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니컬 하신 분이셨네요 와우 전 액시스틸트 조절하는게 너무 어려워서 액시스 로테이션 조절하는 쪽이였데...대단하세요. 요즘 프로들 강의영상 보면 잘못된 정보 남발하는게 많거나 클래식이랑 모던을 짬뽕시켜서 ..쯧 이런 영상이 훨씬 좋습니다. 도움이 될지 방해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예전에 제가 만든 자료중 관련글을 참고용으로 올려봅니다
BP님께 질문 있습니다 틸트각이랑 손을 사용해서 공의 기울기로 각을 조절하는것인것은 알겠는데 0도임에도 각이 저는 저렇게 안나오고 스트레이트성에 기본 볼의 훅만 먹어서 거의 숏훅수준밖에 안되는데 어깨 찔름을 동반해서 하시니까 0도라도 저렇게 각이 나오시는건가요?? 궁금한것은 어깨를 많이 쓰고 0도로 할지 손을 많이써서 어깨를 안찌르고 각을 줄지 둘다 적당히할지 이렇게 정하시는건지 너무너무 궁금합니다 어떤방법이 더 효율적인지요
지극히 개인적일순있지만 볼을 보내지는 방향이 정해지는부분은 백스윙 장점에서 내려오는 방향에서 결정이되고 발이 왼쪽으로 릴리즈 스윙이 되는부분은 튜규자마다 다른데 회전을 주는 방량이 왼쪽이다보니 엄지가 빠진상테에서 스윙이 왼쪽으로 약간 쏠린다고 생각이 됩니다.. 엄지가 껴져잇는상테에서ㅜ왼쪽으로 릴리즈 스윙이 되면 볼이 가는 방향이 왼쪽으로 몰리게되나ㅜ엄지가 빠진 상테에서 중약지만 걸리는 순간에 왼쪽으로 스윙은 볼이 보내지는 방향에 지장을 최소화 시킬수있습니당
오래된 영상이라 이 글을 보시긴 어렵겠지만 혹시 보게 되면 부탁좀 드릴께요. 제가 마지막에 올려주신 저 팽이볼처럼 공이 굴러가는데, 손 모양도 비슷해요. 근데 문제는 이걸 5년 전부터 일주일에 20게임을 거의 빠짐없이 치면서 이거 하나만 고칠려고 하는데도 아직도 못고치고 있답니다. 진짜 5년을 이거만 고칠려고 수천게임을 쳤네요..... 근데도 아직도 중약지를 6시로 보내는걸 못하네요 ㅠㅠ 님이라면 어떻게 고칠려고 노력하실것 같나요? 진짜 마지막이란 생각으로 올립니다. 그래도 못고치면 볼링인생 15년만에 왼손으로 전향해서 정상인처럼 치고 싶네요... 누군 볼링 첫날부터 깔끔하게 6시에 잘 놓고 시작하는데, 누군 5년 내내 노력해도 안되고 진짜 ㅎㅎㅎ
보는 시각과 기술적 부분이 다를수도있는데.. 제이준으로 말씀드리면 리프팅하기전 손바닥으로 볼을 가저가신후 볼을 보내네는 어덕션 부분을 강화시킨후 손목 컵을 푸는 익스텐션 동작 그부분때 엄지가 빠지는 부분이고 투핸드는 엄지를 넣지않기때문에 그타이밍이라고생각하신후 리프팅하실때 턴을넣으시거나 저처럼 손턴을하지않고 컵을 푸는동작이나 어께 찌름동작으로 중얒 위치가 회전하는 각도 45도 쪽에 위치하시면 전진롤과 회전하는 싸이드롤이 5대5로 공존 하게되는데 여기서 전진롤이 해드부분 기름 정비되있는 부분에 전진롤 때문에 볼이 뽑히게되고 회전 감소량 없이 볼이 뽑히게되고 브래이크포인트지나는 클린한 래인상태에서 들어오는 원리인데 끝에서 차고들어오지않고 큰아크를 그리는 구질은 대부분 오버턴인경우가 많구여 직진으로가다 들어오는 구질은 리프팅때 중약지의 위치가 45도위치가 아닐때 입니다.. 다른볼러는 기준이 다를수있고 다양한 원리중 하나이고 다른 부분에 문제점이일 수있으니 참고해보시고 연습해보세요
