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라인은 일반분들이 쓰시기에는 과할 정도로 좋은 오일이지 않을까 싶은 결과이네요 20분가까이 보면서는 그러려니 했는데 엔진브레이크 감속량을 보고는 이건 진짜 스포츠주행의 비중이 더 상회하는 제품이라고 보이네요 일반 대중적인 차량으로 일상을 타시는분들은 가성비오일에 첨가제가 좋아보이고요 스포츠주행을 즐기시는분들은 레드라인을 쓰시는게 맞아보입니다 어쩌다가 RPM 쫌 써주는 그런수준이 아닌 아예 매니악한 애프터파츠로 튜닝과 더불어 트랙주행을 즐기거나 주말새벽 와인딩을 다니시는 수준의 소비자에 걸맞아보이네요 ㄷ
영상보다보니 궁금한점이 있네요 고가제품 + 첨가제의 경우 (영상기준으론 레드라인 + 리스타) 무조건 더 좋아지는건가요? 어떤 엔진오일에 섞어도 더 좋아지기만 하는 제품이라면 (첨가제가 고급 오일 제조 단가보다 싸다면 모든 오일은 첨가제를 섞어 팔면 스펙을 확보할수있는 것인데) 소비자를 상대로 팔것이 아니라 엔진오일 만드는 회사에 납품을 해야할것같은데.. 정말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제 차가 Gdi 3.0인데 모빌1 ep 5w30+리스타 넣어봤고 현재 암스 0w20+리스타 넣었는데요 소음부분은 동의합니다 조용해지더군요 근데 진동도 처음엔 감소했다 타다보니 그냥 엔진오일만 단독으로 넣었을때의 진동이 올라오더라고요 가속감은 리스타 넣은게 좀 더 좋았고 가속감이 좋아 연비가 잘 나올줄 알았지만 연비는 그닥..... 결론은 소음저감효과 있음 가속감 좋아짐 그 외에는 큰효과는 없음 효과를 봤던 부분도 있어서 다음 엔진오일 교체때 한번더 고민하게 만드는 제품일거 같네요
이거슨 엔진오일 인강수준 이네여~ㅋ 무심코 클릭했다가, 모니터 앞 시트포지션 고쳐잡고 수업들었네요 ㅋㅋㅋ 1편, 2편 합쳐서 50여분의 영상을 만들기 위해, 몇날 몇일을 노력하셨을텐데, 요약된 결과를 날로 먹는(?) 고마움을 느꼈습니다. 유익하고 유의미한 영상에 박수를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중요하게 빠진 부분이 있습니다. 찌꺼기 나오는걸 측정했어야 하는데 보통 첨가제 안넣는 이유는 찌거기가 더 나와요 유해물질이나 그 부분이 빠짐 ?? 엔진에 때기는 속도는 더 많을수도 있고.... 실험이 저가형에 리스타 쓰면 그나마 가격적인 메리트가 있다는걸 보여주고 싶은건가요? 최고가유+리스타도 같이 실험 햇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15w40 사용 디젤엔진오일을 사용하는 유저인데 (요트에서 사용합니다.) 비슷한 효과가 있을까요? 저희는 차량 특성과 달라서 보통 시동 후 엔진 사용시 항속 항해 할땐 일정 rpm이 유지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항해중일땐 Rpm이 높아졌다 내려갔다 하는게 차량 대비 덜합니다.
진짜로 궁금합니다. 첨가제로 인하여 다른것은 두째로 보더라도 제일 걱정되는 부분은 미세하게 윤활유가 들어가야 할 구멍이나 부분에 윤활유와 첨가제가 합쳐져 화학적 반응으로 불순물이나 다른 찌꺼기가 생겨 윤활 구멍에 흡착되거나 윤활의 흐름을 막고 막히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제일 큰 부분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이런점은 언급이 않되어 있더라고요. 첨가제 기피하는 제일 1순위라고 개인적으로 생각 됩니다 궁굼하고 시원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영상 만드신다고 고생 많이 하신것 같습니다. 감사히 잘 봤습니다.
