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동 목동 왜 가려고 하겠어요" |태어날 때 부터 시작되는 교육의 차이, 10대들이 말하는 한국의 교육격차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helele-u8l
    @helele-u8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12

    현 고1로서 사교육비 얘기하는게 진짜 공감되는데 애들도 돈 걱정 진짜 많이합니다.. 어떨 때는 나 때문에 돈 다 깨지는거 같고 그렇게 했는데도 만족스러운 성적이 안나오면 진짜 미안해 죽어요 일부로 학원비로 더 지출하기 싫어서 부모님께 어떤 과목은 그냥 혼자 계속 해보겠다고도 해요 하ㅏㅎ

    • @valenrosie
      @valenrosie 4 месяца назад

      맞아요 사교육비 때문에 부모님께 미안해서라도 열심히 하게 되더라고요…

  • @초록매실6-EZ
    @초록매실6-E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83

    7:49 이거 진짜 맞는 말인 게 노력으로 2, 3 등급까진 받아도 1등급은 좀 다름.. 슬프지만 어쩔 수 없는 현실임

  • @계란빵-q2l
    @계란빵-q2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63

    수도권이랑 좀만 떨어져도 교육격차 현저히 나는건 현실임. 그래도 요즘엔 유튜브에서도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좋은 인강이나 비대면 교육서비스가 많이 생겨서, 본인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교육격차를 극복할 수 있음. 환경탓만 하면서 처지 비관하고만 있으면 안됨

    • @오이오이오이8
      @오이오이오이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게 맞지 ㅋㅋㅋㅋㅋㅋㅋㅋ

    • @scienceh2o
      @scienceh2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타당하다고 생각함
      환경탓만 하는애들은 대치동 가도 못할게 뻔함
      반대로 본인 환경에 만족하고 노력하는 애들은 대치동 학생들보다도 잘할 가능성이 있음

    • @도로몬-i9y
      @도로몬-i9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ㅇㅈ. 돈이면 다 되는 건 맞는데, 돈 없다고 다 안되는 건 아님.

  • @sominlee648
    @sominlee6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9:10 젤 후회하는게 대학교가면 이제 더더더더더더 가족과 보낼시간이 없다는거..
    거기다 대학교는 집이랑 대부분 먼거리의 타지역에 가는 친구들이 많음ㅜㅜ 취업하면 더 없겠지…

  • @고강민v
    @고강민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은아-f1k
    @은아-f1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4

    연출 신기하다 학생들의 목소리를 그대로 들을 수 있는 것 같아서.. 생각도 깊게 하게 되고 몰입되네요. 간만에 유익한 영상 잘 보았습니다

  • @lastnightonearthh
    @lastnightonearth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비교적 소득이 높은 집안은 근본적으로 돈 뿐만 아니라 정신이 건강할 확률이 높아서 공부를 제대로 할 수 있음. 가난하면 그 환경 때문에 정신도 가난해져서 공부를 제대로 할 수 없는 환경이 만들어짐.. 이겨내면 된다 이런 말은 가난을 한 번도 겪어보지 못 해서 그런 말 하는 거임.. 어렸을 때부터 결핍된 그 마음은 평생 못 끊어냄.

  • @user-ws1ch8xg4m
    @user-ws1ch8xg4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2

    10년 전만해도 훨씬 격차는 심했는데 요즘은 학생들 말한것처럼 유튜버나 인플루언서 처럼 길이 좀 열려있기도 하고 온라인교육같은 것도 잘돼 있어서
    점점 줄어지고있다고는 생각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완전히 없어지는 건 애초에 불가능하겠지만

  • @nameless4530
    @nameless453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1