액시스 로테이션과 액시스 틸트 볼은 둥글기 때문에 레인 위를 굴러가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볼의 회전(로테이션 Rotation)은 어떠한 중심, 즉 회전축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 회전축의 기울기(틸트 Tilt)에 따라서 볼의 반응이 달라집니다. 렝스나 백엔드 반응 등... 1) 엑시스 로테이션 (Axis rotation) 대부분 엑시스 로테이션과 엑시스 틸트를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3차원 그래프로 설명해 놓는데 조금 어렵다는 의견이 많아서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자전거나 오토바이를 타면 방향을 바꿀 때 우리는 핸들을 좌측 이나 우축으로 틀게 됩니다. 이 때 자전거나 오토바이가 원래 움직이던 방향 즉 직진하던 방향이 볼의 진행방향( 그림 3에서 z axis)이 되고,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 핸들을 돌려준 각도가 엑시스 로테이션이 됩니다. 참 쉽죠잉? 엑시스 로테이션의 이상적인 각도는 보통 45도 정도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레인컨디션과 레인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엑시스 로테이션 조절할 수 있어야 하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엑시스 로테이션의 크기가 클수록 렝스는 길어지고 백엔드 반응은 날카로워지게 됩니다. 엑시스 로테이션은 사이드 스핀 개념으로 이해하셔도 무방할 거 같습니다. 2) 엑시스 틸트 (axis tilt) 흔히 말하는 볼이 누워서 간다. 서서 간다. 할 때 볼의 회전축이 레인과 얼마나 기울어져 있느냐(가깝냐 머냐)하는 개념입니다. 모터사이클 경기에서 급커브를 돌기 위해서 지면과 가깝게 거의 눕다시피 하면서 멋있게 급커브를 돌아나가는 장면을 보셨을 겁니다. 이 때 오토바이 바퀴가 도로(그림 4에서 x axis)를 기준으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느냐를 엑시스 틸트라 보시면 됩니다. 볼의 회전축은 레인과 수평을 이루려고 하늘 성질이 있기 때문에 엑시스 틸트가 클수록(볼이 누울수록) 렝스가 길어지게 되겠죠? 오토바이가 지면과 가깝게 누워서 주행하면 할수록 똑바로 일어서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니깐 렝스가 길어지게 됩니다. 완전 쉽게 설명했는데 이해 안 되시면 나도 모름 ㅜㅜ PBA 선수 크리스 반즈가 급격히 변하는 레인에 맞춰 자신은 라인 조절,스피드 조절, 엑시스 조절, 마지막으로 볼을 바꾼다고 하더군요. 왠만한 선수들은 엑시스 로테이션과 틸트를 조절하는 테크닉을 기본으로 장착하지 않으면 레인변화에 애를 먹게 되는거죠. 기본기와 함께 스피드,로테이션 조절과 같은 고급 기술을 연마하는게 상급볼러가 되는 방법이 될 겁니다.