좋은 실험과 영상을 준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몇 몇 댓글에서 이미 보이는 질문입니다만. 첨가제 투입 후 점도저하가 있었는지? 있었다면 확인된 연비개선 효과 중에서 점도 저하로 인한 부분이 얼마나 차지하는지 도 확인이 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실험에서 늘 해결해주지 못하는 궁금증은 장기간 사용했을 때의 비교입니다. 한 번 써보고 좋다 느껴지면 지속적으로 쓰게 될 텐데, 첨가제로 인해 순정오일 대비 점도 저하나 성분 변화된 부분이 장기간 사용시에도 엔진에 문제가 되지 않는지, 순정오일만 사용한 엔진과 어떤 상태차이가 발생하는지까지 비교 확인이 되면 제 개인적으로는 베스트 실험 영상이 될 것 같습니다.
@@StationB 오우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에 나온 열산화 안정성 테스트를 말씀하신 것 같은데요, 제가 문의 드린 것은 그 부분이 아니고 엔진오일에다가 첨가제를 섞음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단순 점도변화입니다. 열산화 안정성 테스트 결과표에서 보면 첨가제를 섞은 실험군이 안섞은 것 보다 점도 수치 자체가 약간씩 낮게 보이기는 하는데 이게 유의미한 차이로 볼 수 있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또 점도가 낮아지면 연비는 상대적으로 좋아지는 것으로 알고있어서 확인된 연비개선 효과 중에서 첨가제의 성분으로 인해 개선된 부분과 단순 점도의 저하로 인해 개선된 부분이 각각 얼마나 되는지가 궁금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빠라바람 왜 이렇게 꼬였냐 ㅋ 불편하면 자세를 바꾸던지 ㅋㅋㅋ 여기저기 댓글 돌아다니면서 별 시덥치 않은걸로 답글을 다네 그돈으로 뭘 차를 바꿔 요즘 차값이 얼만데 신차 대기 1년 참을수 있고? 수중에 돈 천만단위 있고? 다 너같이 않아 사람마다 횐경이 다른데 뭔 이래라 저래라냐 ㅋㅋ
@빠라바람 엔진 오일 점도따라 마찰계수가 달라져서인지 체감상 엔진이 가볍거나 무거워질수 있고 곧 출력과 영향이 갈수도 있지 오일 제조사들은 특정 기준점에 맞추어서 비율을 제조하는데 모든 운전자가 특정 기준점으로 운전하나? 아니잖아 천천히 안전하게 가는 사람도 있고 과학5호기도 있고 하지? 그래서 제조사도 가혹주행시 소모품 교체 주기를 짧게 하지 이거저거 알아보니 정답은 없다 라는 결론이 도출되더라고 왜? 앞서 말했듯이 사람마다 주행습관이 다르니까
슬러지가 더 생긴다던지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모든 엔진오일의 성분이 사용되고 나면 슬러지의 씨앗이 되기 때문에 청정 분산제가 기능하지 않는 시점에서 언젠가는 교체해야합니다. '좀 더 나은 품질로 좀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정도로 이해해주시면 될 듯 합니다.' 단점은 비용이 증대된다는 것입니다.
엔진오일 과 첨가제 얘기에 다른얘기일수 있는데요 연료첨가제 넣고 악셀살짝만 밟아도 알피엠 상승 혹시 이유 아시는분 계신가요? 찌거기가 껴서 그런걸까요? 그리고 이번에 엔진오일갈때 리스타 첨가제 넣을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은 첨가제 넣으면 안좋다고 오일만 넣으라는데 고민되네요~
좋은 테스트입니다만 이미 첨가제를 넣는 수준의 차를 아끼는 환자들은 모튤 리퀴몰리 등의 고가의 엔진오일을 넣는 상황입니다. 아마 여기 테스트 한 아틀란틱 같은 오일 넣는 분들은 아마 첨가제에 관심도 없을거에요. 여기서 한가지 테스트 제안하고 싶은건 레드라인같은 고가의 오일에 첨가제를 넣었을때의 유의미한 성능개선효과가 있는지 API SP 규격이상의 저점도 오일등에서 정상적인 성능향상 결과를 확인해보는게 낫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솔찍히 아틀란틱 오일같은거 넣느니 지크나 GS에서 나오는 API SP등급 오일 넣는게 낫지 않을까요. 현기차 순정도 그거고.
