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한국에는 샤넬같은 명품이 없을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апр 2024
  • 알면 힘이 되는 지식들을 쉽고 재미있게!
    핵심부터 빠르게 듣는
    경제/시사/역사/세계 이야기
    ▶출연 : 이주호, 권순우
    ▶편집 : Choi
    ▶협업제안 : apkwon105@gmail.com

Комментарии • 111

  • @anotherhome7785
    @anotherhome7785 2 месяца назад +40

    무신사에서 싹수가 보이는 브랜드를 위한 프로세스가 오히려 소위 럭셔리 브랜드를 만들 수 없게 만드는 루트가 될 것 같습니다.
    사람들이 열광하는 럭셔리 브랜드들은 패션 고관여층들에게 판매가 되고 대중으로 뿌려지는데, 대중의 입맛을 먼저 맞추고 시작하면 첫단추를 채울 수가 없죠. 또한 처음부터 마케팅을 우선시 하고 진행하는 럭셔리 브랜드는 없습니다. 럭셔리로 보이고 싶어하는 브랜드들만 있고요.
    한국에서는 극소수의 브랜드를 제외하고 디자이너 브랜드라는 말도 쓰기 애매한 트렌드에 맞춘 옷들만 만드는 브랜드들이 양산됩니다. 그 사람들도 먹고 살아야하니까요. 한국처럼 트렌드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나라는 대세에 편승하지 않으면 입에 풀칠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결국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럭셔리 브랜드가 나오기 어마어마하게 힘든 시장이 되었습니다. 부자재도 가성비와 트렌드에 맞게 적당한 것들만 나오고 고급부자재는 거의 다 일본이나 유럽제품들을 써야합니다. 이제는 심지어 퀄리티 좋은 공장들도 거의 없어져서 중국이 더 잘 꿰매는 판국이고요.
    적당한 브랜드들은 항상 나오고 있고 앞으로도 나올테지만 럭셔리 브랜드를 한국에서는 기대하지 않으시는 게 맞다고 봅니다.

  • @dongdongdong2392
    @dongdongdong2392 2 месяца назад +8

    두번째 편으로 제일모직이 직물산업을 왜 접었나를 한번 다뤄주시면 좋겠네요. 제일모직 직물산업 중단이 왜 한국에선 명품이 나올 수 없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거든요.
    세계에서 3번째로 순모 120수 복지를 개발했을 정도로 기술력과 국내 최고의 헤리티지가 있었고 자본력도 국내 제일인데도 어째서 국내발 명품이 나오지 못했는지. 결국 왜 사업중단까지 갔는지.

  • @user-by4zm3sp7k
    @user-by4zm3sp7k 2 месяца назад +21

    명품은 귀족 사치 문화가 극에 달해야 다음 세대가 혜택을 누리는 것... 프랑스 명품 헤리티지가 결국 그런 거다. 사치품을 보는 시선이 곱지 않고, 굳이 그런 게 필요하냐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한다면, 그곳에는 명품이 꽃 피울 수 없다. 부자 조차도 검소하다면 누굴 위해서 고급 산업이 발전하겠는가. 오로지 수출 만을 위해서? 헤리티지 없는 기술은 명품으로 인정받지 못해.

    • @KT-zy8yy
      @KT-zy8yy 2 месяца назад +4

      머리 빨갛게 하고 다닌다고 혀를 끌끌 차는 곳에서는 화려한 패션산업이 꽃피고 그에 따른 경제혜택을 누릴 수 없죠.

    • @biglee3414
      @biglee3414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사실 명품이라는 단어 자체가 단어 번역을 잘못한 거라고 생각함 영어로는 럭셔리인데 명품이라기보다 사치품에 더 강하다고 생각함

    • @muje2511
      @muje2511 2 месяца назад +1

      프랑스인중에 명품 입고다니는 사람 한국에 3분의 1도 안됨.

