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육의 치명적인 4가지 문제점 알려드립니다!(김누리 중앙대 교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3 авг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415

  • @daegizatv
    @daegizat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5

    2028학년도 대입개편을 앞두고 우리가 그간 놓쳤던 교육현실을 김누리 교수님과 나눴습니다!!
    📢방종임 편집장 신간 '자녀교육 절대공식'
    👉예스24 bit.ly/3GEb8xW
    👉교보문고 bit.ly/3GD2907
    📢교육대기자TV 인스타에서 만나기

  • @user-vd4wf3wd1i
    @user-vd4wf3wd1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8

    우리 아이들이 더 병들기전에, 우리의 교육이 더 늦기전에 변화하기를 진정으로 바랍니다. 근원적이고 신랄한 비판 감사합니다~

    • @PETBOY
      @PETBO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부모들 때문에 절대 안바뀌니 꿈깨세요.

    • @user-cv3qt5cv3z
      @user-cv3qt5cv3z 4 дня назад

      @@user-vd4wf3wd1i 어쭙잖은 인성교육때문에 아이들이 더 병들고 있어.
      현실과 괴리있는 조언은 하지마라.
      더경쟁적으로 해야 공정함.

  • @nanau5817
    @nanau581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8

    저는 한일 부부로 일본에 살고 있습니다.큰아이가 중학교를 가면서 알게된게 초등학교때 시험은 객관식이 주류를 이루더니 일본전국의 모든 중고등학교는 모든 시험 답안이 주관식 이더군요.. 깜짝 놀랐습니다. 완벽하게 공부를 이해 하지 않으면 당연히 답안지를 쓸수 없는 시스템이라 책을 더 가까이 하더라구요. 배경지식을 알고 싶어 궁금해 하기도 하고 관련 책을 읽다가 카테고리로 환경문제에 관해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더군요. 환경에 관해 소논문을 쓸정도로 자기가 무엇에 관심을 가지는지를 찾아가는 길도 보이는것 같기도 하고.. 그럼에도 불구 하고 일본은 거의 모든 중고등학생은 학교 특활 활동을 의무로 하고 있어서 들어가고자 하는 학생에겐 학교에서 무료로 악기를 대여해주고 레슨도 무료로 해주고 오케스트라 클럽이 있습니다. 악보를 읽을줄 몰라도 가서 배우고,가르쳐주고, 스포츠는 무조건 합니다..그래서 귀가는18시가 평균이구요..클럽 연습 활동이 과도하게 되는걸 방지하기 위해서 18시 이후엔 귀가를 하도록 새법이 얼마전에 개정됐습니다..그래서 공부에만 모든 아이들이 매달리지ㅡ않아요..교수님이 말씀하신것에 깊은 동감을 합니다… 아이가 아이로 자랄 시간이 고작12년입니다… 그때를 공부로만 놓치면 아이들이 너무 가엽습니다..왜 아이를 안낳을까요? 정부는 세상을 바꿀생각을 해야지.왜 아이를 안낳을 생각만 하게 할까요? 내가 하면 다른 사람도 할거예요.. 그렇게 되고 싶었으니까…우리가 인식을 바꿔나가야 하지 않을까요? 이렇게 살아도 의대도 치대도 도쿄대도 다 갑니다…

    • @user-lp8yx6gb1c
      @user-lp8yx6gb1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1

      우리나라는 아직도 일제시대교육이네요 오히려 일본은 유럽이나 북미의 교육이구요.. 참 문제많아요

    • @user-wl9yz3kp8j
      @user-wl9yz3kp8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돌고 도는 주입식교육.
      역사가 반복된다.

    • @Rrrrrrrrrrrrrllllllllllllll
      @Rrrrrrrrrrrrrlllllllllllll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쓰레기같은 구린 교육 언제까지 받아야되냐

    • @jackynzkiwi
      @jackynzkiw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거짓날조네

