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만으로는 알 수 없는 고대의 역사를 밝혀주는 열쇠! 석탑이란 무엇인가! 단국대 정성권 연구교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0 сен 2024
  • 00:00:23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석재가 산출되기 때문에 석탑이 많이 만들어지게 되고 그래서 우리나라는 석탑의 나라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00:00:31 그러면 탑의 기원은 어디까지 올라갈 수 있냐?
    00:00:34 불교가 시작된 인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00:01:50 중국으로 불교가 전래될 때,
    00:02:58 현재 남아있지는 않지만 한반도에서도 처음 만들어진 탑은
    00:03:20 우리나라 석탑사를 연구하려면 우현 고유섭 선생님의 연구를 살펴보고 갈 필요가 있습니다.
    00:04:41 선생님께서는 우리나라 석탑 발전사를 시원기, 전형기, 정형기로 구분하셨습니다.
    00:05:12 시원기는 우리나라 최초의 석탑이 등장하는 백제 익산 미륵사지 와 부여 정림사지를 최초의 석탑으로 보고 시원기로 설정하셨고요.
    00:05:25 그 이후에 신라의 통일 이후 등장하는, 삼층석탑의 모델이 되는 감은사지 3층석탑 이후부터 등장하는 석탑을 전형기로 설정합니다. 앞으로 우리나라 석탑은 이런 식으로 만들어야 된다고 신라사람들이 보여 주는 거죠. 이중기단에 3층 지붕돌이 있는 삼층석탑을 만들게 됩니다.
    00:05:49 그런데 문제가 생겼는데, 전형기의 석탑은 너무 커서 국가의 지원이 없으면 만들 수가 없습니다.
    00:05:55 정형기가 되면 많은 사찰이 만들어지고, 그 많은 사찰에서 석탑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많은 탑를 만들기 위해서 규모를 줄인 석탑을 만들게 됩니다. 그때 등장하는 대표적인 모델이 불국사에 있는 석가탑입니다.
    00:06:14 이렇게 3시기로 구분한 연구가 초기 석탑연구의 틀이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00:06:25 석탑 용어
    00:06:31 석탑의 층수
    00:07:31 백제 석탑과 신라 석탑의 차이
    00:07:59 상륜부
    00:08:47 한국 석탑의 발전
    00:08:51 시원기
    00:11:06 그러면 왜 백제는 목탑이라고 하는 전통적인 건축 방법을 선택하지 않고 파격적인 방법으로 석탑을 선택했을까?
    00:16:12 이 중요한 심초석에서 사리장엄구가 나왔습니다.
    00:17:23 첫 번째가 미륵사지 석탑이었고, 두 번째 석탑이 부여 정림사지 석탑입니다.
    00:20:42 그러면 신라은 어땠을까요?
    00:20:46 신라도 석탑을 만들지만, 백제처럼 목탑을 번안해서 석탑을 만들지는 않고, 모전석탑이라는 석탑을 만듭니다. 대표적인 게 분황사 모전석탑입니다.
    00:23:58 대표적인 석탑은 탑리리 5층 석탑
    00:26:26 '전형기 석탑은 백제에서 발생한 목조탑파양식의 재현 형식과 신라의 전탑 재현 형식이 재현 홍식이 신라가 한반도를 통일한 계기로 전형기 석탑으로 등장하게 되었다'고 고유섭 선생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00:26:45 백제와 신라의 탑파가 종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고선사지 3층석탑과 감은사지 3층석탑이라고 말씀하시고 감은사지 3층석탑이 전형기의 석탑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00:27:02 감은사지의 3층석탑을 왜 전형기의 석탑이라고 하셨나면, 이 석탑의 형태가 이후 등장하는 불국사 석가탑을 대표로 하는 정형기 석탑을 비롯한 우리나라 삼층석탑의 모델이 되기 때문입니다.
    00:33:03 우리가 답사하면서 만나는 삼층석탑들은 언제 만들어졌을까요?
    00:33:15 석탑의 시기를 알아내는 방법을 말씀드리면,
    00:37:48 그렇다면, 탱주가 하층기단에 한 개, 상층기단에 한 개 들어가는 석탑 중 고려시대 석탑과는 어떻게 구분하냐?
    00:40:00 7세기의 전형기의 석탑이 만들어진 이후, 8세기에 정형기의 석탑이 만들어지는데, 불국사 석가탑이 대표적입니다.
