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큐 혹은 지능이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 (있을까요, 없을까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46

  • @SproutsKorea
    @SproutsKore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5번 문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1, 16, 81, ( ), 625, 1296"

    • @SproutsKorea
      @SproutsKore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정말 죄송해요!! 그냥 문제푸신거만 보고 마지막 말씀을 이제 봤네요 ㅠㅠ

    • @왕이될사나이
      @왕이될사나이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5번보고 이걸 어떻게 풀지 허허 하고 넘겼는데 이런 비밀이 있었네요 😂

    • @SproutsKorea
      @SproutsKore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왕이될사나이 😭😭😭

    • @dohyeionpaik6347
      @dohyeionpaik634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한제국정부 1^4 2^4 3^4 4^4 5^4 6^4의 순서로 정답은 256

    • @새싹-j8g
      @새싹-j8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순간 5초생각해서 못푸는 나 자신을 보고
      아 내 지능은 글렀구나 ㅇㅇ...
      생각했는데 이 중요한걸 이제 알았...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8

    돈이랑 비슷한듯. 지능이 지나치게 낮은건 불행의 원인이 될수있지만. 높다고 행복을 보장하는건 또 아님.

    • @핸들꽉잡어
      @핸들꽉잡어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낮은건 불행할 가능성이 높음, 높다고 무조건 행복한 건 아님. 그럼 후자가 무조건건 낫지😂

    • @Hanser-z1
      @Hanser-z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핸들꽉잡어 지능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지혜롭다거나 현명한 사람은 아닙니다. 오히려 지능이 높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고려해도 되지 않을 부차적인 요소들도(일반인이였다면 고려하지 않았을)
      손실회피경향+현상유지편향이 합처져 끔찍한 결과를 내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옛 사자성어에 식자우환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풀이해보면 "글을 읽고 아는 것이 근심이다" 너무 많이 알아 오히려 걱정과 근심따위가 늘어난다는 뜻이죠. 괜히 있는 사자성어가 아닙니다.
      영상에서도 언급했듯이, 대체 왜 똑똑한 사람들이 더 우울증을 느낄까요? 그들은 하등 쓸모없거나 대답될 수 없는 화두에도 온 신경을 쏟기 때문입니다. 예시로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가? 와 같은 질문이 있죠.
      비트겐슈타인이 말하길, 이런 질문 자체가 행복하지 못한 사람들의 전유물이라 표현했습니다. 행복한 사람들은 원초에 이 질문에 대한 탐구를 하지 않았거나, 이 질문이 대답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은 후, 자의적으로 내려놓은 사람들 뿐이라고요.
      오히려 똑똑할 수록 범인보다 더 공부해야만 합니다. 여기서 공부란 국수사과영같은 세속적인 "지식"이 아닌 세상을 사는데 있고 필요한 "지혜"를 뜻하죠.
      인간이 인간인 이상 '인식'의 과정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틀, 즉 편견을 통해서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사건을 논리적이고 합당하게 파악하기란 불가능합니다. 특히 천재들은 오히려 너무 똑똑하기 때문에 그다지 별 중요하지도 않은 정보일지라도 어, 나에게 손해를 입히네? 배제해야겠다 라는 사고방식으로(손실회피경향) 정작 중요한 일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과정을 놓쳐 쓸때없는 인지피로만을 쌓죠.
      지혜는 위와 같은 제약(인지적 틀)의 역할을 축소해 대상을 총체적이고 개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주고요.
      흄이 언급했듯,
      행복은 이성적 선택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차분한 감정에서 비롯된 선택에서 만들어집니다. 우리는 천재라는 망상에서 벗어나 현인(지혜로운자)가 목표가 되도록 노력해야합니다.

    • @lIilIlIiIiIlllillliliiillii
      @lIilIlIiIiIlllillliliiilli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지능이 높아서 불행한건 물질적이 불행과 철학적인 고통들임
      물질적인 고통은 지능과는 관계없이 다 겪는 고통이지만
      철학적인 고통은 마음의 병이 있을수록 더 견디기 힘들어짐
      그리고 이 철학적인 고통은 지능이 낮은사람에겐 선동을 당하거나
      시도 때도없이 정치얘기를 하며 갈라치기하는것으로 나타남

    • @regeditious
      @regeditious 19 дней назад

      @@핸들꽉잡어낮다의 기준 이 몇부터냐

    • @user-up6iy8eh4m
      @user-up6iy8eh4m 4 дня назад

      돈도 지능도 높으면 행복한데 ㅋㅋ?