  • @user-tx6ll7fj8u
    @user-tx6ll7fj8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안녕하세요 김누리 교수님 저는 한국에서 자폐성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서 올해 숭실대에 입학한 여학생이에요, 교수님이 발간하신 책 읽어 보았는데 한국 사회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등을 너무나도 잘 적어 주셨어요
    저는 한국에서 12년 동안 교육을 받으면서, 오로지 좋은 대학애 가는 것을 목표로 공부를 했지 내가 진정으로 무엇이 되고 싶고,어떤 것을 하고 싶은지, 스스로 저의 삶을 관리하고 책임지는 법을 배우지 못했어요. 저도 남들이 다들 대학에 가니까 어쩔 수 없이 가계 된 것 같아요,
    게다가 저는 학창시절에 이성친구를 만들고 싶었는데요 하지만 주변 어른들의 반응은 냉담했어요“ 벌써부터 그런 거에 관심 가지지 마라가 전부였어요“
    한참 인격이 형성되고, 사람들과 어울려서 조화롭게 살아갈 이 시기에 왜 그렇게 금기시하고 도덕적 잣대를 들이밀면서 좋지 않게 보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성교육은 우리의 윗 세대인 부모와 어른들에게 실질적으로 책임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마저도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이죠.
    암튼 한국에도 이렇게 멋지고 진정한 교육자가 있다는 사실이 존경할 만 하고 , 앞으로도 계속 응원하며 지켜보도록 할께요

  • @user-by5qj4tb8l
    @user-by5qj4tb8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1

    대한민국 대학을 졸업한 부모들이 이 이야기가 얼마나 와 닿을까 싶네요
    자신이 배웠던 교수가 아직도대학에 있고 심지어 대학의 평가도 교수의 수업내용을 얼마나 기억하고 있는가로 여전히 평가하고 있다고 생각햐는데
    그런 교수들이 뽑는 대입에 얼만큼 자기의 생각을 반영하고 평가하는 기준이 있다고. 신뢰할수 있다고 보는지.. 물어보고 싶네요. 교수님의 저 내용은 대학부터 실천하고 현실화해야 납득될수 있을 겁니다

    • @ljs6739
      @ljs673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학이 바뀔려면 김누리 교수 정년부터 줄여야 할꺼요? 근데 안하겠죠ㅋㅋ 정작 재직중인 학교서 평이 그닥이더군요.

    • @jhjung498
      @jhjung49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니요 반대로 알고 있는겁니다 교수가 창의력을 유도할 구조를 만들려하면 공정을 들먹이며 스스로가 이 철창속에서 나오려하지 않습니다 신임교수라고 해서 다를까요? 아뇨 학생들이 더더욱 단편적인걸 원하고 그들이 교수강의를 평가하니 변화가 있을수없습니다

    • @user-by5qj4tb8l
      @user-by5qj4tb8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jhjung498 글쎄요
      누구나 자기가 경험한 틀속에서 판단하죠.
      자신의 대학생활을 돌이켜봤을때를 기준으로 판단할겁니다.
      20년이지났는데
      교수진은 크게 바뀌지 않았더군요
      그런 교수진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데 글쎄요..
      공정의 가치를 가지고자 하는건
      너무많은 비상식적인 것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이번 우리지역에서 서울대 의대생이 나왔습니다. 물론지균의 자격은되었지만 1등급이 커트라인 일등급이고
      수능또한 20개정도 오답에최저맞춘 일등급도 커트라인이고
      소풍 수학여행학교행사 참여도 예체능 수압참여도 봉사활동도 출결만 하고 사라지는 모습이었고 공동체보다는 오직 자신의 목표에만 집중하던 독한 이미지가 강했던 경우였는데 서울대 인재상에 부합했는지 합격했습니다. 그 합격이 후배들과 지역에서는 영광과 축하가 아니라 그 평판의 학생이? 라는 의문문을 가졌구요.
      코로나로 2학년 2학기 내신이 나빠 정시로 돌려 수능2개 틀리고도 과2선택하지 않아 타학교 합격을기다리고 있는 학생과 비교해보면 여러모로 납득이 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물론 대학에서는 생기부와 면접을 기반으로 하니 모를수 있고 이를 기재하지 않은 학교의 탓으로 돌릴수도 있겠지만..
      이를 예방하지 못하는 시스템을 먼저 주목하지 않을까요?
      학부모가 교수진과 학교를 믿지 못하는게
      단지 학부모탓만은 아닐겁니다.

