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학생은 인서울보다 지거국 가세요! 지역거점국립대학교에 유리한 케이스 알려드립니다 (취업, 공무원, 내신, 3등급, 최저등급)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349

  • @유니브클래스
    @유니브클래스  2 года назад +86

    ✨입시상담반 예체능특집 OPEN❗✨
    미대 입시에 대한 고민이 있는 학생은 입시상담반 예체능특집을 신청해주세요~!
    (선정 대상자에게 개별 연락 드립니다!)
    ▶지원서 작성 링크:
    forms.gle/eofWDg34PGFdMmPu5

    • @쵝오사랑
      @쵝오사랑 2 года назад +4

      입시상담신청합니다. 어떻게 신청드려야할지몰라 이렇게 댓글 남깁니다. 연락주세요.

    • @남자형성진
      @남자형성진 2 года назад

      ,

  • @Haechang
    @Haechang 2 года назад +1027

    입시 정책을 상담해주는건 너무 좋은데 고교생이 교육정책을 분석하는게 맞는지 잘 모르겠다 전공 선택을 저 나이에 하는 것만으로도 대단한데.. 점점 시간이 흐를수록 더 아이들이 힘들어지는 느낌..

    • @연우-h5e
      @연우-h5e 2 года назад +87

      참 모순적이죠

    • @leckysrchobby2114
      @leckysrchobby2114 2 года назад +13

      몇년 전 모 대학 식품학???과 면접 질문 내용, 식품 발효는 산화와 환원 중 어떤 것으로 볼 수 있나요? 상세하고 논리적으로 구술해주세요, ,, 이후 질문 세개 더,, ㅎㄷㄷ

    • @태형-f3b
      @태형-f3b 2 года назад +35

      @@leckysrchobby2114 댓글 잘못 다신 것 같은데요?

    • @cucu115
      @cucu115 2 года назад +27

      ​@@ruind.8511 현재 학생들만의 나름대로의 힘듦이 있는 거죠. 선생님한테 맞아가면서 토요일까지 학교나와서 자습했기 때문에 님 세대가 힘들었던 게 아니라 입시 자체가 힘든 겁니다. 이런 것들이 현재 없다 하더라도 입시판에서 존재하는 학생들은 힘들 수 밖에 없지요. 생각을 자기 중심적으로 하시는 것 같고 다소 편향된 화법이 보이네요. 다양한 방면으로 생각하시는 걸 배우시길...

    • @그렇다니까-p3c
      @그렇다니까-p3c 2 года назад +2

      학종을 안 하면 됨 ㅋㅋ

  • @나연익
    @나연익 2 года назад +74

    아닠ㅋㅋㅋㅋㅋㅋ 아버님이랑 아들 머리스타일도 비슷하고 얼굴도 진짜 비슷하네…역시 유전의 힘이네요!!!

  • @요리온-n6g
    @요리온-n6g 2 года назад +105

    진짜 피는 못속인다....
    아들을 존중해 주는 아버지 모습에 흐뭇했어요^^

  • @밍치-y5e
    @밍치-y5e 2 года назад +108

    헉......진짜 진로관련해서 이렇게 나랑 똑같은 고3친구 처음본다 나도 한지하고나서 지교과 가야겠다고 결심하고 찾아보는데 일사과나 역교과보다 지교괴 정보가 적고 학교 내에서도 지리과목 선택자가 진짜 소수고 지리에 관심있는 사람은 고3중엔 저밖에 없어서 외로웠는데 정말 반가운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TV-vw3it
      @TV-vw3it 2 года назад

      좋은결과 있었길 바래요.

  • @biff2440
    @biff2440 2 года назад +45

    강대 사범대출신인데.. 난 인서울 떨어지고 넘 좌절하며 간곳 치고는 막상 만족하고 감사하며 다녔던.. 이학생도 부디 무탈히 입학해서 좋은 선생님 되시길

  • @kookistar
    @kookistar 2 года назад +52

    지거국을 학종으로? 흠…
    15퍼센트 내외로 뽑는 어려운 문을 왜 가려 하나요?
    지거국 교과 최저가 그리 높지 않아요. 지금이라도 수능 준비 차곡차곡 잘 하면 웬만한 지거국은 내신 유지하고 수능 최저 맞춰서 들어가기 어렵지 않아요. 모든 고3 학생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 @레옹-x9m
    @레옹-x9m 2 года назад +89

    작년에 처음 최저 공부 시작해서 대학교 온 사람으로 남들 다 놀때 공부하면 최저 3합 10은 그냥 넘음..옆동네 학교로서 분위기 잘아는데 ㄹㅇ 이제 4월 5월 되면 애들 풀어지고 반에 있는 애들이 없음..그때 멘탈 잡고 공부하면 할 수 있어요!화이팅!!!!

    • @바이올렛-j5d
      @바이올렛-j5d 2 года назад +5

      제생각이랑 같네요
      의외로 애들 많이 놀아요
      우리아들도 그러다가 요즘 좀 공부하는데 모의고사점수가 오르더라구요

    • @lacismd
      @lacismd 2 года назад +33

      3합 10은 존재 의미가 있냐 ㅋㅋㅋ

    • @gyu_push_
      @gyu_push_ 2 года назад

      4개월 준비하고 3힙 6 ^^

    • @Abcdey9
      @Abcdey9 2 года назад +2

      ㅅㅂ 사실 3합6이하는 걍 공부안해도 나오는거 아니냐

    • @gyu_push_
      @gyu_push_ 2 года назад +22

      @@Abcdey9 전국에 몇 명을 죽이는겨 ㄷ

  • @winyoon9533
    @winyoon9533 2 года назад +20

    학교 선생님들의 관심도 무시못하는것 같아요. .학교마다 선생님들이 써주시는 생기부. .어느학교는 잘 써준다. .어디는 그학교 선생님들은 별로다하는 말들을 들으면 참 씁쓸합니다. 중3맘으로 고등학교 택하기도 이런부분 힘들더라구요. .

