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06강 근육(1) 근수축기전과 근섬유종류 (정일규 교수의 운동생리학 특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дек 2024
  •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저자인 정일규 교수님의 운동생리학 특강 영상입니다.
    교재 소개 페이지
    smartstore.nav...

Комментарии • 76

  • @대경북스
    @대경북스  Год назад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제2전정판이 2023년 7월 10일 발간되었습니다.
    구입하시는 모든 분께 《운동생리학 핵심 메커니즘 차트》를 증정하는
    이벤트가 대경북스몰에서 단독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dkbooksmall/products/8843759254

  • @user_gehcijjehfjejncj
    @user_gehcijjehfjejncj 3 года назад +3

    이 영상을 보고 칼슘이 아주 중요한 무기질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단순하게 골다공증 예방하는 것으로만 쓰인 줄 알았는데 근육 활동에서도 있어서도 필수적이네요.
    그래서 이틀 전에 칼슘제 신청을 해서 먹고 있습니다

    • @exerscience
      @exer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피드백 감사합니다.

  • @단솔-g3q
    @단솔-g3q 3 года назад +3

    정일규교수님 강의 듣고 있어요 ㅎㅎ 감사드려요,

    • @exerscience
      @exer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1

      헉! 이모님. 늦게나마 여기서 인사드립니다.

  • @효영-n4p
    @효영-n4p Год назад

    교수님 강의 너무 감사드립니다~

  • @magicqueen1101
    @magicqueen1101 3 года назад +2

    교수님 감사합니다

  • @tspark1071
    @tspark1071 3 года назад +2

    대단한 강의십니다 감사합니다

    • @exerscience
      @exer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좋게 평가해주어 고맙습니다.

  • @rachelkim9074
    @rachelkim9074 4 года назад +7

    교수님 이런 귀한 영상 올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1강부터 거의 다 본거 같습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많은 이미지자료를 사용해주셔서 마치 과외 받는 것처럼 공부하고 있습니다.
    교수님의 운동생리학에 대한 애정과 전문지식에 존경을 표합니다. (전문지식에 대해 자신만의 도식을 갖춘 학자가 들려주는 강의는 체계적이고 명쾌하다는 걸 교수님 강의를 보며 깨닫습니다.)
    어렵고 재미없던 에너지 대사와 근수축 과정을 너무나 명쾌하게 설명해 주셨어요. 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강의를 보길 바라는 마음에 댓글씁니다. 이번에 보는 시험에 교수님 강의 덕에 꼭 합격해서 다시 한번 감사인사 드릴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교수님 이하 함께 제작해주신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좋은 피드백 주셔서 고맙습니다~♡♡

  • @TV-vg5xt
    @TV-vg5xt 3 года назад +4

    무료로 이렇게 멋진 강의를 들을 수 있다니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 @user-dt4bq1sx6u
    @user-dt4bq1sx6u 4 года назад +4

    모호했던 근세사 활주설을 아주 잘 이해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교수님의 강의 너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도움되시길 바래요^^

  • @승82
    @승82 3 года назад +2

    진짜 좋은영상들입니다. 도움이 많이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허미영-l6m
    @허미영-l6m 4 года назад +5

    이해 안되고 너무나 막연해서 혼자 추측만 하다가 이영상을 보니 가뭄에 물만난듯 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도움이 된다니 감사합니다^^

  • @user-moonmary
    @user-moonmary 4 года назад +3

    감사히 잘 듣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교수님 ^^

  • @김순주-w4k
    @김순주-w4k 2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piladiet30
    @piladiet3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7월4일6강 1:00

  • @gaied424
    @gaied424 5 лет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덕분에 많이 배웠습니다.

    • @정일규-c1s
      @정일규-c1s 4 года назад

      고맙습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piladiet30
    @piladiet30 4 месяца назад

    38:46

  • @엉금e
    @엉금e 3 года назад +3

    질문있습니다!
    근세사 활주설은 단축성 수축시에만 해당하는 이론 인가요? 아니면 정적 수축, 동적 수축 모두에 해당하는 것인가요?

    • @exerscience
      @exer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1

      동적인 수축(단축성, 신장성 수축)에서 모두 근활주가 일어나며, 정적인 수축에서도 근활주가 일어납니다. 즉, 정적 수축에서 전체 근육의 길이는 변화가 없지만 근섬유 내에서는 근절마다 교대로 근활주가 일어나는 것이지요.

    • @엉금e
      @엉금e 3 года назад +1

      답변 감사드립니다 ^^ 한가지만 더 여쭤보고싶습니다!
      단축성 수축시 근절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장력이 발생한다면 신장성 수축에서는 근절이 길어지면서 장력을 발생하게 되는데 그렇다면 신장성 수축에서는 십자형 가교가 파워스트로크를 M라인 반대로 진행하게 되나요..?

