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체능인데 학교에서 나눠주는 선택과목 관련 안내서에도 예체능일 경우에는 안나오고, 그나마 알려주는 학원도 잘안알려줘서 예체능도 다뤄주셨으면 좋겠어요. 문과보다 훨씬더 알려주는게 없어서 예체능인 사람들은 알고있는게 없으니 뭔가 많이 불안해져요. 그러니 예체능도 한번 다뤄주시길!
일단 졸업을 앞둔 06으로서 말씀드리면 과목 고를 땐 다음의 순서로 정해보세요: 1. 희망 대학교에서 요구하는 과목 2. *자신있는 과목* 3. 사람 많은 과목 내가 자신없는 과목인데도 무작정 사람 많은 과목 고르는 것도 등급따기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상에서도 언급했다시피 과학 1을 안 듣고 과학 2를 선택하는 짓을 절대 하지 마십시오. 아무리 과학 2가 진로선택이라지만 이해 하나도 안 돼서 C가 나오는 대참사가 벌어집니다.
올해 정법, 세계사, 윤리와 사상 배우고 있는 고등학생입니다.. 제가 느낀 바를 간략히 말하자면 시험 공부할 때 세계사는 시험 범위를 삼키시면 되고(입 닫고 연표, 인물, 사건, 문화 외우십시오) 윤리와 사상도 암기 토 나올 정도로 보고 충분히 복습하신 뒤 개념 헷갈리는 철학자 위주로 문제 푸세여. 정치와 법은 선거구가 킬러 파트이지만 그것 빼고는 열심히 개념 외우시고 문제 푸시면 80% 정도는 괜찮을 겁니다... 개인적으로 문제풀이 중요도는 정법>윤사>세계사입니다. 사탐은 선행할 필요는 없지만 철학이나 역사는 친밀도가 있냐 없냐 차이가 공부를 할 때 조금 있어서 유튜브로 가볍게 증국사, 서양사나 철학자 영상 정주행하는 거 추천드립니다..
@@kangduceayec 이틀 전에 댓글을 확인했어요 ㅠㅠ 이미 선택이 다 끝난 것 같아 죄송하지만 조금 더 말씀드릴게요. 세계사 정법은 제 입장에서 인문 계열 vs 사회계열 구도인 것 같아요. 평소에 윤사(철학, 도덕, 윤리) 관심 있으시면 세계사가 맞으실 확률이 높고, 일반사회에서 배운 노동법이 더 할 만 하셨다면 정법이 아마 더 맞으실 거에요.. 공부하실 때는 세계사는 암기의 비율이 정말 높고 중요합니다.. 암기 싫으시면 세계사는 정말 피하셔야 돼요.. 대신 문제풀이는 학교 기출 적응, 다 외웠는지 확인 용도로만 해도 괜찮을 정도에요. 잘 공부하셨으면 시험 보고 시갼이 남으실 수도 있어요 (알면 바로 풀리고 모르면 그냥 찍어야 해서요...) 졍법도 법 내용 외우고 헌법 제정 과정 등 순서 꼼꼼히 숙지해야 하긴 하지만 문제풀이도 그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특히 선거구나 상속 물려받는 비율 계산 빨리하기 위해서는 연산 속도도 중요하고요. 하지만 두 과목 장점으로는 윤사와 달리 오답을 왜 틀렸는지 알기 쉬워서 복습하시면 다음 번에 틀릴 확률이 적으실 거에요... 너무 말을 길게 한 것 같은데 간단히 요약하자면 세계사(암기 85% 문제 15%) vs 정법 (암기 60% 문제 40%)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둘 다 똑같이 힘들어 보이시면 그냥 인원수 많은 쪽을 따라가주세요 ㅎㅎ 화이팅입니다!
작년에 정법 경제 1등급입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너무 재밌었습니다. 근데 재미없다는 애들은 수업 시간에 좀비 상태입니다. 개념이라도 찍먹해보시고 적성에 맞는지 고민하신 후 수강하십쇼. 오히려 물리 화학은 개념은 흥미로운데 문제풀이가 재미없어서 정법 경제에 비해 한 등급씩 떨어지더군요...
진로가 명확하진 않은데 일단 병원에서 일하고 싶어요 그렇다고 의사는 아니고… 그냥 간호사? 정도 .. 고1이고요 성적이 그렇게 좋지 않습니다 수학2 과학3이고 나머지들은 다 4~5등급입니다 그래서 고2선택과목 고민입니다 화/생/지 괜찮을까요?😢 3학년때 사회문화 들을 생각인데 아니면 화/생/생윤은 어떤거 같나요????
문과 2등 06인데, 문과 오려는 친구들은 암기는 각오해야할거임 동아시아사/세계지리/윤사/생윤/사문 이렇게 5개 들었는데 사문 제외하면 모두 암기싸움임 특히 동아시아사, 세계지리는 암기가 정말정말 중요함 사문은 수학 버린 친구들은(모의고사 4 이하) 도표때문에 힘들 수 있음 + 문과는 이과보다 수가 적어서 1~2등급 인원이 적은 대신, 지방 일반고면 공부 열심히 하는 애들이 적어서 한 번 1등 먹으면 거의 고정임 그리고 내신 낮은 1학년 친구들은 문과 가서 국수영 공부시간 챙기면서 사탐하는게 수시/정시 양쪽에 이로운 선택임
@@lillillilllilliii 마지막 수능이란게 님이 생각하시는 그 마지막이 아니라 선택과목으로 공부해서 수능보는게 마지막이란 뜻이에요. 공동교육으로 넘어가면 저흰 선택과목으로 공부했기때문에 공부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하고 그게 현재 재수생에 또 생길 재수생들도 똑같아요. 그래서 마지막 수능이라 표현한겁니다.