  • @user-jv5re5fv8w
    @user-jv5re5fv8w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압권이란 채널 퀄리티가 와.....앞으로 무조건 좋아요 누릅니다

  • @user-om6no4ul2b
    @user-om6no4ul2b 2 месяца назад +7

    디자이너브랜드의 아쉬운점은 가격도 비싼데 입어보지 못한다는거! 옷은 핏이 중요해서 무엇보다 직접 입어보는게 중요한데 쇼룸 있는 디브들이 별로 없다보니 갑자기 꽂혀서 (뽐뿌와서) 사는 경우가 거의 없어요. 음~ 예쁘네, 괜찮네하고 장바구니 넣어두었다가 사는걸 까먹는달까요...

  • @TheRyuphoto
    @TheRyuphoto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압권 패션왕이 전해주는 패션 이야기!! 완전 흥미진진!!

  • @jinu0613
    @jinu0613 2 месяца назад +6

    우리나라 패션 브랜드들의 사업마인드의 문제는 이랜드그룹을 보면 적나라하게 드러남. 수많은 브랜드 문어발처럼 만드는데 바로 옆에 있는 다른 브랜드의 매장에 있는 옷이 서로 다 비슷비슷함.
    본사에 가보면 20대 초반에서 30대의 디자이너들이 특별한 고민없이 여기저기 베껴서 수많은 디자인을 뽑아내고 있는데 위에서 최대한 많은 디자인 뽑아내라고 갈구니까 어쩔 수 없음.
    이랜드 정도의 규모면 우리나라에서 뭔가 세계적인 브랜드를 만들 수 있는 역량이 충분한데 경영진의 마인드가 글러 먹었음. 최대한 박리다매로 승부를 보겠다는 마인드인데 정작 그 분야의 원탑인 유니클로 한테도 밀려서 한국시장 다 뺏겼음.

    • @cafelatte123
      @cafelatte123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믿고 거르는 기업 이랜드, SPC.. 🥶

  • @user-ft4so6vd2h
    @user-ft4so6vd2h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무신사가 잘 하곤 있지만, 오히려 최근 트렌드는 자체적으로 마케팅 능력을 키워서 무신사에 의존하지 않는 형태로 가고 있습니다.
    그만큼 무신사 수수료가 만만치 않게 비싸죠. 수수료를 내는 만큼 무신사에 마케팅이나 소비파워가 예전만큼 크냐? 라고 했을땐 그것도 아니고요.
    우리나라 패션 트렌드를 보고 싶으면 일본 시장을 보면 됩니다. 우리나라는 딱 일본을 따라가고 있어요.

    • @OooOoO0O0_00
      @OooOoO0O0_00 2 месяца назад

      오 따라가고 있다는거는 일본이 선행하고 있다는건데 보통 몇년정도를 앞서가고 있나요?

    • @anotherhome7785
      @anotherhome7785 2 месяца назад +1

      @@OooOoO0O0_00예전에는 10년정도이나 요즘에는 1~2년 정도 같습니다. 특정 스타일은 수출되는 경우도 있긴합니다만, 일본 패션은 한국이 절대 따라갈 수 없는 수준입니다

    • @godhjsiwgbe
      @godhjsiwgbe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그거야 포터리 정도나..

    • @user-ft4so6vd2h
      @user-ft4so6vd2h 2 месяца назад +1

      @@OooOoO0O0_00 예전에는 10년이다 말 많았는데, 요즘은 아마 3~5년정도 인것같습니다. 근데 한국도 요즘엔 한가지 컨셉이 유행 심하게 하는게 아니라, 아메카지, 테크웨어, 남친룩, 미니멀 등등 좀 다양하게 사람들이 소비해서 점차 유행이 일륜적으로 진행되지는 않아요. 하지만, 그러한 현상도 일본이랑 너무 닮았습니다. 근데 어쩔수 없는게 일본 얘네는 패션으로는 메이킹부터 브랜드, 시장까지 세계에서 3손가락 안에드는 선진국 입니다. 우리나라가 영향을 안 받을래야 안받을수가 없습니다.

  • @dsgrts
    @dsgrts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압권 저의 넘버원 트렌드 지식 채널~ 너무나 좋아요~ 끝까지 응원합니다!!

