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rts #광속불변원리#상대성이론 상대성 이론은 빛의 속도가 항상 일정하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출발합니다. 이번 영상은 광속불변의 원리가 어떻게 탄생했는지 알아봅니다. ★물리 실력 향상을 위한 확실한 방법 '이과형의 물리학1'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맛보기 콘텐츠 다수 공개! contents.premi...
감동이다. 빛은 거시세계와 미시세계를 나누는 역활을 합니다. 양자세계에선 일정한 위치에 있다가 보려고 하면 위치가 변해버립니다. 양자세계 즉 빛의 세계라고도 할수 있습니다. 양자를 본자는건 곧 빛을 보는것이고 빛이 빛을 때리기 때문에 위치가 바뀌는 것이죠. 그래서 양자의 위치를 통계로 나타낼수 밖에 없습니다. 빛의 속도는 일정합니다. 가속이 없습니다.
에테르의 존재는 중력파라고 살짝 점찍어봄. 1. 중력파속도,광속 일치. 2. 중력이강한곳으로 빛 휘어짐. 3. 빛의이중적성질. 입자와 중력파동성. 이젠 우주속 텅빈공간. 공간이 뭔지 알아내야함. 물질은 일정공간을 가짐. 많은 물질의 양은 많은 공간을 가짐. 질량이 큰곳중심으로 공간의 밀도가 높아짐. 공간의 밀도는 중력.
이건 수학을 잘하던 맥스웰보다도 수학을 안 배운 페러데이가 훨신 천재라 생각해요. 수학적 사고를 하는 법을 모른 채로 전자기장에 대한 벡터적인 상관관계를 이해했다는거니... 페러데이는 전자기학적 원리들을 수학을 쓰지 않고 밝혀냈어요. 이 사람이 분명 수학을 어릴때부터 배웠다면 맥스웰의 도움 없이 맥스웰 방정식을 스스로 정리했을거라 생각해요
난 항상 궁금한게 빛도 중력에 의해 굴절 하죠? 그러면 아주아쥬아주 중력이 강력하다면 거기에 빨려 들어가면서 더 빨라 지진 않나요? 😮😮 지구의 중력이 일정하니까 지구에서의 빛 속도는 일정하고 우주 다른 공간 다른 행성에서는 또 다른 속도이지 않을까... 하는 그런 생각? 상상?
아 배우고 이해하고 외우기도 힘든 저공식들을 창안해넨 저 위대하고 존경스럽고 한편으로는 밉다. 너무 어려워. 대가리가 빠개질거 가테. 도대체 어떻게 저런걸 생각해 낼수 있능거냐고. 자괴감이 밀려왔다. 루뜨 입실론뮤분에 1 이 c 이정도만 되도 맥스웰 방정식은 인간의 경지가 아니야
무지한 문과생 영상보다가 갑자기 궁금해서 우문한번드립니다. 차타고가다가 속도가 굉장히 상대적이라는 생각을했어요. 무한한 우주공간에서 광속으로 이동할때 주변에 아무것도 없다면 나는 움직이고있는지 멈춰있는지 알수없을것같은데요. 그럼 지금 내가 움직이는지 멈춰있는지 알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 궤도님 귀신관련 영상보다가 나는 침대에 누워만있어도 지구의 공전과 자전속도만큼 움직이고있으니까 저는 속도가0이 아닌건가요? 또 질문 앞뒤를 합쳐서 우주공간에서 확실하게 속도가 0이라고해도 우주 자체가 자전이나 공전할 가능성도 있나요?? 이상 정말 이상한 우문이였습니다ㅜ😢
과학교사 출신 이과형이 수험생을 위한 물리학1 콘텐츠를 연재하고 있다는 것 알고 계시나요?
다수의 무료 콘텐츠가 존재하니 지금 확인해보세요!
contents.premium.naver.com/scibrother/class
오..! 대박..!
왜 요를 왜 요를 이상하게 요라고 하나요
@@고독고독-z8t 그게 왜요 ㅋ
@@TrueAndTree 왜 마지막에 ㅋ를 붙이나요
@@고독고독-z8t 왜 항상 요로 끝나나요?