저희는 오히려 화학이 150명 가까이 되고 지구는 30명 언저리였음 학교상황 봐서 선택하세요 근데 메디컬쪽이면 과목만 봤을땐 화학이 훨씬 좋아요 수의랑 간호는 많이 다르죠... 의치한약수는 전국에서 최최상위권애들이 몰리는 계열이라 치열합니다 화학이 암기라는 소리는 처음들어보는데 저는 그냥 수학과목 하나 더 하는 느낌이었어요 암기할거 많은건 사실인데 무지성 암기로는 절대 못 뚫어요 양적관계 찍먹해보시면 아실거예요 통합과학 화학 생각하시면 큰코다칩니다
@@유-x2d 저도 아직 08이라 선행 나가고 주변 형누나들한테 들어서 자세히는 모르지만 제가 느끼기에는 솔칙히 화학이든 수학이든 다 암기라고 생각되서 그렇게 말해버렸네요 확실히 무지성 암기로는 못하는거같아요 제가 좀 특별한 경우라서 다른애들하곤 많이 다른거같아요 저는 외운거 가지고 몇번 풀어보니까 잘 풀려서
며칠 후 최종선택하는 문과(교육, 사회계열) 고1인데 선택과목 고민하고 있습니다ㅠㅠㅠㅠ 일단 윤리와 사상, 세계지리, 지구는 확정이고 한과목을 더 골라야하는데 고민 중입니다. 사탐 정법(100명정도), 세계사(140명이상) 둘 중 하나를 할지 과탐 생명(200명이상)을 할지 고민하고 있어요 선배님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생명, 정법, 세계사 중 뭘 더 추천하시나요ㅠㅠㅠㅠㅠ
화생 듣고 있는 좆반고 07입니다... 개인적으로 팁을 드리자면 애매한 사람은 이과 오지 마세요. 저는 고1때 성적이 진짜 애매하게 3초 정도 떴는데 그나마 수학이 등급이 가장 높고 나름 잘 한다고 생각해서 깝치다가 진로 고려해서 결국 이과로 와버린.... 사람입니다. 네. 존나 후회해요. 방학때 수12만 한바퀴씩 돌리도 과탐은 손도 안대고 올라와서 그런지 내신은 좆망했고 수학도 뚝 떨어졌지 뭐에요😅ㅎㅎㅎㅎ 나는 수12를 몇바퀴씩 돌려서 잘 갖춰져 있다 하시는분들만 오시는걸 개인적으로 추천드립니다. 특히 좆반고에서는 더더욱😮
@@냥-k3i9v 개인적으로 화학은 통과때 심화문제까지 이해(잘)할 정도면 화학을 고르는게 좋다고 봐요! 물론 통과때 어려움을 겪었어도 방학때 미리 선행 여러번 돌리고 열심히 한다면 괜찮을 수도 있겠죠. 저는 통과때 물화생지 다 두루두루 잘 했고 심화 문제는 계속 설명 들으면 이해하긴 하는 정도였는데 선행 안 해서 개망했지만요...
다른것보다 제발 인원 꼭 봐라 얘들아... 수강 인원 적음 = 높은 등급은 포기하기 대학에서 인원 적은거 보고 감안한다 어쩌구가 의미없는말인게, 어차피 대학 갈때 제일 먼저 보는건 총 내신이기 때문에 무조건 등급 높은게 먼저다 이거 모르고 18명 듣는 과목 수강해서 등급 다 깎아먹음
@@user-wd5dd2ei2z 정치 파트는 사례적용보다는 거의 암기에요!!(단, 수능에서만!!) 그래서 정치쪽 암기만 제대로 하면 선거구 빼고는 그렇게 어렵진 않아요!! 법 파트는 사례적용이 대부분이랑 법적 사고력이 필요한데 법 좋아하시면 잘하실 겁니다!! 생각보다 정법 진짜로 할만 할 과목이고 사람들이 난이도를 너무 올려치기 하는 경향이 있는것 같네요ㅠㅠ
진로가 아직 없는데 자연계열은 아닌것같아서 사회과학쪽으로 두고있습니다 생명은 들을거고 나머지 2개를 아직 못정했습니다ㅠㅠ 정법이 좋아하지만 못하는 과목이라 고민중이고 화학도 재미있을것같긴한데 잘하는건 아니라서 고민중입니다.. 생명쪽,사회학쪽 생각하고 있는데 뭘 들어야할까요😢
사회과학 계열이면 학과 별로 필수로 들어야하는 과목 확인해보시고 과목 상관 없으면 그냥 사람 많은 사탐 들으시는 거 추천이요! 저도 사회과학 계열이고 저희 학교는 2학년 사탐이 동아시사 정법 세지 윤사 경제 이렇게 다섯 개라 윤사 세지 동아시아사 듣고 3학년 때는 생윤 사문 들었어요
생기부 꿀팁도 보고 가랏!