좋은 영상이네요... 홍보이긴 하지만... 정보가 많이 있어서 잘 봤습니다. 실험샘플이 되는 오일이..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오일이었으면 더 좋았을것 같네요. 현기차 일반오일, 현기차고급오일, 킥스3급기유, 킥스파오1.... 이런 종류로....첨가제 넣었을때 변화...
레드라인 5w30하이퍼포에 하도 베리루베터보 첨가제 사용 중인데 가속반응은 인상적으로 좋아졌는데 연비는 이전보다 떨어졌어요. 차가 잘나가서 연비향상도 기대했었는데 좀 아쉬웠어요. 이전 조합은 셀레니아 wr 0w30에 제넘ce300 첨가제였어요. 그런데 레드라인 유로 시리즈 외 오일은 대부분 가솔린 전용 오일 아닌가 싶은데요.
AUDI A8 4.2TDI/Q5 3.0TDI를 운행중에 있는데 VW 504, 507을 만족하는 LISTA 0W30에 LISTA S1을 첨가하는것이 좋을까요, 첨가하지 않는것이 좋을까요? LISTA 0W30으로 바꿔보고 싶습니다. 또 오일을 바꿀때 광유로 세척한후 신유로 사용하는것이 바람직 할까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1편 보러가기: ruclips.net/video/B74OYkLWmj4/видео.html
현대 슈퍼프리미엄플러스(이하 슈프플)와 메탈컨디셔너2(이하 mc2)를 조합시 mc2의 염소성분과 반응해 겔화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영상 속 첨가제는 슈프플에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유광현-s8l 네 전혀 문제 없고 안전합니다.
스탑이나 존슨 이런 저렴이 첨가제들은 혹시 리뷰가 어렵나요?
레드라인은 일반분들이 쓰시기에는 과할 정도로 좋은 오일이지 않을까 싶은 결과이네요 20분가까이 보면서는 그러려니 했는데 엔진브레이크 감속량을 보고는 이건 진짜 스포츠주행의 비중이 더 상회하는 제품이라고 보이네요 일반 대중적인 차량으로 일상을 타시는분들은 가성비오일에 첨가제가 좋아보이고요 스포츠주행을 즐기시는분들은 레드라인을 쓰시는게 맞아보입니다 어쩌다가 RPM 쫌 써주는 그런수준이 아닌 아예 매니악한 애프터파츠로 튜닝과 더불어 트랙주행을 즐기거나 주말새벽 와인딩을 다니시는 수준의 소비자에 걸맞아보이네요 ㄷ
아틀란틱+리스타가 연비로는 최강이네요 그런데 레드라인은…. 님말대로 좀 과할지도요 저도 가끔 산을 돌아다니기에 엔진오일을 확인하거든요
영상보다보니 궁금한점이 있네요 고가제품 + 첨가제의 경우 (영상기준으론 레드라인 + 리스타) 무조건 더 좋아지는건가요? 어떤 엔진오일에 섞어도 더 좋아지기만 하는 제품이라면 (첨가제가 고급 오일 제조 단가보다 싸다면 모든 오일은 첨가제를 섞어 팔면 스펙을 확보할수있는 것인데) 소비자를 상대로 팔것이 아니라 엔진오일 만드는 회사에 납품을 해야할것같은데.. 정말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국산차 순정유도 비교 해봤으면 좋겠네요 ㅋ
현기,르노삼성,쉐보레, 쌍용 순정유도 비교 테스트 궁금합니다
제 차가 Gdi 3.0인데 모빌1 ep 5w30+리스타 넣어봤고 현재 암스 0w20+리스타 넣었는데요 소음부분은 동의합니다 조용해지더군요 근데 진동도 처음엔 감소했다 타다보니 그냥 엔진오일만 단독으로 넣었을때의 진동이 올라오더라고요 가속감은 리스타 넣은게 좀 더 좋았고 가속감이 좋아 연비가 잘 나올줄 알았지만 연비는 그닥..... 결론은 소음저감효과 있음 가속감 좋아짐 그 외에는 큰효과는 없음 효과를 봤던 부분도 있어서 다음 엔진오일 교체때 한번더 고민하게 만드는 제품일거 같네요
엔진오일 정보를 이렇게 정리해주니 너무 좋습니다!!
