5000시작인데 그래서 25살때 5100찍 고 꾸준히 연봉오르는 중인데 우리는 대기업같은 중견이었군

  • @Iillliilliiillliiillllll
    @Iillliilliiillliiillllll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분 잘 꿰툻고있네여 ㅋ 김경필 부익남보다 찐 팩트같아보여서 구독박음 ㅋ

  • @docongwan1984
    @docongwan198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1인당 GDP 3만 6천 달라 나라에서 중위값이면 대략 250만원 정도 나오는게 맞음.

  • @kaisso103
    @kaisso103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가장 안타까운게 자가 집 보유율 측면이죠.. 물론 베이비 부머 세대가 한국 경제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줬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유복한 세대로 만들어주신 것에 너무 감사하죠. 다만 최근 국민 연금 개혁만 봐도 너무 이기적인것 같습니다. 자신들이 가진 것은 하나도 내어놓지 않고 미래 세대 즉,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아이들에게 착취하려고 개정을 해버렸고 그를 또 지지하죠.. 지금 당장 결혼과 출산을 해야하는 세대에게 절망만 안겨주는 이기적인 세대이기도 하다고 봅니다.

  • @차렷총원
    @차렷총원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순월급 4대보험 공제하고 250이면 괜춘하지. 월세 50 생활비100 저축 50 보험30 교통비20하면 딱 맞겟다.

    • @junkim1100
      @junkim110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250가지고 어떻게 살아요?

    • @Joyful_vlog
      @Joyful_vlo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생활비 100은 진짜 안살아본거 인증임 ㅋㅋㅋ 식비 100이면 모를까 ㅋㅋ

    • @jaylee3388
      @jaylee3388 Месяц назад

      식비가 어케 100이나 나감? 3인가족 식비도 그렇게 안나감

  • @ModuKagi
    @ModuKag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어지간한 대기업 아닌이상 실수령500 이상은 진짜 힘들고 생산직의 경우도 잔업 특근 야근 주말출근까지 겁나 열심히 해야 나오는 돈

  • @0620kw
    @0620kw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외국계 반도체회사 다니고
    32살 작년 영끌해서 6200이였는데
    사회초년생이 세후 250 버는거면
    성별 떠나서 한사람 몫하는거지
    어떤 직종인지 노동강도는 어떤지
    워라벨 등 고려하지않고
    인터넷 올려치기 극혐이네

  • @박인섭-o1z
    @박인섭-o1z Месяц назад

    반론이 나오지 않도록 댓글로 서로 자랑거리 늘어 놓는 걸 보니 참 보기 좋습니다

  • @seunghanyun6423
    @seunghanyun6423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얼마를 버냐 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쓰는가가 더욱 중요합니다

  • @대박-b8s
    @대박-b8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말씀 너무 감명 받았습니다!

  • @HHH-tl7cu
    @HHH-tl7c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0

    정말 12년 다녔더니 월급 500넘었네요😮

    • @junyeop-dk7sy
      @junyeop-dk7s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주40시간만 일하시고 주말 쉬시면 정말 찐 능력자고 업에서 인정해주시는 분이죠. 본받을 일입니다. ㅎ

    • @지루함을견디는자-r6m
      @지루함을견디는자-r6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와 부럽~

    • @hryou1
      @hryou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멋지세요!!! 정말

    • @김기영-c4k
      @김기영-c4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부럽네요

    • @hmjk6589
      @hmjk658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와 부럽

  • @휘바람-z1u
    @휘바람-z1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빚 없이 월세 300받고 직장생활..
    중2 대1.. 명품하나 없지만 맨날 적자..
    연봉 1억 안되는데 아이 낳으면 대대손손 가난은 대물림..
    50대후반

  • @frontend_ko
    @frontend_k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하지만 더이상 사람들이 수치에 관심을 갖지 않았으면 좋겠어... 행복하게 사는 길이 아닌것같아

  • @우리들의작은천국
    @우리들의작은천국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29살 취업해서 34살까지 약5년 횟수로 6년차월 실수령250으로 시작해 현재 300되었네여 밤낮 개처럼 일년에 10만원꼴로 올렸습니다. 아직도 자가는 꿈도못꾸네여 요즘 딱현타가와서 기술배울까신중하게 고민중입니다

  • @chalmotors
    @chalmotor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현직 전문 블루핸즈(걍 현대간판 빌린 동네 카센터) 입사 2년 다 되어가는 40 초짜 정비사입니다.
    월~토 주6일, 실수령 238만원.
    각종 수당 성과급 하면(연 2번 정도) 최대 실수령 270 입니다.
    기술직 + 서비스직이라 스트레스 어마어마하게 받습니다. 개인매출 압박도...
    몇년하고 샵 차리면 된다고요?
    시골 한적한곳 기준, 대략 최소 2~3억은 필요할겁니다.
    차리자마자 차가 잘 들어오는것도 아니고요.
    사소한 실수한번에 차 수리비 몇백 몇천 물어줘야 할수도 있고요..
    최근에는 문닫고 매물로 나오는 정비소도 꽤 많네요.