  • @turtlebomb8264
    @turtlebomb8264 2 года назад +70

    교육과면 어느대학을 가든 임용붙으면 끝임 공부환경이 좋은 지거국이나 교대 인서울권 어디를 가도 상관없긴함

  • @김하은-k3d
    @김하은-k3d 2 года назад +72

    와 처음으로 구독해달라는 말에 구독버튼 눌러본거 같아요. 거의 모든걸 아이에게 맡기고 있지만 설명을 들을때 알아듣는 수준은 되어야하지 않을까 해서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저도 줄임말이 어렵네요^^

    • @mjs9468
      @mjs9468 2 года назад +4

      저도요~

    • @jungimseok8852
      @jungimseok8852 2 года назад +1

      규모가 있거나 프랜차이즈 학원인 경우, 입시설명회를 서너차례 합니다. 몇 번 가보시면 감 잡는데 도움이 되실 거예요. 저도 노력 중이라 도움이 되실까 하여 써봅니다.

  • @5Delly5
    @5Delly5 2 года назад +32

    02:05 여기서부터 약간 세대차이가... 지거국이라는 용어를 모르시는구나
    이 용어는 나온지 10년은 더 된 용어에요

    • @5Delly5
      @5Delly5 2 года назад +2

      @슬랑크 사실 먹고 사는 일에 치여사시고 입시에는 관심이 당연히 적으실테니 모르실 수 밖에 없다
      라고 생각하긴 해요 ㅋㅋ

    • @Hadesne
      @Hadesne 2 года назад

      어휴 30대도 지거국이란 말 몰랐어. 어느날 갑자기 지거국 갑툭. 그리고 이대, 부산대가 갑자기 서연고 밑에서 떨어진 거야.근데 현실은 부산대 학생이 서강대 출신과 실력으로 붙으면 서강대가 이길 거 같냐??? ㅋㅋㅋ 경희대도 국립대 학생들에게 어학연수 때 쳐발리는 게 현실인데 ㅋ 그 학생 C받았다 한 과목은 최소.

    • @Hadesne
      @Hadesne 2 года назад +1

      @슬랑크 맞는뎅. 우리 땐 서연고 아님 걍 국립대 가던 시절인뎅. 후반과 초반은 세대차이 날 정도로 차이남. 그 땐 인서울이란 말도 없었으.

    • @강주원-i5h
      @강주원-i5h Год назад +1

      ​​@@Hadesne -틀-

    • @bumerangmakarong
      @bumerangmakarong Год назад +1

      @@Hadesne 틀

  • @즐거운-q6z
    @즐거운-q6z 2 года назад +16

    아버님 지거국 알아들으려고하시는거 웃기네요~선생님들이 참 저 맘때 아이들한테 많은 동기부여가 돼주는것같아요.

  • @mjs9468
    @mjs9468 2 года назад +42

    구독중이고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입시관련해서 구체적이어서 좋아요.
    입시 잘 모르는데 설명도 잘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계속 좋은 영상 만들어 주세요~^^

  • @오랜지-n9m
    @오랜지-n9m 2 года назад +7

    광운대 상명대 가천대 세종대 한성대 서경대 삼육대 등 서울의 하위권 학교 가는게 낫나요 아님 연대원주 고대세종 중대안성 외대용인 홍대조치원 동대경주 건대충주 단대천안 등 지방분교가는게 좋나요 아님 강원대 충남대 충북대 전북대 제주대 등 지방국립대 가는게 나은가요? 사회적인식은 어디가 좋은지

    • @먕-w6f
      @먕-w6f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궁금해요ㅠ

    • @김은우-b1c
      @김은우-b1c 2 года назад +16

      개인적으로 지거국이 젤 괜찮다고 봅니다

    • @이이-b6j
      @이이-b6j 2 года назад +1

      전북 제주 강원 충북 이 4개는 걍 입결 씹창나버림 정시 입결을 찾아보면 알겠지만 인기과는 아직 입결이 높긴하다 하지만 비인기과 ,일반과 같은 경우 대부분 4후 5초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많이 떨어졌고 그만큼 아이들 수준이 떨어진다는 뜻임 하지만 아직도 그 지역에 거주중인 어른들 사이에서는 거의 1등 신랑,신붓감이라고 보는 경향이 있음 남은 5개 대학은 아직 입결이 짱짱해서 인지 여전히 인식이 괜찮고 아이들 수준도 어느 정도 있는 편이다
      인터넷 상에서는 건동홍 밑으로는 븅신지잡대학이라고 까이지만 아직 광운상가 요 라인까지는 욕 먹을 정도는 아니라고 볼 수 있음 하지만 그 밑 서경 삼육 한성 요 3개는 아니라고 봄
      물론 사람 마다 다르게 볼 수도 있음 하지만 난 광명상가 밑으로는 지거국 가는걸 추천한다
      분교는 원주캠 세종캠 여기까지만 추천한다 이유는 다들 알꺼라고 생각한다 물론 동국대 경주캠같이 의대가 분교에 있어 지원하는 의대생은 예외로 친다
      이 의견은 인터넷+20대 대학다니고 있는 내 지인들+부모님들 훈수 등등을 종합해서 쓴 의견이며 반박 시 니 말이 맞음

    • @먕-w6f
      @먕-w6f 2 года назад

      @@이이-b6j 혹시 가천대 인천대 서울여대는 어떤가용..

    • @이이-b6j
      @이이-b6j 2 года назад +1

      @@먕-w6f ​일단 제가 여대쪽은 하나도 모르기에 취급하지 않습니다
      인가경은 서울 하위권 대학이라는 인식이 매우 강합니다 그래서인지 가천대 인천대를 모르는 어른 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입결 자체는 망한 지거국 4곳보다는 높으며 괜찮은 5개의 지거국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위에 말했듯이 광명상가 밑으로는 지거국 가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이건 제 개인적인 의견이니 부모님,담임 선생님과 상담 후 자신의 미래 진로를 생각하고 결정 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 @bw-ee2of
    @bw-ee2of 2 года назад +92

    지역균형발전이 국가적 지상과제가 된 이상 지거국이 떡상 하는건 당연한 수순이죠. 많은 국비투입이 있을거니까요

    • @seisochoa
      @seisochoa 2 года назад +55

      으음 사실 과거부터 지금까지도 굉장히 많은 투자를 했으나 계속 떨어지고 있긴 해요... 더 통 크게 주요지방을 밀어줘야하지않나.. 인서울 심화현상은 최근에도 계속 더 심해져왔으니

    • @zana9207
      @zana9207 2 года назад +4

      아뇨. 2000년 초반 이후로 지거국보다 서울사립대학들에 지원을 훨씬 많이 했어요. 반값등록금 공약때문에

    • @bw-ee2of
      @bw-ee2of 2 года назад +8

      @@zana9207 그게 포퓰리즘 인거죠. 민주주의의 폐해 입니다 지들이 대학등록금 아낀다고 삶이 달라질건 없지만 지방이 소멸하면 모든 한국인이 피해를 봅니다. 그럼 지거국에 지원을 했어야 맞는데 모두가 인서울대를 희망하니 포퓰리즘 해버린거죠

    • @bw-ee2of
      @bw-ee2of 2 года назад +6

      @@zana9207 잘 굴러가는 대학 하나가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데.. 인재수급이 되니까 기업도 그 지역을 안떠날거고

    • @zana9207
      @zana9207 2 года назад +6

      @@bw-ee2of 맞습니다. 본질을 정확히 보십니다. 공감합니다.