진짜 대단한 사람들이네... 한 천재가 자신이 발견한 걸 수학을 못해서 곡선으로 그려냈고, 또 한 천재가 그 곡선을 수학으로 풀어냈고, 또 그 수학에서 의문점을 발견하고 또 두 천재가 그걸 실험으로 옮겨서 노벨상을 받고...
주접이다
@@hsu0l1206 알겠어 말하는 감자야
@@hsu0l1206 시험공부만 해봐도 이게 얼마나 대단한 일인지 알텐데.. 지금까지 뭐하고 산거임?
또 한명의 천재는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힌트로 시공간의 상대성을 밝혀냄
가슴이 웅장해진다..
구불구불한 선 까지 이해했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zz 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많이 하셨네요
머리좋노 ㅋㅋ
😂😂😂😂
패러데이식
1.에테르를 찾기 위한 실험을 했다.
2.그 실험이 실패했다.
3.실패한 실험에서 광속 불변의 법칙을 발견.
4.노벨상을 탔다.
실험의 실패가 단순히 실패로 끝나는게 아니라, 중요한 사실을 밝혀줄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과학은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실험실패가 아니고 에테르라는 매질이 없다는걸 증명했으니 실험은 성공한거임 그래서 노벨상
@@e7chang 실험의 목적에 대해서보면 실험 자체는 실패가 맞음 그 실패한 실험에서 다른 것을 발견해내느냐 마느냐가 이제 학자의 성공이냐 실패냐가 되는거고
앞선 거인들의 발자취를 한곳으로 묶은 맥스웰
그 이후부터 우주의 힘 중 한가지를 손에 넣음
전자기력
앞도적인 발전
@@cho8963 앞이 도발적인가요?
아니면 앞에 도적이 있나요?
궁금한게 그럼 제가 광속으로 날아가면서 빛을 앞으로 쏘면 그 빛은 광속에 또 광속으로 앞을 나가는건가요? 그럼 30만 x2 해서 60만 km/s가 되나요? 아님 그냥 광속으로 날아가는 나 자신과 앞을향해 쏘는 빛도 각각 30만 km/s 인가요?
지나가던 물리학도입니다 1분만에 정말 핵심을 다 짚어주시네요
사랑해요
패러데이가 그린 엄청나게 많은 그림을 맥스웰은 단 세개의 방정식으로 정의했습니다...그래서 맥스웰이 천재라 불리는 거...대단합니다 정말
세개요? 네개로 알고있는데
@@grooot4351 맥스웰 방정식은 4개고, 맥스웰이 정리한 페러데이 방정식이 3개
페러데이 방정식중에 그 유명한 전자기유도법칙이 맥스웰 방정식에 포함된것이고 맥스웰의 나머지 세개 방적식들은 전자기장 가우스법칙과 앙페르 법칙입니다
사실 맥스웰이 만든 오리지널 방정식은 20개가 넘습니다. 이걸 지금의 맥스웰 방정식으로 정리한 것이 ‘올리버 헤비사이드’ 입니다!
커피는 맥스웰, 프림은 타지마.
feat.안성기 패러디
그래서 맥스웰이 하우스를 가지게 되었군요 맥스웰 하우스 음 딜리셔스
보다비티 보다가 알고리즘 떠서 왔는데 내용이 이 내용이구만..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어요 완전 굿👍
천재라는 단어를 아무한테나 쓰는게 아니라는걸 다시한번 깨닫습니다
"광속불변" 이게 진짜 아름다운거같음
과학지식은 관심없는데 말투가 독특해서 듣게됨...
~~했어요 ~~했어요 중독..
저공식에서 입실론0 과 뮤0 는 언제까지나 진공상태 아무매질도 없을때 빛의 속력을 측정했을때 일정한거지요 빛도 만약 유전율과 투자율이 바뀌는 현실에 적용해보면 속력이 달라지지요 이런 속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굴절현상이 일어나지요
노벨상을 받은 광속불변이 틀렸다고 하시는거죠?
@@falacow9748 '매질을 통과할 때' 느려진다는 말이에요ㅋㅋㅋ
물속에서 빛의 속도는 광속의 75%정도 나옴
흠...전기기사 따기힘드네요..ㅋㅋㅋ
@@falacow9748광속이 달라진게 아니라 빛이 이동해야하는 경로가 늘어난거
@@falacow9748광속불변은 진공이라는 가정이 있어야 함
패러데이가 수학을 못했다고 해서 수포자인 사람들이 위안을 얻으면 안돼요
예전에 이과형 상대성 이론 영상 흥미롭게 본 것 같은데 이 숏츠 내용 자체가 시험 범위에 포함 되네요...