    • @exerscience
      @exer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1

      @@엉금e 신장성 수축의 개념에 조금 혼선을 갖고 있으신 것 같네요. 신장성 수축이란 근육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는 동안 일부 근섬유가 수축작용을 하여서 장력을 발생하는 것입니다. 즉 근절자체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고 신장성 수축동안 근육전체의 길이는 늘어나지만 일부 근절들은 짧아지면서 그 근절에서는 근활주가 일어나는 것이지요.

    • @엉금e
      @엉금e 3 года назад

      아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
      대경북스에서 올린 운동생리학 강의 전부 들었습니다.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 @정성희학생체육대학스
    @정성희학생체육대학스 4 года назад +2

    교수님~ 운동생리학의 기초 근수축기전과 다양한 근섬유에 대해 잘 알아갈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도움이 되셨다는 피드백 고맙습니다

  • @hyetube1010
    @hyetube1010 4 года назад +3

    교수님 덕분에 근수축기전 한번에 외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Chocchoc92
    @Chocchoc92 4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김-i4g4b
    @김-i4g4b 4 года назад +2

    영상 덕분에 이해하게 됐어요 너무 감사합니다 ㅜㅜㅜ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도움이 되신다니 감사합니다~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도움되시길 바래요~^^

  • @jsin-q9x
    @jsin-q9x 3 года назад

    48:18 바쁘실텐데 자꾸 질문드려서 죄송합니다 교수님..
    하지만 너무 헷갈리네요.
    그럼 흔히 '단거리 선수가 속근섬유의 비율이 더 높다'라는 말은 '단거리 선수가 전체 하체 근육 면적 중 속근 섬유의 면적비율이 더 높다. 속근섬유의 갯수와 지근섬유의 갯수의 비율은 모른다.' 가 맞는건가요? (아직 섬유의 갯수 비율을 측정하는 기술은 발전하지 않은건가요?)
    + 속근섬유의 갯수와 지근섬유의 갯수비는 태어날때부터 정해져있다. 단지우리는 훈련을통해 부피를 키우는것일 뿐이다 가 현재 가장 유력한 가설이라 보면 되나요?
    ++속근의 비대와 지근의 비대는 각각 같은 훈련을 했을때 속근의 비대가 더 크게 일어나는것인가요?

  • @dhk7990
    @dhk7990 4 года назад +3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지근경우 알파운동뉴런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흥분의 역치가 낮다라는 표현이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1

      예. 맞습니다. 지근운동단위에서의 알파운동뉴런은 속근운동단위의 운동신경보다 지름이 작아서 흥분역치가 낮고, 또 그래서 근력을 발휘할 때 지근운동단위가 먼저 동원되는 것입니다.

    • @dhk7990
      @dhk7990 4 года назад

      엑서사이언스, 운동생리학 고수되기, 정일규 감사합니다 !!

  • @김종원-v6m
    @김종원-v6m 3 года назад +2

    교수님의 열정넘치는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꼭 필요 하실때만 전문적인 용어를 쓰시고 불필요한 외래어 남발 안하셔서 듣기가 편합니다. 예를들어 디테일이 어떻고 인프라가 어떻고 이런 표현 말이죠.

    • @exerscience
      @exer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좋은 피드백에 감사합니다.

  • @jsin-q9x
    @jsin-q9x 3 года назад

    45:46 한가지더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제경험상 고강도 운동을 하고 다음날이나 그다음날쯤에 근육이 피로한게 느껴지고 이것이 속근속에 젖산등의 피로물질이 생겼기때문이라고 이해했는데요.
    평소에 제가 이럴때매다 고강도 운동을 다음날에 가벼운 숨이찰정도의 유산소운동을 해주면 이것이 해소되는것이 안했을때보다 느껴지더군요.
    제가 여기까지 강의 들은것으로만 이해하면, 저강도 운동은 속근은 동원되지 않고 지근만 동원된다고 하셨는데(물론 저강도 운동을 속근이 동원될만큼 장시간하는게 아니라 숨이 약간 찰정도로만 합니다), 그러면 속근에 쌓여있는 피로물질이 회복될수가 없지 않나요?(저강도 저시간의 운동은 속근은 전혀 동원되지 않으니까)
    아니면 제가 느끼는 피로 해소가 주관적인것 뿐일까요? 그리고 그렇다면 어떤식으로 고강도 운동후 근 회복을 하는게 맞을까요?(강도는 유지하되 시간을 본 고강도 운동보다 줄여서 하면 되지 않을까요?)

