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 vs 행위 논쟁 (feat.존파이퍼 vs 톰라이트) | 니제이 굽타, 신약학 강의노트 11강 - 이신칭의와 행위에 따른 심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이 영상은 “감은사”로부터 저작권 사용 허락을 받고 제작되었습니다.
    #이신칭의 #행위 #심판
    *교재 정보
    -니제이 굽타, "신약학 강의노트", 이영욱 역, 감은사
    -책 구경하기 : aladin.kr/p/OfbDD
    - -
    ​■오늘의 신학공부는
    1.함께 신학을 공부합니다
    2.신학생이지만 신학을 잘 모릅니다
    3.모르는 만큼 배우겠습니다
    *지속 가능한 공부를 위해, 도서비 후원을 받습니다 : )
    : 신한은행 장민혁 110-233-786287
    **외주 작업 및 앞광고 문의
    justpraise@naver.com
    =====
    ===
    “오레브(O.LAB)”는
    복음의 깊이와 넓이를 미디어로 표현하는
    기독교 크리에이티브 팀 입니다.
    ✖︎ 오늘의 신학공부 url.kr/vu8q1m
    ✖︎ 오레브금 url.kr/zbjaxe
    ✖︎ 오레북 url.kr/wetamz
    ✖︎ 오레브 TV url.kr/ehc58o
    ✖︎ 오레브 후원하기 : 3333-19-4689044 카카오뱅크 송주원
    *후원해주신 모든 금액은 미디어 사역을 위해 사용됩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40

  • @yo-qw5xd
    @yo-qw5xd 3 года назад +6

    아주 건강한 신학적 관점과 접촉점을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towardsthelife5311
    @towardsthelife5311 3 года назад +3

    We are saved by grace through faith working in love!

  • @왕누니-s6b
    @왕누니-s6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톰라이트의 신앙관은 천주교와 비슷하네요.
    구원은 믿음으로 얻되, 신자의
    선.악 행위에 대해선 살면서 상벌을
    받고 차차 성화가 되어가는 거죠?

  • @good_lawyer
    @good_lawyer 2 года назад +11

    명쾌한 정리네요. 평신도들이 이런 고민을 하지 않고 이신칭의만 금과옥조로 삼고 행위를 도외시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 @giver6460
    @giver6460 3 года назад +7

    제가 요즘 엄청나게 골머리 앓고있는 이슈인데, 제목보고 영상 보기도 전에 좋아요👍 누르면서 리스펙이라 쏘리질러봅니닷💃

  • @ghrue1
    @ghrue1 2 года назад +2

    이신칭의와 행위심판은 모두 진리입니다.

  • @user-youngbae
    @user-youngbae 3 года назад +7

    메시아닉 쥬(유대적 기독교인)의 이야기를 들어봤는데 기독교인을 믿음으로 구원을 받은 자(이신칭의)이며 구원이 최종목적이 아닌 시작점으로 봅니다. 구원을 받은 사람으로 살아가면서 온전한 행함으로 상속이 확정된 구원을 유지(행위심판)해야 한다고 봅니다. 낙타와 바늘귀 이야기에 나오는 부자청년과의 대화에서도 구원을 이미 상속 받은 사람으로 이해합니다.

    • @theologytoday
      @theologytoday  3 года назад +1

      그렇군요 ㅎㅎ 언약적 율법주의 개념과도 비슷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 @bhseol7845
      @bhseol7845 2 года назад +2

      당연한 말씀입니다.
      구원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벌어지는 유치한 논쟁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면 우리는 구원받았고(칭의), 구원받게 됩니다(주 재림때 부활과 영화).
      본질작으로 성경이 말씀하는 구원은 하나님께 돌아오는 것입니다(히브리어로 shuv). 하나님께 돌아와서 하나님의 백성이 되어 하나님의 통치를 받고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랬다가 장차 주님이 재림하실 때 부활해서 완전하고 영원한 구원으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구원을 자꾸 '죽어서' 영혼이 천국에 가느냐 지옥에 가느냐는 사후세상 문제로 국한해서 생각하니 성경말씀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이런 유치하고 한심한 논쟁이 벌어지는 것입니다. 구원파 집단들이 그렇습니다.
      구약에서 구원을 말할 때 유대인들은 죽은 후에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말씀이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주된 관심은 지금 당장 이 땅에서 하나님께 돌아와서 하나님의 통치를 받는 삶(하나님 나라)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당연히 행위가 뒤따르게 마련입니다. 그래서 믿음은 단순히 지식이나 동의가 아니라 순종이라고 성경(히3장)에서 말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최종 심판은 행위를 따라 이루어지는 것도 이런 맥락입니다.