  • @shyuushyuu
    @shyuushyu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6

    IQ가 그 사람의 지능을 객관적으로 담보해주지 않는게, 일상 생활에서만 봐도 흔히 본인보다 지능이 높거나 비슷한 사람이 오히려 비이성적이거나 납득하기 어려운 행동을 저지르는 경우가 꽤 있음. 그 반대도 역시 성립하고. 너무 낮으면 문제가 되지만, 일정 이상을 넘기면 반드시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진 않는다라는 생각임. 또, ADHD같은 정신 질환에 의해 평균 이상의 IQ를 가지고 태어났어도 학습 역량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심각하게 뒤떨어지는 경우도 있음.

    • @WHC03
      @WHC0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IQ를 처음 만들게 된 건 미국에서 장교로 선발할 군인을 빨리 골라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서 만들었음. 단지 너무 멍청하고 자격 미달인 사람이 지휘관을 하면 안되니까. 근데 그랬던 IQ 테스트를 지능을 수치화해서 볼 수 있다고 열광해서 퍼져갖고 그럼

    • @rickpat1255
      @rickpat125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옴. 순수하게 지능만큼 격차가 벌어짐.

    • @shyuushyuu
      @shyuushyu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rickpat1255 어느정도 동의함. 근데 일정 이상 넘어가면 큰 차이로까지 벌어지지 않는다는게 요지임.

    • @어짜피국민은
      @어짜피국민은 8 месяцев назад

      ㅇㅇ 공부머리랑 일머리랑 따로 노는 인간들 너무 많던데...

    • @nogy-qd4xy
      @nogy-qd4x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 adhd 약 안먹고 130나왓어여 ㅋㅋ 고졸임ㅎ 34살.. 평범한 정도의 노력이 불가능함 재밌는거 아니면 못함

  • @김광종-t4s
    @김광종-t4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1

    차라리 형이 잘났으면 우월감을 인정하면서 그 존재에 의지하고 은근 주변에 자랑할 수도 있는데 동생이 잘나면 형으로서 존재감 자존감 체면 완전 박살 남 특히 부모가 편애까지 한다면 그 열등감 자격지심 말도 못 함

    • @Allen-ol3hs
      @Allen-ol3hs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다른 나라도 이럴지 좀 궁금하네요 ㅠ
      우리나라 문화권에서 이런 경향이 더 심할 것 같아요.

    • @김광종-t4s
      @김광종-t4s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Allen-ol3hs 맞습다 가부장적 정서에서 장남으로서 가지고 있는 무게감이 상당하져 무조건 장남이 잘 되고 우월해야된다고 강조하는 분위기

  • @dubsogood8906
    @dubsogood8906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진짜 지능이 높으면 지능이 중요하지 않다는 걸 깨닫게 되죠. 진짜 중요한건 인성, 왜냐면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고 개인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에.

  • @ilki_0
    @ilki_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9:45초 까지만 보면 완벽한 인생이겠군 여기서 끈다.

  • @dlagytjs
    @dlagytjs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군대에서나 업무하다보면 지능의 중요성을 알게됨

  • @UFOOOOO
    @UFOOOO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9

    지능은 일을 잘 하게 하지만
    지혜는 옳은 일을 하게 한다!

    • @암흑의뚜
      @암흑의뚜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옳은 일을 잘 하는게 좋은듯

  • @845marine845
    @845marine84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고전적인 방식의 지능 테스트는 군사작전에 투입할 군인을 선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진짜 똥 오줌을 못 가리는 대원을 걸러내기 위한 시험.
    뭐 크게 신경 쓸 대상도 아니지만 완전히 무시하기도 어려운 것임엔 분명하고, 어떻게든 작게는 인생, 크게는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지능 지수가 높아도 뭔가 실행하지 않으면 무엇도 이룰 수 없고, 낮더라도 실행을 하면 성공이든 실패든 뭔가 남는 것은 있을 것이고. 하지만 안타까운 것은 지능 지수가 낮은 이들의
    성공 혹은 실패의 경험 탓에 생길 수 있는 개인적일 수 있지만 부정적인 결과나 사고방식이나 태도, 그리고 그것들이 이후의 삶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끼치면서...
    우리 사회에서 지능 지수와 관련한 이슈를 생각하면 많은 부분이 학업과 성적이 아닐까 하는데(행복이나 성공이라는 명제는 지극히 개인적이고, 가치가 모두 다르므로 제외),
    지능이 높은 이들은 학업과 성적 최상위로 올라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고, 지능이 낮으면 언급한 수준에 도달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차이 정도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단순한 개인적 경험...