👉ruclips.net/video/Ni1yWJeSjgE/видео.htmlsi=9P8Q6gjSwOT4zvPg
네~^^
형! 회장선거 공약 추천해줘
생기부 꿀팁도 보고 가라!
👉ruclips.net/video/Ni1yWJeSjgE/видео.htmlsi=9P8Q6gjSwOT4zvPg
네~^^
예체능인데 학교에서 나눠주는 선택과목 관련 안내서에도 예체능일 경우에는 안나오고, 그나마 알려주는 학원도 잘안알려줘서 예체능도 다뤄주셨으면 좋겠어요. 문과보다 훨씬더 알려주는게 없어서 예체능인 사람들은 알고있는게 없으니 뭔가 많이 불안해져요. 그러니 예체능도 한번 다뤄주시길!
인정...인정이요...ㅠㅠㅠ
일단 졸업을 앞둔 06으로서 말씀드리면 과목 고를 땐 다음의 순서로 정해보세요:
1. 희망 대학교에서 요구하는 과목
2. *자신있는 과목*
3. 사람 많은 과목
내가 자신없는 과목인데도 무작정 사람 많은 과목 고르는 것도 등급따기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상에서도 언급했다시피 과학 1을 안 듣고 과학 2를 선택하는 짓을 절대 하지 마십시오. 아무리 과학 2가 진로선택이라지만 이해 하나도 안 돼서 C가 나오는 대참사가 벌어집니다.
이렇게 입시 전략이 힘들어진다면 차라리 고1 때부터 고졸 취업 준비하는 게 낫겠다
올해 정법, 세계사, 윤리와 사상 배우고 있는 고등학생입니다.. 제가 느낀 바를 간략히 말하자면 시험 공부할 때 세계사는 시험 범위를 삼키시면 되고(입 닫고 연표, 인물, 사건, 문화 외우십시오) 윤리와 사상도 암기 토 나올 정도로 보고 충분히 복습하신 뒤 개념 헷갈리는 철학자 위주로 문제 푸세여. 정치와 법은 선거구가 킬러 파트이지만 그것 빼고는 열심히 개념 외우시고 문제 푸시면 80% 정도는 괜찮을 겁니다... 개인적으로 문제풀이 중요도는 정법>윤사>세계사입니다. 사탐은 선행할 필요는 없지만 철학이나 역사는 친밀도가 있냐 없냐 차이가 공부를 할 때 조금 있어서 유튜브로 가볍게 증국사, 서양사나 철학자 영상 정주행하는 거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며칠 후 선택과목 최종 선택해야하는 고1입니다...ㅠㅠㅠ
지금 사탐과목 세계사랑 정법 둘 중에서 뭘 고를지 고민 중인데 선배님께서는 뭘 더 추천하시나요??
문과생이고 다른 선택과목은 지구, 윤사, 세계지리를 선택했습니다.
사람 많은 쪽으로 가는게 좋아요
@@kangduceayec 이틀 전에 댓글을 확인했어요 ㅠㅠ 이미 선택이 다 끝난 것 같아 죄송하지만 조금 더 말씀드릴게요. 세계사 정법은 제 입장에서 인문 계열 vs 사회계열 구도인 것 같아요. 평소에 윤사(철학, 도덕, 윤리) 관심 있으시면 세계사가 맞으실 확률이 높고, 일반사회에서 배운 노동법이 더 할 만 하셨다면 정법이 아마 더 맞으실 거에요.. 공부하실 때는 세계사는 암기의 비율이 정말 높고 중요합니다.. 암기 싫으시면 세계사는 정말 피하셔야 돼요.. 대신 문제풀이는 학교 기출 적응, 다 외웠는지 확인 용도로만 해도 괜찮을 정도에요. 잘 공부하셨으면 시험 보고 시갼이 남으실 수도 있어요 (알면 바로 풀리고 모르면 그냥 찍어야 해서요...) 졍법도 법 내용 외우고 헌법 제정 과정 등 순서 꼼꼼히 숙지해야 하긴 하지만 문제풀이도 그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특히 선거구나 상속 물려받는 비율 계산 빨리하기 위해서는 연산 속도도 중요하고요. 하지만 두 과목 장점으로는 윤사와 달리 오답을 왜 틀렸는지 알기 쉬워서 복습하시면 다음 번에 틀릴 확률이 적으실 거에요...
너무 말을 길게 한 것 같은데 간단히 요약하자면 세계사(암기 85% 문제 15%) vs 정법 (암기 60% 문제 40%)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둘 다 똑같이 힘들어 보이시면 그냥 인원수 많은 쪽을 따라가주세요 ㅎㅎ 화이팅입니다!
저도 특별한 이유 없이, 어떤 과목이든 상관없으면 그렇게 하는 게 낫다고 생각해요
@@Isabel-df8gf 아직 선택 안 끝났어요! 선배님 덕분에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답변 정말정말 감사합니다ㅠㅠㅠㅠㅠ
혹시 추가 질문 해도 될까요? 진로선택과목이랑 제2외국어는 어떤 거 하셨을까요...!
