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 면적 대비, 평당 가격: 2190만원, 건축 면적 대비, 평당 가격: 2830만원 정도의 금액이면... 근처 20년 정도 된 아파트 평당 가격이 평균 2800만원 정도 하니까... 내 땅에 내 집 짓고 살면... 가격은 요즘 가격 수준이라고 판단이 되네요. 아마도 토목공사 해서 지하주차장 만들려고 했으면... 토목공사 비용 평당 250~300만원 잡아야 하니까... 음... 동천동 토지 가격이 550~800만원 사이 정도 된다면... 건축 비용이 약 22억 정도 들어간 것을 기준하고... 중개수수료 및 Fee 붙은 금액들이 모두 빼면... 23~25억은 받아야 시공회사가 손해 보는 일이 없을 듯 싶은 집입니다.
상당히 구체적으로 적어주셨네요 몇가지 정정하겠습니다. 1. 평당가를 단순히 분양가/땅값 or 분양가/연면적으로 나누는건 적어도 단독주택에서는 맞는 방법은 아닙니다. 동일한 평수의 집도 토지평수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보통 아파트는 대지지분이 대략 비슷하니 단순 평단가로 비교할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곳은 토지가격(취락지구) 900만원대, 공사비 1700만원대를 기준으로 지어진 집입니다. 이렇게 나눠서 비교하는걸 추천드립니다. 2. 벙커주차장은 토목비용을 낮추기 위함이 아닌 경사도와 관련있습니다. 초입은 경사도가 부족해서 벙커를 만들지 못해고 필지 위치에 따라 벙커가 가능한 토지도 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근래 집들중에선 제일 좋아보이네요 위치도 너무 좋고 근데 역시 좋은 위치에 좋은 집은 금액이 높긴 하군요
네 맞습니다. 금액이 상당하죠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정도 퀄리티면 17억대면 적당할거같아요 😂
신축은 가격이 조금 높습니다.
17억으로 주택 사려고 수지쪽 다녀보시면 생각보다 살 수 있는 집이 별로없으실거에요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집 좋네요^^ 벙커주차장이 따로 있는 집도 있나요?
네 지어진 집은 없지만 벙커주차장이 가능한 세대도 있습니다.
30억이나 하는 집에 지하 주차장도 없고 마당도 작네요. 과연 누가 살지....
거품이 심하네요,
한 20억이면 충분할듯ᆢ
주차장은 참 아쉽죠
그런데 참고로 지하주차장은 경사면에 집을 지을때만 가능합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그 가격이면 좋겠네요
단 이곳이 생각보다 토지대가 높은 지역이고 높은 건축비로 시공된 곳입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가격이면 판교나 금곡동 구축 단독이나 바로 옆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내 단독, 빌라로 가겠죠. 커뮤니티 시설도 뛰어나고 단지도 고급스럽고 래미안이란 브랜드 네임도 있으니까. 위치는 괜찮지만 별 경쟁력은 없어보입니다.
말씀하신 내용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단 신축으로 지어진 새 단독주택을 찾는 분들도 계셔서요
그런분들에게는 판교, 금곡동 구축 단독주택이나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내 단독, 빌라는 경쟁상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시청해주셔 감사합니다.
부산 경남쪽에 비슷한 단독주택은 보기힘든것 같아 아쉽네요, 현관앞(주차장) 대문은 없는건가요
네 서울제외한 전국 어딜가도 이정도의 집은 광주, 용인에만 있습니다.
현관앞 대문은 없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 건설자 양심없네 벽면머냐 빨간벽돌에 깨진걸썼네 에혀 양심좀 같고 살자
깨진걸 일부러 쓰지는 않습니다.
공사과정에서 그런 문제가 있지 않았나 싶은데요
충분히 해결 할 수 있는 문제로
양심까지 말씀하시기에는 조금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딱히…..😊
아쉬운가요^^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땅 면적 대비, 평당 가격: 2190만원,
건축 면적 대비, 평당 가격: 2830만원 정도의 금액이면...
근처 20년 정도 된 아파트 평당 가격이 평균 2800만원 정도 하니까...
내 땅에 내 집 짓고 살면... 가격은 요즘 가격 수준이라고 판단이 되네요.
아마도 토목공사 해서 지하주차장 만들려고 했으면... 토목공사 비용 평당 250~300만원 잡아야 하니까... 음... 동천동 토지 가격이 550~800만원 사이 정도 된다면... 건축 비용이 약 22억 정도 들어간 것을 기준하고... 중개수수료 및 Fee 붙은 금액들이 모두 빼면... 23~25억은 받아야 시공회사가 손해 보는 일이 없을 듯 싶은 집입니다.
상당히 구체적으로 적어주셨네요 몇가지 정정하겠습니다.
1. 평당가를 단순히 분양가/땅값 or 분양가/연면적으로 나누는건 적어도 단독주택에서는 맞는 방법은 아닙니다.
동일한 평수의 집도 토지평수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보통 아파트는 대지지분이 대략 비슷하니 단순 평단가로 비교할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곳은 토지가격(취락지구) 900만원대, 공사비 1700만원대를 기준으로 지어진 집입니다.
이렇게 나눠서 비교하는걸 추천드립니다.
2. 벙커주차장은 토목비용을 낮추기 위함이 아닌 경사도와 관련있습니다.
초입은 경사도가 부족해서 벙커를 만들지 못해고 필지 위치에 따라 벙커가 가능한 토지도 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