    00:40:22 황복사지 삼층석탑(경주 구황리 삼층석탑)는 전형기에서 정형기로 넘어가는 삼층석탑의 변화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
    00:43:45 사리함에서는 8세기초에 봉안된 아미타좌상과 7세기말에 봉안된 여래입상이 있었습니다.
    00:46:41 이 불국사 삼층석탑은 통일신라를 보여주는 문화적 상징, 문화적 아이콘이다
    00:47:04 규모가 작아졌기때문에 하층과 상층 기단의 탱주 모두 두개씩입니다.
    00:47:10 석탑은 부처님의 무덤으로 종교적 상징물이지만, 고유한 문화적 특성을 보여주는 문화적 아이콘이기도 하다.
    00:47:36 고려시대에 만들어지는 백제계 석탑을 보면 석탑이 문화의 상징물임을 알 수 있다.
    00:47:51 통일신라는 구 백제 지역을 원활하게 통치하고자 신라문화를 이식하려고 많은 노력을 합니다. 그래서 구 백제 지역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많은 사찰들이 있습니다.
    00:48:10 대표적으로 화엄사라든가 실상사, 보림사 등 많은 사찰들이 통일신라시대에 구 백제 지역에 만들어집니다
    00:48:25 그러면서 300년 좀 안 되게 통일신라가 구 백제 지역을 통치합니다.
    00:48:31 이후, 9세기 말에 후삼국 시대가 되고 10세기 초에 후삼국 시대가 접어들고 936년에 새로운 통일왕조인 고려가 등장하게 됩니다.
    00:48:47 고려가 등장하고 구 백제 지역에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백제계 석탑이 대규모로 만들어집니다.
    00:49:05 구백제 지역에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백제계 석탑의 확산은 결국 백제 문화의 상징성을 백제 석탑이었던 미륵사지 석탑과 정림사지 석탑이 백제 문화의 상징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게 됩니다
    00:49:24 이처럼 석탑은 한 문화의 상징으로 역할을 한다는 입장에서 정형기의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의 문화적 아이콘입니다.
    00:49:39 한편, 삼층석탑의 분포를 보면 통일신라 문화권의 북방 한계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49:59 가장 동쪽부터 속초의 향성사지 석탑이 있고, 인계 한계사지에도 삼층석탑이 두기 있습니다.
    00:50:15 홍천 물걸리사지에도 삼층석탑이 있었습니다.
    00:50:29 횡성의 중금리 사지에도 삼층석탑이 있었습니다.
    00:50:38 원주 거돈사지에도 9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3층석탑이 있습니다.
    00:50:46 원주에서 동쪽으로는 삼층석탑이 잘 안보이구요.
    00:50:51 원주에서 서쪽으로 가면 있는 안성 봉업사지 죽산리 삼층석탑 하부에서 통일신라시대 삼층석탑 기단석이 나왔습니다. 봉업사지에 있었던 화차사라는 절에 있었던 삼층석탑이었구요.
    00:51:15 그 서쪽으로는 삼층석탑이 확인되지 않지만, 평택의 신복사가 고려초에 만들어진 걸로 확인되는데, 주변에 통일신라시대의 토성이 있기도 합니다.
    00:51:33 종합해보면 통일 신라시대 때 만들어진 통일신라의 북방한계선은 속초에서 원주를 거쳐서 평택까지 이어지는 선으로 연결되어 있고요. 이 선이 통일신라문화의 북방한계선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00:51:49 석탑은 종교적 상징이기도 하지만 문화적으로도 매우 중요해서 그 분포를 통해 문화권을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00:52:17 통일신라의 북쪽 경계선은 대동강 유역, 평양에서 원산만 이남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00:52:27 그러나 실제로 통일신라가 문화적으로 통치했던 지역은 석탑과 다른 석조 미술의 분포를 통해 보았을 때, 지금 속초에서 원주와 평택을 잇는 중부지역을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선 이남지역이 신라가 문화적으로 통치한 지역이고 그 북쪽 지역은 변방지역으로 남겨져 있었다는 것을 기록으로는 남아있지 않지만 석조미술, 특히 석탑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습니다.
    00:52:56 그렇기 때문에 석탑에 대한 이해는 우리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1

  • @monojung1964
    @monojung1964 День назад +1

    정성권교수님의 탑에 대한 명강의 최고이세요.
    강의 중 언급된 대부분의 탑을 현장에서 직접 보았는데 강의를 들으면서 되새기니 절로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교수님 강의 자료 또 기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