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에 짐승을 인정하면 마음은 편해지기 시작한다 | 힘들어도 사람한테 너무 기대지 마세요, 정우열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책 #마음 #지혜
이 영상은 금전적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참고 도서
힘들어도 사람한테 너무 기대지 마세요 - 정우열
구매 링크
yes24 : bit.ly/3y4BIwz
교보문고 : bit.ly/3KBJAbg
알라딘 : bit.ly/3LzASLX
인터파크 : bit.ly/3KDxvCL
댓글과 좋아요 감사합니다.
건전한 토론 ok. 욕설은 삭제!
배경음악
artlist.io
문의
이메일 : ootans@gmail.com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 open.kakao.com...
인스타그램 : / sunneeds_together
채널가입
/ @sunneeds
자기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주는 과정이 최소 1~2년이 걸린다는 말이 저의 조급함을 조금은 낫게 해주네요^^ 좋은 아침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예~~ 맞아요
우리는 모두 다중 인격체이죠
감정을 관찰하고 흘려보내라...하는 것은, "나로 인정하지 말고 나와는 상관 없는 것으로 여기고 거리를 두어서 그 괴로움을 느끼지 말아라"...하는 뜻인 거 같아요
이것은 우리의 심리를 골병들게 하고 말죠
정우열 님의 말씀은 감정을 인정하고 느끼는 것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그 감정이 들게 하는 생각을 알아차리고 함께 인정하게 해 주시니 참 좋습니다
저는 거기서 그 생각이 들게 하는 나의 믿음은 무엇인가, 이 믿음은 사실인가...까지 생각해보면 엄청 도움이 되더군요
'이런 감정이 드는 내가 싫다' 하는 마음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질투,미움 등등 모든 감정은 사랑과 감사와 똑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라는 사실을 인정하면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감정이 동반하는 건 늘 생각이고 서로서로 상호작용을 하는데, 감정은 수용하고 생각은 걷어차는 일은, 아이에게 오른 쪽 발은 집에 들어오게 하고 왼쪽 발은 집 밖에 있게하는 꼴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내가 내 편이 되면 감정을 억누르며 스스로를 미워하지 않게 되니 마음이 편해집니다!!!
내 마음이 편해지면 오히려 짐승이 아닌 인간답게 남들에게도 베풀 수가 있게 된다!!!
자기 감정을 수용한다는 것은 이렇게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주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많으셨습니다!!!
오늘도 감정에 대한 공부 잘했습니다 ~^^ 🙏🏼🙏🏼🙏🏼👍👍👍💪💪💪❤️🥰🍀🍀🍀🍀🍀🍀🍀🍀🌞🌞🌞
자신의 감정을 그대로 인정하는것이
어려웠어요~ 인정하고 싶은데 인정하는 법을
몰랐던 것 같아요...!
화가 나는 마음을 빨리 없애기 위해서
인정하는 척 했던 것 같아요..
솔직하게 인정해야겠어요!
맞아요
나도 나같은 친구가 있으면 좋을것 같아요
고마워요 ♡
저도 인정하는것이 몇년 걸렸어요..내가 틀렸다는 고정관념이 강했던것 같아요.화내면 잘못된거야.
이제는 화 났어? 반가워.내감정은 옳아.고마워감정아. 니가있어내가 있는거야.고맙다.사랑한다.
이렇게 노력?중입니다^^
주변사람들은 저에게 감정표현을 잘해서 병은 안생기겠다라고 했었는데, 저를 들여다보니
감정표현을 걸러서 하고 있드라고요.
그래서 더 힘겨웠던듯. 언제부턴가 그냥 솔직히 표현해요. 그것이 자연스럽네요~^^
딴말)전현수박사님 영상이 너무 깊어서… 흔적을 남기고 싶었는데 … 혼란스러워요 ㅜㅜ
사실..
평온한 주말 되세요~ 감사합니당
좋아 아침입니당~~^^♡ 아침부터 힐링입니다. ㅎㅎ 저는 오늘 아침에 무기력과 게으럼뱅이랑 함께 놀았어용 ♡♡ㅋㅋ
감사합니다 🙏 🙏 🙏
감사합니다~
써니즈님의 마음이 내 마음 같다는 생각이 들어 늘 응원의 맘으로 보고 듣고 있어요...그냥 나 같아요 그래서 따뜻한 에너지를 팍팍보내고 있답니다 ♥
감사합니다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잘 듣고있습니다👍
아침마다 이렇게 좋은정보 주시는 써니즈님 축복합니다.♡♡♡♡♡
오늘도~ 좋네요!!
