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가 화성에 착륙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기술! (카이스트 전은지 교수, 전 꽈뚜룹 장지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73

  • @jisoujang
    @jisoujang 2 года назад +27

    존잼❤ 또 가고싶다ㅜ랩미팅

    • @Dotorimook
      @Dotorimook 2 года назад

      또 가자!! 재밌다

  • @hakdeok
    @hakdeok 2 года назад +6

    항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교수님 자주 초청해주세요 정말 재미있습니다~

  • @kospikosdaq
    @kospikosdaq 2 года назад +11

    이번 영상 진짜진짜 알차요.
    잘 알려지지 않은 것들을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_otto_art__Officia
    @_otto_art__Officia 2 года назад +14

    ㅋㅋㅋㅋㅋㅋ인트로 편집ㅋㅋㅋㅋㅋㅋ 궤도님 완전 귀여워요

  • @하승진-m6p
    @하승진-m6p 2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cyborg-dd7hy
    @cyborg-dd7hy 2 года назад +5

    전은지 교수님 너무 재밌어요. ^^ㅋ

  • @spacelink0628
    @spacelink0628 2 года назад +34

    한국에서는 진짜 로켓이라는게 누리호여서 그나마 우주에 대해서 알려진거지
    예전에 이런거 우주,특히로켓 좋아하는 중학생으로서 이런 영상,자료,지식 알려고해도
    알기 쉽지 않은데 진짜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vipsrocket
      @vipsrocket 2 года назад +3

      그거도 그건데 워낙 대중화가 안 되어 있다 보니까 우주 좋아하는 사람만 보면 4차원 같은 애나 좀 특이한 애라고 불렸음

    • @spacelink0628
      @spacelink0628 2 года назад +2

      @@vipsrocket 요즘은 그나마 나아져서 아무래도 우주 얘기를 친구랑 하면 이해하지 못해서 같이 대화할사람도 없죠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로코시
    @로코시 2 года назад +6

    꽈뚜룹님 머리 터지겟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진짴ㅋㅋ

  • @spacelink0628
    @spacelink0628 2 года назад +3

    꼭 공부 열심히 해서 카이스트 갈게요1!1!

  • @spacelink0628
    @spacelink0628 2 года назад +3

    굿굿

  • @mengmini
    @mengmini 2 года назад +3

    이번영상 역대급으로 재밌넹ㅋㅋㅋㅋ

  • @조영희-s1w
    @조영희-s1w 2 года назад +1

    화이팅.대단.

  • @axlrose249
    @axlrose249 2 года назад +3

    와 진짜 재밌다ㄷㄷㄷㄷ

  • @LessButBetter-
    @LessButBetter- 2 года назад +10

    편집자분 바뀌었나요? 짤드립이 낭낭하네요 ㅋㅋㅋㅋㅋㅋ 두 배 재미요인!

  • @onb516
    @onb516 2 года назад +3

    교수님 말씀 재밌게 잘하시는데 이쁘기까지!

  • @smartk5654
    @smartk5654 2 года назад +2

    포보스 빵 터졌다 🎉 ㅋㅋㅋ 그럴듯하네

  • @spacelink0628
    @spacelink0628 2 года назад +4

    오 대기 추력 미쳤네요

  • @olirontruth1741
    @olirontruth1741 2 года назад +1

    무함마드 빈살만이 추진한다면 관심을 더 끌 수 있을 것 같은데

  • @정민준-z1n
    @정민준-z1n 2 года назад +1

    열라 빨라지는 군요 메모 ㅋㅋ

  • @mango______8188
    @mango______8188 2 года назад +2

    기초지식 과 전문지식이 풍부해야 하는구나.... 나사를 보유한 미국의 기술력은 보이는것보다 더 발전되어있을듯

  • @wtsnu
    @wtsnu 2 года назад +2

    자전 위치 에너지를 발전해서ㅋ 포브스 자세ㅋㅋㅋㅋㅋㅋㅋㅋ

  • @dao725
    @dao725 2 года назад +3

    와 램제트이온엔진이라니

  • @공돌이-o6b
    @공돌이-o6b 2 года назад +1

    여자 교수님 목소리가 좋네..ㅎㅎ

  • @andrewyoo5111
    @andrewyoo5111 2 года назад +1

    누리호 어떻게 된건가요..?

  • @맛있는스시X
    @맛있는스시X 2 года назад +1

    착륙하는 그만큼 연료 더 실어야하고 로켓장치 무게도 필요하고...