가끔 이렇게 이론적으로 빠삭하시거나 이론을 알려고 따로 공부하시는분들보면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 저는 단무지과라서 그런지 그냥 몸이 가는대로 합니다. 이론은 모르고 레인에따라서 보통사람들처럼 라인조절도 하고 틸트도 바꾸고 레이다운포인트도 바꿉니다. 솔직히 이런 용어도 최근에 알았네요.. 배운것이 1도 없기도하지만 이론까지 아는게 귀찮아서 그냥 레인에ㅡ맞춰서 볼링을 하고 계시는 저같은 분들도 있을것 같네요 ㅎㅎ 암튼 자신이 추구하고 스트레스를 받지않는 볼러들이 되시길..(저는 이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 ^^)
시간을 비유하는건 이게 보는 위치에서 달라서 뭐라고 답을 드리기가 애매한부분이라 액시스 틸트는 래인바닥과 수평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축의 기울기이고 엑시스 로테이션은 회전하는 축의 방향 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꺼같구요 엑시스 로테이션은 엄지가 빠진후 중약지 위치에 따라서 정해진다고 보시면됩니다. 엑시스틸트는 중약지가 다빠질때 중약지 끝이 래인으로 향하느냐 몸쪽으로 향하느냐에 결정이되는데 엄이타이밍이.늦을때도 변화가올수잇고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본인의 투구에맞는 수정을 하셔야 합니다.. ^^;;
고수들만 한다는 틸드각 조절! 멋짐 폭발입니다!
이야.. 넘넘 멋지시네요 컵이 이리 자연스러울수가 ㅠㅠ 부럽 부럽 ufo 신선합니다 ㅋㅋㅋ 손가락 조심하셔요 ㅎㅅㅎ
테크니컬 하신 분이셨네요 와우
전 액시스틸트 조절하는게 너무 어려워서 액시스 로테이션 조절하는 쪽이였데...대단하세요.
요즘 프로들 강의영상 보면 잘못된 정보 남발하는게 많거나 클래식이랑 모던을 짬뽕시켜서 ..쯧
이런 영상이 훨씬 좋습니다.
도움이 될지 방해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예전에 제가 만든 자료중 관련글을 참고용으로 올려봅니다
break point bowling 다른 영상 볼때도 부글부글 합니다. 바로 잡을 영상이라도 만들고 싶더라는... 뭐 하나 제대로 된 정보가 없어요.
투핸드 팁 부분 말고는..
break point bowling 헐.. 대박
break point bowling 그런데 어디 사세요? 포인트님은?
break point bowling 아쉽네요. 저도 볼링을 좋아하고 저는 나름대로 운동역학쪽은 자신 있어서 볼링에 관해 토론했으면 좋아을거 같은데...너무 멀어요 ㅎㅎ
BP님께 질문 있습니다 틸트각이랑 손을 사용해서 공의 기울기로 각을 조절하는것인것은 알겠는데 0도임에도 각이 저는 저렇게 안나오고 스트레이트성에 기본 볼의 훅만 먹어서 거의 숏훅수준밖에 안되는데 어깨 찔름을 동반해서 하시니까 0도라도 저렇게 각이 나오시는건가요?? 궁금한것은 어깨를 많이 쓰고 0도로 할지 손을 많이써서 어깨를 안찌르고 각을 줄지 둘다 적당히할지 이렇게 정하시는건지 너무너무 궁금합니다 어떤방법이 더 효율적인지요
예전부터 궁금했는데요, 볼에 회전을 주고 볼을 손에서 떠나보내면 팔이 몸 안쪽으로 저절로 딸려오나요? 다른 선수들도 그렇고 공을 보내는건 오른쪽인데 팔은 스윙 후 약간 왼쪽으로 들어오는게 신기해서요.