좋은날 보내세요 ~^^
좋은 아침입니다
짐승이란 단어가 사랑스럽게 다가오는 새로운 날입니다
나는 짐승이 맞습니다
아~~
감사합니다 오늘도
오늘도 최고입니다 👍
'중생'의 어원이 '짐승' 입니다..
우리 모두는 짐승이고 중생 맞습니다,, ♥️
이미 짐승처럼 살고있는 사람은 자신이 짐승인걸 인정해버리면 완전 날짐승! 그럼 약간 짐승기가있는 사람은 날짐승한테 먹히는거네
ㅎㅎㅎ
아침마다 잘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내 감정을 인정하자..인정하자... 매번 다짐하지만 감정이 올라오면 또 습관적으로 감정을 가라앉히는 합리화 문구를 되내이고 있어요 ㅠㅠ😭 써니즈님 덕분에 다시한번 있는그대로 받아주는것에 대해 생각하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
선좋아요 후감상♡
인간의 무의식에 관해 공부하는 일은 어쩌면 인생에서 가장 큰 공부일 수도 있어요
칼융의 경우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으로 말하고 있는데
집단무의식은 수백억년간의 진화과정에서 모든 인간의 뇌세포나 dna에 심어져 있는 씨앗같은 것입니다.
집단 무의식에는 모든 좋은 감정과 모든 나쁜 감정이 모두 숨겨져있습니다.
불교유식학에서는 이를 장식이라고 합니다. 저장된 의식이라는 뜻이지요.
마음은 이 무의식들을 정화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불같이 들끓어 오르는 이 감정 욕구 생각들을
용기있게 대면하고 정직하게 드러내어 연구하는 일
물론 이런 연구는 혼자있을 때나 아니면 충분한 이해와 포용력을 가진 사람과 함께하는게 좋지요.
석가모니는 탐진치 3독을 계정혜 로 녹여내는 이치를 선포하신 분이시지요.
탐욕은 계율로 분노는 선정 명상으로 어리석음은 지혜로 모두 녹여낼수 있고
또 이 에너지를 밝고 긍정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게됩니다.
서른이 된 아들이 사춘기가 되었을 때부터 항상 얘기했었습니다.
인간은 동물이다. 늘 움직이고 운동하라 지금 재미있는 일에 만족하라
스스로 동물임을 정직하게 인정할 때 인간은 비로서 성숙된 개인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어릴때 부터 가해진 온갖 억압들이 눌러온 동물로써의 무의식 감정같은 것들이
대부분의 성인이 된 사람들에게 여전히 작동하고 있지요.
억압된 감정은 혼자 있을 때 표출하고 또 녹여내야합니다.
그리고 이 감정들 생각들을 녹여내는 진리의 힘이 내 안에 내재되어 있음을 믿으세요.
잘듣겟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감사해요
좋은 아침 이네요 ^~
저도 제 감정을 올라오는데로 인정하기까지 정말 오래걸렸습니다 ㅠ
부정적인 감정이나 표현은 무조건 잘못됐고 좋은게 아니라는 강박도 한몫했구요
그전엔 ㅆㅂ 같은 비속어는 (물론 타인을 향하거나 타인과의 대화에선 쓰진않아요) 혐오감마저 있었는데
부정이든 긍정이든 감정을 있는그대로 인정하니
내안에 상처로인한 분노나 슬픔이 정말 많이 억눌러 있더라구요
욕이든 화든 눈물을 쏟든 감정을 계속 허용해주고 있습니다
이제야 나를 제대로 돌보고 있는거구나 하는 실감이 드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써니즈님~~✨🌿✨도 충만한 하루 되세요 ~~~🌈🌈💗💗💗💕
오늘 유난히 써니즘님께 내적 친밀감 드네요 ㅎㅎ 평소 카톡하고 지내던 오랜 친구같습니당 ㅎㅎ
뒤에 배경이 눈에 들어와 다시 천천히 보았어요..직접 찍으신 거죠~
오늘도 영상이 찰떡같이 마음에 붙어버리네요 .. 감사합니다^^
삶은 겁나는것 이면서
경이로운 것이라고
틱낫한 스님께서 말씀 하셨네요 ~
본성을 이해하고 사랑하는것
나조차 싫은 나 ㅡㅡ
감정을 주채 못해 혼자
바다 찾아가 고래고래
소리지르고 시원해 졌든
기억이 나네요 ^^
웃는것 만으로도
이세상 평화에 기여한다는데
스스로 본능을 수용하고
자연스럽게 내안에
부처님을 인정해 평화롭기를ㅡㅡ
써니즈님
오늘도 고마워요 😄 💕
궁금한게 있는데요 정목스님의 화명상을 보면은 자신에 있는 화를 그대로 내보이라는데요 또 다른 화 명상에서는
다른 사람 신경 쓰지 말고 이런 말 하면 큰 일 날 거 같은데 하지 말고 막 쏟아내라는 거 에요
그리고 나서 잠재우는 식으로 하는데 화를 쏟아낼 때 욕을 해도 되나 해
막 짐승 같은 소리를 쏟아내도 되는 건지
사회생활을 안하는 건 아니니까. 처음엔 혼자 안전한 장소에서 해보고 점차 솔직한 중도적 입장에서 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핵심은 화가 너무 눌려있을 때 자칫 엉뚱하게 화 에너지가 폭발할수 있거든요.