  • @천은정-b1o
    @천은정-b1o 2 года назад +7

    학교ㅡ공부할수 있을때
    집중적으로 지식쌓기위해
    가는 장소
    문성전문대ㅡ30년전 입학원서
    회사에서 그때는 사직서 쓰고 다니던지.. 그래서 못갔어요
    나이후로 후배들 야간대 다니는
    환경이 좋아졌죠
    방송통신대 ㅡ무역학과
    관세사 에어카고 회사다닐때
    기본지식 얻기위해
    혼자공부 힘들더라
    모르는거 교수님에게 물어봐야 되는데..

  • @e앤셜리
    @e앤셜리 2 года назад +4

    고2되는 아들이 지리교육과를 가고싶어해서 정말 반가운 영상이네요. 좁은 길이지만 하고픈 일 하고살라고 허락했더니 놀지도 않는데 내신이 너무 안나오네요 ㅜㅜ 차라리 모의고사 성적이 나은데 갈 방법이 있을지 ... 학력고사 세대부모라 요즘 입시 너무 어렵네요.

  • @황감자-t9i
    @황감자-t9i 2 года назад +77

    현재 고 1이고 강원대 역사교육과 가고싶은데 역시교육과는 아니지만 이거 보고 좀더 많은 정보를 얻은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흔한남매들
      @흔한남매들 2 года назад +1

      역사교육과 졸업하면 무슨직업을 같게되나요? 궁금해서요

    • @황감자-t9i
      @황감자-t9i 2 года назад

      워워 다들 진정하세요!!!

    • @흔한남매들
      @흔한남매들 2 года назад +41

      @@user-in8qq4qe9l 아이고...갖게된다를... 맞춤법 틀리는거 참 싫어하는데... 나이들고하니 많은게 순간 헷갈리게되네요. 불쾌했다면 미안합니다~^^;;;

    • @웅잇-g9b
      @웅잇-g9b 2 года назад +1

      @@ddpo11029 ㄹㅇㅋㅋ

    • @daekue123
      @daekue123 2 года назад +1

      @@ddpo11029 너도 무식한거 꼽줬잖아요~

  • @김강산-i1t
    @김강산-i1t 2 года назад +21

    횡고의 자랑 장혁준 화이팅!!

  • @시냇가나무-s8z
    @시냇가나무-s8z 2 года назад +29

    ㅋㅋ 아드님 옆모습보고,순간 정승익쌤인줄요~~저는 여정쌤 팬입니다요!!♡
    그좋은 생기부자료를 누락시킨 학교선생님이 좀 아쉽네요ㅜ

    • @ebstv4293
      @ebstv4293 2 года назад +33

      아 이 댓글을 제가 보내요😍😍

    • @sophia.7837
      @sophia.7837 2 года назад +1

      @@ebstv4293 ㅎㅎㅎ이럴수가~^^
      선생님 채널도 잘 보고 있습니다.
      늘 감사드려요~👍

    • @시냇가나무-s8z
      @시냇가나무-s8z 2 года назад +1

      @@ebstv4293 정승익쌤 구독자기도합니당~ㅎㅎ죄송요^^;;
      제가 좀만 더일찍 쌤을 알았더라면,아이들을 더 잘키웠을텐데..매우 아쉬워하는 막내 고3이 맘이랍니다.
      후배맘들의 가정학습 길잡이가 되어주셔서 늘 감사합니다♡

    • @블루-y4r
      @블루-y4r 2 года назад +2

      ㅋㅋ 댓글에 웃고, 그 아래 정승익쌤 댓글에 빵 터졌습니다. 쌤 유툽에 항상 좋아요 누룹니다 ^^

  • @김건희-z9i8g
    @김건희-z9i8g 2 года назад +131

    와 근데 아버지랑 아들이랑 붕어빵이네요ㅎㅎ

  • @rangjun1234
    @rangjun1234 2 года назад +8

    저 보다가 궁금한데 세특이나 생활기록부는 학생이 쓰는건가요?아님 선생님이 쓰시기전에 물어보나요 ㅠ전 아예모르는 일반인..

    • @user-vz4vm7tg5t
      @user-vz4vm7tg5t 2 года назад +6

      선생님들마다 다르긴 한데 몇몇 쌤들은 학생들에게 세특에 올리고 싶은 사항 있으면 써서 제출해달라고 하세요 참고해서 최대한 담아주겠다고

    • @rangjun1234
      @rangjun1234 2 года назад +4

      @@user-vz4vm7tg5t 답변 감사해요 저는 실업계나와서 잘 몰랐어요^^ 엄청 구체적으로 써주시는 선생님도있고 내신좋은데 아닌분도 계셔서..궁금했어요 ^^

  • @kimtaehyeong04
    @kimtaehyeong04 2 года назад +28

    그냥 궁금해서 물어보는건데 저정도 내신이 보통 3합 11을 못맞추나요? 저도 지방 일반고 고3인데 저희학교에서 저 내신이면 3합 8,9정도는 무난하게 맞추는거 같던데

    • @김우석-x1k
      @김우석-x1k 2 года назад +27

      443을 못 맞춘다는 건 그냥 공부 자체를 안 했다는 뜻인 듯…ㅋㅋㅋㅋㅋ

    • @pjh525
      @pjh525 2 года назад +9

      영어 1 깔면 국어수학 50만 넘겨도 5등급을 나올텐데..