  • @user-kx3qb6bm9e
    @user-kx3qb6bm9e Месяц назад

    우리집도 내가 아이큐가 보통이였고, 동생이 영재였음. 근데 부모님은 내가 성인이 되어서 직접 여쭤보기 전까지 그동안 내가 평균 정도의 머리를 가지고 있단걸 얘기하지 않았음. 그동안 동생과 똑같이 똑똑하다 칭찬만 해주셨고, 결국 지금 꽤나 좋은 직장에 들어가서 일도 잘하고 행복하게 살고 있음.

    • @Oo9o-n1z
      @Oo9o-n1z Месяц назад

      멋진 가족들

  • @우수리강
    @우수리강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4

    아이큐 낮은 사람이랑 일해보면 분노가 뭐인지 알게됨

    • @정명구-f6z
      @정명구-f6z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이큐 낮은 사람을 가르치다 보면 보살이 뭔지 알게됨

  • @leechanghyun
    @leechanghyu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아이큐가 좋다고 우월하다고 생각도 안하고 오히려 부분적으로 지능이 높으면 살기 힘들다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대다수의 상황에서는 부족한거보다야 낫지만 결국 평균 영역대 이상의 과도한 지능도 별로라고 생각되네요. 이런 말을 하는 제 말을 믿으실지 아닐지 모르겠지만 나름 영재 소리도 듣고 아이큐라고 하는 보편적 검사에서 우위를 들어낸 평범한 사람 중 하나인데 오히려 남들보다 예민하고 일부 부분에서는 너무나 깐깐하거나 민감해 나만 그런다는 생각에 외롭기도 하고 살면서 우울증도 겪었던거 같네요. 저도 막 TV 같은 매체에 나올 정도의 천재는 아니지만 인간이라는 집단을 중요시하는 개체라면 굳이 뛰지 않는게 낫지 않나 싶네요.. ㅠㅠ

    • @user-nn2fz9lf6x
      @user-nn2fz9lf6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외눈박이 마을에가면 두눈박이가 비정상이라는말이떠오르네요ㅜ..
      그래도 때론 비슷한 지능의 사람들을 만나서 정신없이 대화하는 날도 있으실거에요 화이팅입니다:) 0:10

  • @OpenCodex
    @OpenCodex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아이큐는 모르겠으나 통계적으로 지능이 낮은 아이들은 어릴적부터 위험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screwtape666
      @screwtape66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이큐를 모르는데 지능은 어떻게 앎? 그리고 위험성에 대한 반응은 신경성과 인과관계가 있는 거지, 지능과 뭔 상관임?

    • @OpenCodex
      @OpenCode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screwtape666 '위험에 대한 반응'이 아닌 '위험한 행동' 그 자체를 말했습니다.

    • @OpenCodex
      @OpenCode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screwtape666 또한, '아이큐는 모르겠으나' < 이 말의 뜻은 아이큐 그 자체를 모르겠다는 말이 아니라 문장의 화제를 환기시키는 부사적용법입니다.

    • @screwtape666
      @screwtape66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OpenCodex 위험한 행동은 위험에 대한 반응 아닌가요?
      그리고 환기의 용법이더라도 그 표현 자체에 아이큐(지능의 지표)를 모른다는 의미가 사라지는 게 아니죠.
      무엇보다 핵심인, 지능의 높고 낮음이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과 어떻게 인과관계를 형성하는지 부연, 상술이 전혀 없는데요?

    • @OpenCodex
      @OpenCode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screwtape666 모두 잘 들어 알기로 '모르겠으나'의 내적 의미는 다양합니다. 여기에서 내포된 의미를 따로 더 설명해야 할까요?

