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때 제 지도교수님이셨던 범진욱 교수님을 여기서 뵙네요! 모든 학생들의 이름을 다 기억해주실 정도로 참 따뜻하셨던, 그러나 학문에 대하여서는 냉철하셨던, 교수님이셨습니다. 이렇게 방송에 나오셔서 대한민국의 미래 발전에 기여하시는 참 된 교육자의 모습에서 존경심을 한 번 더 느낍니다! 건강하세요, 교수님! :)
반도체 설계와 제조를 구분하여 인력들을 교육 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그렇다면 어느 쪽의 인력이 더 필요할까요. 더구나 수도권대학들에 대한 집중지원 정책에 반대하는 지방대학들과도 마냥 나누어 먹기식이 아닌 명확한 역할로 구분하여 소수정예, 선택과 집중을 하는 정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특히 누가 제품을 기획하고, 이디에, 누구에게 팔고 영업, 마케팅을 할 것인지 관련 인려들이 많이 필요합니다.
시스템 반도체 설계 경력 20년 입장에서 보면 큰 의미 없는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1) 기존에 여러 전자공학과 학생들이 좋은 회사 입사하려고 경쟁하고 노력하고 있는데. 고3 학생 기준으로 거의 입사를 확정이라는데. 뭐하러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하고 경쟁할 필요가 있을까 싶고요. 2) 반도체 설계가 학교에서 잘 가르쳐줘서 육성할 수 있다면. 소프트웨어 개발도 어디에 육성학교 만들어 운용하면 양질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육성될 수 있을 거란 착각이랑 비슷합니다. 회사에서 똑똑한 사람들 데려다 놓고 아무리 반도체 교육시켜봐야. 좋은 설계자가 나오지 않는..ㅠㅠ (기자 학과를 만들어서 잘 교육시키면. 한주엽 기자님같이 좋은 기자가 생기지 않는다는....) 3) 대기업 반도체 인사과에서는 떨이로 대량에 인력을 수급할 수 있게. 밭떼기 계약을 해봤으니. 다양한 외부 변화에 영향을 덜받는 인력 수급이 가능해서 좋을 것 같습니다. 학교에 이것저것 비싼 환경을 투자할때도 내부 인력이니 비용을 쓰는데도 좋은 점은 있을 수 있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좋은 인력 수급을 위해서는. 더 많은 학교에서 반도체 인력을 교육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고. 그 학교끼리 논문이되던, 대회가 되던 다양한 형태로 경쟁할 수 있는 형태를 만들어야 하는데. 교육부는 반도체에 투자할 수 있는 형편도 아니고. 예전에 산자부에서 IDEC이라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했는데. 요즘은 잘 안보네요.. 어쨌든 잘되길 바랍니다.
현재 재학생으로서 1) 삼성 기준, 입사 확정 수준이 아닙니다 수준미달은 꽤 떨어뜨려요 다만 졸업 전까지 기회를 계속 주긴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솔직히 매체에서 많이 다뤄줬으면 함) 합격 후에는 마음이 좀 편해지긴 합니다만 다들 어차피 회사가서 해야하는거 라고 생각하는지 과 동기, 선후배들 전반적으로 열심히 하는 분위기더라구요 2) 과가 소수라서 그런지 학부생 나부랭이로서 받는 교육의 퀄리티나 실습, 실험 등의 지원, 시설, 장비 등이 꽤 좋다고 생각됩니다 교육의 퀄이 올라가는 만큼 10만큼 할 사람이 11,12를 할 수 있지는 않을까요...? 계약학과 4학년으로서의 짧은 생각입니다...! ㅜㅜ
@@bca5918 20년이면 꼰대 맞습니다. ^^ 계약학과를 설립한 기업이나 그 학과를 다닌 학생에서는 당연히 도움이 되고요. 다만 퇴직이 얼마 안남은 꼰대입장에서는 국가 반도체 설계인력이 좀더 큰 scale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측면입니다. 저희 나라는 대기업에 우수한 신입사원위에 저같은 무능한 꼰대가 자리잡고 있다보니 세계적인 우수한 반도체 설계회사가 나오지 않습니다. 계약학과는 꼰대나 대기업에서 원하는 일만하게 하는 환경에 좀더 가깝고 자유롭고 새로운 반도체를 만들기에는 조금 먼것 같습니다.