  • @lunch_tree
    @lunch_tree 4 года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교수님. 질문을 몇개 드려도 될까요? 1. 신경지배비와 운동 단위의 수는 같아고 봐야하는걸까요? 2. 신경 지배비 같은 경우는 제가 알기로 신경섬유 하나가 지배하는 근섬유의 수를 의미하는데 속근이 근육의 크기가 더 크니까 신경지배비도 클 것이다 라고 생각하면 틀린 걸까요? 3. 운동단위의 크기는 지근이 크지만 운동단위의 수는 지근이 작다. 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ps. 스터디 원들의 질문을 추합해서 쓰느라 계열성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3

      먼저 질문의 개념을 명확히 한 다음에 답할 필요가 있습니다. 질문에서 "운동단위가 크다" 또는 "운동단위가 작다"라는 말은 쓰지 않지요. 아마 "운동단위가 크다"는 질문은 "신경지배비가 크다"라는 의미라고 봐야겠지요.
      신경지배비는 '하나의 운동신경에 의해 지배되는 근섬유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지요. 그래서 신경지배비가 50이라고 하면 신경지배비가 작은 것이고, 500이라면 신경지배비가 크다고 하지요. 그러나 그것을 운동단위가 크다고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는 것은 개념의 오해이지요. 물론 신경지배비가 크면, 그 운동단위에 포함된 근섬유수가 많으므로 운동단위의 크기도 클 가능성이 높겠지요. 그러나 신경지배비가 크다는 것이 운동단위가 크다는 말은 똑같은 말은 아닙니다.
      그런데 과거에는 속근과 지근이 신경지배비가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었지만, 그후 연구를 통해서는 속근과 지근에 따라 신경지배비가 차이가 나기보다는 섬세한 조절이 필요한 인체부위의 근육은 신경지배비가 작고, 큰 힘을 내는 큰 근육은 신경지배비가 큰 운동단위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3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질문에 답하겠습니다.
      첫째, 신경지배비와 운동단위의 수는 같다고 보아야 합니까?
      답변- 전혀 다른 것이지요. 각각의 운동단위 마다 신경지배비가 다 다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운동단위는 신경지배비가 100이고, B라는 운동단위는 신경지배비가 200일 수 있습니다.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2

      둘째질문, 만일 지근운동단위와 속근운동단위가 신경지배비가 같은 경우, 근섬유 하나 하나의 굵기는 속근섬유가 크므로 속근운동단위의 단면적이 당연히 크겠지요.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2

      세번째 질문에서 운동단위의 수가 많다, 적다는 속근이나 지근에 따른 차이로 구분할 수는 없습니다. 그것보다는 인체 부위별 근육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겠죠. 예를 들어 대퇴사두근과 같이 큰 근육은 상완이두근보다는 운동단위의 수가 당연히 많습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부연설명을 하자면 대퇴사두근에는 속근운동단위와 서근운동단위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이며, 그 대퇴사두근 안에 운동단위의 수효가 똑같더라도 속근운동단위의 수가 70%인 사람은 30%인 사람에 비해 근자극을 받을 때 더 큰 대퇴사두근을 가질 가능성이 높겠지요.

    • @lunch_tree
      @lunch_tree 4 года назад

      엑서사이언스, 운동생리학 고수되기, 정일규 감사합니다. 교수님!!

  • @jsin-q9x
    @jsin-q9x 3 года назад

    43:26 안녕하세요 교수님. 이부분에서 그래프가 이해가 잘 안되어 질문드립니다.
    이 그래프의 y축이 동원되는 근섬유 비율인데 이것이 의미하는것이, 어떤 운동을 할때 근육은 모두 쓰이는데 그 근육의 최대 능력의 몇퍼센트가 동원된다는 뜻인가요? 아니면 그 근육의 일부만 쓰인다는건가요? ( 예를들어, 가장 왼쪽구간에서 지근섬유가 약 15퍼센트 정도 쓰이고 있는데, 이는 우리몸의 전체 지근 섬유가 100이라하면 100이 다 일을하는데 이녀석들이 15%의 노력만 한다는건가요 아니면 15개만 운동에 참여한다는 이야긴가요?+ (우리몸의 근육이 둘중에 어떤방식으로 돌아가나요?)
    )
    +위의 질문의 연장선인 질문입니다. 강의때 고강도 운동을 할때도 지근섬유가 먼저 동원되고 그다음 중간/속근섬유가 동원된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전체 지근 능력의 100%가 동원되고 중간근/속근 순으로 넘어간다는 것인지, 아니면 그 일정한 강도에서의 정해진 지근섬유의 전체중 동원비율이 충족되고 그다음 중간근/속근이 차례로 동원된다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먼저 알아야 이것을 제가 해결할수 있을것 같네요.
    늘 감사합니다 교수님.