지극히 개인적일순있지만 볼을 보내지는 방향이 정해지는부분은 백스윙 장점에서 내려오는 방향에서 결정이되고 발이 왼쪽으로 릴리즈 스윙이 되는부분은 튜규자마다 다른데 회전을 주는 방량이 왼쪽이다보니 엄지가 빠진상테에서 스윙이 왼쪽으로 약간 쏠린다고 생각이 됩니다.. 엄지가 껴져잇는상테에서ㅜ왼쪽으로 릴리즈 스윙이 되면 볼이 가는 방향이 왼쪽으로 몰리게되나ㅜ엄지가 빠진 상테에서 중약지만 걸리는 순간에 왼쪽으로 스윙은 볼이 보내지는 방향에 지장을 최소화 시킬수있습니당
@@BreakPointBowling1 와...성의 있는 답변 사랑합니다 💜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구독박고갈게요 ㅎㅎㅎ
@@bowlertwohanded545 사랑 감사합니다^^;; 언제든지 궁금한부분 있으시면 뎃긍 남겨주세요
오래된 영상이라 이 글을 보시긴 어렵겠지만 혹시 보게 되면 부탁좀 드릴께요. 제가 마지막에 올려주신 저 팽이볼처럼 공이 굴러가는데, 손 모양도 비슷해요. 근데 문제는 이걸 5년 전부터 일주일에 20게임을 거의 빠짐없이 치면서 이거 하나만 고칠려고 하는데도 아직도 못고치고 있답니다. 진짜 5년을 이거만 고칠려고 수천게임을 쳤네요..... 근데도 아직도 중약지를 6시로 보내는걸 못하네요 ㅠㅠ 님이라면 어떻게 고칠려고 노력하실것 같나요? 진짜 마지막이란 생각으로 올립니다. 그래도 못고치면 볼링인생 15년만에 왼손으로 전향해서 정상인처럼 치고 싶네요... 누군 볼링 첫날부터 깔끔하게 6시에 잘 놓고 시작하는데, 누군 5년 내내 노력해도 안되고 진짜 ㅎㅎㅎ
질문 하나만 드려도 될까요!?
제가 투핸드 시작한 볼링인데 전 위에서 치고 끝에서 휘는 투구가 되고있습니다(찾아보니깐 스트로커들이 쓰는 턴엔리프트 라고하던데) 영상보면 백앤드에서 멋있게 팍 들어가는건 리프트앤턴인가요!??
보는 시각과 기술적 부분이 다를수도있는데.. 제이준으로 말씀드리면 리프팅하기전 손바닥으로 볼을 가저가신후 볼을 보내네는 어덕션 부분을 강화시킨후 손목 컵을 푸는 익스텐션 동작 그부분때 엄지가 빠지는 부분이고 투핸드는 엄지를 넣지않기때문에 그타이밍이라고생각하신후 리프팅하실때 턴을넣으시거나 저처럼 손턴을하지않고 컵을 푸는동작이나 어께 찌름동작으로 중얒 위치가 회전하는 각도 45도 쪽에 위치하시면 전진롤과 회전하는 싸이드롤이 5대5로 공존 하게되는데 여기서 전진롤이 해드부분 기름 정비되있는 부분에 전진롤 때문에 볼이 뽑히게되고 회전 감소량 없이 볼이 뽑히게되고 브래이크포인트지나는 클린한 래인상태에서 들어오는 원리인데
끝에서 차고들어오지않고 큰아크를 그리는 구질은 대부분 오버턴인경우가 많구여 직진으로가다 들어오는 구질은 리프팅때 중약지의 위치가 45도위치가 아닐때 입니다..
다른볼러는 기준이 다를수있고 다양한 원리중 하나이고 다른 부분에 문제점이일 수있으니 참고해보시고 연습해보세요
@@BreakPointBowling1 상세한 답글 너무 감사합니다ㅎㅎㅎ 꼼꼼히 읽어보고 연습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노남자상빠꾸 냅 화이팅 하세요~~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초보 혼볼러 독학중인데 너무너무 감사합니당!
break point bowling 호엥 답글까지 해주시다니ㅠ 시간남으시면 제채널에 연습영상올려놨는데 보시구 고쳐야할부분좀 알려주세요 ㅠㅠ
break point bowling 앗 왜안보이시징
ruclips.net/video/Gac-JH-cZSo/видео.html
ruclips.net/video/tm5mU1i0J4s/видео.html
링크 남겨볼게요
break point bowling 아항 !!! 저도 상체 세우기 연습하는데 잘안되고 있었눙데 조언해주신대로 한번 해볼게요 조언너무 감사합니다 !!!