@@sunneeds 감사합니다
저두요 저도 며칠전에 이런 적 있어요 ㅠ
저는 혼자 펑펑 울었어요 ㅠㅠㅠㅠㅜ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입니다^^
오늘은 설화 하나올리겠습니다^^
~어느 지혜로운 할아버지가 어린 손자를
무릎에 앉혀놓고 말했습니다.
"얘야, 사람 안에는 늑대 두 마리가 살고 있단다.
한 마리는 악한 놈이야. 그놈은 화를 잘 내고
늘 싸우기를 좋아하고 용서할 줄 모른단다.
반면, 다른 한 늑대는 착한 놈이지.
이 착한 늑대는 매우 친절하고 사랑스럽단다.
이 두 마리의 늑대가 네 안에도 있단다."
깜짝 놀란 손자가 한참을 생각하더니
할아버지께 물었습니다.
"할아버지, 그럼 내 안에 있는
늑대 두 마리가 싸우면 어떤 늑대가 이기죠?"
손자의 천진난만한 질문에 할아버지는
빙그레 웃으며 대답했습니다.
"그야 네가 먹이를 주는 놈이지!"~
여기서 두마리 늑대는
모든 대립적인 관계의 감정상태를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
네가 먹이를 주는 놈 ㅋㅋ
@@suyounkim3507
내안의 두놈에게 먹이를
지혜롭게 잘 줍시당^^
감사합니다^^
플러스로 물으면 마이너스로 답을 하고,
마이너스로 물으면 플러스로 답을 해서,
극단을 경계하고, 양쪽이 + -- => 0이 되게 할 것,,
제로(0)의 마음상태가 초심이며, 본래 모든 이들의 초심은 청정하니, 이것이 바로 평상심과 초연함의 중도(中道)를 성취하는 한 방법,, ♥️♥️♥️
(feat. 팔정도,중용)
민이님 5가 아닌 8이 왜 중용일까요?
@@suyounkim3507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는데,
중도와 중용은 개념 자체가 다릅니다..
중도(中道)란 극단을 경계하고, '양 모순이 없는 모순'을 벗어나는 것이며, 중용(中庸)이란..
최고와 최저 사이에서 나에게 가장 '적절한 지점' 이 어딘가를 파악하고 정진한 것입니다,,
석가모니가 6년 고행 끝에 알아 낸 깨달음이란.. 심수신법 사념처(위빠사나)를 통한 '정혜쌍수'로.. 비로서,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 란 진리를 체득하셨고, => 아주 아주 중요,,
쾌락과 고통의 양면을 떠난 심신(心身).. 즉,
극단을 떠난 마음과 몸에 조화를 얻는 중도(中道)가 진정한 깨달음이라 생각하시고, 중생들에게 중도(中道)를 성취하는 '실천적 요소'로서..
팔정도(八正道)를 그토록 강조하신 것입니다,,
(feat. 고(苦)·집(集)·멸(滅)·도(道)의 사성제)
얘기하자면, 한도끝도 없지만 재미없죠 수연님..
말씀하신 5와 8의 의미는 잘 모르겠지만..
모쪼록,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Consciousness-401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타인의 시선 평판따위 아랑곳 마세요ㅡㅡ
써니즈님 가끔 얼굴 보여주실거죠~?^^
늘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