박사는 장사를 해도 클라스가 다르네... 지금사러갑니다
표현이 엄청 찰지네요 ㅎㅎㅎㅎ
써보세요. 달라도 다름
이거슨 엔진오일 인강수준 이네여~ㅋ
무심코 클릭했다가, 모니터 앞 시트포지션 고쳐잡고 수업들었네요 ㅋㅋㅋ
1편, 2편 합쳐서 50여분의 영상을 만들기 위해,
몇날 몇일을 노력하셨을텐데, 요약된 결과를 날로 먹는(?) 고마움을 느꼈습니다.
유익하고 유의미한 영상에 박수를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비과학과 감성적 영역이 과학을 넘어서왔던 엔진오일 시장에 중심을 잡아줄 수 있는 영상이라 감히 생각해봄.
실제 레드라인 가격이 고가가 아니라서 가격적인 부분만 보고 색안경끼고 낮게 평가하는 분도 많았는데, 뭔가 속시원하네요.
박사님 너무너무 반갑습니다. 예전 다른 채널에서 자꾸 박사님 말씀을 잘라서 화가났었는데 잘 보겠습니다!
박사님이 슬쩍 가르쳐준 방법인 가성비합성오일을 자주 교환하는 것으로 하고 있습니다~ 보통 4개월~6개월 자주 운행 안 하므로 더 신경 쓰죠~
어떤 오일인지 알 수 있을까요?
@@박재민-f2o 합성유중에 제일 저렴한 제품이요.
저는 sk 지크 x7 4리터 제품으로 교환합니다.
@@MrThisbabox7보다 세븐골드 넣어보세요 포터 기준으로 x7 130~40 정도까지밖에 안나가요ㅠㅠ 세븐골드는 170까지 나가는디
중요하게 빠진 부분이 있습니다. 찌꺼기 나오는걸 측정했어야 하는데 보통 첨가제 안넣는 이유는 찌거기가 더 나와요 유해물질이나 그 부분이 빠짐 ?? 엔진에 때기는 속도는 더 많을수도 있고....
실험이 저가형에 리스타 쓰면 그나마 가격적인 메리트가 있다는걸 보여주고 싶은건가요?
최고가유+리스타도 같이 실험 햇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좋은 의견인듯 하네요 첨가제=슬러지라는 인식들이많으니
리스타는 애쉴리스라 슬러지가 없습니다
좋은 영상 재미있게 잘보았습니다! 이런 테스트가 보편적으로 많아져서 오일을 고르는데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유익하고 잼있는 영상 만들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다음영상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첨가제 넣기전 기본성능을 생각한다면 엄청난 효과네요~
테스트하느라 고생하셨고 감사히 보겠습니다. 확실히 유의미한 차이가 있군요.
긴시간동안 분석해주셨네요. 매우 유용합니다^^
첨가제 설명하시는 분들 중 가장 전문가라고 보면 될 듯 하네요.
연비 개선 효과가 엄청난거 같네요.
보통 점도가 낮은 엔진오일이 연비 개선이 많이 되는데 점도 변화없이 연비가 개선된다니
신기합니다.
첨가제 넣고 연비 운전하면 좋죠
실험 결론은 첨가제 넣을 돈 있으면 맛있는거 사먹는게 정신 및 신체 건강에 좋습니다.
리터당 4천원짜리 사서 5천키로 갑니다.
최곱니다.
저도 싼거로 자주 교체합니다.그게 최고죠 ^^
또 이렇게 자동차에 공부할 것이 추가되었네요.... 자동차 공부는 끝이 없군요!
목빠지게 기다렸습니다!!
유익하네요 내용자체가 ㅎ
많은 브랜드가 있고 개인취향에 기대던 부분을
좀 더 객관적으로 정리가 됩니다.
기다렸구만...이제서야
레드라인 써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소음 진동이 조금 생깁니다 오직 퍼포먼스 중심에 맞춰진 엔진오일이죠
진짜 유익한영상이다이게 찐이다
아무리 좋아도, 독점 판매 제품은 피해야죠. 시장경쟁을 거쳐야 적정가를 찾게 되겠죠.
다음 테스트는 첨가제들 10종류 해보길 바랍니다.