  • @user-zw8ni3tb7d
    @user-zw8ni3tb7d 2 месяца назад +6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74-zm7kz
    @74-zm7kz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minhajeong1489
    @minhajeong1489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유익하게 봤습니다~

  • @user-wl6dx6pt7s
    @user-wl6dx6pt7s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우리나란 디자이너가 성공하기엔 좀...아무리 잘 만들어도 아무리 인터넷으로 홍보가 잘 되어도 우리나라 소비는 네임밸류를 따라가기때문에 큰 효과는 없을거 같음...진짜 디자인이 이뻐서 산다보다는 명품이니까 이 브랜드니까 하고 사는게 훨씬 많아서...

    • @user-om6no4ul2b
      @user-om6no4ul2b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런가요?? 요즘은 오히려 명품 보다는 디브가 유행인거 같아요!

  • @strusinskakasia2831
    @strusinskakasia2831 2 месяца назад +8

    알테쉬 옷사는곳은 아닌것같아

  • @user-ud4ks4yu9v
    @user-ud4ks4yu9v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안녕하세요 지나가던 패션디자이너입니다 좋은 정보도 있는데 잘못된 정보도 있어서 가슴이 아프네요

    • @user-hw9eg6de2w
      @user-hw9eg6de2w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이주호 기자입니다^^ 잘못된 정보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 @Judy_Haejung_Jung
      @Judy_Haejung_Jung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코코샤넬같은 전설의 디자이너를 그저 돈많은 남자 만나서 성공하게된 여자라는 것만 어필해서 압축 설명한걸 아쉬워 하신게 아닐까요. 저도 지나가는 의상학 전공자인데 자칫 젠더갈등을 유발할까봐 고민하다가 댓남겨요

    • @user-ke8zy7xd8j
      @user-ke8zy7xd8j Месяц назад

      뭔지 말도 못할거면 그냥 갈길 가시길

    • @user-ke8zy7xd8j
      @user-ke8zy7xd8j Месяц назад

      ​@@Judy_Haejung_Jung여자가 남자 없으면 뭘 할 수 있는데?
      이런거?

    • @bhhan3348
      @bhhan3348 Месяц назад

      내용도 못쓸거면서 시비터는 이런 댓글 진짜 개극혐인듯...

  • @hayake_2237
    @hayake_2237 2 месяца назад +4

    명품은 고사하고 컬쳐있는 브랜드도 없다.

  • @user-iz8gq3pl3n
    @user-iz8gq3pl3n 2 месяца назад +1

    패션산업영상 잘보겠습니다 👍

  • @fadaf610
    @fadaf610 2 месяца назад +3

    명품 사치품으로 한자리 해먹고있는유럽이 퍽이나 아 한국아 그래그래 오냐오냐 하면서 시장내줄꺼같음 ? ㅋㅋㅋ

  • @bakdabang
    @bakdabang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압권 좋아요

  • @buffettwarrant7416
    @buffettwarrant7416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알테쉬가 진짜 산업 전반에 걸쳐서 문제긴 하네요

  • @quantumjump4484
    @quantumjump4484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무신사!! 흥해서 더 좋은 옷 가성비좋게 접하면 좋겠네요. 화이팅입니다

  • @user-pk7pu6kz5u
    @user-pk7pu6kz5u Месяц назад +1

    번역과 의미가 다르게 받아들여지고 문화가 다름. 명품이 아니라 귀족,상류층의 부 과시를 위한 사치품!! 현재 대부분의 명품 브랜드는 중국과 동남아에서 생산되거나 현지의 중국계 하청업체들에서 판매가격의 1/10수준의 원가로 만들어지고 있음. 온갖 세금,부가적인 비용을 추가해도 수익률이 60%가 넘어가는 비정상적인 시장.