이 에테르라는 것은 암흑물질도 설명이 되고 중력을 설명하는데도 도움이 될듯한 느낌이 오네요, 그게 어떻게 전자와 상호작용 해서 파동을 만드는지 잘 이해만 하면 될 듯
개인적으론 전자기학을 배웠지만 저런 수식을 통해서 현상을 머리속으로 이해한다는게 참 신기함.. 전자기학 어려워.,.어려워..
여기서 가장 충격적인게 패러데이가 수학을 안배운게 가장 충격의 도가니네요.... 전자기학 하면서 패러데이를 안걸칠 수가 없는데...
만약 페러데이가 수학을 배웠더라면 지금의 맥스웰 방정식은 페러데이 방정식이 됐을 수도 있었겠죠
@@fieldtm1able 아닙니다 오히려 실험적 증명을 하려던 페이데이 성향이 수학적 증명하려는 성향으로 바껴서 여러 현상 발견이 늦어졌을거에요 인류 전기 사용도 늦게 됐겠죠 아직도 전기가 어떻게 만들어 지는 지는 수학적으로 완벽하게 모르잖아요 ㅋ 양자 부분이니..
패러데이는 어릴적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단게 아쉽죠 만약 대 부호의 자식으로 태어났다면....
TMI. 전자기학 뿐 아니라 화학에서 한학기 내용을 만들 수 있는 벤젠도 이분 업적
@@hoisis근대 역사상 이름을 남긴 과학자와 수학자가 절반으로 줄어들었겠죠
@@hoisis벤젠은 케쿨레 아님?
마지막 입꼬리ㅋㅋㅋㅋ
광속불변의 법칙과 로렌츠 변환을 통해 특수 및 일반상대성 이론을 이끌어낸 아인슈타인도 대단한거 같습니다
수학실력대신 천재적인 실험구성을 생각해냄
감동이다. 빛은 거시세계와 미시세계를 나누는 역활을 합니다. 양자세계에선 일정한 위치에 있다가 보려고 하면 위치가 변해버립니다.
양자세계 즉 빛의 세계라고도 할수 있습니다.
양자를 본자는건 곧 빛을 보는것이고
빛이 빛을 때리기 때문에 위치가 바뀌는 것이죠.
그래서 양자의 위치를 통계로 나타낼수 밖에 없습니다.
빛의 속도는 일정합니다. 가속이 없습니다.
빛의 속도는 일정하고 어떠한 간섭도 받지않는다 공전의영향 중력의 영향등
어쩌면 광속에 가까워지면 시간이 팽창하는 이유가 어느 속도든 광속 불변이 성립하기 위함일 지도 모르겠네요.
와 실험설계 아이디어는 항상 볼 때마다 놀랍다 저런 것도 일머리 아닐까
이런걸 설명할수 있는 이과형 천재다
쉽게설명해쥐서 감사해요
근더도 이해가안되 머리가 안좋아
호기심이생기고 재미있게 설명해줘서 감사해요
빛은 이동을 하지만 매질을 통한 전달이 아니기에 주위 환경의 작용을 받지 않고 항상 같은 결과를 도출한다는 건가욤! 그렇다면 광자는 4차원 물질 줄 가장 5차원에 가까운 물질일것 같아욤!
물리학1 배우고 있는 고등학생입니다. 작년부터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드려요❤❤
에테르의 존재는
중력파라고 살짝 점찍어봄.
1. 중력파속도,광속 일치.
2. 중력이강한곳으로 빛 휘어짐.
3. 빛의이중적성질. 입자와 중력파동성.
이젠 우주속 텅빈공간. 공간이 뭔지 알아내야함.
물질은 일정공간을 가짐.
많은 물질의 양은 많은 공간을 가짐.
질량이 큰곳중심으로 공간의 밀도가 높아짐.
공간의 밀도는 중력.
하지만 이것은 틀렸습니다.
제 빚이 늘어나는 속도는 생각 못했죠
하지만 이것은 틀렸습니다.