    참고로 하버드생들도 자신의 노력으로 입시했다고 생각합니다. (마이클 샌델의 '공정하다는 착각' 발췌)
    부모의 소득 수준에 따른 교육 격차는 3살부터 발생한다는 게 정설입니다 (EBS에서 조사해서 다큐 낸 적 있음)
    미국 듀크대와 위스콘신 매디슨대 연구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모 소득에 따라 아이의 '회백질' 용량이 달라진다고 합니다.
    (회백질은 학습 능력과 사고력을 담당, 태어날 땐 같으나 성장 환경에서 차이를 보임)
    또한 서울대 의대 재학생 84.5%의 부모 소득은 연 1억 이상이며
    SKY 재학생 55%의 부모 소득은 1억보다 높은 월 900만 이상이었다고 합니다.
    이는 SKY에서만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소위 대학 서열과 비례한다고 합니다.
    부모 소득에 따라 자식의 입시 난이도가 달라지며,
    높은 소득의 부모는 높은 확률로 지능이 높아 자식에게 똑똑한 두뇌를 물려줍니다
    입시 뿐만 아니라 세상은 대부분 '운'으로 차이가 납니다.
    뭐든 자신의 노력으로 성취했다 생각하면 그건 오만이고, 근시안인 겁니다.
    똑똑해야 쉽게 배웁니다, 성취감을 느끼기 때문에 재미가 붙고 노력하게 되는 법입니다.
    따라서 세상은 공평할 수 없는 법이고, 승자는 오만하지 말아야 하며 패자는 자기 비하를 하면 안 되는 이유입니다.
    현실은 생각보다 잔인합니다

    • @nameless4530
      @nameless453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이 말이 '노력할 필요 없다' 라는 말로 해석하시면 안 됩니다.
      세상은 불공평하지만, 그럼에도 노력하셔야 됩니다.
      운이 있으신 분들은 설명하지 않아도 성취감을 느껴 열심히 하실 것이고
      운이 없으신 분들은 운이 없는 채로 태어났기에 노력을 안 한다는 선택을 할 권리조차 없습니다.

    • @drl1387
      @drl138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자식이 부모덕 보는건 불공정이 아니라, 당연이고 자연임.
      잘생긴 부모 밑에 잘 생긴 자식이, 잘 달리는 부모 밑에 잘 달리는 자식이,
      키 큰 부모 밑에 키 큰 자식 나오는걸 누구도 불공평 불공정이라 말하지 않듯이,
      돈 많은 부모 밑에서 그 돈의 덕을 보는 것도 당연한 것임.
      손홍민이 아버지에게 축구배운 것을 불공정이라고 말할 수있을까?
      당연한 것은 비판의 대상이 아니라, 이해와 수용의 대상임.
      이 세상이 생존경쟁의 장..이라할 때,
      그 경쟁은 개체간의 경쟁이 아니라, 핏줄 혹은 유전자의 경쟁임.
      개체가 가족과 분리된 객체라고 생각하니까, 혼자서 성공하지 않으면 불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이고,
      이는 착각이고 몰이해임.
      + 부모가 고학력 또는 부자여야 sky 갈 수 있다..는 말은,
      거꾸로 말하면, sky 보내려면 몇대가 노오력 해야한다는 의미임.
      선조들이 쌓은 공덕이 모자라 당대에 자식이 sky 갈 머리나, 재력이 안된다면,
      다음대, 혹은 그 다음대에라도 보내기 위해서, 현재의 노력을 해야한다는 것.
      돈을 벌든, 공부를 하든, 다른 음덕을 쌓든..
      그렇게까지 해서 sky에 꼭 보내야 한다....라는게 아니라,,
      하나의 가계에서 뭐든 그럴싸한 사회적 업적을 성취하는 사람이 나오는건,
      혼자의 노력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는 거임.

    • @좽동욱
      @좽동욱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소득이랑 지능이랑 비례하는건 어느정도 인정하는데
      왜 소득에 중점을 두는거임?
      소득이 높기 전에 생활습관,정신머리,성실성 이런게 당연히 뒷받침 되고 자식들은 부모한테 배워서 그래서 성적 높게 받는 세팅이 갖춰진다고 보는게 맞지 않나?ㅋㅋ
      딥하게 생각 못하는 근시안이 딱 학원 잘 다닐 것 같네
      괜히 엄한사람들 좌절감 주지말고 혼자서 생각해라 ㅇㅋ?

    • @scienceh2o
      @scienceh2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식인들이 많네

    • @오수-g7k
      @오수-g7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래그래 세상은 유전자, 환경, 운에 의해 모든 게 결정되니까 평생 그렇게 사쇼

  • @이소민-j5e
    @이소민-j5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성적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만, 공부만 놓고보면 아무래도 가정배경이나 중고등학교 주변친구들 학업수준이 영향주는건 사실임…

  • @tlsgn489
    @tlsgn48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진짜 우리사회에 필요한, 유익한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성이름-q8y4e
    @성이름-q8y4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꿈을 펼치는 시기에 시험이란 수단을 통해 계급을 나눠 기회를 막고 겉으론 거창하게 포장해놓고 속은 썩어있는게 대한민국 교육의 현실이다.