  • @ymk6063
    @ymk606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공감 천만퍼센트입니다. 공부는 지식을 집어넣는게 아니라 책을 통한 지식으로 자신의 새로운 창의적 생각과 견해를 끄집어내는것이 공부인거죠.김누리 교수님은 대한민국의 보물입니다.제발 이. 미친한국교육을 바꿔주세요 ㅜ

  • @user-eq3jl7vt1v
    @user-eq3jl7vt1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저는 지금 35살 남성입니다. 저는 약 10년동안 교육적일 부분에 관심이 많아 교육이라고 하면은 그냥 지나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교수님 정말 잘 나오셨습니다. 나와 주셔서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 인간 병기가 되는거 같았습니다. 한 분야의 쏠림은 결국 그 나라의 망하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하고 또 들었습니다.
    그리고 전 살짝 놀랐던 점이 근본적인 원인이 일본과 6.25전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그말씀을 하시니 너무 놀랐습니다. 나와 주셔서 정말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aliceyang319
    @aliceyang31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8

    김누리교수님 말씀 깊이 동감합니다. 성숙한 존엄한 안간으로 기르자...감사합니다 ~

  • @nike2399
    @nike239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사교육 안보내면 됩니다. 그런데 어머님들 불안해서 그렇게 안하시자나요. 우리 애가 뭘 잘하고 그 부분을 어떻게 이끌어낼지 고민하고 행동하셔야죠.
    그런데 가장 큰 문제는 그냥 학원에 보내고 방치하거나 안보내면 뒤쳐진다고 보내자나요.
    사교육 보내지 마세요.

  • @user-xf4jy3nt7l
    @user-xf4jy3nt7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19분 내내 휘몰아치네요. 서울대 재수생이 저리 많을 줄이야. 진짜 놀랍습니다ㅠㅠ

  • @user-qb5ep8hd7b
    @user-qb5ep8hd7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8

    마약과 테러가 난무하는 이 사회가 어쩌다 이렇게 되었나 했는데. .이 강의에 답이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정말 근본적이고 통찰적인 이 생각이 널리 퍼져 정책입안자가 귀담아들었으면 합니다

  • @shannonyi275
    @shannonyi27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가장 중요한 건 교육제도보다 부모의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나라에서 초등때 의대반보내고 고등학교 수학까지 선행하라 애들을 4세부터 학원돌리라 한 적 없어요. 부모가 중심을 잘 잡고 아이들이 공부를, 학교를 즐거워하도록 편안히 이끌어나간다면 변화가 오겠죠. 본인이 바뀌지 않는한 교육제도가 어떻게 변한들 엽기적인 행태가 어떻게든 새로운 형태로 나타날거라 생각합니다.

    • @FireDawn-tg1pj
      @FireDawn-tg1p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어짜피 일부 생각있는 부모들 제외하면 대다수 사유할줄 모르는 대다수 인간들은 문제인줄도 모르고 무지성으로 입시뺑뺑이 할게 뻔하기때문에 제도를 완전히 뜯어고치면 의식도 억지로 바뀔거라고봉

    • @PETBOY
      @PETBO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부모들 때문에 절대 안바뀌니 꿈깨세요. 부모 교육이 제일 문제임. 바껐으면 진작에 바껐음 30년전에도 비슷한 사설있었는데 아직도 안바뀜

  • @user-rw5il1oq9q
    @user-rw5il1oq9q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7

    교육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를 짚어 주셔서 너무나 공감하며 들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우리나라의 교육개혁을 위해 계속해서 목소리를 내주시길 바라고 우리들도 관심을 갖고 함께 교육개혁을 위해 각자의 위치에서 실천하고 노력해 나가기를 바랍니다

  • @khyeran1
    @khyeran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너무 구구절절 맞는 말씀이세요. 그런데 그 옛날 과거봐서 급제한후 출세했던 그 시절 부터 오늘 날 까지 학력으로 그사람을 평가하는 사고가 깨지지 않는 한 그저 이상적인 생각이지요. 여전히 회사에 들어갈려면 4년제 대학졸업자 이상만이 이력서를 낼수 있으니 일반적으로... 교육이 바뀌어서 굳이 공부가 다가 아니고 학벌이 다가 아니어도 자신의 재능과 능력 관심도 따라 다양한 진로가 많다면 너무 좋겠죠.

