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정욕구 버리기(눈치 안보는 법), 인정욕구, 애정결핍, 자의식 과잉 극복 방법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인정욕구가 무엇인지, 인정욕구 극복방법은 어떻게 할 수 있을지 알아볼 수 있는 영상입니다. 특히 눈치를 많이 보고 다른 사람들에게 맞추는 착한 사람들에게 추천드리는 영상입니다.
#인정 #인정욕구 #애정결핍 #사회불안 #눈치 #인정욕구버리기 #인정중독 #착한사람 #호구탈출구 #호구 #자의식과잉
목차
오프닝 00:49
인정욕구란? 01:23
인정욕구가 심한 이유 03:50
인정욕구 극복방법(눈치 안보는 법) 05:56
마블리 경험담 10:34
눈치 좀 덜보고 당당해지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보세요
ruclips.net/video/wrTEQihkbu8/видео.html
★무료 멘탈 훈련 PDF 링크
bit.ly/4cKFyfS
제가 힘들었던걸 콕 집어 알려주시네요 너무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셔서 다행입니다!
저도 가끔 눈치보는 제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데.. 도움되는 영상인 것 같아요! 좋아요 누르고갑니다
도움이 되셔서 다행입니다. 앞으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영상을 고민해 보겠습니다 :)
눈치 안보고 막 살고 싶습니다.
눈치를 많이 보시느라 힘드신가 보네요! 너무 막 살면 다치실 수 있으니 몸도 사려야 합니다!
직장에서 사람들 눈치 보는게 짜증나면서도 불안해요.. 저도 영상의 캐릭터처럼 행동하고 싶은데 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응원합니다
눈치와 인정욕구라....서로 별개 아닌가 싶은데요?? 관점이 서로 안맞아요.
눈치를 본다고해서 인정욕구가 높은건 아니에요. 반대로 인정욕구 높은 사람은 눈치 안볼때가 있죠.
성과를 독차지 하려면 남의 시선과 상태는 중요하지 않죠
그리고 눈치를 안보면 이기적인 사람이 되기 쉬워요. 눈치를 덜 볼 수 있어도.
아예 안볼 수 없습니다. 이 영상은 사회초년생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어요.
요즘 소위 말하는 무개념MZ가 되는겁니다.
인정욕구가 높고 눈치를 보는 특성은 불안장애 중 사회불안장애에 해당할 수 있는데, 눈치 보는 것에 너무 고통스러워 하는 사람들에 맞춰서 영상을 제작하다보니 잘못하면 무조건 눈치보지 말라는 느낌이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답변 주신대로 인정욕구가 높더라도 그 사람의 특성, 상황에 따라 상대방에게 맞추지 않고 완전히 반대 모습을 보이는 행동도 보일 수 있는게 맞습니다. 짧게 영상을 제작하다보니 보다 일반적인 형태의 내용을 만들면서 구체적인 패턴을 다루지 못한 것 같습니다.
저도 상대방을 전혀 배려하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만 하는 이기적인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하고 앞으로 영상 제작할 때 더 신경쓰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