  • @Good_life-u4m
    @Good_life-u4m 2 месяца назад

    나 초딩때 120대 였고 중딩때까지 벼락치기로도 상위권 유지하다가 고딩때 공부포기 ㅎ 멍청하다고 생각한적 없었는데 문득 30살 넘으면서 아 왤케 멍청하지? 생각들어서 뇌 기능 키우려고 30대때부터 책 안가리고 미친듯이 읽음. 진짜 지식 뿐아니라 텍스트( 생소한 주제)를 계속 접하면서 뇌에 역치를 걸어줄려고...그니까 좀 사람들 말귀도 알아듣기 쉬워지고 사고가 편해짐. 근데 진짜 어릴때처럼 한번듣고 외워진다거나 그런건 없음. 뇌는 끊임없이 단련해야 하는 신체부위지..공백기 길어지면 다시 멍청해짐. 스포츠도 그렇고..어릴때부터 꾸준히 해야 대가의 반열에 올라가지 대충 깔짝하고 수십년 지나서 다시하면 그저 그런 사람이 되있을 뿐임.

  • @순서-x7x
    @순서-x7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근데 과학계에 엄청난 업적을 남기는 게 상위 0.1퍼 아닌가

    • @사람-k9z
      @사람-k9z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과학적 업적은 호기심 많고 끈기있는 게 중요하지 문제 잘 푸는게 중요한 건 아닐 듯
      문제 잘 푸는 건 아이큐 높음 도움 될 것도 같고

    • @pathwayforest7247
      @pathwayforest7247 10 дней назад

      그것은 아이큐 검사 점수와 다른 차원의 지능임

  • @이병규-m3x
    @이병규-m3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나 중딩에서 IQ134 였는데
    공부랑은 아무 상관없음.
    그저 중간....ㅋㅋㅋㅋ
    그래도 잘살고있음

    • @에슈카노르
      @에슈카노르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노력을 안한거거나 문제를 풀때 찍은게 맞거나 일수도

    • @샤람로무
      @샤람로무 4 месяца назад

      나이가 들수록 성적지수와 지능지수의 상관관계가 낮아진다고 함

  • @박규영-c2h
    @박규영-c2h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반박되다랑 반박할 수 없다는 3번 아닌가?
    반박할 수 없다의 반대는 반박할 수 있다고, 이건 반박되다랑은 완전히 다른데

    • @user-Ishow.telleport
      @user-Ishow.telleport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반박이라는 개념을 두고 되다 안되다의 긍정과 부정으로 나뉘어지니까 모순이 맞지않을까요

    • @sonmax1910
      @sonmax191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반박되다 : 나의 명제에 타인에 의한 반박이 이루어지다.
      반박할 수 없다 : 타인의 명제에 나의 반박이 불가능하다.
      좁게는 반박이 가능한가에 대해서 모순, 넓게는 주장하는 사람이 누군지가 서로 모순입니다.

    • @sonmax1910
      @sonmax191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수학적인 같음과 다름에선 3번도 2번에 속한 정답으로 볼 수 있는데, 이건 3번을 유사하지도 모순되지도 않는 의미라고 다시 번역해야 오해가 없을 것 같네요.

    • @ujunecheon1083
      @ujunecheon108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재미있네요. 문제가 같은 명제에 대해 혼자서 북치고 장구칠 수 있느냐? 를 물은 것이 아니라, 단어 자체의 의미를 물었기 때문에 유사하지도 모순되지도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원어로 된 영상이 궁금해지는 번역이네요.

    • @프로틴요플레
      @프로틴요플레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contradictory를 그냥 모순되다라고 번역해서 그런듯

  • @내이름-k1g
    @내이름-k1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림은 벽이라는 배경속에 거는 포인트라 생각해서 컵이라는 배경속에 넣는 커피라고 생각했습니다.

  • @selhands
    @selhands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미군 입대 IQ기준이 있습니다
    너무 낮으면 사회생활이 문제라는거죠

  • @shija05
    @shija0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나는 얘기했죠. "엠아이티는 아이비리그가 아니예요."라고.. 😅

  • @사람-k9z
    @사람-k9z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 답은 16, 넓이x높이는 부피이므로 64/4=16
    2. 아니오, 반례가 성립하므로 반드시란 대목에서 답이 "아니오" 인 걸 알 수 있음
    3. 4번, 한번에 2개 옮기면 3번을 가면 6개 또 하나를 가져 오려면 한번 가야 함. 따라서 총 4번 가야 7개를 가져 올 수 있음.
    4. 찬장, 일반적으로 그림은 벽이 있어야 전시 및 진열할 수 있음. 컵도 찬장이 진열, 전시 해준다는 점 다른 보기들은 그러한 관계가 일반적으로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답은 찬장
    5. 36, 1x1296=16x625=36x36 무지개 모양으로 🌈 곱했을 때 모두 같은 값을 가져 일정한 규칙을 만들어 논리를 세울 수 있음.