아래와 같은 내용이 없는 것이 아쉽네요. 1. 기존의 이공계 학과 학생들은 충분히 뽑지 않으면서 계약학과를 통해 뽑으려는 의도가 뭔지 궁금하네요. 회사에서 더 필요한 내용이 따로 있나요? 필요하다고 하는 내용만 골라 교육하다 보면 질이 낮아 집니다. 각각의 이공계 학과 학생들의 전문성이 더 좋습니다. 2. 지난 5-10년간은 반도체 인력이 지금 만큼 필요치 않았나요? 최근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데, 왜 이제서야 나오나요? 3. 계약학과라면 계약이 끝나면 사라지는 과 입니다. 계약이 영원할 수 없지요? 교수들도 계약교수만 뽑아야 겠지요? 설령 모집이 덜 되도요. 만일 테뉴어 트랙 교수를 뽑으면 나중에 부작용이 커질 겁니다. 4. 계약을 맺은 학교들은 학생 인건비 외에 어떤 지원을 회사로 부터 받나요? 장비 인프라도 받고 정기적으로 연구비도 받나요? 어느 정도 금액 인가요? 국가의 지원도 있나요?
그렇죠. 반도체 설계는 기본적으로 알고리듬부터 시작이고 hw sw 구현,설계 인력까지 가져야하니 인력 만들기가 어렵고요. 그렇다고 해도 팹기술도 수준이 필요해서 석박사 필요하죠. 물성, 재료쪽으로 가방끈 긴사람들 필요하죠. 팹은 라인의 장비를 다루고 라인관리할 사람 필요한데 단순 공장이라고 할정도로 낮은 수순은 아닙니다. 학부졸업생은 sw 말고 기술다루는데선 별로 기술에대한 기대가 없어요. 최소 석사는 해야 뭘 좀 해오라고 하는데. 특히 알고리듬 쪽에선 학부졸업생은 무용지물입니다. 논문도 못읽어본 친구한테 줄 일은 별로 없어요.
배워서 해외 나가라. 그래서 더 좋은 대우 받아라. 그리고 말년에 한국에 와서 기술전수 조금 해주면 된다. 응원한다. 한국에 있어봐야 답 없다. 반도체 재고도 겁내리 많다 ㅋㅋ 생산이 문제가 아니다. 걍 당분간 답 없다. 그리고 재고 많을 때 저런 과 들어가서 필요한 것만 쪽 빨아서 일하는 시늉만 하다가 해외 연구소 가라. 이상!
@@simsimsim7209 2~3천은 돈 아니냐 ㅋㅋ 내가 장비사 2년 하다 이직해서 IDM 3년찬데 오히려 돈은 장비사가 더 많았다. 1년차 슈퍼사이클이라고 뉴스 계속 뜰때 이것저것 다 껴서 7천 언더였다. 설비로 교대수당 낀거 갖다대면 할 말은 없다만 뭘 ㅈ도 모르면서 아는척 하는게 꼴보기 싫으네..
학부 때 제 지도교수님이셨던 범진욱 교수님을 여기서 뵙네요! 모든 학생들의 이름을 다 기억해주실 정도로 참 따뜻하셨던, 그러나 학문에 대하여서는 냉철하셨던, 교수님이셨습니다. 이렇게 방송에 나오셔서 대한민국의 미래 발전에 기여하시는 참 된 교육자의 모습에서 존경심을 한 번 더 느낍니다! 건강하세요, 교수님! :)
계약학과의 핵심은 우수한 학습능력을 지닌 학부생을 선점해서 기업이 빠르게 활용하는거죠. 카이스트 포공 연고 서강 한양대에 설치하는게 바로 그런 취지구요
반도체 설계와 제조를 구분하여 인력들을 교육 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그렇다면 어느 쪽의 인력이 더 필요할까요. 더구나 수도권대학들에 대한 집중지원 정책에 반대하는 지방대학들과도 마냥 나누어 먹기식이 아닌 명확한 역할로 구분하여 소수정예, 선택과 집중을 하는 정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특히 누가 제품을 기획하고, 이디에, 누구에게 팔고 영업, 마케팅을 할 것인지 관련 인려들이 많이 필요합니다.
제목은 "허와 실" 인데,...내용에는 "허"는 없네요.
허허
우린 낚인 겁니다. 자기 밥그릇 스스로 찰 일이 있나요 ㅋㅋ
너무 좋아서 허허허 웃는다는 의미입니다
서강대 반도체과를 가면 "허허허" 소리내어 "실실~" 웃게된다는 뜻
계약의 문구는 회사의 가치를 보호하는 문구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정말 중요한 분야입니다
시스템 반도체 설계 경력 20년 입장에서 보면 큰 의미 없는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1) 기존에 여러 전자공학과 학생들이 좋은 회사 입사하려고 경쟁하고 노력하고 있는데. 고3 학생 기준으로 거의 입사를 확정이라는데. 뭐하러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하고 경쟁할 필요가 있을까 싶고요.