  • @redlight_bluewater
    @redlight_bluewater 4 месяца назад

    개인적으로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 이 단어 하나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보여집니다 .톰 라이트나 존 파이퍼나 이 진리안에 있다고 생각하구요. 다만 톰 라이트 관점을 자칫 오용하면 사람의 행함을 기준으로 그 사람의 구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라는 오만함이 될 수 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단들이 이런걸 이용해서 진리를 왜곡하고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기도 하죠. 그래서 톰 라이트 관점에 대해 보수적인 신학을 하신 분들 입장에서는 경계할 수 밖에 없다고 보여집니다.

  • @정현철-k8q
    @정현철-k8q 2 года назад +1

    주여주여하는자가다천국에들어가는것이아니요,수준을높여봅시다

  • @진리와진실-j1s
    @진리와진실-j1s Год назад +1

    한국 교회에서는 믿음만 있으면 된다고 해요.지금 당장 죽어도 천국 간다는 확신이 없으면 그만큼 믿음이 자라지 못해서 그런거라 하지요.

  • @커피한잔-f5f
    @커피한잔-f5f 3 года назад +2

    형제에게 노하는 자마다 심판을 받고... 미련한 놈이라 하는 자는 지옥 불에..(마5:22) '이신칭의' 받은 후 마음으로 죄를 지으면 구원을 잃는 것인가요 ? 그럼 누가 천국에 갈까요 ??

    • @커피한잔-f5f
      @커피한잔-f5f 3 года назад +1

      세상에 완벽한 사람이 없을텐데... 얼렁뚱당 넘어갈 수도 없는 문제이고, 심판 때 그냥 좀 봐 주시겠지 하는 것도 아니고, 그러니 항상 답답하고 불안하겠지요. 수천년간 성경 학자들이 말씀을 공부하며 엄청난 고민을 많이 했지요. 하지만 하나님은 세상 지혜자에게 숨기시고 어린아이 같은 사람들에게 열어주시는(눅10:21) 은혜로 주어지는 믿음을 주십니다. 세상에서 일자 무식의 거지, 기생, 귀신들린 자 이런 사람들이 구원을 받는다고 갑자기 생활이 성스럽게 바뀔까요 ? 배운 것이 없고 의지도 약하기에 불가능합니다. 그러기에 온전한 믿음은 100% 은혜의 선물이 될 때까지 이신칭의를 받았어도 계속 죄(마음의 또는 육신의)를 지으며 자기의 주제 파악을 완벽히 할 때까지 고통스런 탄생의 진토을 겪어야 한다 생각합니다.

    • @ajpark9818
      @ajpark9818 3 года назад

      십자가에서 피를 쏟으신 예수의 공로로 인해 믿음으로 낙원에 이르는 영생은 얻었으되 죄에는 값이 있으니 값은 치르겠지요 다만 그것이 어떤 형태인지
      설명이 불가할뿐.
      이땅에서 벌어지는 사람간 죄의 문제까지 예수 십자가로 대속되는것 같진 않습니다.

    • @새벽노을-f3e
      @새벽노을-f3e 3 года назад

      @@커피한잔-f5f 안녕하세요 이야기 잘 읽었습니다
      제가 한잔 님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한잔님께서 이신칭의의 관련된 개념을 조금 오해하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이신칭의는 아주 쉽게 얘기해 죄인이의인이 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옛날 피조물이 새로운 피조물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열매를 맺을 수 있는 것이지요
      그런데 한잔님의 글을 읽어 보면
      옛날 피조물이 새로운 피조물에 관련한 고민을 이야기하다 보니
      저렇게 해석이 되는 것이랍니다
      제 말을 이해하셨으면 좋겠네요
      이해가 되지 않으시면 댓글 주세요

    • @andomuri9321
      @andomuri9321 2 года назад

      이신칭의는 예수의 말이 아니라는 말만 기억하시면 됨.

    • @ghrue1
      @ghrue1 2 года назад

      회개하면되죠.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 @ghrue1
    @ghrue1 2 года назад +1

    현재의 복음이 많이 변질되어 성경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이신칭의와 행위심판은 전혀 충돌하지 않습니다. 성경으로 충분히 설명이 됩니다.