액시스 로테이션과 액시스 틸트
볼은 둥글기 때문에 레인 위를 굴러가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볼의 회전(로테이션 Rotation)은 어떠한 중심, 즉 회전축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 회전축의 기울기(틸트 Tilt)에 따라서 볼의 반응이 달라집니다. 렝스나 백엔드 반응 등...
1) 엑시스 로테이션 (Axis rotation)
대부분 엑시스 로테이션과 엑시스 틸트를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3차원 그래프로 설명해 놓는데 조금 어렵다는 의견이 많아서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자전거나 오토바이를 타면 방향을 바꿀 때 우리는 핸들을 좌측 이나 우축으로 틀게 됩니다. 이 때 자전거나 오토바이가 원래 움직이던 방향 즉 직진하던 방향이 볼의 진행방향( 그림 3에서 z axis)이 되고,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 핸들을 돌려준 각도가 엑시스 로테이션이 됩니다. 참 쉽죠잉?
엑시스 로테이션의 이상적인 각도는 보통 45도 정도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레인컨디션과 레인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엑시스 로테이션 조절할 수 있어야 하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엑시스 로테이션의 크기가 클수록 렝스는 길어지고
백엔드 반응은 날카로워지게 됩니다.
엑시스 로테이션은 사이드 스핀 개념으로 이해하셔도 무방할 거 같습니다.
2) 엑시스 틸트 (axis tilt)
흔히 말하는 볼이 누워서 간다. 서서 간다. 할 때
볼의 회전축이 레인과 얼마나 기울어져 있느냐(가깝냐 머냐)하는 개념입니다.
모터사이클 경기에서 급커브를 돌기 위해서 지면과 가깝게 거의 눕다시피 하면서 멋있게 급커브를 돌아나가는 장면을 보셨을 겁니다. 이 때 오토바이 바퀴가 도로(그림 4에서 x axis)를 기준으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느냐를 엑시스 틸트라 보시면 됩니다.
볼의 회전축은 레인과 수평을 이루려고 하늘 성질이 있기 때문에 엑시스 틸트가 클수록(볼이 누울수록) 렝스가 길어지게 되겠죠? 오토바이가 지면과 가깝게 누워서 주행하면 할수록 똑바로 일어서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니깐 렝스가 길어지게 됩니다.
완전 쉽게 설명했는데 이해 안 되시면 나도 모름 ㅜㅜ
PBA 선수 크리스 반즈가 급격히 변하는 레인에 맞춰 자신은 라인 조절,스피드 조절, 엑시스 조절, 마지막으로 볼을 바꾼다고 하더군요.
왠만한 선수들은 엑시스 로테이션과 틸트를 조절하는 테크닉을 기본으로 장착하지 않으면 레인변화에 애를 먹게 되는거죠.
기본기와 함께 스피드,로테이션 조절과 같은 고급 기술을 연마하는게 상급볼러가 되는 방법이 될 겁니다.
가끔 이렇게 이론적으로 빠삭하시거나 이론을 알려고 따로 공부하시는분들보면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
저는 단무지과라서 그런지 그냥 몸이 가는대로 합니다.
이론은 모르고 레인에따라서 보통사람들처럼 라인조절도 하고 틸트도 바꾸고 레이다운포인트도 바꿉니다. 솔직히 이런 용어도 최근에 알았네요..