2) 반도체 설계가 학교에서 잘 가르쳐줘서 육성할 수 있다면. 소프트웨어 개발도 어디에 육성학교 만들어 운용하면 양질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육성될 수 있을 거란 착각이랑 비슷합니다. 회사에서 똑똑한 사람들 데려다 놓고 아무리 반도체 교육시켜봐야. 좋은 설계자가 나오지 않는..ㅠㅠ (기자 학과를 만들어서 잘 교육시키면. 한주엽 기자님같이 좋은 기자가 생기지 않는다는....)
3) 대기업 반도체 인사과에서는 떨이로 대량에 인력을 수급할 수 있게. 밭떼기 계약을 해봤으니. 다양한 외부 변화에 영향을 덜받는 인력 수급이 가능해서 좋을 것 같습니다. 학교에 이것저것 비싼 환경을 투자할때도 내부 인력이니 비용을 쓰는데도 좋은 점은 있을 수 있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좋은 인력 수급을 위해서는. 더 많은 학교에서 반도체 인력을 교육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고. 그 학교끼리 논문이되던, 대회가 되던 다양한 형태로 경쟁할 수 있는 형태를 만들어야 하는데.
교육부는 반도체에 투자할 수 있는 형편도 아니고. 예전에 산자부에서 IDEC이라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했는데. 요즘은 잘 안보네요.. 어쨌든 잘되길 바랍니다.
공감합니다 소중한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ruclips.net/video/3KMspDHxGu8/видео.html
저가 만들었는데, EDA 만들고 싶어요...
현재 재학생으로서
1) 삼성 기준, 입사 확정 수준이 아닙니다 수준미달은 꽤 떨어뜨려요 다만 졸업 전까지 기회를 계속 주긴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솔직히 매체에서 많이 다뤄줬으면 함)
합격 후에는 마음이 좀 편해지긴 합니다만 다들 어차피 회사가서 해야하는거 라고 생각하는지 과 동기, 선후배들 전반적으로 열심히 하는 분위기더라구요
2) 과가 소수라서 그런지 학부생 나부랭이로서 받는 교육의 퀄리티나 실습, 실험 등의 지원, 시설, 장비 등이 꽤 좋다고 생각됩니다
교육의 퀄이 올라가는 만큼 10만큼 할 사람이 11,12를 할 수 있지는 않을까요...?
계약학과 4학년으로서의 짧은 생각입니다...! ㅜㅜ
@@bca5918 20년이면 꼰대 맞습니다. ^^
계약학과를 설립한 기업이나 그 학과를 다닌 학생에서는 당연히 도움이 되고요.
다만 퇴직이 얼마 안남은 꼰대입장에서는 국가 반도체 설계인력이 좀더 큰 scale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측면입니다.
저희 나라는 대기업에 우수한 신입사원위에 저같은 무능한 꼰대가 자리잡고 있다보니 세계적인 우수한 반도체 설계회사가 나오지 않습니다. 계약학과는 꼰대나 대기업에서 원하는 일만하게 하는 환경에 좀더 가깝고 자유롭고 새로운 반도체를 만들기에는 조금 먼것 같습니다.
@@proton9705 형님 반도체 계약에서 석박사하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감사합니다😊
아래와 같은 내용이 없는 것이 아쉽네요.
1. 기존의 이공계 학과 학생들은 충분히 뽑지 않으면서 계약학과를 통해 뽑으려는 의도가 뭔지 궁금하네요. 회사에서 더 필요한 내용이 따로 있나요? 필요하다고 하는 내용만 골라 교육하다 보면 질이 낮아 집니다. 각각의 이공계 학과 학생들의 전문성이 더 좋습니다.
2. 지난 5-10년간은 반도체 인력이 지금 만큼 필요치 않았나요? 최근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데, 왜 이제서야 나오나요?
3. 계약학과라면 계약이 끝나면 사라지는 과 입니다. 계약이 영원할 수 없지요? 교수들도 계약교수만 뽑아야 겠지요? 설령 모집이 덜 되도요. 만일 테뉴어 트랙 교수를 뽑으면 나중에 부작용이 커질 겁니다.
4. 계약을 맺은 학교들은 학생 인건비 외에 어떤 지원을 회사로 부터 받나요? 장비 인프라도 받고 정기적으로 연구비도 받나요? 어느 정도 금액 인가요? 국가의 지원도 있나요?
담주월욜 2교시 전회2 들으러가자..
계약학과이므로 타과학생들이 복전은 곤란하겠네요? 다전공제도가 잘 되어있는 서강대인데 계약학과는 제외인지 궁금합니다
그냥 메디컬이랑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복전 상호간에 둘다 안됩니다
이런 학과들 막 생기기 시작하면 거의 끝물이던데 ..
하도 인력 부족 상황이라 이제 좀 다를지도..
궁금한점 다 물어봐주셔서 감사!
