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만 알면 이제 계산 없이 바로 답이 보입니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놀면서❤️수학만점~ 인공지능수학 깨봉!
    #깨봉수학 #도형 #초등수학
    [깨봉수학 바로가기] ▶ bit.ly/3VH7hrK
    [조봉한 박사 섭외문의] ▶ bit.ly/3S5icYg
    [깨봉 유튜브 구독하기] ▶ bit.ly/36blgM9
    [카카오톡 상담하기] ▶ bit.ly/3dgDA7F
    [미래를 함께할 인재모집] ▶bit.ly/3lkLYN1

Комментарии • 22

  • @quebonmath
    @quebonmath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놀면서❤수학만점~ 인공지능수학 깨봉!
    [깨봉수학 바로가기] ▶ bit.ly/3VH7hrK
    #깨봉수학 #도형 #초등수학
    [조봉한 박사 섭외문의] ▶ bit.ly/3S5icYg
    [깨봉 유튜브 구독하기] ▶ bit.ly/36blgM9
    [카카오톡 상담하기] ▶ bit.ly/3dgDA7F
    [미래를 함께할 인재모집] ▶bit.ly/3lkLYN1

  • @bsw4291
    @bsw429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제가 학교 다닐 때 수리 풀 때 하던 사고인데 이걸 설명해주시는 분이 있어서 너무 반가웠습니다. 저도 이과 수리 만점 1등급이었는데 이런 사고로 문제 풀었습니다 이런 사고를 해야 나중에 수능 끝나고 사회에 나가도 수학을 풀 수 있습니다.. 30대지만 아직 미방 풀 수 있는 건 암기식이 아니라 결국 사고입니다 :)

  • @hasomicheonae
    @hasomicheona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7의 배수가 먼저 보이네요

  • @agnes-j9c3j
    @agnes-j9c3j 4 дня назад

    안녕하세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번 내용과는 별로 관계없긴 한데 너무 궁금해서 질문해 봤습니다.
    제가 이제 초5인데 초4일때 다각형 심화 풀 때 어떤 선생님이 알려준 다각형의 꼭짓점과 변 수가 늘어 날 때마다 모든 각의 크기의 합이 180도 씩 늘어난다는 방식으로 푸니깐 잘 풀리던데 왜 다각형의 꼭짓점과 변의 수가 늘어날 때마다 모든 각의 크기의 합이 180도로 늘어 나는지 깨봉식으로 설명해주세요.

  • @지성태
    @지성태 Месяц назад

    박사 님 깨봉 수학에 감사합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YouTuve에서 듣다가 중력의 속도가 빛과 같다는 데,
    동시에 작용하지 않으면 지구는 공전 궤도를 벗어나 멀리 가버린다고 생각합니다.
    깨봉 수학으로 설명이 될 수 있겠습니까.

  • @crankylim7365
    @crankylim736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대단해요! ❤

  • @YouTube_Is_The_Brainless_Oaf
    @YouTube_Is_The_Brainless_Oa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

    1. 105를 위의 35 직사각형 3개로 쪼개볼 수 있어야 합니다.
    2. 28 직사각형도 위에 14직사각형 2개로 쪼개볼 수 있어야 합니다.
    3. 그렇게 자른 후 맨 밑에 35와 21이 높이가 같은 것도 보여야 하죠. (이유: 같은 전체 높이에서 정확히 똑같은 비율로 3등분을 할 수 있으므로)
    4. 그러면 21과 14의 높이도 같다는 걸 증명했으니 빨간 것은 7이 똑같이 3개가 들어있다는 거죠.

  • @박두현-d3o
    @박두현-d3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그냥 선 그어서 다쪼개보면 제일 작은 사각형이 7임 7 3개니까 21
    3초컷 끝

  • @flyingsani5
    @flyingsani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와~

  • @Snowflake_tv
    @Snowflake_tv 3 месяца назад

    썸넬 보고 숫자 메모해서 21. 수식을 쓰진 않았고.
    관련 동영상에서 배워서 이렇게 푼 듯 하네요.
    그래도 연필을 전혀 쓰지 말고 머리로만 풀라고 하면 너무 어려울 것 같네요. 숫자도 까먹을 것 같고.

  • @YouTube_Is_The_Brainless_Oaf
    @YouTube_Is_The_Brainless_Oa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다른 풀이 방법.
    위치를 무시해서 보는 각도를 다르게 보세요. 90° 회전해서 볼까요?
    그리고 35와 105의 위치를 바꿔서 보면 비율이 나올 것이고 그 비율을 이용해서 빨강을 구할 수 있죠?
    그리고 왜 일일이 구구단 7단 외우면서 계산합니까? 계산은 계산기가 하는 겁니다. 문제가 복잡해지면(이 문제의 경우 배수가 세기 힘들 정도로 커지는 경우) 그게 더 빠르니까요.

  • @katrinoy1
    @katrinoy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번 문제는 7의 배수인게 바로 보여서 쉽네요. 저도맞춤 ㄷㄷ

  • @호주맘바
    @호주맘바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머리가 좋아지는 방송 깨봉 ㅎㅎㅎ😊

  • @yoorimgye8896
    @yoorimgye8896 4 месяца назад

    아 3차원 부피를 2차원으로 만들려면, 1단위로 썰어서 깔아둔 면적이고… 2차원을 1차원으로 변환하는 건 1만큼 길게 잘라서 잇는… 거였군요. 그걸 다시 부피로 변환하려면 기존의 축에서 있던 좌표 정보를 없앴으니 상위 차원에서 어떤 형태인지는 자유인거구요. 깨봉하면서 각 다른 차원에서 더루는 수를 유닛 없이 어떻게 한 수로 표현하나 했는데… 1이 그냥 단위수였군요. 수의 단위… cm나 l처럼 수 체계의 유닛..

  • @권태하-d6x
    @권태하-d6x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와~우😊

  • @대죽순-e3h
    @대죽순-e3h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문제 어떻게 하면 쉽게 구할수 있나요?
    가로 세로 1인 정사각형이 있습니다.
    4개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1인 원을 그리고, 사각형 내부 정중앙에 4개의 원이 겹치는 부분의 면적은?

  • @Secretroblox-kimsiknoldang
    @Secretroblox-kimsiknoldan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21 근데 전 다른 방식으로 풀었어요.

  • @ppopiplusone_korea
    @ppopiplusone_korea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재미있네요ㅎㅎ
    다음에는 보조선 긎는 도형 문제도 알려주세요❤

    • @jamescho6278
      @jamescho627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 아래에 ㅅ받침 이에요!

  • @kokopam1
    @kokopam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기가 막힌다

  • @musirum
    @musirum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대충 21같았는데 진짜네

  • @Laaa-yv6gj3jv6p
    @Laaa-yv6gj3jv6p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난 대충 21같아는돼 진짜 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