  • @kcha8878
    @kcha8878 Год назад

    15:44 어이구야... 랩실 이름이... 보기만 해도 무섭다. [비평형상태 가스 & 플라즈마 동역학 연구실] 이라...
    근처에서 숨만 크게 쉬어도 잡혀갈 것 같은 이름...ㄷㄷㄷ

  • @손군
    @손군 2 года назад +1

    앞에서 깔대기로 모으기보다는 위성이 진행시에 측면에서 생기는 와류를 이용해서 위성 내부로 가져오고 잔류대기를 모아서 활용하는게 공기랑 접촉면적이 더 많으니 모으는 양도 많을거같고. 이런아이디어 이미 쓰고있겠지

  • @remido9321
    @remido9321 2 года назад

    미국에 핵융합관련해서 엄청나게 좋은 이슈가 있는 거 같은데 혹시 정리해주실 계획 있으신가요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2 года назад

    태양광패널은 아닌거 같고.... 지금에 1kw패털에 면적을 본다면....그것도 시간당 100프로 에너지를 받아야 그만큼이지.... 저에 모터홈은 따로구 트래블미니멀카에 1kw태양패널을 7kw1인전기차에 충전하는데 빨리 충전할게 아니라 ac소켓이지만 한세월임....즉 하루는 기본 태양광에너지에 따라지만....그것도 태양패널 면적이 지금 가로세로 6미터2미터임....조금 작지만....일반경차 두개 집어넣을 면적인거 보면 저걸 위성면적에....

  • @darkdragon9433
    @darkdragon9433 2 года назад

    편집 쩐다 ㅋㅋㅋ

  • @김기남-w5h
    @김기남-w5h 2 года назад

    무선,유선,충전,발전,정수,생성의 모든종류?

  • @하늘-p6u8c
    @하늘-p6u8c 2 года назад

    미래 먹거리 좋은 이야기 좋아좋아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2 года назад

    와 저게 아이디어라도 할수있다구요.... 저게 초저궤도에서의 최대단점이면서 우리가 해결해나가야 할 매번 다시 올려야 할 숙제인데.... 로켓 다시 재활용 하는거 보고 띵 받은 현세대 사람으로써 다시 한번 띵 받네요.... 제가 핵융합 원전을 최대호 줄여서 5톤트럭에 생활하면서 한공간에 그 에너지를 ac소켓으로 이용하고 싶은 현대사람인데 말이죠 거기다 저 스타링크로 전세계 무선인터넷이 광랜이상급 속도로 사용하고 싶은자이면서 영구동토층 같은데 타이어에 힘으로 말고 또 다른방식이 없을까 보고있거든요 그게 나올까? 물론 지금에 f34b 이착륙기술로는....또 지금에 틸트로터방식으로는 아니여서.... 그리고 나서 숙제인 바다물 담수화 그걸 에너지를 이용해서 만드는게 아니라 기존방식에 단점이 많은 에너지를 이용해야 담수화가 가능하면서도 시설화가 필요한것.... 이거만 되면 다됨^^ 저기에서 ar안경 나왔죠 광학기술....충전지 사용하면서.... 슬라이드 접히는화면 나왔죠 타블릿크기....폰이아닌.... 투명도화면 나왔죠^^ 이제 충전지 원재료와 기술만 남았음 워프 점프기술이 나오기 전^^

  • @guisinbo
    @guisinbo 2 года назад +1

    저궤도 위성을 도넛처럼 만들어서 그 가운데에 프로펠러를 넣고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는 어려울까요...?

    • @guisinbo
      @guisinbo 2 года назад

      @@tinyfire153 그정도로 대기가 부족하군요...;;
      저런 깔때기 같은 구조로 희박한 대기를 압축시켜 돌릴 수 있는 방법은 안될까요? ㅎ

  • @LudovicusPark
    @LudovicusPark 2 года назад +1

    머스크에게 필요한 것은 직접 가겠다는 용기....

  • @헨섬보이-k7w
    @헨섬보이-k7w 2 года назад

    스크림젯 개념인가요

  • @chefearther7288
    @chefearther7288 2 года назад

    항공모함처럼 넷트를 쳐서 착륙시키는건 좋은방법이 아닐까요??

  • @FactoryNo.592
    @FactoryNo.592 2 года назад

    초저궤도 추진...
    이상적이지만 지상 관측 장비에는 안좋은 소식이겠네요
    발열을 어떻게 처리할지가...