  • @user-tk6mx3wg9f
    @user-tk6mx3wg9f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diginity라는 단어 오늘 처음 들었는데요. 너무 멋진 단어네요. 우리 교육에 꼭 필요한 단어, 머리에 심고 갑니다. 영상 👍👍

  • @user-fn3xf5qy3c
    @user-fn3xf5qy3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9

    교수님~ 요즘 교수님이 하시는 말씀들 들으면서 많은 반성과 통찰을 얻습니다.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주시고 저도 뜻을 함께 하고 싶습니다~

  • @seheekim234
    @seheekim23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0

    내용 하나하나를 곱씹게되는
    너무 너무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부모로서 아이에게 나는 어떤 가치관으로 무엇을 전달하고있는가 생각하게 되네요. 두 분 모두 감사합니다~

  • @user-ou2bb4lk2u
    @user-ou2bb4lk2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존엄성을 가진 아이들이 많아지는 사회가 되길 기도합니다

  • @jjjjjjjjjjung
    @jjjjjjjjjjun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9

    너무나 좋은 말씀입니다. 과거보단 물질적으로 풍요로우나 정신이 황폐화 되어있고 자신보다 못 가진 사람은 멸시하고 인간존중이란 것이 소멸 직전에 있는 사회입니다. 지금 시점부터 인간성회복을 위한 교육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그런 교육관을 가진 자가 대통령이 되는 시대가 와야 합니다. 너무나 좋은 강의라 두고두고 청취하며 아이들교육의 기준으로 삼도록 하겠습니다.

  • @bebetube21
    @bebetube2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김누리 교수님 말씀을 듣고 있으면, 지난 청소년기 시절이 생각나면서 치유받는 듯한 느낌이 든다. 기존 교육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문하고 질문 하던 나는 필시 혼나거나 멸시, 비웃음을 당할 뿐이었다. 참 외로웠다.

    • @ymk6063
      @ymk606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님이 그시절 젤 창의적이고 똑똑했던거죠. 무식하게 달달 외우는 기계만 양산하는 한국에서만 인정못받을뿐.

  • @user-wn2gc4by5v
    @user-wn2gc4by5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교육 개혁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들 보면 너무 안쓰러워요.

  • @treenwater
    @treenwate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지극히 이상주의적인 것 같아요.^^;;; 유토피아 같은...그리고 이런 현실에서 열심히 살아가는 많은 아이들을 너무 극단적이고 단정적으로..부정적으로 말씀하시는 것 같아요. 물론 걱정이 되는 부분은 모르지 않죠. 글쎄요... 정말 부모들이 모를까요? 아님 알면서도 울며겨자먹기로 버티는 걸까요?
    저는 한국의 이런 교육은 직업과 관련된다고 생각해요. 유럽은 대학을 가지 않아도 먹고 사는 문제 없고 비정규직 되어도 사는데 문제 있는 나라가 아니에요. 우리나라는 기술직으로 현장 실습에서 죽어나가는 청년들이 한둘이 아니었죠. 전문직이 아닌 비정규직으로 살다보면.. 그것도 부모도움 없다면 평생을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힘들죠. 공부라도 잘해서 안정적인 직업이라도 갖추지 못 한다면 얼마나 삶이 힘들어지는지 그 현실을 알기에 불안감이 오늘날 이 병폐를 만든거죠.
    이렇게 먹고 사는 게 치열한 현실에서 교수님의 말씀은 지극히 이상적인 말씀인 것처럼 들려요.
    직업의 다양성과 삶의 질이 보장된다면 이런 문제는 사라질 거라고 봐요. 아직 우리나라는 공부 안 해도 다른 길을 찾아도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을 수 있는 사회가 아니니까요.(물론 세상이 달라져서 유튜버 등등 직업을 창출하는 시대라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것도 쉽지 않지요.)
    아무리 교육이 천지개벽하게 달라져도 세상의 직업이 보이지 않는 극심한 계층화와 차별화가 심각하게 존재하는 한.. 특히나 더욱 심각해지는 오늘날 쉽지 않아 보입니다ㅜㅜ
    물려받은 재산이 많지 않다면 어쨌든 악착같이 공부해서 안정적인 직업을 찾아야 나도 남도 돌아볼 수 있으니까요. ㅜㅜ
    전문가분들 외국의 이야기 많이들 하시는데... 외국 교육 좋은 거 누가 모르나요? 요즘 부모들도 교육학 전공이고 유학도 다녀오고 아는 사람들 많아요.ㅜㅜ 오늘날 우리교육 문제인 것은 모두 알아요.ㅜㅜ 근데 다 외국 갈 수 있는 것도 아니고요. ㅜㅜ 현 상황을 바꿀 수 있는 힘이 학생과 학부모에겐 없잖아요. ㅜㅜ 이 척박한 주어진 현실에서 살아내고 버텨내는 것도 충분히 대단한 것이라 생각해요. ㅜㅜ

