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nity-ht3cw (아마 잘 쓰지 않는 일본식 한자어로는 많이 들어보셨을텐데 저는 그 용어들이 헷갈려서 그냥 영어로 썼습니다.) Supination은 발바깥쪽부터 닿아서 착지하는 것이고 pronation은 착지한 후 약간 안쪽으로 좀 더 발이 기울어지는 것입니다. Kipchoge 선수의 파리 대회 영상은 바깥부터 착지하는 것이 잘 보이고 리오 대회때는 착지 후 안쪽으로 좀 더 기울어지는 것이 보일겁니다. 두 동작 모두 자연스러운 포어풋 착지 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보면 됩니다.
@ supination, neutral, pronation 의 3단계 정도로 보면 되겠습니다. 영상에서처럼 신발에 따라 supination이나 pronation은 보일수도, 보이지 않을수도 있으나 만일 일어나는 경우에는 잘못된 것이 아니니 그냥 일어나게 놔두면 될 것 같습니다. 러너에 따라서는 의도적으로 일어나게 하는 경우도 있다고 봅니다.
지구상의 탑급 선수들 따라하지도 못함 그냥 본인 몸대로 뛰는게 맞아요. 킵쵸게가 틀렸다는건 아닙니다. 근데 저 사람들 몸을 일반인은 잠깐 흉내는 낼수 있겠지만 따라가지는 못해요
@@별유랑 이런 글은 대체 왜 다는 건가요? 할 사람은 하는 것인데. Kipchoge 선수가 10년 넘게 건강하게 뛰는 것은 이런 것이다라는 걸 직접 보여 주었는데.
@globe8949 엘리트들이랑 일반인의 영역은 다르니까요. 세계 탑 엘리트들의 영상만 보여주면서 교육하는 사람들이 많아서요 그게 정답인것 마냥 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엘리트도 못따라하는걸 마스터즈들 교육용으로요...?? 그건 아니지 않을까요
@ 건강한 러닝 자세는 엘리트나 일반인이나 같습니다. 오히려 엘리트나 국대 출신 유투버 들 중에 개념을 모르고 강도만을 중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기 채널에서는 우선 개념을 공유하는게 기본 목적입니다.
@@별유랑 저는 이 채널 영상들을 통해서 자세 개선, 기록 향상, 부상 예방등 많은 이점을 얻었어요~ 저같이 도움 많이 받은 사람도 있으니 너무 단정지어서 일반화해 공개적으로 댓글다는건 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ㅎㅎ
@@Trinity-ht3cw 일반화 한건 아니고 제 생각입니다. 저도 서브3 249까지 가면서 현실적으로 느낀거에요. 249 239 주자들도 자세 엉망인분들 많아요. 여기 채널 주인장님이 잘못되었다는게 아니라 엘리트와 마스터즈 의 벽이 있는것처럼 자세도 벽이 있습니다.
선생님 pronation 과 supination이 사전적인 의미로는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 그러는데 러닝에서 저 2가지가 정확히 뭘 의미하고 어떻게 하는건지 설명해주실수 있을까요?
@@Trinity-ht3cw (아마 잘 쓰지 않는 일본식 한자어로는 많이 들어보셨을텐데 저는 그 용어들이 헷갈려서 그냥 영어로 썼습니다.) Supination은 발바깥쪽부터 닿아서 착지하는 것이고 pronation은 착지한 후 약간 안쪽으로 좀 더 발이 기울어지는 것입니다. Kipchoge 선수의 파리 대회 영상은 바깥부터 착지하는 것이 잘 보이고 리오 대회때는 착지 후 안쪽으로 좀 더 기울어지는 것이 보일겁니다. 두 동작 모두 자연스러운 포어풋 착지 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보면 됩니다.
@@globe8949 그럼 순서가 1. supination 이 먼저 되고 그 다음에 2. pronation 이 순서대로 모두 되어야 완벽한 포어풋 착지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 supination, neutral, pronation 의 3단계 정도로 보면 되겠습니다. 영상에서처럼 신발에 따라 supination이나 pronation은 보일수도, 보이지 않을수도 있으나 만일 일어나는 경우에는 잘못된 것이 아니니 그냥 일어나게 놔두면 될 것 같습니다. 러너에 따라서는 의도적으로 일어나게 하는 경우도 있다고 봅니다.
@@globe8949 neutral 은 가운데 발볼을 지나가는것을 의미하는 것일테고 일어나는 경우라는게 어떤게 일어난다는 말씀일까요..?
@ supination이나 pronation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