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물리2 23H불확정성 원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인하대 물리학2 23강 양자역학 1
    23H 불확정성 원리
    ppt 원고 위치 : blog.naver.com...

Комментарии • 16

  • @그여름날의추억
    @그여름날의추억 3 года назад +1

    17:57 플랑크 상수의 차원분석과 그 의미.
    가슴이 뜨거워집니다. 감사합니다.

  • @Digitalday_Tech
    @Digitalday_Tech 3 года назад +1

    최고입니다 너무 좋습니다

  • @canshin665
    @canshin665 5 лет назад +5

    오늘도 잘봤어요 교수님^^ 물리랑 아무 관계 없는 일 하고 있지만 재미있어요~ ㅎㅎ

    • @dcha
      @dcha  5 лет назад +5

      재밌다고 말해줘서 감사합니다. 그럼 말을 들을 때마다 큰 힘이 되어요. 더 잘해야 겠다는 다짐을 하게 됩니다!!😆

  • @aerockh
    @aerockh 5 лет назад +1

    강의가 너무 좋습니다!

  • @dyshin3357
    @dyshin3357 4 года назад +1

    불확정성의 원리를 말만 알고 있었는데 수학적으로는 조금 어려운 내용이었군요..
    하지만 교수님 설명을 들으니 무슨 말인지는 조금 알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항상 뉴턴역학이 ‘결정론적’이라는 말이 뭔지 참 와 닿지 않았었는데 이 영상으로 감이 오는 것 같아요.
    x(t)를 구함으로써 과거 현재 미래를 전부 알 수 있다는 이야기였군요...또 델타x 가 ‘변화량’인줄 잘못 알고 있었는데 관측 값의 표준편차로 정의되는 것도 첨 알았네요. 교수님 강의 들을 때마다 항상 많은 것을 알아가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헌준-i4r
    @정헌준-i4r 4 года назад +1

    교수님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강의를 듣다보니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드립니다. 물리학 9주차 07 하이젠베르크 에서는 xp>h로 표현하셨는데 여기서는
    xp > h/2로 알려주시는데 그차이가 무엇인지 알수 있을까여?

    • @dcha
      @dcha  4 года назад +2

      차이가 없어요. 불확정성 원리의 우변은 어떤 정해진 값이 아니라 그냥 hbar 정도입니다. 경우에 따라 앞에 계수가 1이 올수도 1/2 이 올수도 1/4이 올 수도 있어요.

    • @rookim2
      @rookim2 4 года назад

      @@dcha 교수님 감사합니다. 교수님 말씀처럼 우변이 hbar 도 있고 h 도 있고 상수도 다르던데 왜 그런건 가요? 수학적으로 계산된 공식이 아닌건가요?
      xp>hbar 식이 수학적으로 어떻게 유도가 되나요?

    • @dcha
      @dcha  4 года назад +2

      @@rookim2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가 우리에게 전해주는 메시지의 정수는 우변이 0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변이 어떤 수는 별 의미가 없어요. 하이젠베르크는 이 식을 유도한 것이 아니라 수소 원자 문제에 나오는 관련 경우마다 이런 불확정성의 곱을 계산하면 0이 아님을 발견한 것이지요. 이제 양자역학으로 불확정성 원리가 왜 성립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관심 대상이 되는 현상에 좌변을 (양자역학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0이 아닌 어떤 값이 나오는데, 그 값은 문제가 무엇이냐에 따라 hbar 정도에서 다른 값들이 나옵니다.

  • @gukrolee2756
    @gukrolee2756 3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102쪽 슬라이드에서 계산을 할 때 197.3/5 란 값을 계산하면 39 정도의 값이 나오는데 밑에서는 20 MeV 보다 크다고 씌여 있습니다. 40 MeV 보다 크거나 같다 라고 해야 할 것 같은데.. 왜 20 MeV보다 크다고 되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혹시 알려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아하, 어떤 분의 질문처럼 계수가 1이 될수도 1/2이 될수도 1/4이 될수도 있어서 계수가 1/2가 붙어져서 계산이 된 것인가요? 그런데 만약 1/40이 붙으면 1MeV가 되어서 증명하려고 하는 베타 붕괴에서 나온 전자가 원자핵에 있던게 아니다라는 것을 말할 수 없게 되네요.. 1/4 정도 까지만 될 수가 있는 것일까요?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 @dcha
      @dcha  3 года назад +1

      불확정성 원리는 어떤 값을 정확히 구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대강 어느 정도인지 감을 잡는데 이용해요 !! 물리학과에서는 order of magnitude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데 어떤 양을 a x 10^n 이라고 표현할 때 (여기서 a 는 1 에서 9까지) n 이 order of magnitude 이어요. 불확정성 원리는 hbar 의 1 x 10^0 의 order of magnitude면 됩니다. !!

    • @gukrolee2756
      @gukrolee2756 3 года назад

      @@dcha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 @김성진-m6b
    @김성진-m6b 3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불확정성원리에대해 공부하다가 weak measurement라는 걸 어디선가 듣게 돼서 공부를 하려고 인터넷에 쳐봤는데 이것에 관련된 자료가 별로 없어서....
    혹시 간단히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dcha
      @dcha  3 года назад

      내가 모르는 내용이어요.

    • @김성진-m6b
      @김성진-m6b 3 года назад

      넵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