0:36 승관이 넘 귀엽잖아~❤❤
물지가 유행입니다 물리 인원수 적어서 내신따기 힘들다고 많이들 하시는데 1등급 따기는 힘들지만 2-3등급은 약간의 노력으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지구과학은 아시죠? 필수입니다
물지가 ㄹㅇ 정배지
난 생화 들을건데 사회과목 한 개 안 하고 지구과학도 해야하나?
물지 ㄹㅇ 맛도리임
@@임채윤-n2e 지구는 필수고 화학은 하지마셈
물지 달달해서 이썩음 ㄹㅇ
0:21 키움 도슨 선수다!!
도슨:선배 마라탕 사주세요!! 파울파울 주루주루 파울파울 주루루루루
언젠가 돌아와줘요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키움팬)
도순이 꼭 다시 보자!!
와 고민하고 있었는데 딱 맞혀 올라오네😍😍
선택과목도 신중할 필요가 있네요. 이 영상을 보면서 자신에게 맞는 선택과목을 잘 고르기 바랄게요!
방학 전에 선택과목 신청시킨 미친학교 다니는 학생으로써 눈물만 흘립니다.. 내 최신정보..
저희도.. 심지어 개학 하루전이 아예 찐마감이였는데 몇명이 어느과목을 선택했는지도 몰라서 어디가 많은지도 모릅니다..
화1 선택하세요 진짜 재미있어요^-^
악마를 보았다ㄷㄷㄷ
화학 선택해서 내신 망했습니다 절대하지마세요
차라리 물리 생명이 더 나아요
학원다니면서 공부해도 등급 못 나올정도로 어렵나요..?
@@bsaetqbv 화1 사람도 ㅂㄹ 없고 화1이 성적 젤 낮아요 타임어택 개심함 제발 돌리세요
역시 선택은 낭만 있게 물화
경제 정법 둘 다 들을 예정인데 자퇴서 멘트 추천 받음
둘다 나쁘지 않아요 경제는 기출만 풀면 쉽고 정법도 개념 많다고는하지만 기출좀 보면 다 거기서 거기입니다
경제 쪽 진짜 사람 없긴하던데...경제쪽 가려고 했는데 영상보고 살짝 꺾일거같음...
둘 다 들어봤어요. 정법은 할 만해요. 경제는 도망치세요
@@thelegendarymoments 경제 ㄱㅊ아요
장점 1. 국어지문 푸는데 도움된다(체감 잘됨)
장점 2. 표점이 높다 웬만한 과탐 뺨침
장점 3. 2등급 가기 쉽다 1등급과 2등급의 등급컷 차이가 큼
작년에 정법 경제 1등급입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너무 재밌었습니다.
근데 재미없다는 애들은 수업 시간에 좀비 상태입니다.
개념이라도 찍먹해보시고 적성에 맞는지 고민하신 후 수강하십쇼.
오히려 물리 화학은 개념은 흥미로운데 문제풀이가 재미없어서
정법 경제에 비해 한 등급씩 떨어지더군요...
진로가 명확하진 않은데 일단 병원에서 일하고 싶어요 그렇다고 의사는 아니고… 그냥 간호사? 정도 .. 고1이고요 성적이 그렇게 좋지 않습니다 수학2 과학3이고 나머지들은 다 4~5등급입니다 그래서 고2선택과목 고민입니다 화/생/지 괜찮을까요?😢 3학년때 사회문화 들을 생각인데 아니면 화/생/생윤은 어떤거 같나요????
화생생윤이 훨 나아요 과탐 세과목 상위권 학생들도 소화 힘듭니다 두과목도 빡세요ㅠ의료쪽이랑 지구는 별로 관련없기도 하고요
걍 고2때 수학만 좀 하면서 놀다가 정시ㄱㄱ
0:22 로니 도슨 ㅋㅋ
9로9 : Oㅏ~😀 구로구 : Aㅏ~😄
1:48 휴 갑자기 용복이 나오길래 놀랐습니당
이보시오...과목선택 다 끝났어요..
맞소..,.늦었소!!!!!!!! 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ㅠ
와 감사요ㅜㅜㅜㅜㅜㅜㅡㅡ
이걸 보고있는 06 개추 ㅋㅋ
나는 왜 물화를 골랏을까..
D-91인 06이면 개추...
선생님 덕분에 살았습니다....
정법 내신은 잘 모르지만 수능 선택과목으로 추천드려요! 어려운 표문제는 한문제밖에 안나오고 나머지는 다 암기빨이라 암기만 잘한다면 등급 딸 수 있는 개꿀 과목임
사탐 소개할 때 세계사랑 동아시아사 없는 건 서운합니다ㅠㅡㅠ
이건 못참지😊
아. 역사 좋아하는데 ㅠㅠ
뜻밖의 역사 외면..
쌍사 선택한 사람 그게 바로 나야나
세계사 증딩때했으니 럭키비키잖아 하다가 볼셰비키로 전환이..
0:04 최연준 우는거 진짜 이뻐..🥺
2:20 3:27 ♡♡
하 ㄹㅇ ㅠㅠㅠ
상경계열 진학 희망하는 사람으로써 경제는 무조건 해야됌..
화 1 정말 재미있습니다 08분들 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하하 유쾌하지만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공대(기계, 건환, 전기)가 보면 알게되긴 함.