  • @짱이-o9b
    @짱이-o9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2

    알고리즘으로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좋은 취지의 영상이긴 하나, 단순히 이 몇명의 아이들과 나눈 이 질의응답만으로 대한민국 아이들의 생각이 이러하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굉장히 큰 착각이다라는 걸 알려드려야 할 것 같네요.
    이건 그저 일부 개인의 의견일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네요.
    현재 대한민국 입시의 상황은 정말 그야말로 케바케라서요. 실제 탈대치,탈목동 현상도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 영상보고는 언제 찍은 영상이지? 확인했네요
    또한 아이들 견해에도 모순이 있네요.
    공부를 못하면 인정을 못받는 나라인 것 같다고 다수의 아이들이 답해서 다들 대입을 목표로 향해가는 듯 싶었으나 마지막엔 또 대학을 굳이 나오지 않아도 성공할수 있다고 생각한다 쪽에 다수의 표가 몰린걸 보며 제가 요즘 아이들을 이해를 못하는 기성세대라 그런건지. . . 싶었네요.

    • @nameless4530
      @nameless453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솔직히 아이들이라 그런지
      주관이 명확하지 않긴 합니다.
      부모 소득에 따라 성적이 달라지는 데 동의했다가
      뒤에 가선 갑자기 노력만으로 입시할 수 있다 그러고..
      그냥 토론의 장을 열어줬다 생각해야 될 듯.

    • @chcomgk009
      @chcomgk009 4 месяца назад

      아이들의 견해니까 더욱 그렇지요 어른들의 견해라고 모순이 없는 건 아니니까요

  • @아-q3o7j
    @아-q3o7j 4 месяца назад +2

    근데 수도권은 학원이 있는대신 내신이 어려운거고..
    지방은 학원이 별로 없는대신 내신이 쉽자너
    농어촌도 있고 ㅠ 수시는 어느쪽이 더 유리하다 말하기 어려운 거 같음 정시면 당연히 서울이 유리하겠지만??

  • @s.k7568
    @s.k756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생각이 많이 들게 하네요

  • @Goderra
    @Goderr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6

    교육의 격차는 생기더라도 대학가는 건 지방이 더 쉬움 성실하기만하면.. 그후에 진로를 정할때나 어른이 돼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가 더 크다고 생각함

  • @NOVA71531
    @NOVA7153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이번 티처스랑 주제 겹치는 데 콜라보 해도 좋을 듯

  • @choice7524
    @choice752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대학 나온 부모님들 세대는 일단 최소 대기업에 다닐 확률도 높고 성실성 유전도 평균보다 높을수밖에 없다. 사교육으로 공부하는 학생들이 어마어마한 시간을 쓴다는 사실을 모르는거 같다. 좋은 학원이 숙제량이 상당하고 그걸 이겨내는 사람이다.

  • @blue-_-sky
    @blue-_-sk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돈이면 다되는 세상.... 그래도 노력이 빛을 바랫으면 하네요

  • @Wrfdsf
    @Wrfds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저렇게 빡세고,힘드니까 진짜부자들은 유학보내지

    • @user-ycgcvd
      @user-ycgcv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ㄴㄴ그렇다기보단 한국 미래를 보면 해외나가는게 나음

    • @Wrfdsf
      @Wrfds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ycgcvd 솔직히 한국이싫다,경쟁사회다 이런게아니라 저출산때문에 진짜나라망할것같아서 중국,일본이라도 정착하는추세인것같긴함

    • @JHL7889
      @JHL7889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중국 정착하는건 첨 들어보는데

    • @Wrfdsf
      @Wrfdsf 4 месяца назад

      @@JHL7889 칭화대,북경대,인민대가는거면 중국에서도 경쟁력이있으니까

  • @user-ib5fh9ps7x
    @user-ib5fh9ps7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목동 키즈들이 거의 대부분인 외고 다니는데, 교육 격차는 어느 정도를 생각하든 상상 이상임 같은 학교인데도 어릴 때 외국에서 살았던 애들이나 과별로 수준 많이 다름 솔직히 상위권 애들 제외하곤 그냥 일반고 수준임 근데 상위권 애들은 당장 수능 봐도 될 정도 최상위권 다 목동 키즈거나 외국에서 살다가 온 애들...

