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문법/ (5) 파생어(한정적접사, 지배적접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8

  • @가나다랑-f7o
    @가나다랑-f7o 4 года назад +1

    진짜 이해잘되네요..
    국어 공부 늦게 시작했는데
    다른 강의 보다가 이 강의 보니까
    머리 맞은거 처럼 깨달음이 오네요..

  • @chatgptkorean
    @chatgptkorean 2 года назад

    You are so much helpful...

  • @눈달기
    @눈달기 4 года назад +2

    선생님 공시 강의 하시면 진짜 선생님 국어 듣는 학생들은 국어 걱정 없을듯!!!! 현공시생! 감사함 느끼는중ㅎㅎ

  • @mjo9911
    @mjo9911 Год назад

    아무리 잠을 쫓으려에서
    잠의 서술성을 알아볼려고 아무리 잔다 라도 바꿔서 해석했는데 적절하지 못해서 잠은 명사라고 생각해도될까용?

  • @이하늘-b1e
    @이하늘-b1e 5 лет назад +4

    내일이 국어 시험인데 덕붕에 잘 알고ㅜ갑니다ㅠㅠㅠ

  • @코코팜-q2v
    @코코팜-q2v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서술성..어렵네요 하.,

  • @악의꽃-u3z
    @악의꽃-u3z Год назад

    서술성 있다. 는. 어케 구분하나요?

  • @ENFP-l4r
    @ENFP-l4r 2 года назад

    관형사에서 형용사로 바뀐게 품사가 바뀐거예요? 관형사랑 형용사랑 같은거 아닌가요?

  • @데일리-f5z
    @데일리-f5z 4 года назад

    쌤 서술성x /관형어(은,는,을,던)👉🏻접미사
    서술성 O/부사어(이,게,도록)👉🏻어미
    이거잖아요 근데 서술성이 정확히 어떤의미에요? 조금만 더 예시를 들어줄수 있나요
    ㅠㅠㅠㅠ
    글구 우리말에서 품사의 기능을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것은 접미사밖에 없다고 그러셨던거 같은데 이부분도 잘모르겠어요😭

    • @수지쌤의국어시간
      @수지쌤의국어시간  4 года назад

      1. 접사가 품사를 바꿔준다는 게 무슨 말이냐면요~ 먹이, 지우개, 낮추다 이 경우를 보면 먹(동사)+이(접미사)= 명사, 지우(동사)+개(접미사)=명사, 낮(형용사)+추(접미사)= 동사 이렇게 접미사들은 명사로 품사를 바꿔주지요^^ 믿음도 믿(동사)+음(접미사)=명사 이렇게요~~

  • @10minute13
    @10minute13 4 года назад +1

    질문있습니당~!
    파생어에서 (접두사+어근)은 무조건 100% 한정적 접사라고 하면 틀린 거 맞는거죠~?
    왜냐하면 메+마르다(동사) = 파생 형용사
    엇+되다(동사)=파생 형용사로 접두사가 앞에 왔을때도 품사가 바뀐 경우가 있어서용

  • @icy-winter
    @icy-winter 3 года назад

    '살리다' 에서 '리' 는 지배적접사인건가요?

  • @히히-s3b5l
    @히히-s3b5l 5 лет назад

    ‘헛고생’ 에서 ‘헛’은 관형사는 아닌가요?? 관형사는 명사를 수식하는데 헛고생에서 고생이라는 명사를 수식하는 거니까요...
    접사랑 관형사 구별하기기 너무 어려워요 ㅠㅠ

  • @sky-l6g2s
    @sky-l6g2s 4 года назад

    접두사에 메, 강, 숫, 엇 은 품사를 변화시켜준다는데 어떻게 봐야하나요??

    • @수지쌤의국어시간
      @수지쌤의국어시간  4 года назад

      그런것도 있긴한데 견해가 좀갈리는 부분이라 고등학교 문법수준에서는 따로 출제하지는 않아요~ 지금까지 한번도 출제된 적도 없구요😅
      참고로 덧붙여서 설명하자면 현행 문법에서 강, 숫은 동사 마르다, 되다라는 동사에 붙어서 강마르다, 메마르다처럼 형용사로 바꾸고 엇,숫 은 되다랑 결합해서 엇되다, 숫되다이런 형용사를 만든다 이렇게 설명하는 견해도 있고, 아예 마르다 되다라는 형용사를 설정해야한다는 견해도 있거든요, 예를 들어서 크다는 자라다의 일때는 동사, 그냥 big일 때는 형용사 이런거처럼 마르다를 두가지로 다 쓸 수 있는 동사와 형용사로 보자는 거죠, 되다도 마찬가지요
      그래서 고등학교 문법에서는 그냥 대체적으로 대부분의 접두사는 품사를 안바꾼다까지만 가르치기도 해요🐱

    • @sky-l6g2s
      @sky-l6g2s 4 года назад

      완전 감사합니다ㅠㅠ 선생님 영상 보면서 이해 엄청 잘 됐어요ㅠㅠ 감사합니다😆😂🤩🥳🥺

    • @sky-l6g2s
      @sky-l6g2s 4 года назад

      완전 감사합니다ㅠㅠ 선생님 영상 보면서 이해 엄청 잘 됐어요ㅠㅠ 감사합니다😆😂🤩🥳🥺

  • @주민혁-v6j
    @주민혁-v6j 4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캉캉-k4x
    @캉캉-k4x 5 лет назад

    '알다'는 형용사고 '알리다' 는 동사아닌가요???

    • @수지쌤의국어시간
      @수지쌤의국어시간  5 лет назад +23

      알다,알리다 둘다 동사 맞아요~
      동사 형용사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이건 약간 야매인데..^^,; 기본형(사전에 실리는 형태)앞에 졸라를 붙여보면 알 수 있어요~ 졸라 알다(×) 졸라 빠르다(ㅇ) 여기서 ×는 동사 ㅇ는 형용사예요 예를 좀 더 들자면 졸라 먹다× 졸라 예쁘다ㅇ 졸라 건강하다ㅇ 졸라 행복하다ㅇ ^^

    • @hannajung8165
      @hannajung8165 5 лет назад +2

      ㅋㅋㅋㄱㅋㅋㄱㄱㄱㄱ

    • @소금92-f4w
      @소금92-f4w 5 лет назад

      @@수지쌤의국어시간 ㅋㅋㅋ 샘 짱!

    • @비쮸-w8h
      @비쮸-w8h 4 года назад

      우왕!!!!!!

    • @악의꽃-u3z
      @악의꽃-u3z Год назад

      ​@@수지쌤의국어시간졸 라. 먹다도. 말되지않 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