배운것이 1도 없기도하지만 이론까지 아는게 귀찮아서 그냥 레인에ㅡ맞춰서 볼링을 하고 계시는 저같은 분들도 있을것 같네요 ㅎㅎ
암튼 자신이 추구하고 스트레스를 받지않는 볼러들이 되시길..(저는 이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 ^^)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아대볼러 엄지를 10시에서 빼서 중약지를 12시로 굴리면 엑시스로테이션 엑시스 틸트가 어떻게 되는건가요? 또 볼이 누워가는 거면 엑시스틸트가 큰건 알겠는데 엑시스 로테이션은 어떤건가요? 엑시스틸트 엑시스로테이션 아무리봐도 이해가 안되네요ㅠ
시간을 비유하는건 이게 보는 위치에서 달라서 뭐라고 답을 드리기가 애매한부분이라
액시스 틸트는 래인바닥과 수평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축의 기울기이고
엑시스 로테이션은 회전하는 축의 방향 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꺼같구요
엑시스 로테이션은 엄지가 빠진후 중약지 위치에 따라서 정해진다고 보시면됩니다.
엑시스틸트는 중약지가 다빠질때 중약지 끝이 래인으로 향하느냐 몸쪽으로 향하느냐에 결정이되는데 엄이타이밍이.늦을때도 변화가올수잇고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본인의 투구에맞는 수정을 하셔야 합니다..
^^;;
정말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와 멋져요~
순간적으로 컵핑하는 방법이 따로있나요?
손목이 갑자기 쑥~ 내려가는데 힘으로는 아닌것 같구요 저도 저렇게 쳐보고싶네요
커핑 너무어려움 ㅜㅜ
break point bowling 커핑 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아니네요ㅜ 많은글들 찾아보고 동영상봤는데 검지가 6시로 향하잖아요.. 전 스트레이트 처럼 중약지가 자꾸 6시로 가더라구요 아무리 팔안쪽으로 먼저비틀어나올려고해도 안되고..
그래서 그냥 자연스럽게 스윙후 순간적인 커핑만들고 풀어주는연습을 해볼려구요..
무조건 검지를 6시만들려고하니 되지는않고 손에 힘만잔뜩들어가더라구요
그럼 힘빼고 다운스윙시 90지점에서 엘보를 살짝 쓰면되는건가용?
break point bowling 짝대기에서 넘어온지 얼마안되서 자세가 짝대기인데 자세부터 바꿔야되나요? 제꺼 영상올렸는데 한번 봐주실수있나용~
break point bowling 긴 설명 감사드립니다. 크랭커를 해보고싶어 탈아대를 하였는데 자세와 릴리즈방식이 완전 다르네요. 엄청편하게 터시는것같아 하시는것보고 따라하는데 저런동작이 전혀나오질 않더라구요
컵핑와 손모양이 우선으로 잡아야될것같은데 그걸할려면 결국 몸에 힘이 잔뜩들어가게되구요 커핑자체가 생각보다 너무 어렵네요
사이드에서 찍은 동영상보면서 엘보를 써볼려고하는데 엘보쓰는것도 쉽지가 않더라구요ㅜ 연습이 답이겠죠
클래식 자세로는 힘든부분이 많은것도있겠죠?
자세부터 바꿀생각하니 막막하네요ㅜ
깨알 UFO 투구를 ㅎㅎ 역시 대단하십니다
이렇게 잘해도 됩니까? 볼링도 설명도 굿~
멋지네요
님같이 치구싶네요^^👍
expellant video....I just wish you could translate it!!!!
초보 50대 여자에요. 나름 120정도 치는데요. 저는 항상 일직선 중심만 치면 잘나와요. 영상처럼 공이 휘면서 스트라이크 치는 방법을 알고싶어요.
손가락 넣는 방법부터 배워야겠네요. 배운것 없이 대충 듣고 바로 한 상태랍니다
👍님같이 치구 싶다ㅠ
님보고 팽이라 그러는건 그리보는사람의 눈에 틸트가 잇어서 그런듯
이거에요 이거!!!
저.. 컵핑 풀고 리프팅하는게 어려움,,,,,,,,흠,.....
군더더기가 없네요ㅠ
난 볼링에 소질이 없나.... 봐도 뭔소린지 모르겠다 ㅠㅠ
다른건 다 좋은데.. 파울라인이 계속 걸리는건 어쩔...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