    • @당점스트록
      @당점스트록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열심히배우면350까진 무난히받을겁니다
      경정비만해서답없어요 수입차로가세요
      엔진내리고올리는짓만해도400쉽게받아요

    • @sgkit5222
      @sgkit522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 도장부 인데.. 그래서 하체 안하려고 하죠 다들. 판금 도장은 월급이 팍팍 튀는데 하체는......

    • @shp-me6jo
      @shp-me6jo 3 месяца назад

      기술직이라고 올려치기 ㄴㄴ 기능직임. 본인이 기술직이라고 착각하니까 급여 적어보이는 거지 기능직은 딱 그정도가 적정선임.

    • @chalmotors
      @chalmotors 3 месяца назад

      @@shp-me6jo 그럼 님은 무슨일 하시고, 그 일의 급여 적당선은 얼마인가요?

    • @sgkit5222
      @sgkit5222 3 месяца назад

      @@shp-me6jo 기능직은 맞음 근데 나 30대 중반인데 실수령액 400초반임.. 올려치기가 아니라 기술 하나 배우면 좋긴 함

  • @이제동-b9q
    @이제동-b9q 7 дней назад

    13:05 지니 계수가 아니라 엥겔 계수 얘기하시는 것 같습니다.
    불평등 지수 : 지니
    총지출에서 식료품비 : 엥겔

  • @takekim
    @takeki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월3백 주6일 7.5시간근무..
    혼자살지만 돈더벌고 싶어서 월 130따리 투잡도 뛰는중. 주6일 3시간.
    세후 400 .. 30 중반따리인데 혼자선 충분함 집차는 자가로 싸구려 빌라 국산 승용차로 퉁치고 욕심없이 사는중

    • @niceguyhyun
      @niceguyhyu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훌륭하시네요

  • @Kristen_.
    @Kristen_.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30대 후반 건설사 다니는 가장입니다. 세전 연봉(성과급 제외) 8.5정도이고 월 실수령은 약 550~570정도입니다. 일단 건설업 자체가 평일/휴일근무가 따로 없어 급여가 높긴 합니다.
    그만큼 저보다는 와이프와 자녀들이 소비하는 비중이 큽니다. 지금 정도의 연봉을 받기까지 3번 정도 이직을 했는데 소비 습관이라는게 연봉이 늘어나는 만큼 같이 늘어납니다.
    신혼 초기에 받았던 실수령액 월급만큼이 현재 지출되고 있습니다. 드리고 싶은 이야기는 결국 사람 살기 나름입니다. 남들 다 하는것(잦은 해외여행, 호캉스, 차량구매, 명품구매, 오마카세 등) 하다가는 다리 찢어지고 돈 못모읍니다. 사회 초년생 분들께서는 가족이 생기고 나면 예상치 못한 지출이 굉장히 커진다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미리 대비하여 저축을 지향하고 꼭 필요한 부분에만 소비를 하셨으면 합니다.

    • @tempest78118
      @tempest7811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돈은 본인이 뼈빠지게 일하는데
      쓰는거는 가족들이 다쓰네 ??
      진심 그게 행복하셔요 ??

    • @김기홍-v2l8n
      @김기홍-v2l8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tempest78118 내 와이프, 자식들이 하고싶은거 하게 해주고 먹고싶은거 먹게 해주는게 행복 아니겠습니까

    • @k79730815
      @k7973081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tempest78118 내남편도 아이들이 하고 싶은거 하고 맛있는거 사주는게 행복이라는데. 나누는 행복도 있단다.
      그게 싫으면 결혼도 하지말고 애도 낳지 말아야지. 사랑하면 하나라도 더 해주고 싶은 마음이 드는거다. 나도 그렇게 살고 있고.