  • @갈매기의꿈-c7w
    @갈매기의꿈-c7w 2 года назад

    닥터 락크만 주석서 중 해당부분을 보면 명쾌하게 해결되는 내용들이네요. 참고바랍니다. 다른 관점이라고 생각하시고 한번보세요. 수준이 다릅니다. 미국 영국학자들 연구는 한편 이해는 되지만 그런 가정이면 성경을 해석하다 진리를 놓치게 되죠. 응급환자에게는 즉시 응답 대응이 필요한건데. 숲을 보지못하는 경향이 있는듯합니다.

  • @cprt-1-6
    @cprt-1-6 3 года назад +2

    "이신 칭의"는 겨자씨 만한 믿음으로 출발............ "행위"는 순종의 자세로 부터 출발......

  • @joyousrestful
    @joyousrestful 2 года назад

    하나님의 은혜로 자신의 죄와 부족함을 깨닫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행위로는 결코 하나님께 의롭다 함을 얻지 못한다는 것을 고백하고, 그래서 오직 그리스도만 나의 구주라는 것을 믿음으로 고백하는 것이 이신칭의인데. 그리고 이신칭의를 비판하면서도 자기 행위를 구원의 공로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결국 이신칭의인데 어떤 점을 비판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 @echoi4115
    @echoi4115 2 года назад +2

    성경의 행위에 대한 정의와 개념이 윤리실천 같은걸로 대다수 사람들에게 그 개념이 단순하게 일원화 되어 있는데요. 그 열매는 삶의 가치관과 관점의 변화로 먼저 재해석 되어야 합니다. 믿음도 법정적인 측면이 있고 관계적인 측면의 복합성이 있듯이 믿음의 양면인 행위도 단순히 실천적인 외적인 측면(선행)으로만 그 개념이 일원화 되지 않구요 내면적인 측면과 복합적 관점에서 재해석해야 합니다. 믿음이라는 말도 오해가 많지만 행위라는 말도 믿음 못지않게 왜곡되어 있습니다. 행위의 개념조차도 모르는 실정인데 행위를 논하는게 참 안타깝습니다.

    • @JesusInLove-b1y
      @JesusInLove-b1y 2 года назад +1

      제 주변에서도 모태신앙이지만 도덕적이고 착하게 사는게 하나님이 원하는 것이라고 하면서도 교회에서 말하는 혼전순결은 지킬수 없다, (자신이) 믿어서 안믿는 사람들보다 복받는다 이렇게 말하는데 참 안타깝습니다.
      사회적으로 안정된 직업을 갖다보니, 잘못된걸 애기하면 너나 잘하라는 식으로 애기하더군요. 이게 대부분 한국교회 의 열매입니다.

  • @김호호-y9s
    @김호호-y9s 3 года назад +1

    그렇다면 대체 천국에 누가 갈까요? ㅎㅎ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서 칭의를 받은 존재여도 여전히 답이 없는 존재들인데...

  • @Gp0000
    @Gp0000 3 года назад +1

    한국기독교는 참 의미 없는것이 믿음과 행위를 단어끼리 따로보고 어느 구절 따서 (문맥안보고)나눕니다
    그냥 성경에서는 먼저 지식이 있어야하고 지식 아는것이 있어야 믿음이 생기고 믿음이 있다면 자연스럽게 행동하게 됩니다.
    지식도 믿음도 없는데 어떻게 균을 생각해서 청결하려고하지?
    알고나서 확신하니까 행동으로 옮겨지는거죠
    그래서 행함없는 믿음은 죽은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지식없이 믿기만하는건 맹신이죠.
    지식 없이 믿는다 행위를 한다 의미가 없죠 나침판이 고장났는데 방향을 어떻게 확신하고 행동하는지. 맹신이죠

  • @___-et8dr
    @___-et8dr 3 месяца назад

    예수님 께서는 최후의 심판때 (마태복음 25장 31~46) 어려운 이웃을 위한
    각자의 행실에 따라 영생과 영벌로 나뉠것 이라 직접 말씀 하셨습니다.
    "오직" 믿음으로 구원 받는다는 이신칭의는 인간이 만들어낸
    비 성경적인 거짓말 입니다.

  • @rockhard99
    @rockhard99 2 года назад

    아니 그럼 그 같이 못 박혔던 죄수 한 명은 어떻게 된거임? 특혜임?

