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한 공부3] '비판적 실재론'이란 무엇인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7 дек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5

  • @김경열교수의말씀의집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3:50초 화면의 "경험로은 경험이라는 범주에 기초한 존재론을 숨김으로써" 이 말이 무슨 뜻이죠? 아무리 봐도 잘못된 문장 같군요. "경험이라는 범주에 기초해서 존재론을 숨김으로써"가 맞지 않습니까? 보편적 실재론이 무슨 개념인지는 대략 파악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만 비판적 실재론을 실물 경제이론에 적용을 시도하셨는데, 정확하게 앞서 설명하신 것들과 경제현상의 원인 결과, 분석, 이론으로 접목시키는 연결 작업이 너무나 추상적이어서 마지막은 공중에 붕 뜬 적용적 사례로 보여 아쉽습니다.
    저는 신학자인데, 이 비판적 실재론이 신학에도 잘 적용해서 논리로 사용하는 신학자들이 있기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감사합니다.

    • @overview_effect
      @overview_effect  Год назад

      실증주의자들이나 협약주의자들이 고수하는 경험과 이론의 이분법은, 이론과 경험이 모두 인간의 인식 영역에 속하는 범주라는 점, 과학에서 기본적인 구분은 과학적 지식과 그것의 대상인 '객체 자체'라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다. -151p
      비판적 실재론의 과학관은 경험과 이론이 모두 인간의 생산물이며 그런 의미에서 둘 다 '주관적인 것'이며, 이것에서 독립되어 있는 객관적 실재 자체가 세계에 존재하고 있다는 '상식적인 견해'에 기초를 두고 즉, "과학적 발견과 탐구의 대상들은 그것들에 대한 인간의 탐구와 무관하게 존재한다"라는 것이다(바스카). 여기서는 경험이 아니라 객관적 실재 자체가 객관성의 준거가 된다. 이러한 입장은 세계의 객체들은 그것에 대한 인간의 이해나 지식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존재론적 객관주의'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Beed and Beed). -148p
      "경험론은 경험이라는 범주에 기초한 존재론을 숨김으로써, 실재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을 경험적인 것의 영역으로 붕괴시켜 하나로 만든다". 경험적 영역, 현실적 영역, 실재적 영역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하는 것은 존재의 자동적 차원을 소거하는 것이다. -154p
      위에 말씀하신 부분은 로이 바스카의 말을 인용한 구절인데요, 다시 보니 문장이 조금 이상하다 생각이 들기는 합니다. 원서를 읽지 않아서 정확한 원어의 뜻 혹은 구절의 문맥은 따로 확인을 못하고 있는데요,
      다만 제가 이해한 바는 위 구절들에 근거해서 "경험이라는 범주가 기초하고 있는 존재론(대상, 실재, 객체)의 영역을 숨김으로써"의 의미로 읽었습니다. 객체의 영역, 실재의 영역이 더 근본적이고 경험의 영역은 우연적이고 계기적이며, 이를 말로 표현하자면 '경험이라는 범주에 기초한', '경험이라는 범주가 근원하는', '경험이라는 범주보다 더 근본적인' 등등으로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는 이런 문맥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 @김경열교수의말씀의집
      @김경열교수의말씀의집 Год назад +1

      @@overview_effect 네, 얼추 이해됩니다. 감사합니다. 원문을 보아야 정확히 알 수 있을 듯 하군요. 무슨 말을 하는 지는 대략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leader1207
    @leader1207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로이 바스카의 비판적 실재론은 칼 포퍼의 제3세계를 변형한거 아닌가요?

    • @overview_effect
      @overview_effect  4 месяца назад

      제 짧은 지식으로는 설명드리기가 어려울 것 같고 아래 논문을 참조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The Bhaskarian model, of liberating individuals from oppressive cultural and social systems is a fourth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racting with the cultural world in the direction of social change through shared dialogue within and between oppressed and disadvantaged groups as a means of achieving liberation,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We may term this ideal state as World 4."
      "Popper’s work on World 3 is in itself a valuable contribution to CR thinking and the development of action research."
      -Adam-Bagley, C., & Abubaker, M. (2023). Margaret Archer (1943-2023) on Critical Realism and Morphogenesis: Linking Critical Realist Research Models from East and West. Journal of Critical Realism in Socio-Economics (JOCRISE), 2(1), 77-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