  • @carrot0204
    @carrot0204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벤트는 어디서 보나요?? 더보기에 없는데

    • @apkwon_
      @apkwon_  2 месяца назад

      커뮤니티란을 참고해주세요^^

  • @user-fb6lt9ug9m
    @user-fb6lt9ug9m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알리에서 옷을 사봣는데 싼 옷은 정말 아니었지만 7만원 이상의 옷 들은 만족 했습니다. 특히 아메카지나 워크웨어는 오히려 가성비 제품이 많아서 좋았어요

  • @KK-ct6ez
    @KK-ct6ez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나라가 먼저 전 세계에서 인정 받는초대 강국의 역사가 있어야 그 나라에서 사치품 브랜드가 탄생 할수 있다고 봄

  • @noelnoah_
    @noelnoah_ 10 дней назад

    지금은 아니지만 여기저기 빠곰 하게 브랜딩 했던 제 개인적인 의견 이지만 한국은 많이 힘들꺼라 생각 합니다 시장 구조 의 문제도 있지만
    브랜드 유지가 너무 힘들죠. 브랜드 샤넬 처럼 키우고 싶다면 3년동안 30억 정도는 마이너스 볼 생각하고 마케팅 쏟아 부어야
    가능 하지 않을까 라고 항상 생각 합니다. 아더에러 같은 경우도 지금 엄청 잘되지만 처음에 가격이 지금 정도 수준이 아닌걸로 기억 하고 있습니다.
    8년전 인가 아더에러 공장 입구에 패턴 카피 때문에 신입 디자이너들 배치했던 소문도 있었구요. 떠그클럽 같은 경우도 싹수가 보이는데
    화이팅 입니다.
    그리고 무신사 종합몰 보다는 무신사에서 보고 브랜드 사이트 이용해 주시면 좋아하는 브랜드가 명맥이 더 길어 집니다.
    영상에서 공장에 무신사 이야기 하면 해준다고 하는데 그건 100% 신뢰는 힘든 부분입니다. 시장 상황이 전처럼 사이즈 마다 최소 50장씩은 해야 해준던 곳들이 다 망하다 보니
    일이 없는것보다 돌리는게 낫다고 생각 하시는 공장 사장님들이 해주시는 겁니다 사실 해주는 공장이 거의 없습니다 발품을 많이 팔아야 찾겠죠.
    요즘은 무지티에 나염만 찍어서 시작하는 경우가 태반 입니다 당연한 결과 라고도 생각이 들구요
    가끔 시장 나가서 원단 보는데 원단가격도 많이 오르고 인건비도 오르니 소량 생산이 힘들꺼라 생각이 듭니다. 직기 나 우븐 공장은 전멸 직적 이라고 들 하구요.
    모 브랜드 에이랜드 에서 봤을때 무지티 브랜드 라벨 갈아서 팔던걸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다행이 그 브랜드는 성공해서 사옥도 올렸더군요.
    그리고 한국 패션 종합몰들 요즘 2년전에 수수료 35% 이상 이야기 있던데 작작들 하세요. 뭐 행사 들어가면 수수료 줄여준다 뭐한다 하지말고 적당히들 하세요
    당신들의 성장엔 제품팔고 한달후에 정산 해주는 개같은 조건을 받아서 빛내 가면서 제품 만들던 브랜드들도 생각 해야죠.
    처음 시작할때 7%~16%로로 시작했던 그 마음 가짐을 잘 생각해 보세요 그 성장을 한건 본인들의 노력도 있지만 수많은 브랜드들 있었기에 주식 상장
    할수 있었던 겁니다. 팝업을 열어 브랜드를 홍보 해주는건 수수료를 생각 하면 당연한 겁니다
    여튼 옷쟁이 다시 하고 싶지만 돈도 없고 욕심만 많았던 사람이 적어 봅니다.

  • @junname.1600
    @junname.1600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알리에서 옷 5벌 정도 구매해봤는데 딱 그 가격 그 품질

  • @user-nr9zo7pe3b
    @user-nr9zo7pe3b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압권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압권 아자아자!!!