물체에 가해지는 힘을 합성하기 위해서 속도의 3차원 벡터 편미분값의 3중적분 ㅗㅜㅑ
고등학교때 미적 기하 물리 안하고 올라가면 어찌될지 벌써 두근두근하지? ㅋㅋ
형 혹시 다음에는 요즘 계속 생기고 지난번에 짧게 이야기한 IB디플로마 과정 영상도 만들어 줄 수 있을까?
경제 진짜 100점 맞을정도로 할거아니면 듣지를 말아야함
80대가 4등급이 나오는..그런 관경을 볼수있었음
하지만 영상에 나온것처럼 대학에서 좋게봐줄수가있다~ 마이너취향이라면 죽고싶다면 해봐라!
경제 재밌어요 님들아 진짜
근데저거진짜임 ㅈㄴ고임 문제가 쉬운것도아닌데 평균제일높음
@@pongseonggum 사설 모의고사에서 해당과목 고른사람 국영수 평균내도 사탐중에 압도적 1위긴함
근데 과탐 생지보다 낮음
문과라서 다행이긴한데 아무 생각없이 골랐다가 물리 화학 생윤 세지 조합....뭔가 어쩡쩡한 조합됨. 잘 생각해보고 하길... 물리 냅다 생각없이 하다가 4뜸ㅋ 망할 그래도 세지로 살렸는데 다들 차라리 연관있는거 하길 바람. 세지랑 한지는 개꿀이니 하는거 추천함. 왜냐면 약간 지구과학도 섞이긴 했는데 대충 방향 알고, 지도에 거부감 없으면 됨. 근데 쾨펜은 외우기 힘들지도?
어쨌든 다들 나처럼 선택하지 않길 바래
지금 생윤이랑 생명과학은 할건데 한지를 할지 지구를 할지 고민이에요…
저희학교는 한지보다 정법이 훨씬 많아요.. 근데 정법은 도저히 할수가 없겠더라고요..
3학년때 세계지리를 하고싶어서 한지를 하고싶은데 52명이면…1이 1명 뜨니까 등급따기 어려울거 같고 지구는 내용보니까 어려워 보이던데 뭘 선택하는게 좋을까용
제발 이고1을 살려주세요……….😢😢😢😢😢
고3 선택과목 물리 못해서 화생지 했는데 진로가 없어서 더 걱정 됨..
해양과학과처럼 생명지구 같이 융합된 과를 가야하나.. ㅜ
역덕이라 2학년 때 세계사 3학년 때 동아시아사 들었는데 이 과목 수업시간만큼은 엄청 기대됐음….졸 생각도 전혀 들지 않고 수업 끝나면 다음 내용 뭘까 아쉬워했던 기억이 ㅋㅋㅋ
문과 2등 06인데, 문과 오려는 친구들은
암기는 각오해야할거임
동아시아사/세계지리/윤사/생윤/사문
이렇게 5개 들었는데 사문 제외하면 모두
암기싸움임
특히 동아시아사, 세계지리는 암기가 정말정말
중요함
사문은 수학 버린 친구들은(모의고사 4 이하) 도표때문에 힘들 수 있음
+ 문과는 이과보다 수가 적어서 1~2등급 인원이 적은 대신, 지방 일반고면 공부 열심히 하는 애들이 적어서 한 번 1등 먹으면 거의 고정임
그리고 내신 낮은 1학년 친구들은 문과 가서
국수영 공부시간 챙기면서 사탐하는게 수시/정시 양쪽에 이로운 선택임
세지 팁 좀 주세요..
좋아하는 것보단 무조건 잘하는 거 하세요...
다가올 미래가 두렵다..
물화생지1하고 수학은 확통 기하 미적분 다 하고
생화2를 할 예정이라니.. ㄹㅇ 미쳤네..
원래 경제,경영 이딴거 하고싶었는데
배우는건 과학이 재밌아서
과학으로 방향을 돌려버렸다…
이런ㅡㅋ
수학도 못하는데 완전 이과로만 선택해서
미췬듯이 해야겠네 될라나 모르겠지망~..
할수있다는 생각을 가지고…허허😅
11월에 수학여행가는데ㅠㅠ 챙겨야할 짐이랑 입을옷추천, 숙소에서 친구들이랑할 게임들같은것 좀 알려주세요! (항상 재밌게 보고있어요 입시덕후 파이팅!!)
저는 미디어학과 지망하는데
윤사,정법,세계지리,경제 중에 3개 골라야하는데 윤사 정법은 할 것 같고 세계지리와 경제 중에서 못 고르겠어요ㅠㅠ 지금보면 경제가 인원이 더 적고 열심히하는 친구들 몰린 거 같긴한데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ㅠㅠ😢 도와주세요🥹
09들 부럽다.. 우린 저래서 수능한번보면 끝인데 ㅠ 재수도 못하고; 교육부 진짜 일 이따구로 하면 안됨..
마지막 수능이라고 싹다 몰릴꺼아냐
우리 08 어캐살아?
ㄴㄴ 수능폐지가 아니고 선택과목 사라짐. 지금 교육부에서 논의중이라고 함
@@lillillilllilliii 마지막 수능이란게 님이 생각하시는 그 마지막이 아니라 선택과목으로 공부해서 수능보는게 마지막이란 뜻이에요.