직접하셔서 알려주셍
돈내고 말하던가ㅋ
엔진오일 첨가제에 대해 저역시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 리스타는 넣어보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넣어봐야겠어요. 여튼 앞으로도 유익한 영상 부탁드립니다. 최고~^^b
15w40 사용 디젤엔진오일을 사용하는 유저인데 (요트에서 사용합니다.) 비슷한 효과가 있을까요? 저희는 차량 특성과 달라서 보통 시동 후 엔진 사용시 항속 항해 할땐 일정 rpm이 유지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항해중일땐 Rpm이 높아졌다 내려갔다 하는게 차량 대비 덜합니다.
진짜로 궁금합니다.
첨가제로 인하여 다른것은 두째로 보더라도 제일 걱정되는 부분은 미세하게 윤활유가 들어가야 할 구멍이나 부분에 윤활유와 첨가제가 합쳐져 화학적 반응으로 불순물이나 다른 찌꺼기가 생겨 윤활 구멍에 흡착되거나 윤활의 흐름을 막고 막히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제일 큰 부분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이런점은 언급이 않되어 있더라고요. 첨가제 기피하는 제일 1순위라고 개인적으로 생각 됩니다 궁굼하고 시원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영상 만드신다고 고생 많이 하신것 같습니다.
감사히 잘 봤습니다.
중요한 포인트 지적해주신거 고맙습니다.. 첨가제를 꺼리는 중요한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혹해서 한번 넣어볼까 하다가 다시 마음을 고쳐먹었습니다. 역시 오일만 넣어야죠.
좋은 실험과 영상을 준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몇 몇 댓글에서 이미 보이는 질문입니다만.
첨가제 투입 후 점도저하가 있었는지? 있었다면 확인된 연비개선 효과 중에서 점도 저하로 인한 부분이 얼마나 차지하는지 도 확인이 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실험에서 늘 해결해주지 못하는 궁금증은 장기간 사용했을 때의 비교입니다. 한 번 써보고 좋다 느껴지면 지속적으로 쓰게 될 텐데, 첨가제로 인해 순정오일 대비 점도 저하나 성분 변화된 부분이 장기간 사용시에도 엔진에 문제가 되지 않는지, 순정오일만 사용한 엔진과 어떤 상태차이가 발생하는지까지 비교 확인이 되면 제 개인적으로는 베스트 실험 영상이 될 것 같습니다.
피디입니다. 영상을 보시면 점도 변화에 대한 실험이 있습니다.
@@StationB 오우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에 나온 열산화 안정성 테스트를 말씀하신 것 같은데요, 제가 문의 드린 것은 그 부분이 아니고 엔진오일에다가 첨가제를 섞음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단순 점도변화입니다.
열산화 안정성 테스트 결과표에서 보면 첨가제를 섞은 실험군이 안섞은 것 보다 점도 수치 자체가 약간씩 낮게 보이기는 하는데 이게 유의미한 차이로 볼 수 있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또 점도가 낮아지면 연비는 상대적으로 좋아지는 것으로 알고있어서 확인된 연비개선 효과 중에서 첨가제의 성분으로 인해 개선된 부분과 단순 점도의 저하로 인해 개선된 부분이 각각 얼마나 되는지가 궁금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jhryou3412 첨가제는 거의 장사속아닐까요
@@worrior. 성분 공개하고 정량적인 테스트 결과를 공개하는데 단순 장삿속으로 치부하긴 어려울듯 합니다.
유익한 영상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평소 많은 관심과 고민이 되었는데 이번에서야 확실히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들 많이 가르쳐주세요! 감사합니다.
나는 정보전달영상에 유료광고포함이란게 말이안된다고 생각함...
오일 5리터기준 2.4만원하나가 더들어간다고보면되는대 5리터기준으로 리터당 약 4천원정도 더 투자해서 한체급 더올린 오일로 교환할수있다고 생각하면됨 이미 탑티어 쓰는사람이고 돈 안아낀다면 모르겠지만 일반인기준으론 그냥 엔진오일 자주갈아주는게 훨씬이득같아보이는..
엔진오일이 엔진안에서 연료도 혼합되고 여러가지 불순물도 섞이고 등등 실험과 실제가 다른이유죠
슈프플에 루베 넣어놨는데 리스타 무척 궁금하네요......
박사님! 저 지금 피카몰로 주문하러갑니다!
슈프플에는 되도록 첨가제 넣지 마세요
엔진 망가집니다..