  • @medicalceo
    @medicalceo 2 месяца назад +5

    디자이너까지야 모르겠지만 명품 브랜드는 우리나라에서는 나오기 쉽지 않을것 같다. 일단 명품은 세월 곧 시간이 필요한데 냄비근성만 있는 한국에서는 그런게 될 수가 없겠지

  • @kamlatsa
    @kamlatsa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언더스탠딩이랑 겹쳐여 ㅜ

  • @martine0915
    @martine0915 2 месяца назад

    현직 디자이너입니다.패션은 잘못된 정보가 많은데 비교적 정확한 정보라서 반가웠습니다.이제는 무신사도 저가출혈경쟁이고 w컨셉도 자본을 무기로 하는 디자이너브랜드를 가장한 대기업브랜드들의 유통채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온라인 유통들의 수수료가 백화점수수료랑 동일하고 마케팅비용이 먼저 투입되내 않으면 입점조차 힘듬니다,
    패션은 재고부담이 어마어마하지만 또 뜨면 크게 성장하는것도 순식간입니다.
    다행히도 중국저가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바르게 자리잡는것 같아 아주 조금 희망적입니다,
    왜 너희는 옷을 비싸게 만들어? 라는 기존 소비자들의 인식을 ,왜 그런지 제대로 설명해 주신것 같아 기쁘네요.
    옷은 눈이 한번 타면 재고입니다. 썩는 신선식품도 아닌데 참 신기합니다 ^^

  • @kim63804
    @kim63804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우영우 있잖아요 우영우 파리~ 많이 비싸던데

    • @kottami
      @kottami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우영미

    • @kim63804
      @kim63804 2 месяца назад

      @@kottami 아 우영미군요 압으로 우영우 뒤로도 우영우 인줄 알았어요 ㅎㅎㅎㅎㅎ 드라마 잘되서 나온 브랜드인줄

  • @user-ud8ro9zw9d
    @user-ud8ro9zw9d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알리에선 가성비로 승부
    고가는 아닌듯

  • @Ycointrading
    @Ycointrading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국가와 국민성이 싸구려라서

  • @bluenike
    @bluenike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무신사가 여러 사람들 살리네 😂 ㅋㅋㅋ

  • @filajungwon
    @filajungwon 2 месяца назад

    있어요. 이랜드

  • @user-ui9jd6mt6t
    @user-ui9jd6mt6t 2 месяца назад +1

    ㅋ2324 피디님 폰인가 ?커피 셋트4만선 드림 권님에 새벽5시집 나서는 모든이에 ᆢ ᆢ항시 ᆢ조옴 ㅎ안될시 ? 톡 ᆢ !요

  • @user-il3ni4nh2z
    @user-il3ni4nh2z 2 месяца назад

    중국이.옷을 얼마나 못만드는데 재단재봉 엉망진창임

  • @user-go6vm2tz6z
    @user-go6vm2tz6z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지들이나 알리 테무 저품질 초저가 사는거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많이들 사세요... 그지쉑히들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hyuni1226
    @hyuni1226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나라는 개나소나 다 명품을 쓰는데 이게 나를 뽐내기 위한 허세에 의한 소비인 경우가 굉장히 많아서.
    우리나라에서 진짜 비싸고 좋은 재료로 엄청 잘 만들어도 사람들이 알아주지도 읺을 뿐더러 관심도 없고 사지도 않음.
    왜? 샤넬, 루이비통, 구찌가 아니니까.
    루이비통에서 개집을 만들어 팔아도 루이비통이니까 사는게 우리나라 사람들인데.
    물론, 어나더레벨의 재벌들은 국내 유명 디자이너 샾에서 비싸게 사기도 하는데 그건 그들만의 리그인거고..
    대부분 자기 월급보다 비싼 명품을 무리해서 사는게 현실이다 보니 이름값 하는 명품만 사려고 함. 비싼 돈 주고 샀는데 사람들이 몰라주면 굳이 살 필요 없으니까.
    결국 어나더레벨 재벌급이 아닌 이상 대부분 사람들이 다 아는 그 명품 아니면 살 생각도 않고 관심도 갖지 않으니 브랜드가 클 수 없음.
    사실 지금 대한민국에서 흔히 말하는 명품이 진짜 명품이라고 해야하나? 싶은 지경까지 왔음. 진짜 개나소나 다 들고 다니니까. 물론 에르메스급 이하 급에서.
    돈 있어도 못 사는게 진짜 명품이지..