빛은 매질이 없지만 빚은 자칫하면 매질을 당할 수 있죠.
@@kauchii 찢었다ㅋㅋㅋㅋㅋㅋ
저런걸 궁금해하는 그 자체로 천재
그렇게 엄청난 과학자들이 몰두한 걸 글로도 배울 수 있는 고등학교 물리학
ㅅㅂ
고등이니깐요ㅋㅋ 대학은 심화로 들어감 고등학교는 수박 겉핥기로 배우고 대학가면 전공으로 깊게 배움
@@크디-s8p 대학교에서도 그렇게 깊게 배우진 않음
대학수업 듣고서 이걸 보는 나ㅋㅋㅋ 대학에는 영어와 수식만 가득하다고
이걸 1분만에 설명하네 캬 ㅋㅋㅋㅋ
에테르는 존재 한다고 생각함, 빛의 속도가 불변하는 이유가 잘 설명이 되고 에테르의 존재를 확인하는 실험이 오류가 있기 때문에 발견 못했을거라는 생각 이네요
맥스웰보다 맥심. 커피보다 매거진.
오.. 저번에 여쭤 본 건데 따악 나왔네요. 감사합니다! 소오름
아니 어떻게 덧셈 뺄셈만 배운 사람이 저런 걸 생각하지 .. 진짜 천재구나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고? 아니다 이들에겐 실패한 그 자체로 성공한 것이다..
이 좋은 영상에 루트를 정석으로 안그려 넣고 애들처럼 그려 넣었네요. 루트는 2번 꺽어서 그려야 정석입니다. 사소한것 때문에 신뢰성에 금이 갑니다.
이과형 책에서 재밌게 봤습니다~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광속 불변이 아인슈타인이 처음 발견한 아이디어인줄 알았는데 아니였구나? 대박
그걸 상대성 이론으로 엮어낸 아인슈타인도 대박
설명을 잘 하는 것도 굉장한 재능이다
영상 내용 너무 좋아요!
패러데이와 맥스웰, 열렬한 창조과학자들 임
하지만 에테르로 가칭되는 그 매질이 공기처럼 지면에 마찰하며 이동했다면? 그렇다면 마이컬슨-몰리 광속불변 실험도 틀린 것 아닐까요?
이건 수학을 잘하던 맥스웰보다도 수학을 안 배운 페러데이가 훨신 천재라 생각해요. 수학적 사고를 하는 법을 모른 채로 전자기장에 대한 벡터적인 상관관계를 이해했다는거니... 페러데이는 전자기학적 원리들을 수학을 쓰지 않고 밝혀냈어요. 이 사람이 분명 수학을 어릴때부터 배웠다면 맥스웰의 도움 없이 맥스웰 방정식을 스스로 정리했을거라 생각해요
크 너무멋있어
물리1 특수 상대성이론 공부하는 데 이게 뜨네 😮😮
많이 배우지 않았기에 오히려 직관적으로 알아낼 수 있었던 걸지도...
광속불변 개념은.. 머리론 이해되는데 직관적으로 와닿지 않는게 참 어렵네;;; 빛의 속도에 가깝게 달릴 수 있다고 해도, 그 순간 본 빛은 여전히 내가 멈춰있을 때의 속도라는게 참...
상대성이론 보면 빛도 상대적인 것이였던걸로 기억하는데 아닌가요?
배운게 오래되어서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여
빨리 움직이면 시간이 천천히 가니 결국 빛의 속도는 일정
거리=속도*시간
이동 중인 물체에서 쏘고 받은 빛의 거리는 실험자와 관측자에게 다르고 광속은 불변이므로
실험자와 관측자의 시간은 다르다.
패러데이가 덧셈과 뺄셈만 배운것 까지 이해했습니다
특수상대성이론의 기본 원리이기도 하죠.
광속불변을 보며 느낀점은
정말 우리는 아니 우주는
그냥 가상현실 게임속 세계같은게 아닐까
생각하게 함
광속불변 그냥 고정원리 그렇게
정한다...