    • @자차유-h1o
      @자차유-h1o 2 года назад +9

      이건 일반고의 내신 수준에 따라 다르지요. 학교 내신의 수준이란게 강원도 일반고와 강남에 일반고가 같을 수가 없습니다. 그 지역에 교사들이 누구보다 잘 알기에 어쩔수가 없습니다. 저도 일반고에서 가르치다보면 지역별로 수준이 다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경기-충남-경남 지역을 거쳐가며 일하다 보니 그렇게 느꼈습니다.

    • @이름-x5j5i
      @이름-x5j5i 2 года назад +5

      일반고는 워낙 편차가 심해서 지방 일반고는 내신2-3점대인데 모의고사 4-5등급대 수두룩함

    • @ttt-l7p-i3g
      @ttt-l7p-i3g 2 года назад +4

      지방 그냥저냥 일반고 내신 3등급대....수능 준비 상상 이상으로 안하고 못합니다(학교 자신없어서) 일단 내신공부에서도 수준차가 나는데 무슨 수능을 ㅎ 윗댓에 영어1만 받아도라고 하는데 영어1이 쉽겠나요 ㅎㅎ

  • @adlerthepalm5703
    @adlerthepalm5703 Год назад +1

    와… 고등학생이 대학가기위해 해야될게 상상초월이네요..

  • @user-lu5pf9uv4l
    @user-lu5pf9uv4l 2 года назад +57

    특성화고 학생 입시 관련 영상도 올려주시면 정말 유익할 것 같아요!

    • @정수리-t2w
      @정수리-t2w 2 года назад +7

      특성화고로 일반대 가본 소감.
      무조건 교과로 쓰세요.... 종합 쓰면 특성화 전형 빼고 무조건 떨어져요...

    • @흠야-l2x
      @흠야-l2x 2 года назад +24

      @@정수리-t2w 특성화고인데 일반교과로 가는 건 적폐아님?

    • @정수리-t2w
      @정수리-t2w 2 года назад +2

      어차피 교과일반으로 대학 넣어도 기본점수 엄청 깎이는데 그나마 교과가 덜한거

    • @나무김-i8j
      @나무김-i8j 2 года назад +9

      @@흠야-l2x 적폐라기엔 다들 수능최저 있지 않음? 그거 통과하면 수준은 맞는다는건데 적폐까진 아니라고 봄

    • @흠야-l2x
      @흠야-l2x 2 года назад +17

      @@정수리-t2w 글면 특성화고가서 내신편하게 잘 받고 최저3합5인 의대갈 수 있어도 적폐가 아니라는 거임? 정시로 3합5면 딱 중경외시인데?

  • @jwha4906
    @jwha4906 2 года назад +34

    지거국 가서 지역인재 전형으로 해당 지역 공기업 취업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함.

  • @옹야-d7h
    @옹야-d7h 2 года назад +29

    지방 학생이 더 많은데 지방대가 나와서 좋았습니다

  • @재용정-j4v
    @재용정-j4v 2 года назад +3

    아니 아버지가 고3이 되도록 지거국의 의미도 모르는데 무슨 관심을 보이고 사이가 좋자고
    하는지 방치한거예요
    그리고 지리교육과 나오면 지리교사가 무조건
    되나요? 이전 선행님이 퇴직해서 자리가 나야
    생기는 거지 지방에 인구가 줄고 있는데
    아주 쉅게 이야기 하네요
    교사는 아무나 하나요

    • @sehwanpark4189
      @sehwanpark4189 2 года назад +8

      왜이리 화나셨음ㅋㅋㅋ 그냥 보면 됌

    • @월금
      @월금 2 года назад

      그 지역 지리교육 나온다고 무조건 그 지역에서 산다는게 아닐텐데

  • @김정희-o1h9d
    @김정희-o1h9d 2 года назад +18

    교육이나 교사에 대한 활동이나 교내상종류는 뭐가 있을까요? 저희애는 교대를 생각중입니다

    • @자차유-h1o
      @자차유-h1o 2 года назад +2

      교사로서 해야할 일들은 가르치는 것 & 공무원 두가지 입니다. 이건 교육학에서 처음 배우는 내용이기도 하구요. 그렇다면,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 고민을 해야 할 것 같아요. 다시 말해서 교육 현장의 문제를 예를 들자면, 현재 학생들의 최저 학력이 너무 낮아지고 있음. 이것을 효과적으로 끌어 올리기 위한 방안 모색을 동아리를 만들어서 할 수 있겟지요? 제가 코칭을 해야 한다면, 관련 동아리를 조직하고,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고, 학생들의 성향(MBTI)를 비롯한 기반 자료를 통해서 실제적으로 학생간 멘토-멘티 프로그램을 구성해서 실시하고 피드백을 받는 일을 해보는거지요. 단순히 다른 학생들을 가르치는 수준에서 벗어나서 주제선정-원인분석-방안탐색-계획설정-실행-피드백 일련의 과정을 해보는겁니다. 이것은 교사들이 수업에 대해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본이 되는 과정이거든요.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수행했던 것들을 보고서로 남겨서 담당 선생님께 제출하면 활동 부분을 보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개귀엽-f6y
    @개귀엽-f6y 2 года назад +5

    와~ 아빠랑 닮아도 저렇게 똑같이 생길수가

  • @보경김-c7g
    @보경김-c7g 2 года назад +15

    고3 아들을둔 엄마 입니다
    선생님 강의 들으며 상담받고싶단 생각이드네요
    꼭 유튜브 출연에서만 상담가능한가요?
    출연 하지않고 상담을 신청은 어떻게 신청하면되나요
    연락 부탁드려요

  • @jimmynam2588
    @jimmynam2588 2 года назад +15

    인프라가좋고 보는것과 기회가 많아서 인서울대학으로 가야한다는 한국입시생들의 사고방식. 이는 지방경시풍조가 유별난 한국사회에서 부동산을 선택하는 기준과 다르지않다. 학문연구의 양과질에있어 또는 현실적문제로써 졸업후 취업에 보다나은 해답을주는 대학이 서울에 많은게 사실이다. 그러나 인서울대학이라해서 다그런건아니다. 반대로 지방거점국립대중에는 노벨상을받아도 모자라지않을 세계적석학이 편안히 연구활동을 하는가하면 미국교육부등 국제적공식기구에의해 서울의여러대학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Flagship University로 평가되는 곳도있다. 이들대학의논문이 최고국제학술지에 게재되는경우가 심심찮고 학과별세계랭킹이 150-300위정도에 올라있는 경우도 많다. 이런대학들이 서울소재가 아니라는 이유로 무조건 외면당하는 한국적현실은 분명 문제가있다. 하바드, 예일, MIT, 스텐포드 이모두 인워싱톤이 아니다. 우리식으로하면 눈을 아래로 깔고볼 지방소재대학들이다. 미국을 본보고 따라하는 한국의입장에서는 대학선택기준도 점차 달라지겠지만 인터넷의발달로 세상은 대학뿐만아니라 여러방면에서 "위치"는 덜중요해지고있다.