블루핸즈에서도 슈프플에 첨가제 넣어서 뻗은 엔진 생각보다 많이 온다고 하니 주의하세요..
리스타 2회째 쓰고있고 레드라인 하이퍼포먼스와 조합하고 있습니다. 15% 감안해서 리스타 1.5팩 들어갑니다.
원래 레드라인과 루베스트 조합이었는데 바꿔본겁니다.
혹자들은 오일만으로도 된다고 하는데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김치랑 밥먹어도 한끼 때우는거고 고기반찬이랑 밥먹어도 한끼 때우는것이죠. 술한잔 덜먹고 차에 고기준다 생각합니다.
@빠라바람 왜 이렇게 꼬였냐 ㅋ
불편하면 자세를 바꾸던지 ㅋㅋㅋ 여기저기 댓글 돌아다니면서 별 시덥치 않은걸로 답글을 다네 그돈으로 뭘 차를 바꿔 요즘 차값이 얼만데 신차 대기 1년 참을수 있고? 수중에 돈 천만단위 있고? 다 너같이 않아 사람마다 횐경이 다른데 뭔 이래라 저래라냐 ㅋㅋ
@빠라바람 엔진 오일 점도따라 마찰계수가 달라져서인지 체감상 엔진이 가볍거나 무거워질수 있고 곧 출력과 영향이 갈수도 있지 오일 제조사들은 특정 기준점에 맞추어서 비율을 제조하는데 모든 운전자가 특정 기준점으로 운전하나? 아니잖아 천천히 안전하게 가는 사람도 있고 과학5호기도 있고 하지? 그래서 제조사도 가혹주행시 소모품 교체 주기를 짧게 하지 이거저거 알아보니 정답은 없다 라는 결론이 도출되더라고 왜? 앞서 말했듯이 사람마다 주행습관이 다르니까
노읍읍이 이 영상을 싫어합니다.. 카x민 눙물의 똥꼬쇼... ㅋㅋ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쉐보레 차량오너인데요. 제조사에선 엔진오일첨가제를 넣지 말라고 하는데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기다릴게요 :)
정성스러운 실험이네요. 잘 봤습니다.
우와 정말 많은 노력하셨네요~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병휘님 잘보았습니다~! 보다가 궁금한게있는데요.
거론되었던 트라보필름~? 같은 보호층이 생기는 형태의 반응물질이면 추후 슬러지같은게 더 생긴다던지 단점같은건 없을까요? 단점도 말씀해쥬시면 좋을거같아요~!
한번써보고싶어서 질문드려봐요
슬러지가 더 생긴다던지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모든 엔진오일의 성분이 사용되고 나면 슬러지의 씨앗이 되기 때문에 청정 분산제가 기능하지 않는 시점에서 언젠가는 교체해야합니다. '좀 더 나은 품질로 좀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정도로 이해해주시면 될 듯 합니다.' 단점은 비용이 증대된다는 것입니다.
트라이보 필름은 어찌보면 화학반응으로 코팅된 도금층? 이렇게 보시는게 이해가 쉬우실거같구요. 슬러지는 연소반응에서 발생하는 탄소찌꺼기의 개념이니... 두가지 현상에서의 개연성은 적을것같아요
엔진오일 과 첨가제 얘기에 다른얘기일수 있는데요 연료첨가제 넣고 악셀살짝만 밟아도 알피엠 상승 혹시 이유 아시는분 계신가요? 찌거기가 껴서 그런걸까요? 그리고 이번에 엔진오일갈때 리스타 첨가제 넣을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은 첨가제 넣으면 안좋다고 오일만 넣으라는데 고민되네요~
박사님 레드라인에 리스타를 넣으면 플러스요인이 있을까요?
아틀란틱에 리스타를 섞으면 단편적인 실험에서 효과가 있는 것은 알겠습니다만 다른 기성제품에도 마찬가지 효과가 있는지, 또 단편적인 상황이 아니라 복합적인 실 사용에서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가 의문이네요
리스타 권장 사용량을 보면 10%를 넣으라 했는데 그렇다면 요즘 디젤엔진 6.5리터 전후가 많은데 500ml 리스타로는 애매하네요.