공동교육으로 넘어가면 저흰 선택과목으로 공부했기때문에 공부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하고 그게 현재 재수생에 또 생길 재수생들도 똑같아요.
그래서 마지막 수능이라 표현한겁니다.
교육 개편 10년만 더 미뤄줬으면 좋겠다
그냥 08은 수능도 거의 힘들다 봐야됨 의대 증원에 마지막 교육과정인데 재수생이 얼마나 많겠음
08 딱대라 대학 합격해도 시험칠거임
0:16 ㅁㅊ갑자기내오빵이들나와서놀램
2학년 물화생지 미적분 기하 렛츠고!!
낭만으로 수능 물2화2고른 현역입니다…
후배여러분들은 저랑 같은 선택하지마십쇼
수의사면 생,화 해야되죠..ㅠㅠ 근데 화학쌤 화학 어렵다고 들어오지말라고 하언데 😢
@@bring1913 물리 화학 다 어려워요.. 인원도 적어서 ㅠ 수의사 진로 꿈꾸시는거면 그래도 어느정도 성적은 나오시니 생각하시는거같은데 도전해보시죠
솔칙히 화학 거의 암기긴 해요
@@bin0919 생,지 하는게 나을까요 저희 아는 언니도 간호사를 생,지 해서 수시로 종합으로 가셨더라고 하더라구요
@@bring1913 생명은 무조권 하시고 학교 분위기 보시고 화학에서 지구과학중 선택하시면 될꺼같아요.
근데 저는 개인적으로는 지구과학도 괜찮으시면 지구과학 추천드립니다..
화학은 살아남기 힘들어요
인원이 너무 적어서 높은등급 받기가 어려워요
저희는 오히려 화학이 150명 가까이 되고 지구는 30명 언저리였음 학교상황 봐서 선택하세요 근데 메디컬쪽이면 과목만 봤을땐 화학이 훨씬 좋아요 수의랑 간호는 많이 다르죠... 의치한약수는 전국에서 최최상위권애들이 몰리는 계열이라 치열합니다 화학이 암기라는 소리는 처음들어보는데 저는 그냥 수학과목 하나 더 하는 느낌이었어요 암기할거 많은건 사실인데 무지성 암기로는 절대 못 뚫어요 양적관계 찍먹해보시면 아실거예요 통합과학 화학 생각하시면 큰코다칩니다
@@유-x2d 저도 아직 08이라 선행 나가고 주변 형누나들한테 들어서 자세히는 모르지만 제가 느끼기에는 솔칙히 화학이든 수학이든 다 암기라고 생각되서 그렇게 말해버렸네요
확실히 무지성 암기로는 못하는거같아요
제가 좀 특별한 경우라서
다른애들하곤 많이 다른거같아요
저는 외운거 가지고 몇번 풀어보니까 잘 풀려서
빨리.. 오셨어야죠...ㅠㅠ 저 고1때 뭣도 모르고 기하 선택했단 말이에요...ㅠㅠ
왜요,,,? 저 2학년 때 기하 들으려는 고1이에요 ㅠ
제가... 문과입니다...
문과인데 기하라...왜 선택하신건지 궁금하네여. 몰라서 그랬던건가요ㅋㅋ쿠ㅜㅜ
@@user_e860 네ㅋㅋㅋ큐ㅠㅠㅠ 선택할게 없어서 기하를 만만하게 보고....
@@쿼카-o8f 오마깟 ㅠㅠㅠㅠㅠ😭
06 고3입니다 전 2학년때 과학중점 이라 물I 화I 생I 지 I을 다했네요 😅
현재 고 1인데
화학 생명과학 할려고 하는데
화생 한다는 애들 거의 99%는 공부 잘해서 진짜 치열함..
물지나 생지 하셈 화생은 타임어택 너무 심함
@@user-ox3ib3su4t 진로가 화생쪽이라…
06 대학 입시 관련해서도 영상 올려주세요 ㅠㅠㅠ
후~^^
우리학교는 선택권 없이 물화생지 12 다해서 이런 고민도 못했는데
며칠 후 최종선택하는 문과(교육, 사회계열) 고1인데 선택과목 고민하고 있습니다ㅠㅠㅠㅠ
일단 윤리와 사상, 세계지리, 지구는 확정이고 한과목을 더 골라야하는데 고민 중입니다.
사탐 정법(100명정도), 세계사(140명이상) 둘 중 하나를 할지 과탐 생명(200명이상)을 할지 고민하고 있어요
선배님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생명, 정법, 세계사 중 뭘 더 추천하시나요ㅠㅠㅠㅠㅠ
일반사회계열이면 정법추천 정법 그렇게 안빡세요
@@pongseonggum 혹시 정법 암기량이 많을까요ㅠㅠ 세계사랑 비교하면 암기량이 얼마나 될까요
자소서도 없어지고 면접 전형도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는 일반고에서 내신만 잘 받아도 된다..
물화지2 선택한 및친 07은 웁니다
우리학교는 과학중점이라서 물화생지 다하는데😢😢😢
ㅅㅂ 우리도
@@이름-r3y2y 설마 봉일쳔
과중반인데 물화생지+윤사 할겁니다
경제 정법 한지 듣는데 생각보다 괜찮음
경제 정법 윤사 개추 ㅋㅋ
안녕하세요 물리1 지구과학2으로 수능을 볼 사람입니다. 다시 지나가겠습니다.