  • @user-xj1xr7mq1v
    @user-xj1xr7mq1v 2 месяца назад

    알리 태무가 아무리 싸도 옷이 몇 번 세탁하면 넝마가 되니 한국제품 사는게 낫죠

  • @user-osan9
    @user-osan9 2 месяца назад +1

    편집만 좀더 간결해지면 더 많은 사람들이 볼거 같네요

  • @garisani186
    @garisani186 2 месяца назад

    디자이너들이 가품 시장으로 가는 걸 선호했다는게 맞는 정보인가요? 소스 출처도 없고..
    굳이 따지자면, 트렌드 카피하는 SPA 같은 브랜드 디자이너 말씀하신거 같은데, 그건 가품이랑은 아예 다르죠.
    패션쇼를 제품 선별을 위해서 한다는 것도
    좀 당황스러운 접근이네요. 쇼를 위한 옷과 판매용 옷이 차이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그건 쇼 공개 전에 이미 결정이 난 사항일텐데요.
    영상이 마케팅 수업 학부생 발표보다 못한 느낌입니다...

  • @user-tn4ey7cx9q
    @user-tn4ey7cx9q 2 месяца назад

    품질 좋으면 비싸도사 저가로 싸을라 하지마

  • @jakekimm9
    @jakekimm9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샤넬같은 명품이 꼭 있어야 하나요? 굳이...

    • @user-fb8yw2kx2x
      @user-fb8yw2kx2x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있어야 할 필요는 없지만 있으면 국가와 사회를 굴리는 경제에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 @HYUN_135
      @HYUN_135 2 месяца назад

      현기차보다 페라리나 롤스로이스가 마진도 훨씬 많이남고 불경기에도 강하니까요 우리가 허영심이 어쩌고 저쩌고 욕해도 그게 기업 입장에서는 훨씬 좋음

    • @user-hw9eg6de2w
      @user-hw9eg6de2w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fb8yw2kx2x 이주호 기잡니다^^ 맞습니다. 노보노디스크가 덴마크 경제 하드케리하는 거처럼 루이비통이 유럽 경제 하드케리하는 거처럼, 잘 큰 브랜드 하나 기업으로 성장하면 국가 경제에 매우 좋죠^^

    • @baby_gomxy
      @baby_gomxy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개인적인 차원에서 명품 제품을 꼭 가질 필요는 없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고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명품 브랜드를 만들고 보유하고 있는 것은 중요하죠.

  • @minaroh9377
    @minaroh9377 6 дней назад

    왜긴왜야 망한나라니까 없지 앞으로 영원히 나올 일 없다 ,꿈 깨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기서 누가 옷을 사?

  • @user-wx3zl6pg2f
    @user-wx3zl6pg2f 2 месяца назад +2

    패선만큼 돈값하는게 또 있을까? 무신사 흥해라!!

  • @oopswow
    @oopswow 2 месяца назад

    알리에서 옷 사봤어요?
    저도 이런 영상 보고서 혹해서 알리에서 옷 사고 입어보지도 않고 의류수거함으로 갔습니다.
    개 쓰레기에요. 반품도 어렵고.

  • @winterishdays
    @winterishdays 2 месяца назад +42

    알테쉬 사봤자 우리 경제에 득될거 하나도 없음ㅜ 장기적으로는 한국 브랜드가 잘 돼야지

    • @onu7151
      @onu7151 2 месяца назад +15

      돈아끼는게 득인데요? 반의반값인데?

    • @user-dr6th4lh4k
      @user-dr6th4lh4k 2 месяца назад +24

      그런 생각으로 한국산만 소비하니까 경쟁없이 가격만 올라가는 거죠

    • @collcococo4699
      @collcococo4699 2 месяца назад +22

      호구 여깄노ㅋㅋ택갈이 비싸게 사라

    • @parkjimmy1008
      @parkjimmy1008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브랜드 잘되면
      내 지갑은 비어져간다

    • @user-oj4wp5ek9q
      @user-oj4wp5ek9q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신토불이 하세요 ㅋㅋ 국내 기업 의류도 중국에서 외주 줘서 만들어 오고 공산품도 택갈이 하는 마당에 ㅋㅋ

  • @cnskcnskgksqkd
    @cnskcnskgksqkd 2 месяца назад

    가격은 명품만큼 비쌉니다. ㅎㅎ

  • @user-nu8wd6ln6c
    @user-nu8wd6ln6c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역사도 별로 안됐는데 먼 명품임 ㅋ

  • @user-wq7eg7vj6g
    @user-wq7eg7vj6g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결국 가운데 구멍 잘빨아서 탄생한거네

  • @tamim1083
    @tamim1083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꼭 있어야 해?