  • @김상범-e7p
    @김상범-e7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자존감이 낮으면 끊임없이 남들과 비교하게 되죠.
    운동,자기관리,외모관리,헤어스타일,패션 이런거에 더 관심을 가진다면 자신감과 여유가 생기고 인생은 풍요로워질겁니다. 돈은 적당히 벌자구요. 굶어 디지지 않을정도만^^

    • @하영선-c6v
      @하영선-c6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운동, 자기관리, 헤어스타일, 패션???그것도 돈이되고 시간 되야 하는겁니다. 하루12시간 일하고 최저임금에 월세, 생활비, 식비, 공과금, 보험비,통신비 다내고 나면 남는 것도 없는데. 그게 가당키나 합니까? 밖에서 독립해서 사회생활 안해보신거 같네요?

    • @염석진1
      @염석진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모든게 다 돈입니다 ㅈ소기업에서 맘고생 몸고생해보면 폭삭늙어버려요 일안하고 부모가 주는 돈으로 놀러다니면 젊음을 유지할수잇어요 폭삭늙어버린 내자신을 볼때마다 느낍니다 ㅋㅋ

    • @엄맹구
      @엄맹구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나열해놓은것도 다 남들한테 보여지는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srtfxviyx
      @dsrtfxviyx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런거에 관심 끊으라 할줄알았는데 더 관심을 가지라노 ㅋㅋㅋㅋ

  • @ryonnm7830
    @ryonnm783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헐... 37분 후딱 갔네
    내용도 좋지만 강의스킬도 장난아니심

  • @미스터원-f1n
    @미스터원-f1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나는 n사h마트 계약직이다.
    솔직히 근무여건은 거의 최하다
    명절 빨간날 다필요없고 무조건주6일
    하루8-9시간근무 그런데 연봉은
    상여포함 작년5.3이었음
    그래서 어쩔수없이다님
    젊은친구들이 많아야하는데
    40후반50초반들이 대다수
    공부안할꺼면 마트라도가면
    중소기업 보다 급여는 더받는다.
    워라벨 포기할친구들은 도전해보길.

    • @user-thdbr4g5
      @user-thdbr4g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농인지 유통이신지는 모르겠지만 다들 모르는 약간 숨겨져 있는 일자리죠..서울 쪽 조합 중 주5일에 연6 넘는 곳도 있어요.

    • @웅잉-g4e
      @웅잉-g4e 2 месяца назад +2

      n사h마트면 그냥 농협 하나로 마트라고 하세요 ㅋㅋㅋ

    • @광명성1호
      @광명성1호 15 часов назад

      떨거지들이 가는 곳이 마트라고 들었고 주위 사람들 보면 돌고돌아 마트로 가는걸 봤는데 그만큼 힘들고 누구나 하는 일이라 자부심도 적고 쉬는 날도 없다시피 하는데 이유가 있겠죠

  • @summerhot9522
    @summerhot9522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자신의 수입이 아무리 평균치라 할지라도 그 돈으로 평균적인 삶을 살 수 없는게 문제. 많은 청년들이 결혼을 포기하거나 결혼을 했다해도 자식 낳기를 포기하는지 결과가 증명함.
    청년들이 나태해서 노력도 안하고 뭘 해달라고만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 계실지 모르지만 그건 극소임. 혼인율과 출산률이 낮다는 것은 책임감있고 자기객관화가 잘된다는 방증 이기도함. 참 안좋은 쪽으로

  • @하인호-g8l
    @하인호-g8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이분 진짜 말 잘하시네요 내용을 보고 문득 든생각이 지금 나는 내가 좋아하고 즐겁고 정말행복한 일을 하고있는가가 핵심이죠

  • @laurenkylian9974
    @laurenkylian997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 내용인데..
    단순 직무를 반복하다보니 여기가 나의 경력을 쌓을 수 있고 더 발전시킬 수 있어 하는 생각을 가지기가 참 어렵네요...

  • @ggouldon
    @ggouldo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중위소득은 실수령 250인데..전국평균 집값은 4.8억.. 서울은 10억😅😅😅

  • @친탠
    @친탠 Месяц назад +1

    주변사람기준이 아닌 내가 발전해나가고 통장에 남는돈잊매달있어서 저축도하고 ..하고싶은거 다할수있음 행복해요@ 열심히 자기개발하고 일에집중하니 작년엔 월 250 벌다가 몇달만에 400. 이젠 500되더라구요..물론사업소득

  • @이누리-t2f
    @이누리-t2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10인 미만 기술직 중소기업 22년 다니고 4년전에 퇴사하고 창업했습니다.
    1999년 첫 급여 120 만원 시작해서 주말, 야근 수당없이 22년간 다니면서 기술 쌓아서 퇴직할때 고참들 연봉보다 2배이상인 동조업계 거의 없는 1억 4천 받다가 퇴사하고 창업했습니다.
    창업하고 년봉 2억 이상 가져갑니다.
    중소기업도 어떤 마음가짐으로 다니느냐가 중요합니다. 대기업이나 공기업보다 워라벨은 형편없는건 사실입니다.
    재직중에는 동료들보다 한달 기준 거의 2배 가까운 시간(주 100~110시간)을 더 일해었죠.
    삶은 각자의 기준에 따라 다르지만 내 가치를 올리는것은 어디에 근무하든 충분히 가능하다 생각이 듭니다.

