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광한루와 춘향가 Gwanghallu Namwon, KOREA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춘향가는 판소리 다섯 마당 중 하나로서 춘향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작자미상으로서 조선시대 동리 신재효가 원래의 춘향가를 수정한 것이 지금에 이른다. 남원 부사의 아들 이몽룡이 퇴기 월매의 딸 춘향이와 사랑하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이다. 봉건사회의 모순에서 인간성의 광복을 부르짖은 내용으로 국문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며, 조선 말 서민문학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다. 판소리 5마당 가운데서 규모도 크고, 음악적으로 가장 뛰어나다.
The Chunhyangga is one of the five surviving stories of the Korean pansori storytelling tradition. The other stories are Simcheongga, Heungbuga, Jeokbyeokga and Sugungga. Although based on older traditional songs, it was composed in its present form in the 1870s by the pansori writer Shin Jae-hyo.
The story is set in Namwon, in Jeolla province, where an annual Chunhyang Festival is h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