2개사서넣어요;
좋은 테스트입니다만 이미 첨가제를 넣는 수준의 차를 아끼는 환자들은
모튤 리퀴몰리 등의 고가의 엔진오일을 넣는 상황입니다.
아마 여기 테스트 한 아틀란틱 같은 오일 넣는 분들은 아마 첨가제에 관심도 없을거에요.
여기서 한가지 테스트 제안하고 싶은건
레드라인같은 고가의 오일에 첨가제를 넣었을때의 유의미한 성능개선효과가 있는지
API SP 규격이상의 저점도 오일등에서 정상적인 성능향상 결과를 확인해보는게 낫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솔찍히 아틀란틱 오일같은거 넣느니 지크나 GS에서 나오는 API SP등급 오일 넣는게 낫지 않을까요.
현기차 순정도 그거고.
ㅋㅋ 라스타 홍보 잘봤습니다. 전 구난 연구원인줄만 알았는데 리스타 홍보도 잘하시네요
리스타로 공포의 세타 메탈베어링 마모 스커핑 예방도 되었으면 하네요
영상 잘봤습니다
구독 꾹욱 누르고 갑니다
리스타 사러가즈아
리스타 2개 주문했습니다
사용해 보고 후기 올릴께요
ㅋㅋ 자주 갈아주는게 최고임. 오일이 좋아봤자 그걸로 뭐 서킷 탈것도 아니고 ㅋㅋㅋ
좋은 영상이네요... 홍보이긴 하지만... 정보가 많이 있어서 잘 봤습니다.
실험샘플이 되는 오일이..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오일이었으면 더 좋았을것 같네요.
현기차 일반오일, 현기차고급오일, 킥스3급기유, 킥스파오1.... 이런 종류로....첨가제 넣었을때 변화...
현기꺼로 못한이유가 있습죠...
국산꺼로하면 소송당함 한국에서 대기업건들면 어찌되는지 모름?
바로 구매부터하고 시청합니다
음..그렇군요 고급 엔진오일 보다 적합한 첨가제를 넣는게 좋은 거군요..
그렇다면..전 고급 엔진오일에 적합한 첨가제와 고급유를 넣어야겠네요 ㅎㅎ
어.. 그 분이다.ㅋㅋㅋ
영상으로 뵈니 반갑네요.ㅎ
아틀란틱과 리스타의 조합 추천하시더니 스테이션B에 아예 박제하셨어 ㅋㅋ
한가지 아쉬운건 국내 순정유나 국내 가성비 엔진오일로 해주셨으면 더욱 좋았지 않았을까..
하지만 유익한건 마찬가지고 ㅋㅋ 업로드를 엄청오래 기다렸습니다
실험 비교군을 확대한다면 더할나위 없었겠지만, 하나의 실험군에 1000km씩 주행거리를 맞추는데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 관계상 가장 효율적인 4가지로 압축해 보았습니다. 마음 같아선 8가지 정도 하고 싶었지만, 그랬다면 영상 제작에 두달은 더 걸려 나왔을거에요. ㅜㅠ
@@StationB 하실려고 하셨군요 ㅋㅋ
의도치않은 태클같은 글에
답변 남겨주셔 감사합니다.
경험상 현대 메가터보씬 0W30이, 순정 저마찰 0W20보다 최고연비 더 많이 찍었습니다. 저점도가 무조건 연비가 잘나오진 않더군요. 규격자체도 너무 오래된 오일이라 어느정도 최신스팩에 맞는 오일쓰는게 좋은듯합니다.
?아닌듯 그시대에 내연기관을만들었고 최신오일은 최신차에 맞음 예전차는 예전차에맞고
윤활유 박사님이 만드신 첨가제니 뭐 bbbb
아쉬운거는 실험 할 때 루베스트도 같이 실험해 주셨으면 어땟을까 하는 조금의 아쉬움이 있네요.
역시. 굳
레드라인 5w30하이퍼포에 하도 베리루베터보 첨가제 사용 중인데 가속반응은 인상적으로 좋아졌는데 연비는 이전보다 떨어졌어요. 차가 잘나가서 연비향상도 기대했었는데 좀 아쉬웠어요. 이전 조합은 셀레니아 wr 0w30에 제넘ce300 첨가제였어요.
그런데 레드라인 유로 시리즈 외 오일은 대부분 가솔린 전용 오일 아닌가 싶은데요.