    • @johnnysong5852
      @johnnysong5852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니 하루에 몇시간을 일하신거에요?주100-110 시간을 어케 일하죠?

    • @이누리-t2f
      @이누리-t2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johnnysong5852 주중 평균 6시30분 출근에 밤 12시 퇴근. 주말 7시 출근에 11시 퇴근. 설날, 추석에도 다 쉬지는 못하였고 업무는 주 업무인 설계 및 모든 도면 작업, 협의, 자재, 직원 및 외부인력 관리, 현장 모든 시공 및 시운전 그리고 승인과 준공에 관련된 모든 서류, 영업까지 회사일 거의 모든 일 중에 대부분을 혼자 대략 70퍼센트 정도 처리하고 나머지 15퍼센트 사장님이 처리하시고 나머지 15퍼센트는 남은 직원 10 명이 나눠서 했었죠.
      왜 그렇게 까지 했는지 의아하시겠지만 업무중에 가장 힘든일 설계 및 시공 그리고 협의 및 준공을 사장님 포함 하려고 하는 그리고 할 수 있는 사람이 없어서 전부 혼자 짊어지게 되었고 고액 연봉으로 돌려 받았습니다.

  • @Antonykims
    @Antonykims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입사 4년차 33살 고졸이고 중견기업 연봉 4200 입니다.
    주 5일 근무 사무직에 야근은 아예 없는 수준이고요.
    매달 고정 수당까지 하면 연봉 4800이나 다름없긴한데 괜찮은건가요...??
    지출이 많은건지 뭔지...
    만족스럽지는 못하네요

  • @인천호랑이0419
    @인천호랑이041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42살 남자입니다 , 중소기업다니고 ,월급 세후 280만원 받습니다. 집 없고 차 없습니다.🇰🇷

  • @Jaws-Bar
    @Jaws-Bar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세후 연봉 5천 받는데 유통업계에서 일하면 받을수있습니다 그만큼 몸이 힘들지만 금융치료되는곳입니다 몸편하게 연봉5천주는데 없습니다(대기업이 아닌이상) 많이준만큼 댓가가 따르는 직업들이 많습니다 적게 받은데는 그만큼 몸이 힘들지 않고 이게 현실 입니다

  • @아르마딜로-w8z
    @아르마딜로-w8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그냥 물가 좀 내렸으면..
    요즘 마트나 시장가서 물건 고를 때 문득 내 월급이 이 정도인데 이걸 사야하나? 말아야하나? 큰 고민없이 사고 싶다...

  • @sbswmf586
    @sbswmf586 3 дня назад +2

    신입월급세후 180~200인데 300은 sns용 월급~

  • @DYKim-eo2jn
    @DYKim-eo2j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보통 월급 이야기의 기준은 세후 인가요 세전인가요?

    • @이정일-w6q
      @이정일-w6q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상기 내용으로 추정되는 것은 세전입니다. 세후 500이면 연봉 8천 넘어요.

    • @oxford_shirt
      @oxford_shir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연봉 얘기는 보통 세전입니다.
      연말정산 할 때 명확하게 딱 나오는 ...

    • @win3085
      @win308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세계 대부분이 연봉기준은 세전입니다...프로선수 연봉이 100억이면 세전 100억임 프로선수들 세금을 어마무시하게 떼가는 나라도 많습니다

  • @김영갑-z7y
    @김영갑-z7y Месяц назад

    좋은 회사를 만나는 것도 운이 좋아야 하는거 같아요. 나를 정말 제대로 써먹을 회사. 혹은 나를 정말 인정해주는 회사. 있긴 있습니다. 찾아보세요. 그것도 하나의 모험입니다. 대기업 다니는거 아니면 어릴때 못했던 공부 다른거로 채워넣으세요.

  • @Cyvogue_Franky
    @Cyvogue_Frank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모두들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맞이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 @lmnop9120
    @lmnop912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와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