얼마 전에 엘지전자 인적성에 나왔던 내용이 나오니까 신기하네요 ㅋㅋㅋ
양자역학 빼면 전자제품은 껍데기에 불과하죠
광속불변은 진짜 이해하기 어렵다.. 분명히 빛의 속도라고 초당29만 어쩌고 계산까지 해놓았는데.. 만약 빛의속도로 가는 우주선에서 앞으로 빛을 쏘면?? 그럼 초당 60만정도가 되야는거 아녀? 그런데도 우주선 안과 바깥에서 다 똑같이 보인다고?
마이컬슨 실험의 결과눈 에테르가 없다는게 아닌 모르겠다가 결과가됐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르지만 맥스웰을 말할때는 헤비사이드라는 비운의 천재를 꼭 기억해주시길 바라는 바 입니다
그런데 광속을 측정하기에는 광속이 너무 빨라서 고정된 값이라고 여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 아닌가요? 인간의 인식 영역 밖의 거리에서 광속을 측정하면 다른 측정값을 얻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지나가던 문과 N형 그대로 지나가겠습니다.
놀랍게도 그 너무 빠른 광속을 0.001m/s 단위로 측정해냈습니다.
299792.458m/s
그리고 이건 진공상태의 광속이고, 물 속에선 대략 77%정도의 속도라는 것 까지 알아냈습니다
이미 저 당시에 빛의 속도를 꽤나 정확하게 알고있었고, 아주 미세한 속도의 차이를 구별해낼 수 있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pitot0philo207 그렇다면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게 거짓인 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흥미롭네요
@@ldyk778 진공상태에서의 속력이라고 생각하면 될거같아요
문과라 그래요
문과라서 죄송합니다...
말하자면, 광속불변을 부정하려면,
현존하는 전자제품이 모두 오작동 중이라는 걸 증명하면 됨 ㅋㅋㅋㅋ
일단 댓글은 정상적으로 잘 달렸겠지?
맥심 방정식이나 풀러가야지
마이컬슨 몰리 실험이 광속불변의 원리를 발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알고 있는데요..
난 항상 궁금한게 빛도 중력에 의해 굴절 하죠? 그러면 아주아쥬아주 중력이 강력하다면 거기에 빨려 들어가면서 더 빨라 지진 않나요? 😮😮
지구의 중력이 일정하니까 지구에서의 빛 속도는 일정하고 우주 다른 공간 다른 행성에서는 또 다른 속도이지 않을까... 하는 그런 생각? 상상?
지금 학교에서 패러데이 법칙하고 맥스웰 방정식 배우고 있는데 머리 터질거같아요ㅠㅠㅠㅠㅠ
그걸로 머리 터지면 당신은 학사서 졸업할 운명
@@헤이비트 아 그런가요....ㅠㅠ 더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우와~~ 대단하네요~ 하지만 저는 하나도 못알아 듣겠어요~ 아무튼 우와~ 너무 대단합니다~
그런데 대체 광속불변의법칙은 왜 발생하는거죠????? 관찰자의 속도에 영향을 어떻게 받지 않을 수 있는거죠??? 이건 물리현상이 아니라 꼭 마법같아요.
마이컬슨-몰리 간섭계는 중력파 검출에도 사용되었죠 ㅋㅋ
고대 그리스 자연철학 개념 에테르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걸 19세기에 이르러서야 그 따윈 없다는 걸 밝혀내다니..ㅋ
이런 엄청난 과학적 발전을
교과서로 배우고있는건 축복일까 저주일까 ㅠ
빌어먹을 ...
두 사람 때문에 물리가 더 어려워짐 ... ㅜㅜ
위대한 패러데이까지 이해했어요
광속불변을 알아야 상대성이론에 진입을 할 수 있는데 패션지식인들이 다 건너뛰고 E=mc^2만 읊고 있으니 이해하기가 참 어려웠지..
빛은 3차원이 아니라 더 고차원에서 움직이는 무언가고, 우린 그 편린을 보고 있는게 아닐까??