  • @CK-jl5fx
    @CK-jl5fx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6

    이런 이야기 더욱 공론화되어 시민들 의식이 한 층 업그레이드 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 @MINMIN12336
    @MINMIN1233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이 영상은 진짜 많이 공유해야겠어요ㆍ정말 뭉클한 내용이었어요

  • @user-lq4hz2kl3y
    @user-lq4hz2kl3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영상 보는 내내 소름돋았습니다...무의식중에 느낀 우리 교육의 병폐를 이렇게도 정확히 짚어주시다니! 2부 기대하며 기다리겠습니다♡

  • @anaris5584
    @anaris558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BTS등 k팝스타, 손흥민, 삼성, lg등등 외국에 나가서 우리나라를 볼 때 그래도 다른나라에 비해 이 쬐끄만 나라가 세계에서 이렇게 발전한 것은 우리나라의 특이한 교육열도 영향을 줬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인도를 보면 더욱더요~~

  • @higogogogo189
    @higogogogo18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의대반이든 레테든 뭐든 제발 멈춰야할텐데 엄마들도 불안해서 그런거겠죠. 보여주기식 레벨업 등등 주위를 신경쓰는 한국… 너무 속상해요… 돈만 많다면 해외로 나가고싶어요

  • @user-lb1qh8dn9l
    @user-lb1qh8dn9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교육의 문제점을 말씀하시기 보단 본인의 생각과 본인의 이념을 얘기하려고 나오신듯요
    죽은 지식은 뭐며? 산 지식은 뭔가요?
    한국 학생들을 너무 비판하시는데
    정체성.자아 가지고 있는 아이들도 많아요~
    정치색 느낌이 나는건 제 기분탓일까요?

    • @user-kk3sz7qn7f
      @user-kk3sz7qn7f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성교육은 정치교육이라고 하면서 이상한 성교육 하고 다니셨던거 같은데 매우 정치적이죠.

    • @yorigaza
      @yorigaz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이분 민주노동당 출신이고 유시민과도 인연이 깊다고 네이버에 나오네요ㅎㅎ

  • @dhk1126
    @dhk1126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잘못알고계시네요
    1. 서울대 수학 교양과목은 수능 시험 내용과 전혀 다르다. 너무 당연히도 수능 씹어먹고온애들인데 수능과목을 왜가르칠까요
    2. 서울대 수학 교양은 듣지 않으면 졸업을 못하는 필수교양이므로 특히 이과계열이면 모두가 듣는다. 당연히 인기없을리가.. 안들으면 졸업을 안시켜주는데
    3. 수학 교양은 수능에 하등 도움이 안되므로 반수생들은 수학 교양 공부를 설렁설렁하거나 아얘 하지 않는다. 당연히 반수생들한테 수능 인강들을래 서울대수학 수능에 나오지도않는 면적분 선적분 스토크스정리 공부할래 하면 뭘 선택할까요..;;;
    너무 당연한 점들이죠..;;

  • @user-lp8yx6gb1c
    @user-lp8yx6gb1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김누리교수님 응원합니다 편집장님도 응원합니다 아이들의 행복과 부모님들의 허리휘는 사교육비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해 하루빨리 입시교육제도 바꾸어주세요 늘 좋은 인터뷰 감사드립니다❤😊

  • @eazy8009
    @eazy800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영상 보는 내내 교육현실에 쐐기를 박으신 교수님말씀에 눈물이 날지경입니다. 대입 뿐 아니라 대학도 마찬가지인 듯 합니다.
    예전에 ebs에서 다룬 서울대 학생들의 수업태도방식을 촬영했는데 고등교육의 연장수업같다고 할 정도로 본인의 생각없이 교수님의 말씀 농담 하나하나를 받아적거나 녹음을 하거나 노트북에 그대로 옮겨적고 달달달 외운다고 들었고, 또 그대로 적으면 성적이 잘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자기 자신의 생각이나 반론을 적으면 성적이 떨어진다고... 너무 충격적이였어요!
    교육의 근본을 바꿔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겉핧기식으로 째끔씩 색깔만 바꿀 뿐입니다. 고교학점제고 뭐고간에 대입을 뒤집기 했으면 좋겠습니다. 희망사항이지만ㅠㅠ
    2부 꼭 챙겨보겠습니다!!!