    • @misomisosiru
      @misomisosir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너비는 넓이가 아닙니다 길이와 직각인 선분의 길이예요

    • @사람-k9z
      @사람-k9z 8 месяцев назад

      @@misomisosiru 헉 ㅋㅋㅋㅋ 😆 감샴다~

    • @윤회-p3d
      @윤회-p3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개 맞으면 어느정도의 지능수준 일까요? 4번,5번 틀렸습니다. 물론 정확한건 웩슬러를 해보는게 좋겠지만 대략적인 수치를 알고 싶어서요

    • @misomisosiru
      @misomisosir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윤회-p3d 이런 간단한 검사로 지능을 판별할 순 없지만 평균은 되실겁니다 전부 5초 안에 풀었다면요

    • @금서영-g8m
      @금서영-g8m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앗 5번은 256(16의 제곱)으로 풀었는데... 각각 1x1, 4x4, 9x9, ( ), 25x25, 36x36 이렇게 자연수의 제곱수를 다시 제곱하는 형식이라고 봤거든요. 이런 풀이도 있었네요

  • @드키무티
    @드키무티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1. 2cm.
    (8×4×?)cm=64cm³.
    2. 아니오.
    어떤 바글은 총고, 어떤 총고는 문하첸. 어떤 바글은 총고지만 어떤 건 아닐 수도 있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어떤 총고 또한 문하첸일 수 있으나 아닐 수도 있음. 그러므로 어떤 바글은 반드시 문하첸이라고만 할 수 없음.
    그런데 바글, 총고, 문하첸이 테스트를 위한 예시 단어라는 건 알겠지만 상당히 생소한 표현인데 이것들은 독일어인가요?
    3. 4번.
    7개의 문을 2로 나누면 3.5가 됨. 3번 하고도 1번(0.5) 더 방문해야 하니 총 4번 방문이 필요함.
    4. 찬장.
    그림을 벽에 걸듯이 컵을 찬장에 올려놓으니 관계성이 같음.
    5. 256.
    1, 16, (?), 625, 1296.
    1²×1²=1, 2²×2²=16, 3²×3²=81, (4²×4²=256), 5²×5²=625, 6²×6²=1296.

    •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5번은 그냥 네제곱이라고 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

    • @camrytoyota29
      @camrytoyota2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애초에 문제 오류~ 81 누락~ 홀수 변인도 없음~ 이래서 웩슬러 지능 검사는 지적 장애 분류 수단으로만 활용해야함~ 진짜 똑똑한 사람들은 멘사 퀴즈 처럼 공간 추상에서 강점을 보임

    • @nnuull5448
      @nnuull544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게 아이큐 테스트라고?? 너무쉬운데

    • @coffeebingsu
      @coffeebingsu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신 5초만에 풀어야하니까 쉽지​@@nnuull5448

  • @은평구야채지누
    @은평구야채지누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반학교는 편차24의 iq테스트를 하기에 아무리 높게 측정되어도영상의 아버지가 만든 도표인 표준편차 15의 130도 되기 어려움..... iq가 148이상은 되어야 표준편차 15기준 130이 겨우 된다는거. 그리고 어른때 지능측정이 정확함. 어린아이들은 미래에 발달이 많이되어 160의 iq를 가지는 아이와 조숙해서 현재의 나이비례 지능은 높지만 미래엔 100도 안되는 아이를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임.

  • @안녕-h1d2c
    @안녕-h1d2c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IQ 가 너무 낮으면 곤란하겠지만, 평균보다 조금 낮은 수준까지는 괜찮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IQ 는 높으면 좋지만 적당히 낮아도 괜찮은 게 아닌가 싶네요.

  • @sw8331
    @sw833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반박되다-당하다
    반박할수없다-할수없다

    • @byebyebye514
      @byebyebye51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맞춤법 원툴.

    • @sw8331
      @sw833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byebyebye514 난 다 잘해 :)

  • @대빵-g7o
    @대빵-g7o Месяц назад

    그러는 아빠 아이큐는 얼마였었대요? 뭐든 하고 싶으면 남시키지 말고 직접하시오

  • @정명구-f6z
    @정명구-f6z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현직 수학 학원강사 현역입니다.
    아이큐가 유전이 영향이 크다는거 반박하고 싶네요. 가장 큰 요인은 산모 나이입니다. 학생과 학부모 상담 10년간 여러번 상담하며 쌓인 데이터 결과임

  • @한승우-q9o
    @한승우-q9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3번에 답 4아닌가요? 3번, 5번문제 풀이 좀 부탁드려요..