    • @valenrosie
      @valenrosie 4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목동 키즈인데 실제로도 정말 열심히 하는 애들 많아요.. 목동 일반고 다니는데 반에 외국 살다가 온 애들도 많고 공부하는 거 보면 대단하더라구요 그래서 더 자극받는 느낌..?

  • @이겨내자-r4p
    @이겨내자-r4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근데 대학이 성공을 보장하지않는건 래퍼나 배우가 아니라 사업에 성공한사람들만봐도 알수있어요

    • @tjdustjsd-z8c
      @tjdustjsd-z8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하지민 지금 학교나 학원 어른들은 대학을 못가면 죄인처럼 바라봐요 이게 현실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ycgcvd
      @user-ycgcv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연예인으로 성공하는 사람이 얼마나 된다고 극소수의 사람들을 보고 말하는거냐 ㅋㅋㅋㅋㅋ

    • @뻥튀기-u1p
      @뻥튀기-u1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그 비율이 너무 적잖아요....
      성공한 상위 1%로만 보고 사업하라, 연예계 진출해라 이런 소리는 재수하니까 성적오르니 재수하라고 말하는거나 다름없음.

  • @goldfinger1225
    @goldfinger122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무슨 입시가 인생에 전부인 줄 아는 애들만 모아놨네. 우리집은 부부 둘 다 스카이 출신이지만 저렇게 안키움. 무슨 대학만 잘 들어가면 인생 만사 해결인 것처럼 세뇌를 함

  • @Flcockffif
    @Flcockffi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서울이랑 경기도도 차이많이남 솔직히 부산 해운댜구나 대구 수성구는 서울이랑 다를바는 없다봄 오히려 경기도가 격차크지

  • @수연이-o9q
    @수연이-o9q 4 месяца назад

    공부를 못하는게 죄가되는 사회에서 살아가고 싶지 않다

  • @narin0428
    @narin042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중1잼인데 걍 공부나 열심히 하면 되자냐 멀 이렇게 따져;; 대충 살자 얘들아 공부가 다가 아니여

    • @scienceh2o
      @scienceh2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도 중1임
      그런데 가끔은 본인과 잘하는 사람들의 차이를 느끼면 동기부여가 되더라고

    • @user-ycgcvd
      @user-ycgcv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scienceh2o적당히는 괜찮은데 강박이 너무 심하면 정신적으로 안좋아서 그런거지

    • @lastnightonearthh
      @lastnightonearth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중에 고등학교 들어가면 충격 먹겠다.. 파이팅~😊

    • @scienceh2o
      @scienceh2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lastnightonearthh 고1수학 상 풀고있는데 딱히 충격먹을 정도가 아닌거같음

    • @yellowcarrot_
      @yellowcarrot_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scienceh2o문제가 되는 건 개념의 이해가 아니라 시험의 결과니까 당연히 지금은 충격을 안 먹겠지

  • @청경채-x3o
    @청경채-x3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근데 중학생들이 뭘 알려나? 솔직히 나는 중딩 때 진짜로 막 등수를 나열해서 컷 낸다는 거 보고 엄청 충격먹었었는데, 솔직히 고등학새이 아니라 중학생들 말은 좀.. 알아서 들으시길

  • @버스유저조디
    @버스유저조디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한번 생각해봤는데 교과서의 문제량이나 정보량을 더 높이면 안되나? 책을 두껍게 만들어서 교과서 하나만으로 수능도 어느정도 대비할수있게 하면 사교육비, 책값도 아끼지 않나?