  • @kimyiungi
    @kimyiungi 2 месяца назад

    명품시장은 사양산업이 될텐데
    굳이 샤넬을 만들필요가
    있나요 그냥 개개인이 디자인ㅈ해
    옷을파는 시대가 올텐데
    디자인이 좋고 품질이 좋으면
    고가로 잘팔릴테고 아니면
    선물용도로 😂😂😂
    인공지능로봇이 개발되면
    집에서도 옷을 쉽게만들어
    인터넷마켓에서 수제용도로
    파는 개성강한옷들이 팔릴겁니다
    무슨명품산업입니까😂😂😂
    명품을 살 구매시장이
    사라져요 😂😂😂
    어차피 적은복지수급비로
    살아야하는데 😂😂😂
    곧닥쳐올미래지요

  • @user-cr5cv2ph1c
    @user-cr5cv2ph1c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애초에 유럽 명품 카피 해서 파는 애들임 ..ㅋㅋ 우리 나라 애들은 창의력이 없음 ㅋ 유럽애들옷 동양인한테 어울리게 스리 슬쩍 고쳐서 파는게 다임 압권 이번 영상은 좀 실망 .. 무신사 한테 진짜 아무것도 받은게 없나 무신사 설드 아웃 땜시 존나 적자 인ㄱ 뻔히 알고 ipo 해야 적자 메꿀텐데 ㅋㅋ 불가능 하자나 ..

    • @godhjsiwgbe
      @godhjsiwgbe 2 месяца назад

      ipo랑 적자랑 뭔 상관인가요? ipo하면 기존 주주들이나 주식값 오르니 좋은거지 회사는 ipo로 유입된 증자로 들어온 현금 확보하는게 끝인데

    • @user-cr5cv2ph1c
      @user-cr5cv2ph1c 2 месяца назад

      @@godhjsiwgbe 병 ㅅ 아 쟤네 투자 받은거 갚아야 하자나

    • @user-cr5cv2ph1c
      @user-cr5cv2ph1c 2 месяца назад

      @@godhjsiwgbe 투자 받은돈 안돌려줌 ? ㅋ

  • @haomaru2428
    @haomaru2428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알리 테무 쉬인 사랑해유
    한국 양아치 눈탱이 업체 모두 다 망하게 해줭요
    용원히 함께해유

  • @unionasone
    @unionasone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컬컬컬 배민 쿠팡 모두 외국계 회사인데 외국 자본이 다 갖고 있는 것인데 중국이 들어오던 뭐가 들어오던 뭔 상관인가요?

  • @user-ls5rc4ee2f
    @user-ls5rc4ee2f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중국에서 명품을 사? 놀고 앉아있네 ㅋㅋㅋㅋㅋ

    • @kirin1229
      @kirin1229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구찌 톰브라운 국가별 매출순위는 알고하는소리냐? 무식하면 겸손하기라도해야지…

    • @user-ls5rc4ee2f
      @user-ls5rc4ee2f 2 месяца назад

      @@kirin1229 ㅇ너 많이 사 병신아. 짝퉁 받고 좋아서 을겠네 병신이

    • @fuzzface-983
      @fuzzface-983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냥 명품 브랜드 소비 싹 다 중국이 1위 아닌가? 넌 좀 놀고 앉아봐야겠다.

    • @xiaolee4851
      @xiaolee4851 2 месяца назад +1

      현실을 모르네 ㅋㅋㅋ

    • @user-ls5rc4ee2f
      @user-ls5rc4ee2f 2 месяца назад

      @@xiaolee4851 뭐래. 시진핑한테 돈 받아쳐먹았냐?

  • @rfkck2919
    @rfkck2919 2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