    • @sehun1210
      @sehun121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답이 안나오네용,, 집에 문이 달려있다고 말을 하지 않았고, 반드시 차를 사용해야 된다는 문장도 없어서 1번이라고 생각했는데,,
      차를 사용해야 된다면 저도 3번은 4번 다녀와야 된다고 생각해요
      5번은 문제가 이상한데,
      1의 4제곱
      2의 4제곱
      ( )
      5의 4제곱
      6의 4제곱을 보여주고 있어요
      그러면 괄호안의 값은 어떤숫자의 4제곱이여야 하는가인데 3인지 4인지는 이유를 가져다 붙이기 나름이라 복수 정답이 아니라면 오타가 있는게 아닌가 싶어요 ㅋㅋㅋ

  • @sambal218
    @sambal21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인생이 다 그런거지 뭐
    커피나 마셔요.

  • @박씨-e7e
    @박씨-e7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웩슬러 지능지표가 4개였던게 최근 검사에서는 5개로 바뀌었습니다. 지능이 기준이 바뀐다는 말이죠.

  • @Mynun.
    @Mynu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2,아니오,2 말고 다,찬장,256

  • @Curse_of_Leo
    @Curse_of_Le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결론: 쇠퇴와 하락이 모든 것의 본질이다.

  • @조민제-t7u
    @조민제-t7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버지라는 사람 아이큐라는 개념을 이해를 못하는거 같은데 130이 넘어서 2%에 드는게 아니라 2% 안에 드는 사람들의 정규분포를 계산한게 130인건데 정반대로 생각하고 수치나 표현일 뿐인 아이큐를 이 사람의 타고난 등급으로 생각하네 문제 하나 잘 찍고 못 찍고로도 확 변할 수 있는데 말이야

  • @김성민-v7l7n
    @김성민-v7l7n 4 месяца назад

    IQ가 높게 나오는 사람이 IQ가 낮게 나온 사람보다 머리가 더 좋다고 말할수 는 없다고 본다. 상대적인 비교는 무의미 하지 않을까? 예를들어 100m를 잘 뛰는 사람이니까 달리기를 잘 하고 달리기를 잘 하니까 5000m나 마라톤도 잘뛸거라 생각한다면 그 생각이 그렇게 잘 맞지 않는게 현실이고 보면, 누구나에게는 장단점이 있을 뿐이지 않을까? 부분적인 시각에서 학자들의 IQ의 높낮이가 학문적인 성과에 완전 비례 할까? 의문이다. 일례로 아인슈타인의 IQ가 갈수록 낮춰지고 있다는 걸 아는가? IQ에 사족을 못쓰던 세대때는 그의 IQ가 200이 무조건 넘는게 국룰이었지 아마. 요즘에는 그래도 일각에서는 다른것도 중요한게 있다 해대니 얼마전에 보니 160정도로 보고 있던데. 뛰어난 학문적 성과가 있으니까 머리가 좋고 머리가 좋으니까 IQ가 높을수 밖에 없다는 논리가 타당할려면 현실성이 있어야 하는데 꼭 그렇지도 않는 걸 보면 IQ에 대해 그렇게 연연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냥 흥미 외에는 뭐가 있나?

    • @FSA490
      @FSA490 Месяц назад

      성공은 iq가 아니라 운입니다. 똑똑한 부모아래 똑똑한 아이가 운좋고 좋은 환경에서 잘 자라나야 성공합니다.. 천재 비율대비 실제로 성공하는 사람은 극소수이구요, 오히려 iq가 높아질수록 소득이 감소합니다. 사회에서 너무 심하게 유리되는 탓이에요

  • @ksjin3500
    @ksjin350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점점 나르시시즘과 우생학으로 점철되어 가는 사회에서 불행을 피하기 위한 지능의 허들은 높아질 겁니다

  • @jodungji
    @jodungj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저는 5문제에 대해 답을 하지 않겠습니다.
    정답이 무엇인가, 내 점수는 얼마인가가
    제게는 그리 중요하지 않군요! IQ가 저의 행복을 정의하는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한 저의 답은 이겁니다!