    • @doobba7822
      @doobba7822 2 года назад +1

      행함은 쌓는 개념이 아니라 믿는자의 증상이기 때문에 믿자 마자 죽었으면 하나님만 아시겠죠? 특히 예수님이 인증했으니 가셨겠죠.

    • @bhseol7845
      @bhseol7845 Год назад

      지능이 두자리임?

  • @쥬디스-x7g
    @쥬디스-x7g 3 года назад

    그냥 여러논문까지 갈필요없고 성경(말씀)에는 관심 없지만 교회 열심히 다니면서 나 진짜로 하나님 믿어요도 천국간다vs못간다 하면 될듯 전자이고 싶으면 오직 믿음 오직 은혜만 언급하고 후자면은 성경의 중요성을 말하겠지 근데 아무리 성경을 봐도 후자가 맞는데 ㅅ발 ㅋㅋ 교회 유지 시키려면 전자가 편하니까 오늘날 장로교가 전자가 진리가 되었지 성경을 모르고 어떻게 예수믿고천국이란말에 보이지도않고 들리지도않는 예수를 사랑하며 천국소망을 느끼며 이 세상을 이길수있겠냐 정신승리지 그런 교리면 교회가 왜 필요한가 각자 아무렇게 살면서 속으로 나 예수님 믿어요 하면 되지

  • @leos7421
    @leos7421 2 года назад

    본질도 없는매우 저렴한 학자와 또 그들의 논쟁을 왜 소개를 하는지모르겠네요
    이런 논쟁은 늘 주변에 허다하게 널려있지 않았나었나요
    이런 믿음과 행위의 겉도는 논쟁보다는 믿음이라면 그 예수의 어떤믿인지 성령의 내주한 믿음인지 즉 진정한 거듭남,중생,회개등 의 믿음 본질을 명확하게 말하는 논쟁이 있어야되고,
    더불어 행위라 함도 그 행위가 이세상가운데 무엇에 의해 어떤 행위를 해야되는지, 각 사람마다 그 행위가 다른지 다르다면 왜다른지? 따라서 행위의 방향성과 하나님의 선을 이해하고 우리가 아는 선과의 차이점 등
    다양하고 깊이있게 본질을 논해야 됩니다
    밑도 끝도없는 학자들의 말장난을 구구절절 이렇게 소개하는 이유를 도무지 이해가 안가네요
    혹 책 홍보?

  • @bhseol7845
    @bhseol7845 Год назад +2

    이행칭의가 아니라 이신칭의는 누구나 다 인정합니다.
    핵심은 '칭의'가 뭐냐는 것입니다.
    전통적 개념대로 (최후)법정에서 구원을 의미하는 것이냐 아니면 새로운 관점대로 현재 이 땅에서 하나님과의 관계회복을 의미하고, 새로운 삶으로 나아가는 것이냐 하는 것입니다.
    전통적 관점에서 말하는, 이신칭의가 나중에 최후 심판 법정에서의 무죄(구원)를 의미한다 할지라도 이때의 믿음은 약2장에 의하면 당연히 행위가 수반되는 믿음이어야 합니다.
    새로운 관점에서 칭의를 당장 이 땅에서 하나님과의 관계회복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면 하나님의 통치를 받는 삶의 시작을 의미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순종의 행위(삶)가 뒤따르게 됩니다.
    결국, 믿음이냐 행위냐 하는 논쟁은 하나님의 관점에서 볼 때 성도들의 연약함 때문에 안타까우시면서도 참 부질 없는 논쟁에 불과합니다.

  • @Chaedson2023
    @Chaedson202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칭의와 성화의 구분
    2. 그리스도의 심판대(상급심판)과 백보좌 심판의 구분
    톰 라이트는 위의 구분을 못하는데 나오는 오류입니다.

    • @andomuri9321
      @andomuri932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톰 라이트나 제임스 던이 그까짓걸 구분 못하는 게 아니라 그게 비성경적 교리신학이며 헛소리라는 거임. 심지어 2번 구분은 현재 최고의 복음주의 신학자 토머스 슈라이너도 대놓고 헛소리라고 얘기함. 최후 심판에서 행위의 역할 논쟁(새물결 출판사)에 나와 있음.

    • @Chaedson2023
      @Chaedson202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andomuri9321 저것을 비성경적 교리라고 분별하는게 이단 교리임. 성경이 기준이니까.

  • @구독은선교
    @구독은선교 Год назад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