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시에 만납시다] 잊혀지지 않는 눈짓이 되어 - 시인 김춘수 | 19860430 KBS방송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Комментарии • 12

  • @구래형
    @구래형 Год назад +10

    KBS가 존재해야 할 이유와 앞으로 해야할 일이 무엇인가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합니다. 40여년이 지났지만 시대를 초월하는 프로그램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박영-j1s
    @박영-j1s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귀한 영상입니다

  • @추억보정-c7c
    @추억보정-c7c Год назад +9

    와... 교과서에서 본 시인이 테레비에 나오시네..

  • @싼듀
    @싼듀 Год назад +5

    설명 안 해도 다 아는 교과서급 명 시인. 수염 깎은 단정한 모습은 난생 처음 본다.

  • @TV-wb4uf
    @TV-wb4uf Год назад +3

    시 에 대해서 쥐뿔 도 모르지만 김춘수 의 꽃 은 아마 도 악마 에게 영혼을 팔아 얻은 산물이 아닐까 할 정도 의 명작이다. 김춘수 의 생전모습을 이토록 생생히 볼수 있는 이 순간은 아마도 내 고생의 시간에 대한 보상 과도 같은 축복의 시간 이다.

  • @도레미-x6z
    @도레미-x6z Год назад +3

    헐... 대박

  • @신동하-x7y
    @신동하-x7y Год назад +6

    ✔ 김춘수(金春洙, 1922년 11월 25일 ~ 2004년 11월 29일).
    1922년 경상남도 통영에서 태어났다.
    1941년부터 1943년까지 니혼 대학교에서 공부를 했다.
    이 때에 그는 일본 제국에게 대항해야 한다는 주장 때문에 퇴학당하고 교도소에 7달동안 수감되었다.
    석방된 후 귀국한 김춘수는 고등학교와 중학교 교사로 일했다.
    1946년에 시 를 발표하면서 공식적으로 시를 발표하기 시작했고, 1965년에 경북대학교 학부에 가입했다. 1978년에는 영남대학교 문학부 학장으로 지냈다.
    광복 후 종래의 서정적인 바탕 위에 주지적인 시풍을 이루는 데 힘썼다.
    1948년 대구에서 발행되던 동인지 에 외 1편을 발표하여 문단에 데뷔했다.
    이어 첫 번째 시집 를 발간하고 등을 발표하여 시인으로서의 기반을 굳혔다.
    그의 작품세계는 한마디로 사물(事物)의 사물성(事物性)을 집요하게 탐구하였다.
    시에서의 언어의 특성을 다른 어떤 시인보다 날카롭게 응시하며 존재론적 세계를 이미지로 노래하였다.
    시집으로 등이 있으며 시론집도 다수 있다.
    1958년 한국시인협회상, 1959년 아시아자유문학상을 수상했다.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제11대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이 시기를 두고 훗날 김춘수는 “한마디로 100% 타의에 의한 것이었다”면서 “처량한 몰골로 외톨이가 되어, 앉은 것도 선 것도 아닌 엉거주춤한 자세로 어쩔 줄 모르고 보낸 세월”이었다고 회고했다.
    2004년 11월 29일, 향년 83세로 별세했다.

  • @어서말을해-m5t
    @어서말을해-m5t Год назад +1

    당시 본방으로 봤었어요. 글자로 보던 시와, 화면에 나오는 시인의 느낌이 너무 달라서 당혹스럽더라고요. 그 후 꽃이라는 시는 무감동..

    • @Marksomali
      @Marksomali Год назад +2

      글쎄요. 전 교과서에서만 본 김춘수 시인의 꽃이라는 시는 존재에 대한 철학적 고뇌를 쓴 시로 받아들였는데 시인으로부터 직접 그게 맞다는 설명을 들으니 그 시의 감동이 더욱 크게 다가오는데요.

  • @박영-j1s
    @박영-j1s 4 месяца назад

    어느 정권의 방통위원장이었나요?

  • @연경고-l8d
    @연경고-l8d Год назад

    전두환에게 헌정시 낭송

    • @Marksomali
      @Marksomali Год назад +3

      예술 작품은 창작되는 순간 더 이상 작가의 것이 아닙니다. 작가의 과오가 그 작가의 작품의 가치를 폄훼할 순 없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