화생 듣고 있는 좆반고 07입니다...
개인적으로 팁을 드리자면 애매한 사람은 이과 오지 마세요. 저는 고1때 성적이 진짜 애매하게 3초 정도 떴는데 그나마 수학이 등급이 가장 높고 나름 잘 한다고 생각해서 깝치다가 진로 고려해서 결국 이과로 와버린.... 사람입니다. 네. 존나 후회해요. 방학때 수12만 한바퀴씩 돌리도 과탐은 손도 안대고 올라와서 그런지 내신은 좆망했고 수학도 뚝 떨어졌지 뭐에요😅ㅎㅎㅎㅎ 나는 수12를 몇바퀴씩 돌려서 잘 갖춰져 있다 하시는분들만 오시는걸 개인적으로 추천드립니다. 특히 좆반고에서는 더더욱😮
화생 선택하려고 했는데 과학을 잘 하는것도 아닌데 화학 선택하는게 맞는 선택일지 고민되네요ㅜ…..
@@냥-k3i9v 개인적으로 화학은 통과때 심화문제까지 이해(잘)할 정도면 화학을 고르는게 좋다고 봐요! 물론 통과때 어려움을 겪었어도 방학때 미리 선행 여러번 돌리고 열심히 한다면 괜찮을 수도 있겠죠. 저는 통과때 물화생지 다 두루두루 잘 했고 심화 문제는 계속 설명 들으면 이해하긴 하는 정도였는데 선행 안 해서 개망했지만요...
형 왜이렇게 늦게 알려준거야 ㅜㅜㅜ 1학기때 이미 끝났다고
1시간 전에 선택과목 마감됐는데 이걸 이제 봤네...
이런 고민 안 하는 과학고 오세용~
다른것보다 제발 인원 꼭 봐라 얘들아...
수강 인원 적음 = 높은 등급은 포기하기
대학에서 인원 적은거 보고 감안한다 어쩌구가 의미없는말인게, 어차피 대학 갈때 제일 먼저 보는건 총 내신이기 때문에 무조건 등급 높은게 먼저다
이거 모르고 18명 듣는 과목 수강해서 등급 다 깎아먹음
이과는 무조건 물화부터 하셈.. 생명 생기부는 진짜 어디도 못간다.. 그리고 기하 확통 미적하면 일단 유리함. (고3인데 물리 안해서 쓸 학과가 없음 ㅋ)
생명은왜요?ㅠㅠ
@@비뚜-i6q 생명이 제일 생기부 채우기 쉽거든요.. 경쟁률이 미쳤어요.. 물화하면 건축으로 돌릴 수라도 있지 생명 생기부는 젤 낮은 공대가 식품 공학이나 영양인데 적어도 경쟁률 20:1 하..ㅋ
물지만 해도 인서울 공대 거진 다 들어가는데 뭔소리하시나 애초에 화생은 메디컬 아니면 갈곳찾기 힘들지 화공아니면...
화학은 굳이 필요없음..물리는 필수
@@Kyujin_zzajoa ? 공대인데 화학을 안듣고 간다고? 개빠졌네 ㅋㅋㅋ
@@Metor000-j6q 건축기계전기는 화학 몰라도 됨 나도 기계관련인데 학부자체에 일반화학 배우지도 않음
2학년때 사탐 쉬운 과목들 들어서 내신챙기고
3학년때 abc로 나오는 과학 2과목들 들어서 내신 공부 많이 안하고 점수 꿀 빠는게 좋음.
저희 학교에 인공지능 기초랑 인공지능 수학 둘 다 개설되어 있는데 인공지능 기초를 들어야 인공지능 수학을 듣는 위계가 있나요? 교과 위계는 어디서 찾아보면 될까요????
사탐 3했는데 고수들만 있으려나 아님 반대로 못하는 애들 많으려나 우리 학교가 이과 애들이 ㅈㄴ 많아서 반 거의 전체가 과탐 하던데
젠장… 난 고3이라 더이상 되돌릴 수도 없는데…ㅜㅜ
중학생땐 선택과목으로 물화는 안해야지 했는데 3학년 선택과목으로 물2 화2 선택한 고딩이 되버림..이미 물화생 지르고 물2 화2 해서 낭만 따라 사탐과목 경제했다
1n 년생이 물어볼 질문은 아닌거 같다만은... 혹시 예체능 대학 희망하는 사람들은 권장과목에 뭐가 없나요?
09 이후부터는 선택과목 폐지로 알고있습니다
@@gongboomang 아하.... 걱정하나 덜었어요! 감사합니다!
@@gongboomang아후 왜 우리때부터지
@@gongboomang수능 선택과목 폐지고 내신으로는 선택과목 남아있어요 근데 과목개편이 좀 있다고는 알고있습니다
아직 멀어서 막상 중2쯤 돼야 뭔가 확실히 가닥이 잡히지 않을까요
입시가 변화가 어떻게 될지 모르니까요
09는 운다
현 고2인데 물리 60명이라 등급따기 개힘들고 거의 실력자들만 모여서 5~6이 통합과학때 3등급 받던애들이더라
아니 경제 정법이 왜 그렇게 까지 어려운 이미ㅣ지지??