팹리스 인력을 뽑기보다 공장인력을 뽑는 것 아닌가 우려되네요
그렇죠. 반도체 설계는 기본적으로 알고리듬부터 시작이고 hw sw 구현,설계 인력까지 가져야하니 인력 만들기가 어렵고요.
그렇다고 해도 팹기술도 수준이 필요해서 석박사 필요하죠. 물성, 재료쪽으로 가방끈 긴사람들 필요하죠. 팹은 라인의 장비를 다루고 라인관리할 사람 필요한데 단순 공장이라고 할정도로 낮은 수순은 아닙니다.
학부졸업생은 sw 말고 기술다루는데선 별로 기술에대한 기대가 없어요. 최소 석사는 해야 뭘 좀 해오라고 하는데. 특히 알고리듬 쪽에선 학부졸업생은 무용지물입니다. 논문도 못읽어본 친구한테 줄 일은 별로 없어요.
그래서 대학원 산장은 그래서 신소재나 기계쪽은 공정쪽이지만, 전자전기쪽은 회로 설계 위주로 선발하고있더라구요.
나도 전공하다 포기..우리 나라는 안되요. 불가능하다..실무도 안되는 교수들, 기술 부족, 디자인 아무나 하는게 아녀
잘봤습니다..저희아들이 이번에 수시로 합격했는데 중간에 병역의무가 있는 군대 문제는 어떻게되나요
수시전형이 학종으로 뽑나요?
중소기업에서 산학과제 6개월 -> 선후배 릴레이로 하다가 거기에서 평가잘되면 입사
인력이 부족한게 아니라 쓸만한 인력이 부족한거다. 반도체업체 지원하면 상당부분 서탈하고 인적성시험에서 반탈하고 직무면접에서 반토막나는게 현실이다. 전자공학과를 커리큘럼을 세분화해서 심화교육하는게 더 나은 정책같다. 맨날 과만 만들지 말고.
그렇게 전자과 커리큘럼을 세분화해서 나온게 반도체 학과인데요
반도체를 맨 처음 시작한 서강대 굿~ sk하이닉스 계약. 삼전은 반도체트랙으로 서강대가 양쪽 다 걸침
한국은 자격증을 만들어야지
반도체 설계 기사(기능사), 반도체 제조 기사(기능사)
그럼 아줌마도 딴다
늦어도 한참 늦었다. 특히 소프트웨어 쪽.
반도체 석학사 키울려면 10년이상이라는데...
석박사겠죠?
ruclips.net/video/3KMspDHxGu8/видео.html
저가 만들었는데,...
배워서 해외 나가라. 그래서 더 좋은 대우 받아라. 그리고 말년에 한국에 와서 기술전수 조금 해주면 된다. 응원한다. 한국에 있어봐야 답 없다. 반도체 재고도 겁내리 많다 ㅋㅋ 생산이 문제가 아니다. 걍 당분간 답 없다. 그리고 재고 많을 때 저런 과 들어가서 필요한 것만 쪽 빨아서 일하는 시늉만 하다가 해외 연구소 가라. 이상!
비메모리지만 세계탑티어 회사가 2개나 있는데 뭘 해외룰 나가. 삼전 하이닉스 연봉이 초봉+보너스로 1억육박하는데 뭘 나가냐
@@simsimsim7209 응 몇년 후에 중국이 반도체 자립 성공하고 미 일 대만 반도체 삼국동맹이 기술혁신한 후 삼전 하이닉스 쫄딱 망하는 거 시간문제야
@@simsimsim7209 뭘 아무겅도 모르네.. 메모리 1,2위가 삼전 하이닉스고 슈퍼사이클드ㅐ도 초봉 1억은 없었다.
@@helloworld39752 삼전 초봉 4000에 PS 50% 받으면 6000에 각종 수당, 상여, 명절, 복지 합치면 7~8000가지.. 2~3000모자라서 1억 안됨다고 하는거임?
@@simsimsim7209 2~3천은 돈 아니냐 ㅋㅋ 내가 장비사 2년 하다 이직해서 IDM 3년찬데 오히려 돈은 장비사가 더 많았다. 1년차 슈퍼사이클이라고 뉴스 계속 뜰때 이것저것 다 껴서 7천 언더였다. 설비로 교대수당 낀거 갖다대면 할 말은 없다만 뭘 ㅈ도 모르면서 아는척 하는게 꼴보기 싫으네..
낚시???
어차피 다 의대가는데 먼
내가 조금만 늦게 태어났어도
이 학교 예비군 그 교수로 떠들석한 대학아닌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개정진이 애기하던데 야 저기 서강대 모 교수가 예비군 출석문제로 지랄했대매 쯔쯔 거리면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