  • @jw-kq6bi
    @jw-kq6bi Год назад +3

    상담받고 합격 후기도 나왔으면 좋겠어요.

  • @aa11dd-l6u
    @aa11dd-l6u 2 года назад +30

    지거국은 깔끔하게 교과+최저 전형으로 가는게 맘편함. 지역에서는 명성이 높은데, 인서울 중하위권 대학보다 성적대가 낮고 경기권 사립대들이랑 비슷함
    인서울 끝자락이나 경기권 갈바엔 지거국가는게 훨씬 나음

  • @user-pr1zx2bs7f
    @user-pr1zx2bs7f 2 года назад +3

    부자간에 정말 닮았네요 ㅋㅋㅋㅋ 보기 좋습니다

  • @hjlee760323
    @hjlee760323 2 года назад +1

    좋아요.좋아요 꾹 누릅니다..겁주지마세요

  • @킹받는인생
    @킹받는인생 2 года назад +6

    학교담임들이나 교과목 교사들이나 생기부써달라고 교무실가면 역정부터내고 귀찮게하지마라 라는식 공부못하면 생기부는 쓰지도 마라- 라는 머리새하얀 틀선생들이 많은 현실이라 애들이 참 상처 많이 받겠다는 생각이듭니다.

  • @user-kkwbdiw001
    @user-kkwbdiw001 2 года назад +105

    본인은 현역때 경북대
    재수때 국민대 다녀본 사람이고 현재는 삼반수 중비중임.
    결론부터 말하자면 국립대도 정말 좋음.
    하지만 인서울을 한번이라도 경험해본다면 절대로 국립대로 가지않을꺼임. 인서울의 메리트는 단순히 공부잘햇다로 끝나는게아니라 사람의 생각이나 마인드 자체가 변함

    • @i.j533
      @i.j533 2 года назад +59

      전남대 졸 여의도에서 10년근무 후 현재 스타트업 코파운더로 창업했는데 꼭 서울에 가야만 그런생각을 갖는것은 아닌것 같습니다 본인이 서울에 취업하고 적을 두고 싶다면 지거국 졸업해서 올라가면 됩니다 본인이 가고자 하는 방향을 잡는것이 중요한데 물론 서울이란 환경을 무시할수는 없지만 그게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건 아닌것 같아요 결국 본인의 하고자하는 의지와 실행력이 중요하죠

    • @강인엽-f3d
      @강인엽-f3d 2 года назад +20

      전혀
      인서울나름

    • @ytw2495
      @ytw2495 2 года назад +142

      경북대에서 국민대면 그냥 재수때 잃어버린 1년 때문에 자기최면 하는 거 아님?
      사실상 다운그레이드 수준인데

    • @user-kkwbdiw001
      @user-kkwbdiw001 2 года назад +6

      @@ytw2495 ㅋㅋ 갈땐 몰랐는데 님말이 맞는거같음 부경이 국숭세단보단 좋고 건동홍 보다 안좋은듯

    • @user-kkwbdiw001
      @user-kkwbdiw001 2 года назад +2

      @@ytw2495 내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생각하기때문에 절대 일반화 할순 없지만 내가 생각했을때 수도권에 확실히 기회가 많은거 같긴함 지방할당제 가 지거국 챙겨준다고는 하는데 솔직히 공기업에서 시야를 벗어나면 지방에서 스펙 쌓기가 애매하다고 생각함

  • @블루-y4r
    @블루-y4r 2 года назад +2

    아직 중3 이지만 열심히 구독중입니다 ^^ 좋아요 꾹~

  • @ruind.8511
    @ruind.8511 2 года назад +3

    지리교육과가 아니라 국영수 같은 메이저 사범대도 요즘 선생되기 빡센데 참 힘든 길로 가는 학생이네 ㅋㅋㅋㅋㅋ

  • @j.s.k6340
    @j.s.k6340 Год назад +13

    지거국 인기가 없는 대한민국이 비정상국가 입니다.

  • @oo-xt4xg
    @oo-xt4xg 2 года назад +2

    생기부 고대로 잘 써주는 학교 가는게 우선임.

  • @thomas6470
    @thomas647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父子 두 분이 머리 곱슬인 게 커엽네

  • @wb8097
    @wb8097 2 года назад +6

    진짜 누가봐도 아들이다.

  • @Longtimenosee-l5p
    @Longtimenosee-l5p 2 года назад +9

    경상북도사는데 경북버리고 건국대옴 인서울짱

    • @Skksk-zz
      @Skksk-zz 2 года назад +21

      건대가 당연 더 높으니까 가는게 맞지.. 경상북도 산다해도.. 굿

    • @김재원-o8p
      @김재원-o8p 2 года назад

      근데 궁금한게 있는데 건대가면 취업이 됨?

    • @구르미-u5d
      @구르미-u5d 2 года назад +9

      @@김재원-o8p 건대가 누백 상위 5~6% 대학인데 그게 취직이 안되면 국민의 94%는 뭐먹고 살게

    • @월금
      @월금 2 года назад +2

      나중에 땅치고 후회하실듯...
      그거 안느끼고 싶으시면 경북애들보다 훨씬 정말 훨씬 공부 열심히해야 걔들이랑 동급으로 갑니다!! 열심히하세요!!