우와 좋긴 하군요. 넣어야겠네요
오늘도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박사님 짱짱맨 ㅠㅠ 엉엉
엔진오일의 목적 즉 엔진보호를 하는 항 마모성 과 엔진오일의 윤활 내구성(내열,산화내성)이 평가에 있어 제일 중요하지 않나요?
AUDI A8 4.2TDI/Q5 3.0TDI를 운행중에 있는데 VW 504, 507을 만족하는 LISTA 0W30에 LISTA S1을
첨가하는것이 좋을까요, 첨가하지 않는것이 좋을까요? LISTA 0W30으로 바꿔보고 싶습니다.
또 오일을 바꿀때 광유로 세척한후 신유로 사용하는것이 바람직 할까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자연흡기 간접분사 300마력 넘는거 타고있습니다.
레드라인 하이퍼포먼스+루베스트로 2년간 관리하다가 레드라인 하이퍼포먼스+리스타 조합으로 3회째 타고있습니다. 풀악셀로 다녀서 매 7천키로 교환합니다.
지금 루베스트 2통째 쓰고 있는데 한통 남았거든요.. 이거 다 쓰면 리스타 써봅니다.
엔진오일 한줄요약 - 자주갈면 그게 최상이다
오 한번 사볼까 이제까지 가성비만 써서 만족감은 없었는데
와 진짜 잘 만들었어요.~! 최고의 영상입니다. 다들 개인느낌이로만 분석하는데.. 수치적으로 분석하는 자료는 거의 없죠~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GS의 G1 SP와의 궁합도 아틀란틱만큼 나올까요?
후속편 나오길 기대했는데 :)
리스타말고 씨스타 넣으면 어떨까요?
는 해체...ㅠㅠ
나도 넣어보고는 싶네요.
박사님 습식클러치사용하는바이크에 리스타사용가능한가요?
결과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모두 5W30 점도로 테스트를 했는데 열산화 안정성 테스트에서 리스타+아틀란틱의 실험전 100° 점도가 아틀란틱의 점도보다 낮습니다. (10.6 vs 11.3) 실제 첨가제로 인한 점도 저하의 가능성이 있나요?
첨가제 주입량만큼 기존오일의 베이스오일이 줄어들었으니 첨가한 리스타의 점도가 기존오일보다 낮다는 이야기.
그것도 틀리진않지만
하이엔드같은 고성능은 못냄
윤활.마찰력이 극대화 되는것뿐
좋구만 리스타 짱짱맨
리스타 가격이 오를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
와우 이정도면 진짜 바로 삽니다. 감사합니다.
찐 유튭!
와 ㅋㅋㅋㅋ고생하셨습니다 정성이느껴지는 영상이었습니다
👏👏👏
와...👍
레드라인+리스타면 어떨까요???????
저도 그생각했습니다,,
최상으 조합이라 생각합니다.
@@user-BabyeEast 나만 생각한게 아니였군요ㅋㅋ
ES300h 하이브리드엔진에도당연이 효과를 볼수 있겠네요?
레드라인에 리스타를 섞어서 넣어보고싶네요 ㅎㅎㅎㅎ 잘 봤습니다~
유튜브가입15년만에 추천을 눌러보넹
역시 유재석씨 중간 정리 진행이 뛰어나군요 명mc답네요
오오 이분이 유재석씨였습나까. 어쩐지 잘하시더라.
레드라인 좋지...스팅어에다가 넣었었는데 만족도 높았음
레드라과 리스타 함께 사용시 어떤지 궁금해요
킥스 g1만 쓰는데 리스타한번 넣어볼까..
g1에 리스타 조합이 가성비 짱일듯 싶네요
진짜대박입니다!!!
감사합니다
역시!!! 좋은 정보인 것 같습니다. 항상 엔진오일에 대한 궁금증이 많았는데.. 정말 좋은 실험으로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 영상을 블로그에 공유해도 될까요?
👍🏻 👍🏻👍🏻 👍🏻👍🏻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엑스하이브리드 제품도 한번 테스트 해보세요. 진동 과 소음을 현저하게 줄여주더라구요.. 매연도 마찬가지구요.. 꾸준히 넣고 있는데 테스트 영상 기대가 됩니다.
하이브리드엔진도 좋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