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말 청산도에서 발 앞 수심 7~8m를 노리고 38, 33 감성돔 두 마리를 잡았는데 나중에 내장에 크릴과 압맥이 잔뜩 들어있었습니다. 같은 포인트에서 수심을 5m로 올리고 43 한 마리를 더 잡았는데 이 놈은 배에 홍합만 잔뜩 들어있더라구요. 낚시를 올바르게 한건지.. 잘못 한건지 헷갈립니다.
개인적인 생각인데 아직은 수온이 높아서 그런지 바닥층에서 물더군요 지금 남해권 바다 수온이 아직도 20도가 넘더군요 그러다 보니 밑밥치는 동시에 엄청난 잡어들이 설칩니다 전갱이 고등어 복어 쥐치 등등 이러다 보니 전유동은 꺼내보지도 못하네요 찬바람 불고 좀더 수온이 낮아져야 안정화되지 않나 싶네요
올해는 고수온때문에 낚시가 어렵네유ㅠㅠ
ㅎㅎ 저도 개인적인 생각으로...
처음 바닥권을 노려 한두마리 낚고나서
밑밥이 어느정도 들어갔는데도 입질이 뜸 하다면
ㅡ그때가 과감하게 입질유도 수심을 올려야 하는
타이밍이라 확신함 특히 중썰물이후 직벽지형에서는 대물급들도 떠서무는경험을 자주했음
과감히는 몇미터 정도를 말씀하시는걸까요? 2미터 정도일까요?
@@라노a
남들이 보면 웃음거리 될까봐서
조심스러운데요....ㅎ
이건 저만의 낚시방법이므로
정답일수 없습니다
그러나
저는 확실한건 중썰물 이후에는
감성돔도 밑밥에 반응하여 떠서
중층에서 입질 한다는것에 확신을 갖고 낚시합니다
어떤이는 그렇게 낚시할경우
대물급은 안낚이고 중치급만 낚인다고
반문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발밑수심 14미터인 직벽지형인 곳에서는
중썰물 이후에는 전체수심의 1/2
약 7미터 전후에도 입질받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예 1 )
ㅡ추자군도 직구도 제립처옆 직벽
초겨울 발밑수심 14미터
7미터권에서 하루 5짜급 4마리
예 2 )
완도군 황제도 토끼꼬리 우측직벽
1월 저수온기에도
발밑수심 16미터
8~9미터권에서 5짜 입질
단 ㅡ 갯바위 벽면에서 5미터이내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것이 관건이었습니다
참고만 하시고
낚시시에 전혀 입질이 없을때
한번 시도해 보시기를 권합니다
참고로 저는 올해로 찌낚시 24년차 입니다
@@아름다운백도 정성스러운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내용은 전혀 우숩지 않고, 직벽에서는 벽을 타고 오르내리는 감성돔의 특성상, 그렇게 낚시하는 방법도 있는 걸로 알기에 상당한 내공이 느껴집니다.
너무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아름다운백도공감합니다. 갯바위 직벽포인트에서 밤에 배고파서 동출하신분이랑 랜턴켜고 밥먹고 얘기하고있는데 무심코 직벽아래 쳐다보다가 감성돔이랑 아이컨택한적도있습니다. 벽타고 위아래로 다닌다는 느낌이 있을때가 은근히 많습니다
너무 잘배웠습니다.선생님 목줄을 .1.5호 쓴데요 색깔있는 목줄써도 되나요 아니면 무조건 흰색목줄 써야 하나요.감사합니다.
색깔 있는 목줄도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출시돼 있는 거의 모든 목줄이 투명한 이유가 무엇 때문일까요?
아무래도 투명한 목줄이 유리하기 때문 아닐까 싶습니다.
좋아요 꾹욱 😅
9월 말 청산도에서 발 앞 수심 7~8m를 노리고 38, 33 감성돔 두 마리를 잡았는데 나중에 내장에 크릴과 압맥이 잔뜩 들어있었습니다. 같은 포인트에서 수심을 5m로 올리고 43 한 마리를 더 잡았는데 이 놈은 배에 홍합만 잔뜩 들어있더라구요. 낚시를 올바르게 한건지.. 잘못 한건지 헷갈립니다.
😊
얼굴 안보니 얼굴봐야하는 부담감이 쑥 줄어들엇네요
개인적인 생각인데
아직은 수온이 높아서 그런지
바닥층에서 물더군요
지금 남해권 바다 수온이 아직도 20도가 넘더군요
그러다 보니 밑밥치는 동시에 엄청난 잡어들이 설칩니다 전갱이 고등어 복어 쥐치 등등 이러다 보니 전유동은 꺼내보지도 못하네요
찬바람 불고 좀더 수온이 낮아져야 안정화되지 않나 싶네요
요즘 게미끼에 고등어물더군요ㅠ
고등어는 경단도 잘 물어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