    • @Longtimenosee-l5p
      @Longtimenosee-l5p 2 года назад +13

      @@월금 ㅋㅋㅋㅋㅋ죄송한데 경북대보다 건대가 더 높은대학이에용

  • @성이름-c9l8v
    @성이름-c9l8v 2 года назад +20

    부산 경북도 아니고 전북 강원갈 성적대면 인서울을 안가고싶은게 아니라 못가는게 맞지

  • @홍어슬레이어
    @홍어슬레이어 2 года назад +15

    솔직히 중경외시급 되면 서울 가는게 맞는데 건동홍까지는 꼭 서울행이 필수 아니라고 봄

  • @오늘마살
    @오늘마살 2 года назад +3

    내아들도 지거국에 만적 과만 잘 선택하길 바람

  • @user-uy5eh3tz1r
    @user-uy5eh3tz1r 2 года назад +4

    와..어떻게 나랑 내신이 똑같은데 3합 11을 못맞추지.. 지방이랑 차이 크긴 한가봄..

  • @cmy07_a
    @cmy07_a Год назад +4

    생기부쓰는 선생님들이나 교육했음좋겠습니다. 미래가창창한아이들 끄집어내주지는못할망정

  • @BOTAI-l4s
    @BOTAI-l4s 2 года назад +39

    지거국은 그중에서도 가장 높은 부경전(부산대 경북대 전남대) 정도는 가는게 좋아요 …

    • @user-lw6fi9qu1i
      @user-lw6fi9qu1i 2 года назад +55

      전남대는 빠지는게.. 뭐 절대 비꼬는게
      아니라 지역도 그렇고 전기 전자 제외
      입결이 너무 낮음 전기나 전자공학과
      갈거면 좋은데 그외에는 전남대 별로..

    • @딘앨범내면군대
      @딘앨범내면군대 2 года назад

      전남대로 외국유학 보내면 애 망쳐요~

    • @gayile5351
      @gayile5351 2 года назад +26

      전남대보다 전반적인 입결은 충남대가 높지 않나요

    • @heuwieh3867
      @heuwieh3867 2 года назад +1

      가장 높은 곳은 서울대임..

    • @안춘자-q9z
      @안춘자-q9z 2 года назад +3

      참고로 부경은 가장 높습니다. 전남은 매우 낮은 라인입니다.

  • @안윤희-k8q
    @안윤희-k8q 2 года назад

    비평준김포에예비중3입니다.
    농어촌이되는고등학교로가야하나
    정시형고등학교로가야하나
    뭐가좋을까요?
    인서울상위권학교가려고
    노력중입니다.

    • @룰러-j7u
      @룰러-j7u 2 года назад

      닥전아닌가

    • @대산오함마
      @대산오함마 2 года назад

      내가 경험해봤지만 농어촌은 적폐임

  • @구독좋아요-x1l
    @구독좋아요-x1l 2 года назад +11

    지거국도 괜찮은 대학교입니다 가고 싶으면 가세요

  • @dongdoon29
    @dongdoon29 2 года назад +7

    난 둘이 쌍둥인줄

  • @손뻐꾸기
    @손뻐꾸기 2 года назад +30

    지거국은 경북대나 부산대정도 되어야 메리트가 있죠

  • @로사-l2h
    @로사-l2h 2 года назад +1

    지리학과가 많지가 않아요.ㅠ
    울아들도 한지에 빠져서 지리학과 가고 싶다고...수능은 한지.세지 11다 찍었는데 그냥 행정학과 갔어요.고민하다가...

  • @정일녀-x5j
    @정일녀-x5j 2 года назад +3

    명쾌한 상담에 늘 감사드립니다.
    지방일반고3 아들 둔 엄마입니다.
    상담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Bobbydonothing
    @Bobbydonothing 2 года назад +28

    관상은 완전 수능 만점자 상임

  • @성찰-o7e
    @성찰-o7e 2 года назад +1

    내용보다 피는 못속인다는 말이 틀림없다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는 듯한 부자의 모습! 헤어스타일까지 빼박!

  • @user-bo1nc3vs4y
    @user-bo1nc3vs4y 2 года назад +1

    학년 끝나고 3월달에 생기부를 볼 수 있는 학교는 뭐하는 ㅂㅅ 학교임 보통 겨울방학전에 보여줌 대부분의 학교들이

  • @구름H
    @구름H 2 года назад +3

    여정쌤 지리쌤이엇어요????

  • @victoriaryu139
    @victoriaryu139 2 года назад +6

    안녕하세요 ♡
    저는 아들의 유학으로 호주서 지내는데요(8학년)
    쌤ᆢ 영상 구독해서 보고있는 빅토리아입니다^^
    반갑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하고
    나중에 한국에서 한번 뵙고싶네요♡

  • @TV-zi8ec
    @TV-zi8ec 4 месяца назад

    지방에서 취업 결혼 정착 할거면 집근처 대학 가도됨 근데 서울에서 취업 결혼 육아 .. 하려면 인서울 답이라고 갠적으로 생각한다 본사에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 인서울.. 서울에서 입시 학원 한달이라도 다녀본 사람이라면 알것임

  • @brassboi
    @brassboi 2 года назад +1

    좀 딴얘기긴 한데 아버지랑 아들이랑 너무똑같이 생겨서 웃김ㅋㅋㅋㅋ

  • @김경태-q4t5b
    @김경태-q4t5b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요즘은 4등급도 지거국 사범대 가던데

  • @햇살-g2u
    @햇살-g2u 2 года назад +2

    ㅈㅂ대 지교 오지 않는게 좋아요.. 자연지리 교수님 개노답이라고 사대에서 이미 저명한 사실이라서

  • @heista3145
    @heista3145 2 года назад +2

    저정도면 경대 지리학과도 괜찮았을텐데
    그래도 안정적으로 잘 편성해주신듯

  • @Okjung-pb6qj
    @Okjung-pb6qj 2 года назад +55

    참 학생이 학종을 준비하기 위해서 엄청난 탐구활동을 해야하네요.
    상담샘이 뭘 고민했어야 한다는데...무슨 대학원 생인줄...교수 뽑는줄...
    빨리 대입학력고사가 다시 부활해야 할듯.

    • @라크메-z2i
      @라크메-z2i 2 года назад

      👍👍👍👍👍👏👏👏👏👏👏👏

  • @paulparker3461
    @paulparker3461 2 года назад +3

    전북대 가세요 요새 lx 많이갑니다

  • @universe_K1M
    @universe_K1M 2 года назад +23

    3합 11은 그래도 내신 3점대 학생이면 충분히 맞추지 않나,,?