  • @장석규-s6v
    @장석규-s6v 4 года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교수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강의 중 젖산은 속근에서만 발생된다고 말씀 해주셨는데 그러면 FG섬유를 트레이닝을 통해 FOG 섬유로 많이 전환 시키면 젖산에 대한 저항이나 젖산역치도 증가하는건가요?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1

      예, 좋은 질문입니다, 당연히 FOG섬유가 증가하는 것은 지구력이 개선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젖산역치도 높아지게 되지요

  • @의림배구
    @의림배구 5 лет назад +4

    좋은 교육 영상 감사합니다.

  • @chungholee1945
    @chungholee1945 Год назад

    계약(contract)을 하다보면 가격이 증가할 수도 있도 감소할 수도 있고 그래로 유지될 수도 있다.
    근육의 관점에서도 Contraction은 저렇게 3가지로 변화 할 수 있다.
    근육은 신호가 전달되면 활성(Contraction)되고 신호가 끊기면 이완(Relax)됩니다.
    Contraction을 활성으로 해석해야지 수축으로 해석하면 안 됩니다.
    엉터리 영어 사전을 보고 해석하면
    근육이 늘어나는 데도 수축이라 하게 됨으로 말도 안 됩니다.
    이완은 제외하고 활성 상태만 본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 Isotonic 근육의 길이와 장력이 변하는 것
    1. Concentric Contraction 단축성 활성
    2. Eccentric Contraction 신장성 활성
    ★ Isometric 근육의 길이와 장력이 변하지 않는 것
    3. Isometric Contraction 유지성 활성

  • @무차별피드백
    @무차별피드백 4 года назад +2

    교수님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 질문하나 드리자면, 지근과 속근 중 신경지배비율이 높은 근육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exerscience
      @exer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과거엔 신경지배비가 지근이나 속근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근섬유 유형보다는 그냥 대근육일수록 신경지배비가 높다고 보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 @Skygreen-qb7up
    @Skygreen-qb7up 2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교수님,
    신경전도속도는 속근이 더 빠른데,
    신경지배비는 왜 지근이 더 높은건가요…?

    • @Skygreen-qb7up
      @Skygreen-qb7up 2 года назад

      두번째 질문입니다.
      제가 보는 책에 근섬유효율성은 사용한atp/근력으로 나와 있는데,
      근력/사용한 atp가 아닌가요?

  • @김재훈-u4l
    @김재훈-u4l 3 года назад

    태권도학과 201903029 김재훈 시청했습니다.

  • @jhr4662
    @jhr4662 4 года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교수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질문 하나만 하겠습니다! 운동에 의한 골격근 변화로 장기간의 지구력 훈련에 의해 근섬유 type || x가 type | 으로 전환된다는데 이해가 안되서용 ㅠㅠ. 설명 부탁드립니다 ㅠㅠ

    • @exerscience
      @exerscience 4 года назад

      착각한 것 같네요. 속근섬유인 Type 2b(Type 2x로 표기되기도 함)은 같은 속근이지만 좀 더 지구성을 갖는 Type 2a(중간근섬유)로 전환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지근섬유인 Type 1로는 전환되지 않는다고 했지요.

  • @이종호-z7i
    @이종호-z7i 3 года назад

    용인대학교 유도경기지도학과 201938046 이종호 시청했습니다.

  • @tmi1901
    @tmi1901 5 лет назад +4

    감사히 보겠습니다!!!! 열심히 공부할게욥!

  • @user-gwanseok
    @user-gwanseok 5 лет назад +3

    그럼 지근섬유가 훈련을통해 속근섬유로 될 수는 없지만 중간 근섬유로 발달할 수 는 없는 건가요?

    • @정일규-c1s
      @정일규-c1s 5 лет назад +2

      지근섬유(type 1a)는 훈련에 의해 중간근섬유(type2a)로 전환될 수 없습니다. 다만 속근섬유(type2b)가 훈련에 의해 더 유산소적 능력을 갖고 피로에 대한 내성이 높은 중간근섬유로 전환된다고 밝혔습니다. 중간근섬유 자체가 속근섬유의 일종이지요.

    • @user-gwanseok
      @user-gwanseok 5 лет назад

      @@정일규-c1s아하, 답변감사합니다!

  • @도비99
    @도비99 3 года назад +1

    13:46

  • @Eatwellandworkout
    @Eatwellandworkout Год назад

    교수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