    • @lastnightonearthh
      @lastnightonearth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렇게해도 교육청이 아무리 노력해봤자 필연적으로 기업이 어떻게든 사교육을 만듦 결론적으로 공교육 + 사교육 투자해서 효율 많이 뽑아먹은 애들이 대학 잘 갈 수 밖에 없는 구조

  • @허니써니-l8h
    @허니써니-l8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수도권 학군지. 부모의 경제력. 부모의 학력. 사교육
    학군지가 성적을 결정짓는 절대적 영향도 아니고 그게 답은 아니다. 이건 잘못된 프레임이다.
    입시는 아이 혼자 치를 수 없고. 아이의 역량을 경쟁력있게 키우고자 하는 부모의 열의와 관심의 노력이고.현명함이다.
    상위권 대학일수록 자기주도 학습역량이 높고. 사교육 의존율이 낮다. 하위권 대학으로 내려갈수록 사교육 의존율이 매우 높다.
    사교육이 성적을 결정한다는 착각을 버려라.
    대한민국 입시는 가스라이팅 되었다

    • @nameless4530
      @nameless453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예체능을 비롯한 세상 만사 재능의 차이가 있다는 걸 모두가 아는데
      정작 공부 만큼은 '노력 만능주의'..
      공부 만큼은 세상의 순리에서 벗어나 있다고 생각하는 사회죠.

    • @Noah-ge9el
      @Noah-ge9e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죄송한데 상위권대학으로 갈수록 사교육 의존율이 낮다는 통계적으로 증명된 사실인가요?

  • @treegeee
    @treegee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2 3등급은 노력으로 가능하지만 1등급은 돈과 가정환경 덕이라는 건 안타깝지만 틀림
    학원없이 인강패스만 끊어도 공부하는 법을 깨우치고 거기에 노력까지 더해지면 평균이나 평균 이상의 머리에서 1등급이 나오는 건데
    가정환경은 어느정도 ㅇㅈ 공부할 환경 자체는 갖춰져야지

    • @착한남-v3i
      @착한남-v3i 4 месяца назад

      지랄하네 ㅋㅋㅋㅋ 1등급은 노력보다 재능,, 지능 이다 멍청아

  • @나는제법머리가좋다
    @나는제법머리가좋다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환상이 너무 심하네 그냥 공부 관심 많은 사람이 교육열 높은 지역들에 몰리니까 중하위권이 없어서 평균이 높아지는 정도지 거기에도 대다수는 허수들임 수시는 몰라도 정시는 인강이나 대치동 현강이나 진짜 아예 똑같음 시대인재같이 실모 엔제 많이 주는 학원은 몰라도 차이가 없단 말임 걍 핑계임

    • @크리스탈팰리스
      @크리스탈팰리스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혹시 그런 동네에 사셔서 그런건가요 지방오면 그런 말을 절대 못하실텐데요

    • @Hiirooshii
      @Hiirooshi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강 현강은 인강듣는 경기권 사람이라서 그런가 뭘 말하고자 하는건지 알거같음.

    • @나는제법머리가좋다
      @나는제법머리가좋다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크리스탈팰리스 지방에서 독학재수하는데요 ;

    • @크리스탈팰리스
      @크리스탈팰리스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는제법머리가좋다 그럼 교육열 높은 지역엔 가보신적이 없는 거 아닌가요 근데 ㅇㄷ 지방이길래 그렇게 살만하신지요

    • @나는제법머리가좋다
      @나는제법머리가좋다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크리스탈팰리스 수시는 제도 자체가 폐단이니까 제외하고 정시만 이야기하자면 암만 생각해도 지역별로 교육 질이나 정보력은 차이없고 그냥 공부하기 싫은 사람의 핑계임 메가스터디 대성마이맥 이투스 강사들이 그 유명한 대치동에서 일타먹는 강사들이고 심지어 요즘은 그 유명한 시대인재나 대성학원 현장 강의 자료도 온라인 비대면반으로 풀려있음 현장강의 직접 가서 듣는것보다 다들 훨씬 저렴 면학 분위기 정도는 몰라도 지방이 학원이 뭐 어쩌고 이딴소리하는 건 정말 인터넷 좀만 뒤져도 나올 정보들을 알아볼 노력도 하지 않고 공부할 생각도 별로 없으면서 그냥 남탓 환경탓 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하는 한심한 짓임

  • @Zxmcalw
    @Zxmcal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금수저 집안에서 태어났는데 공부 잘해야지..어쩌것누

  • @송호준-g7d
    @송호준-g7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글쎄. 요즘같은 시기에 굳이 학군지를 고집할 필요도 없고, 일장일단이 있음.

  • @1hourmusic324
    @1hourmusic324 Месяц назад

    밀당 쇼츠를 보며 확신한 부분. 대부분의 사람은 못생긴게 기본값이다.

    • @현-v5x
      @현-v5x Месяц назад +1

      일단 너 때문에 내려간 값ㅇ임 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