  • @양-k9v
    @양-k9v 2 года назад +1

    컨설팅 받고 싶어요

  • @kwangcheolkang207
    @kwangcheolkang207 2 года назад +3

    강대 가즈아

  • @jeung601
    @jeung601 2 года назад

    입시하고 상관없지만 아빠하고 아들 똑 닮았다

  • @김정희-l5h5c
    @김정희-l5h5c 2 года назад

    입시관련 고민상담은 어디다 하나요?^^

  • @muu3561
    @muu3561 2 года назад +10

    특목고 학생이랑 상담하는 것도 올려주시면 안되나요ㅠㅠ

  • @이미란-k3i
    @이미란-k3i 2 года назад +11

    저희 딸애랑 고민이 비슷하네요.부산대냐 건동홍숙이냐..그래도 인서울이라는데..

    • @gayile5351
      @gayile5351 2 года назад +2

      거주지 따라 다릅니다
      서울이면 건동홍 가는게 맞고
      부산경남경북 사시면 동홍 보다는 부산대가 더 나을수 있어요
      숙명여대는 솔직히 비교대상이 안될거 같네요
      이화여대 빼고는 여대는 입결 뻥튀기가 심해서요

    • @Se_am-x7o
      @Se_am-x7o 2 года назад +2

      현재 거주하시는 지역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 @바나나우유-v3c
    @바나나우유-v3c 2 года назад +12

    아빠가 장가도 일찍 갔네요.

  • @user-sr8wp5cz9i
    @user-sr8wp5cz9i 4 месяца назад

    3합 11? 이걸 가지고 고민? 그런데도 지거국을 갈 수 있다고? 지거국 수준을 알아버렸다.ㅋㅋㅋㅋㅋ

  • @Dream-md4wi
    @Dream-md4wi 2 года назад +17

    썸네일이 인서울은 생각없는게 아니라 성적이 안되는 거죠 😂 누가보면 인서울 성적에 지거국 가고픈 줄 😆

    • @얌야미-q2n
      @얌야미-q2n 2 года назад +3

      인서울 돼도, 이런 저런 가치판단해서 지거국을 선택하는 게 현명하다. 유리하다 선택하는 겁니다.

    • @Dream-md4wi
      @Dream-md4wi 2 года назад +3

      @@얌야미-q2n 그건 옛말이죠, 지거국은 지금 걍 지방대라서요

    • @Dream-md4wi
      @Dream-md4wi Год назад +1

      @@unitedmanchester5573 사범대가 무슨 절로 선생시켜주더냐

    • @Dream-md4wi
      @Dream-md4wi Год назад +2

      @@unitedmanchester5573 듣보잡 인서울은 걍 지방대인데 ㅋㅋ 걍 삼육두유나 드셈 ㅎㅎ

  • @아무개-q1j
    @아무개-q1j 2 года назад +2

    지거국이 지역거점국립대였구나 당연히 지방거점국립대인줄...

    • @30번국도
      @30번국도 Год назад +3

      지역 거점 국립대는 잘못된 말입니다. 정식 명칭은 국가 거점 국립대입니다.

  • @YWK470
    @YWK470 Год назад +4

    지방대는 20년뒤에 거의 전부 소멸한다고 보면됩니다.. 지방대 좋은 학과 한두개 가지고 그 대학이 유지가 될 수 없어요. 그 수많은 건물들과 교직원을 어떻게 유지합니까.. 2000년생 65만명, 2022년생 25만명, 2030년생 예상 10만명입니다..
    졸업하면 폐교되는 대학을 간다고요? 굳이?

  • @송지안-t4g
    @송지안-t4g 2 года назад

    세특 3월에 확인하게하는 것 문제많습니다.

  • @nomad9347
    @nomad9347 2 года назад

    정시가 제일 편하긴 하네..

  • @깡총궤이
    @깡총궤이 2 года назад +17

    얘들아...내신 3등급으로 부산,경북 가는 건
    작년이 마지막이야...올해부터 최저 ㅈㄴ 낮아져서
    못 간다

    • @NOGAMENOLlFE
      @NOGAMENOLlFE 2 года назад +1

      부산대는 최저완하가 없는데..?

    • @린가우두
      @린가우두 2 года назад

      ​@@NOGAMENOLlFE 3합 7에서 2합 4로 낮아짐

    • @NOGAMENOLlFE
      @NOGAMENOLlFE 2 года назад

      @린가우두 아 문과구나

    • @린가우두
      @린가우두 2 года назад

      @@NOGAMENOLlFE 이과는 똑같나요?

    • @NOGAMENOLlFE
      @NOGAMENOLlFE 2 года назад +1

      @@린가우두 2합5 수학고정 미적or기하로 작년과 동일합니다

  • @오징어-h6y
    @오징어-h6y 2 года назад +18

    전통적으로 사범대는 공주대가 세죠

    • @오징어-h6y
      @오징어-h6y 2 года назад +4

      임용고시도 공주대가 가장 합격자 많았던걸로 기억합니다

  • @TheSpringPool
    @TheSpringPool 2 года назад +3

    오.. 한지세지

  • @suminkim7586
    @suminkim7586 2 года назад +9

    수시를 10%씩뽑아야됨

    • @lacismd
      @lacismd 2 года назад +3

      폐지 해야지 ㅋㅋㅋㅋㅋㅋㅋ

  • @amas539
    @amas539 2 года назад +3

    지거국 탑 경북대,부산대 아니면 인서울이 나을듯~

    • @충용-t7r
      @충용-t7r 2 года назад

      3.2인데 부경 사범대를 갈 수 있는 성적이... 인서울도 그렇고..

  • @user-gc6nc5zx5o
    @user-gc6nc5zx5o 2 года назад +3

    지리교육가면 나중에 뭐 먹고 살아야 됨? 전공 살려서 갈 수 있나...?