  • @뱃추-k1j
    @뱃추-k1j 2 года назад +1

    지수님 궤도님 킹연에서도 너무 재밌게 보고 있었는데 이렇게 나와주시다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킹연 넘 반갑네요 .. 혹시 못 보신 분들은 요 영상 추천합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ruclips.net/video/TojH8JImWT4/видео.html

  • @zoo2_dev
    @zoo2_dev 2 года назад +2

    초(사이언)저궤도 ㅋㅋ

  • @Isaac-hc2xf
    @Isaac-hc2xf 2 года назад

    누리호 관련주요직들 다 짤렸다는데 이런 얘기도 해주세요 ㅠ

  • @김경남-r1p
    @김경남-r1p 2 года назад +3

    수업 너무 빡세요 교수님

  • @zoo2_dev
    @zoo2_dev 2 года назад +7

    와 궤도 요즘 살짝 그냥 유튜버인가? 싶기도 했는데
    교수님이랑 막힘없이 티키타카 할때
    역시 전문가인게 티가나넹.. ㅋ
    적어도 과학 애호가는 아닌듯

  • @siroki6052
    @siroki6052 2 года назад +3

    헐 스타워즈 추력기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한국에도 있다니.. ㄷㄷㄷ 세상 신기하네요 ㅎㅎ

  • @leesanghong80
    @leesanghong80 2 года назад

    Bl16b

  • @ccch6431
    @ccch6431 2 года назад +1

    달 가는 누리호 근황좀 알려주세요
    12월 쯤 도착 하지 않나요

    • @zerojin2
      @zerojin2 2 года назад

      이번주 달공전궤도로 첫 진입 할꺼에요.. 서서히 여러차례로 나눠 역분사 하면서 낮은 궤도로 내려갈꺼임~

  • @chanokim
    @chanokim 2 года назад +6

    꽈두릅이 랩장보다 더 낫네요. 엉뚱하고 솔직해서 좋아요

  • @헤이쟈니
    @헤이쟈니 2 года назад +1

    잘 몰라도 재미있음!

  • @꾸끼호놀룰루
    @꾸끼호놀룰루 2 года назад

    게스트랑 교수님 텐션이 높아서
    궤도가 특별히 텐션을 안올려도 되네 ㅋㅋㅋ

  • @agena4588
    @agena4588 2 года назад

    "누리호 개발조직 사실상 해체"…고정환 항우연 본부장 사퇴 - 중앙일보
    나라 잘 돌아 간다... 개발 인력들 뿔뿔히 흩어질지도 모른다는데 망했네

  • @Dotorimook
    @Dotorimook 2 года назад

    구 꽈뚜룹 ㅋㅋㅋㄱㄲ

  • @구자현-c8u
    @구자현-c8u 2 года назад

    노예수집 홍보였나...

  • @Rubio-f3d
    @Rubio-f3d 2 года назад +1

    재미가없으니 조회수가점점 떡락하네

  • @anonymousviperlilli1l
    @anonymousviperlilli1l 2 года назад +1

    7:09 돌아올때 마찰열이 높다고 해도 속도를 낮추기 위해 역추진 할따 부터는 온도가 더 낮아질까 같은데.. 일단 항력으로 인해서 속도가 주니깐

  • @띠여리
    @띠여리 2 года назад

    과학1도 모르는... 꽈, 남예기 설명교수.. 이번영상 망.

  • @Civilization_h
    @Civilization_h 2 года назад +2

    예전부터 궁금했던건데 우주에는 수소가 겁나게 많다고 들었는데 그렇다면 우주에서 태양전지를 이용해서 그 무수히 많은 수소를 채집해서 추력으로 사용하고 가져간 산소와 결합해서 물도 만들면 될거 같은데 어떤 어려움이 있어서 그렇게 안하는건지 궁금 합니다!!
    이번 달탐사 다누리도 정지할때 쓸 추진체를 많이 못실어서 그렇게 삐이이잉 돌아간다고 들었는데 위와같이 수소를 채집하면서 가서 그것으로 정지 추진체로 쓸수만 있다면 좋을텐데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 @wwewewaeawdasdw
      @wwewewaeawdasdw 2 года назад

      Ed shin 어린이 과학자되세요~~

    • @zzath
      @zzath 2 года назад +1

      수소가 많은게 맞긴한데
      대신 그만큼 공간이 너무너무너무넓어서
      채집효율이 안나오는수준

    • @8교시
      @8교시 2 года назад

      수소가 많다고 해도 반응할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추력으로 사용허거나 물을 제작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adrock-d6t
      @adrock-d6t 2 года назад

      우주공간의 수소를 이용한 추진방식이 존재하긴합니다.
      Interstellar ramjet 엔진(또는 Bussard ramjet)이 그것인데, 수천 킬로미터의 자기장으로 수소를 채집, 내부 핵융합로를 통해 반응을 일으켜 에너지를 얻습니다. 한마디로 인공별을 내부에 만들어 추진한다는 개념이죠
      당연히 이론상에서만 존재합니다. 실제로 건조하려면 몸체만 수 킬로는 될겁니다. 아직은 먼 이야기죠

  • @낙법고수
    @낙법고수 2 года назад

    초저궤도의 희박한 대기를 연료로 계속 쓰면 지구 대기 시스템에 장기적으로 문제가 없을까요????

  • @나베쥴리
    @나베쥴리 2 года назад

    연구하지마. 안되는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