  • @user-ds8uj9rb7k
    @user-ds8uj9rb7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4

    세상 현실 모르고 자기주도성 갖춘 학생들에 둘러싸여 사는 상아탑 교수다운 조언이네요..과연 대학교수간에 경쟁이 도입되면 그렇게 사실 수 있을까요? 공허하고 순진한 조언입니다.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란 인간생태계도 결국은 적자생존이라는 겁니다...

  • @Joyce-ss3oq
    @Joyce-ss3oq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보면서 고개가 절로 끄덕여지네요 오늘 방송내용 전 너무 공감되고 좋았습니다

  • @sojungpark9366
    @sojungpark936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김누리 교수님~ 여기서도 뵙네요^^ 항상 깨우쳐주시는 말씀 감사합니다!

  • @user-tk5su3bk2b
    @user-tk5su3bk2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문제의식에는 공감합니다, 그런데 대안은 무엇일까요? 또 혹시라도 어느 나라의 교육이 이상적인 교육을 시키고 있는것인지요?하브루타나 프랑스의 바깔로레아방식으로 해결되는 것일까요? 한국교육의 문제는 너무 크지만ㅠ 수능을 도외시할수도 없구요. 어떻게 도와야 하는 걸까요. 부모의 노력으로 가능하긴 할까요.

    • @goapple1015
      @goapple101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문제점에 대해 잘 지적해주셨고, 저도 놀랐고 공감됩니다. 하지만 대안이 있어야겠죠. 대안없는 문제 지적만은 공허해요. 2부에서 대안 제시 해주시나요? 기다릴게요.
      우선 우리나라 사회구조, 제도, 인식이 먼저 바뀌지 않는한, 백날 교육제도 바꿔도 계속 똑같아요.
      이런 현실에서, 당장 고등학생들이, 학부모들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goapple1015 100%동감합니다.

  • @user-ct2xi5no3t
    @user-ct2xi5no3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구구절절 공감하고 갑니다. 그동안 이건 아니다... 했던 것들이 교수님 설명을 통하니 명확히 해석이 되네요. 파시스트를 길러내는 교육이었다는 부분은 충격적이면서도 정말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에요. 씁쓸합니다ㅠㅠ

  • @user-oo8zd4ph7h
    @user-oo8zd4ph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독일이야말로 진정한 선진국이 아닐까 합니다 교육이 그나라의 다 라해도 과언이 아닐텐데, 부모부터 깨어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절실히 듭니다 김누리 교수님의 조언을 나침반 삼아 나아가고 있습니다
    아무도 문제삼지 않는 우리 입시 문제에 언제나 바른 목소리 내주셔서 감사드리며,초대 해주신 대기자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 @anaris5584
    @anaris558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보다가 하도 답답해서 이렇게 댓글 달게 되네요. 교육문제가 어디서부터 고쳐야 될 지 총체적 난국이지만, 진로등 취업과 직결되는 부분이라 이점을 고려하지 않은 의견은 무시해도 된다고 봅니다 걸러서 들어야 됩니다
    김누리 교수님이 중앙대 교수직 내려놓고 백수상태로 3년은 버티신 다믐 이런 말씀 하시면 의견에 공감하겠습니다~~
    우리 아이들 자기진로에 대해서 나름대로 고민이 많습니다

  • @yhkm4156
    @yhkm415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너무나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그런데 그럼 학부모인 저희는 뭘 어떻게 해야하는걸까요?ㅠ

  • @user-nf3qm3qh9i
    @user-nf3qm3qh9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서울대에서 반수를 하겠다고 수학을 한다고....? 전혀 아님 모든 이공계 학과에서 수학이 필수과목이기 때문이겠지~ 패배자라고 스스로를 인식한다고 자기존엄이 없다고........? 지나가는 서울대생인데 어이없어서 웃고갑니다~

    • @user-lm4kw6cu6g
      @user-lm4kw6cu6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러니까 나라가 망해가지

  • @229shin
    @229shi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디그니티(dignity)! 내가 얼마나 존엄한 존재인지를 아는 과정이다.