빛은 사실 관측 가능한 상태로 0과 1처럼 전환하는 형태의 존재 A가 아닐까? 블랙홀 같은 건 존재 A가 비어있는 공간을 채우려는 형태인 느낌인 그런 생각이 들었음
오늘 중학교 학원에서 배웠습니다 그나마 이해가 되네요 네 그렇다고요
빛은 1초에 지구7.5바퀴를 돌지만
자전은 겨우 400여미터만 이동합니다
그 실험만으로 확정 지을 수 있는건가.. 싶지만
태양공전과 은하 공전까지 생각한다면 어디에서나 빛이 일정한게 맞다
이게 빌드업이다
맥스웰 페러데이 다 패러가야돼
아 배우고 이해하고 외우기도 힘든 저공식들을 창안해넨 저 위대하고 존경스럽고 한편으로는 밉다.
너무 어려워. 대가리가 빠개질거 가테.
도대체 어떻게 저런걸 생각해 낼수 있능거냐고. 자괴감이 밀려왔다.
루뜨 입실론뮤분에 1 이 c 이정도만 되도
맥스웰 방정식은 인간의 경지가 아니야
마지막 사진 빵긋 웃는거 개웃기네 ㅋㅋㅋ
수세기에 걸친 실험과 발견을 60초만에 간단하게 정리해주는 세상
광속 불변이 아니라 광속 이상 측정을 못하거나 광속 이상의 속도가 발생했을 때 순간이동으로 빛이 움직인 거 아님? 순간이동은 인간 또는 우리 유니버스 처리속도의 한계고.
저런 정교한 측정실험을 19세기에 한게 더 신기..
2. 광속불변의 이유를 설명하시오
물리전공자인데 이런 개강아지의음낭같은 유튜브식 설명으론 마이컬슨-몰리 간섭계 실험의 의의를 제대로 설명할 수 없을 뿐더러 오해하게 만들 뿐이네요.
하지만 이건 배웠습니다
오늘 학교 물리쌤이 상대성이론을 설명하면서 말했거든요 근데 놀라운 사실을 알아냈어요.
아인슈타인의 성격이 나빴다는데 여친이 있었다는 거예요 근데 나는? 그 말을 듣고 죽창을 들고 싶었어요
하지만 그는 노벨상 받을만큼 똑똑했어요
렛츠비보다는 맥스웰
공돌이는 모를수가 없는인물 1위 가우스 전자 전기쪽이면 페러데이를 모를수가 없고 맥스웰도 여기저기서 자꾸나옴 ㅋㅋㅋ
형 영상 좀 자주 올려조~~
형영상 자주 보고시퍼~~
고마워요
@@scibrother 형 그리고 숏폼 알제
저거 생각해낸것도 미친거고 저거 하나가지고 상대성이론 생각한 아인슈타인도 미쳤음.
빛은 무엇일까. 절대적 불변을 가지고 있는데, 이해할 수가 없다.
패러데이의전자유도법칙...대단
광속불변이라는 실험결과가
시뮬레이션 우주론의 근거가 되기도 합니다
서버 전송속도의 한계가... 빛의 한계속도로
일정하다는거죠
가장 큰 증거는
우주가 관찰할때에는 full data로 연산하는데
안보면 서버최적화처럼 연산을 줄인다는 점
(이중슬릿실험 )
판타지에서 마법의 원천으로 등장하는 에테르...! 과학에서도 쓰였던건가
진짜 천재는 몰라도 알아낼 수 있구나...
만만한 과학책 2편 계획이 있나요?
아직 계획이 없습니다
여기서 가장 놀라워 해야 할 점은 복잡한 공식, 과학의 역사가 아니라 덧셈 뺄셈만으로 전자기파를 알아내고 그림으로 그린 패러데이임
무지한 문과생 영상보다가 갑자기 궁금해서 우문한번드립니다. 차타고가다가 속도가 굉장히 상대적이라는 생각을했어요. 무한한 우주공간에서 광속으로 이동할때 주변에 아무것도 없다면 나는 움직이고있는지 멈춰있는지 알수없을것같은데요. 그럼 지금 내가 움직이는지 멈춰있는지 알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 궤도님 귀신관련 영상보다가 나는 침대에 누워만있어도 지구의 공전과 자전속도만큼 움직이고있으니까 저는 속도가0이 아닌건가요?
또 질문 앞뒤를 합쳐서 우주공간에서 확실하게 속도가 0이라고해도 우주 자체가 자전이나 공전할 가능성도 있나요??
이상 정말 이상한 우문이였습니다ㅜ😢
이걸 이해못하고 시공간을 이해못했던...물론 이걸이해했다는건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