공부하기 정말 편하고 쉽게쉽게할수 있는 과목인데..ㅠㅠ
실용성도 좋고 공부하기도 편한데
2:05 아이칼리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초전 미쳤다ㄷㄷ
물2화2했는데 괜찮겠지.....
정법 개꿀인데 왜안하지.. 표점도 개꿀인데
법을 좋아하는데 그렇게 잘하는건 아니고
정치는 완전 못하면 정법은 어려울까요..?ㅋㅋㅋ
@@user-wd5dd2ei2z 정치 파트는 사례적용보다는 거의 암기에요!!(단, 수능에서만!!)
그래서 정치쪽 암기만 제대로 하면 선거구 빼고는 그렇게 어렵진 않아요!! 법 파트는 사례적용이 대부분이랑 법적 사고력이 필요한데 법 좋아하시면 잘하실 겁니다!!
생각보다 정법 진짜로 할만 할 과목이고 사람들이 난이도를 너무 올려치기 하는 경향이 있는것 같네요ㅠㅠ
@@Wonji_Yoo 완전 노베여도 암기하면 할수있겠죠??
@@user-wd5dd2ei2z 네네 할수있어요
저예비고2인데요
확률과통계
들어요
교통 관련된 과 희망하는데 미적분 꼭 들어야할까요 지금 탐구는 다 정했는데 수학땜에 미칠 거 같네요..미적분 많이 힘들다고는 했는데 ㅋ큐 미치겠다.-..
고2 선택과목 생지하고 사문 선택했는데 안좋나요ㅜ 물화가 너무 어려워서ㅠㅠ 생명과학과나 간호학과 희망하는데 권장과목이 화학이던데 안하면 많이 불이익이 될까요…
남자라면 물,화,생,기하 헬 루트 골랐겠지? 일단 나먼저
예체능은 어케 가야되나요
최대한 쉬운 걸로 가세요.. 사탐같은 거요. 과학은 지구까지 괜찮은데 생명 화학 물리는 많이 힘들어요🥲🥲
삼수 고민중인 Team05면 개추
09도 고르고 싶었어...
입시 제도 바뀌는 거 설명 함만 해주실 수 있나여?
과탐 1과목 하지마세요 투과목, 심하면 사탐한테도 표점 밀려서 안하는게 낫습니다 차라리 2과목 사탐 하세요ㅕ
곧있으면 본인이야기여서 보는 09면 개추
ㄱㅊ
@@t1gumaynsi 09는 그딴거 없다^
간호학과 희망하는 고1인데 확통 사문 생윤하면 수시로 지거국 간호 못 갈까요..?
그래도 생명은 이수하셔야 하지 않을까요
사회문화 개꿀이다 꼭 해라 수능 때 봐라
고교학점제 좀 알려줘.. ㅠㅠ
그냥 듣고싶은거 들어라
교대는 필수과목 따로있나여
소프트웨어학과 지망인데 기하 안 듣고 프로그래밍 들어도 괜찮겠죠?
예
진로가 아직 없는데 자연계열은 아닌것같아서 사회과학쪽으로 두고있습니다
생명은 들을거고 나머지 2개를 아직 못정했습니다ㅠㅠ
정법이 좋아하지만 못하는 과목이라 고민중이고 화학도 재미있을것같긴한데 잘하는건 아니라서 고민중입니다..
생명쪽,사회학쪽 생각하고 있는데 뭘 들어야할까요😢
사회과학 계열이면 학과 별로 필수로 들어야하는 과목 확인해보시고 과목 상관 없으면 그냥 사람 많은 사탐 들으시는 거 추천이요! 저도 사회과학 계열이고 저희 학교는 2학년 사탐이 동아시사 정법 세지 윤사 경제 이렇게 다섯 개라 윤사 세지 동아시아사 듣고 3학년 때는 생윤 사문 들었어요
@@B_Bb.b 아직 학과를 못정했어요
정법+생명은 확정이고 화학이나 세지 고민중 입니당..
@@user-wd5dd2ei2z 나중에 이과에서 문과로 돌리게 되면 사탐은 아무거나 선택해서 들을 수 있지만 문과에서 이과로 돌리려고 할 때에는 과탐 원과목을 이수해야 투과목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것까지 다 고려하면 화학을 듣는 게 나을 것 같긴 해요
@@B_Bb.b 감사합니다!
내신으로 2학년 때 물리, 기하, 확통 다 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니 미리 시켜서 이미 골랏는데 왜지금..😢
공학계열 희망하는데 물리, 화학 하면 힘들까요?
솔직히 공학계열이면 힘들어도 하는게 맞아요
물리는 괜찮은데 화학이 진짜 할게 안됩니다 화공이런쪽 아니면 다른거하세요
2학기때 시험보는 중 1이면 개추
2학년때 시험보는 09면 개추
1학년때 시험안본 10년생이면 개추
2학기때 중,기말 보는 중2면 개추~
그냥 개추
중1인데 2학기 때 시험 안 보면 개추
과중이라 물화생지 다듣고 확통 필수인 사람 개추 ㅋㅋㅋ
진로선택과목 2개를 선택해야하는데 이과이고 진로를 못정했는데 일단 기하는 할거고 프로그래밍이랑 생활과과학중에 뭘 해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