    • @주먹고구마
      @주먹고구마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못푼다는 핑계를 뭐이리 거창한게 대노?

    • @jodungji
      @jodungj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먹고구마 못 풀었으면 굳이 댓글 자체를 안 달고 걍 아닥하고 있었겠지? ㅋㅋ

    • @주먹고구마
      @주먹고구마 5 месяцев назад

      @@jodungji 긁혔노 ㅋㅋ

    • @jodungji
      @jodungj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먹고구마 긁?

    • @jodungji
      @jodungj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먹고구마 열심히 살아 친구ㅎㅎ

  • @아기는아기욥
    @아기는아기욥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니오 4 찬장 모름
    기껏 풀었더니 답 어디 있는 거죠 ㅡㅡ

  • @makesomecloud
    @makesomeclou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지능이 높으면 감에 의존할 수 없게됨. 감을 계산하고 있거든.

  • @dexter8820
    @dexter882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9

    현대사회에서 지능이 전부입니다.
    지능은 높을수록 좋습니다.
    위의 예에서 아버지가 자식을 존재로 보는게 아니라
    가치로서 보았습니다.
    보통 지능은 모계 유전이라고 합니다.
    남자형제 중 한명이 천재면 다른 한명은 정신병을 가질 확률이 높습니다.

  • @Sssung-p1v
    @Sssung-p1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2, 아니오, 7, 테두리, 3

  • @alejandrokim1626
    @alejandrokim162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내용이 자기 위안, 합리화다. IQ검사가 믿을 만하다. 밑을 거 없다 듬 짖는데, 결론은 높은 놈이 더 잘나건 맞다.

  • @user-up6iy8eh4m
    @user-up6iy8eh4m 4 дня назад

    2번 아니오 고른애들은 뭐냐 ㅋㅋ 총고가 문하첸이면 바글은 반드시 문하첸이지 뭔 ㅋㅋ

    • @user-up6iy8eh4m
      @user-up6iy8eh4m 4 дня назад

      아이큐테스트가 아니라 저지능 판독기문제 수준이네 3번은 진짜 유치원생 수준아닌가 틀린애들은 문제가좀 있을듯

  • @phil_lab
    @phil_lab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래서 자녀의 아이큐 검사 안 해요
    인생에는 지능보다 중요한 게 많거든요
    아이는 어릴적부터 머리가 좋아 그냥 쳐본 시험으로 영재교 들어갔지만요

  • @GongIY
    @GongI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니오 4 찬장 256

  • @권혁빈-q8v
    @권혁빈-q8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아니오,4,찬장,256

  • @유우열-s4b
    @유우열-s4b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게 지능검사..? 그냥 중학교 나왔는지 확인하는거 아님..?

  • @Yong0309-wf7hv
    @Yong0309-wf7hv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아이큐 중요하지 않다면서 아이큐문제 끝에 제시하는건 뭐에요ㅋㅋㅋㅋㅋ 이게 모순아니유?

    • @_.9550
      @_.955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이큐 문제의 제시가 아이큐의 중요성에 대한 주장일까요?
      중국 시험 제도와 그 단점에 대해 알아본 후, 말미에 실제 중국 시험에 출제된 문제 몇개를 제시하면 중국 시험을 지지하는 것인가요?

  • @jamesy9279
    @jamesy927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Good 😎👍

  • @이관모-p8s
    @이관모-p8s 3 месяца назад

    2, B, 4, 찬장, 81(?). 맞나? 모르겠다. 특히나 마지막 문제가.... 근데 아이큐가 인생에 중요하나? 영상만 보면 그다지....

  • @curious6468
    @curious646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딱보면보임
    2. 말할 수 없음
    3. 1번
    4. 관점에 따라 다름
    5. q

  • @rockwellthivierge9193
    @rockwellthivierge919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 Promo sm

  • @2077_owo
    @2077_ow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울증온거 고증보소 ㅋㅋㅋ 나빠

  • @홍진호-o5q
    @홍진호-o5q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아니요,4,손잡이,81

  • @theworld-g2r
    @theworld-g2r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째저리 사악할수가있노

  • @OMG-mv8cd
    @OMG-mv8cd 4 месяца назад

    적당한 지능이 이 사회에서 살기 편함. 조금 멍청한게 행복할지도.
    더닝 크루거 효과ㅋ

  • @aliceinwonderland8312
    @aliceinwonderland831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니오 4 찬장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