    • @jhyang388
      @jhyang388 2 года назад +2

      영업 또는 치킨집

  • @stevekim7223
    @stevekim7223 2 года назад +10

    지거국 쉽네... 평균등급 3점대라니

    • @user-gx9ry9ne7x
      @user-gx9ry9ne7x 2 года назад +15

      ㅈㄹ 꼬리가 길어서 그렇지 절대 쉬운편 아님

    • @sc8647
      @sc8647 2 года назад +2

      @@user-gx9ry9ne7x 인서울에 비하면 쉽자너

  • @johnkim4215
    @johnkim4215 2 года назад +2

    지거국이 지방공기업가기 유리하다? 팩트는 대략 공기업마다 다르지만 러프하게 지방할당 30%인데
    공기업 입장에서 지거국 뽑는게 인재를 뽑는다는게 아니라 정치 고려해서 지방 근무인력정도로 생각하고 뽑지요.임원?은 뭐 빠이고 지점장도 힘들고 차장 잘하면 부장정도에서 옷벗는데 차라리 공부를 더 열심히 해서 인서울 대학교 가서 당당하게 입사하세요. 공기업 근무할때 서로 어느대학나온지 모른다고 하죠.직급 올라가면 다 알고요. 저 사람은 어느정도까지 올라가겠다는게 견적나옵니다.아님 지거국 나와 공무원이 더 낮지않나? 여튼 공부를 더해 인서울하는걸 추천합니다.항상 내가 오너면 어떨까? 생각하면 좋지요.

    • @ruind.8511
      @ruind.8511 2 года назад +1

      '낮' 지 않나 ㅋㅋㅋㅋㅋㅋ

  • @부산갈매기-d3b
    @부산갈매기-d3b 2 года назад +9

    왜 3점초로 강원대 전북대가려는거야..

    • @부산갈매기-d3b
      @부산갈매기-d3b 2 года назад +3

      @@qwerty_3998 본인이 확고한 목표가있으면 상관없는데
      솔직히 3점초로 더 높은곳 갈 수 있는데
      5등급도 뚫리는 하위지거국 가기에는 많이 아깝죠

    • @user-rt4hh3ge8c
      @user-rt4hh3ge8c 2 года назад +2

      전북대는 3점초 맞지 않나?? 3점초로 그 이상은 대체 어디로 가죠...

    • @부산갈매기-d3b
      @부산갈매기-d3b 2 года назад +2

      @@user-rt4hh3ge8c 요즘은 대체적으로 지방대학이 한단계씩내려가서 3점초면 전남대정도 가능함

    • @닉넴이-w6x
      @닉넴이-w6x 2 года назад +2

      강대, 북대 사범대 갈려면 2후반은 되야함
      3점초면 문닫고 들어가는 수준이라

  • @choigwang
    @choigwang 2 года назад +2

    영탁이가 보면 딱이네~

  • @chosaw-u82
    @chosaw-u82 2 года назад +3

    애 인생 망치려하네

  • @1296kkk
    @1296kkk 2 года назад +7

    내신 3.2 공주대 지리학과 너무아깝다
    나도 고2때까지 지리학과 고민했는데 지리교육과말고 그냥 지리학과..? 잘 모르겠다 ㅋㅋㅋㅋㅋㅋㅋ

    • @민기-p5y
      @민기-p5y 2 года назад

      공주대가 교육쪽은 엄청 쎄요

  • @문재인-f5c
    @문재인-f5c 2 года назад +33

    3초로 강원대는 너무아까운데

    • @윤동주-h1u
      @윤동주-h1u 2 года назад +9

      3초면 안될수도 있지만 경북대 써볼수 있지 않나 싶음

    • @문재인-f5c
      @문재인-f5c 2 года назад

      @@민주당세상 ㄹㅇ 요새는 경북대도3점대학과꽤됨

    • @자차유-h1o
      @자차유-h1o 2 года назад

      저는 3초라면 고3때 2중~말까지 끌어올려서 경북대를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왕이면 지리교육보다 지리학과를 쓰는것을 고려해보는 것이 어떻겠냐는 말을 학생에게 해보겠습니다. 앞으로 인구가 개박살이 나는데 저 학생이 교사가 되려는 약 8년후에는 교사 수급이 어떻게 어그러질지 훤~히 보이는 상황입니다. 차라리 지리학과에서 교직이수를 하던가(2021년 기준 경북대 지리학과 3명),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정~ 교사가 되고 싶다면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좋다는 것은 아닙니다. 사범계열로 진학하면 진로를 제한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추천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지리학과-교직이수-복수전공(역사or경제 등등) 코스를 밟게되면 복수전공을 한 전공까지 2급정교사자격증이 나옵니다. 학위 2개 2급정교사자격증 2개는 분명 메리트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사범대를 다니면서는 조금 어렵습니다.

    • @윤동주-h1u
      @윤동주-h1u 2 года назад +12

      @@문재인-f5c 경북대,부산대는 왠만한 인서울보다 훨씬 좋긴함

    • @오징어-h6y
      @오징어-h6y 2 года назад +6

      2중반이면 공주 사범대 노리세요

  • @유희정-y8m
    @유희정-y8m 2 года назад +1

    재수생입니다. 아이는 초등교육을 오랫동안 준비했는데 저는 사범대를 보내고 싶네요. 상담 신청할수 있나요?

    • @TangSuYuk777
      @TangSuYuk777 2 года назад +4

      교대보다 사범대를 보내고 싶은 이유가 있나요?

  • @30번국도
    @30번국도 Год назад +7

    달도 차면 기웁다. 지금은 무조건 서울 소재 대학이 두각을 나타내지만 언젠가는 상위 10위권은 모두 국가 거점 국립대가 차지하고 9위 연세대 10위 고려대순으로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kylebae8425
    @kylebae8425 2 года назад +12

    인서울을 가야지..지거국 가면 인생조진다

    • @BBmode-x5u
      @BBmode-x5u 2 года назад +44

      개소리

    • @user-fv8uy8sp7y
      @user-fv8uy8sp7y 2 года назад +40

      이건 ㄹㅇ 개소리 ㅇㅇ

    • @당근-k5m
      @당근-k5m 2 года назад +4

      그래 삼육대 가라
      인서울인데 좋잖아 ㅎ

    • @user-lw6fi9qu1i
      @user-lw6fi9qu1i 2 года назад +1

      @@당근-k5m 누가 삼육대를 인서울로침
      인서울 커트라인은 광명상가지 ㅋㅋ

    • @user-lw6fi9qu1i
      @user-lw6fi9qu1i 2 года назад +2

      지거국가면 인생 조지는정도까진 아닌데
      앵간하면 고향 벗어나기 겁나 싫은거
      아니면 인서울이 맞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