  • @popgo8010
    @popgo801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독일은 이미 초4때 공부 못 하는 애들은 기술가르치잖아 강제로
    근데 우리는 계속 모든 애들을 경쟁시키잖아
    최상위층도 쉴수가 없는거지

  • @user-by5qj4tb8l
    @user-by5qj4tb8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존엄함을 강조하려고 시도해보니 부모의갑질 어긋난 학생의 인권강조로 드러나고 있죠

  • @rang7486
    @rang748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제도 안에서 성실히 해내고 있는 친구들을 너무 평가절하 하시는것 같아요, 물론 비판의 의도와 교육의 방향성에는 찬성하지만
    본인이 바꿀수 없는 환경에서 최선을 다하는 안쓰러운 아이들을 너무 박하게 평가하시는 것 같아 속상합니다~ 우리 어른들이 빨리 바꾸어 주도록 해주세요,
    열심히 하는 아이들도 옳지않다고 보이는 부분에서도 바르게 하려고, 자기시간을 희생하고 참아가며 오늘을 해내가고 있답니다.

  • @ju-hyekim9061
    @ju-hyekim906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교육대기자티비 점점 내용이 더더더 좋아지는 것 같습니다. 김누리 교수님 초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od4re4kd5m
    @user-od4re4kd5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무언가 한대 얻어맞은 느낌!! 정말 맞는 말씀이네요!!!

  • @user-kv7uk8lx2l
    @user-kv7uk8lx2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3

    그렇다면 잠재력을끌어내는 살아있는교육을
    하고있는 나라가 어디일까?
    유토피아적인 교육관인듯...
    저교육관이 맞다치면 과연
    현실에어떻게 적용할수있을까?

    • @anfroanfro123
      @anfroanfro12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독일이요

    • @user-ni7dj2oe2r
      @user-ni7dj2oe2r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적어도 학문분야 노벨상 0개인 나라에서 사는 사람이 할 소리는 아닌듯요

  • @TV-ni9ws
    @TV-ni9w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제발 바꿔주세요 간절히 바라는 일인입니다 ..늘 제맘속에서 맴도는 생각들을 꽉 뚫어주시는것 같습니다 이 교육은 기득권들의 영역이라 안된다는 무기력함으로 그저 아이들과 불안함속에 버티고 있습니다 학교는 보내야하는데 아닌걸 알면서도요
    자주 뵙고 싶습니다 강연 많이 해주세요

  • @bullbio5090
    @bullbio509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좋은 말이고, 좋은 비판은 인정하나, 정작 교육정책에 대해서 아무것도 할 수없는 그것도 교육과는 상관없는 독어독문학 교수의 넋두리로밖에 안들림ㅡ더군다나 문과에는 적용될 수는 있으나, 이공계교육에는 아무 쓰잘때기없는 내용~~^^자기 생각이 담겨있는 답안?? 과학적지식을 배우는 게 기본인데

  • @user-le1lk6ed1r
    @user-le1lk6ed1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교수님 말씀 훌륭합니다
    하지만 요즘 엄마들도 많이 생각이 바뀌고 있어요
    물론 여전히 의대ㆍ공대ㆍ서울대를 선호하는건 맞지요
    그렇다고 미국은 쉬울까요 ?
    아니요 아이비리그 들어가는 친구들 공부뿐 아니라 예체능 특히 그룹활동경력도 챙겨야죠 더 바빠요
    오히려 구몬 지사가 해외에서 더 잘되요
    엄마들도 아이들 많이 체험하고 꿈을 찾게해주려고 애쓰고 있어요
    근데 워낙 스마트폰세대이고
    엄마아빠는 40대인데 ㅡ아날로그의 권위적 부모밑에서 밑으로는 mz신세대에껴서 많이 혼란을 느끼고 있습니다
    교수님만큼 학식있게 배우지 못했어요
    스카이나온다고 다 인성문제있지 않고요
    김기덕감독처럼 초졸에 제데로 인성갖추지못한 쓰레기감독도 있는거에요
    그래서 요즘은 초등중등까지 기본적으로 독서논술 시켜요 ㅡ생각하는힘 키우라고요
    직업체험도 많이시키고요
    근데도 8ㆍ90프로 아이들이 자기 적성이 뭔지 잘 몰라요
    특별히 예체능적성이 없는이상 아이들이 딱히 보이는게 없는데 그렇다고 그 중요한 10대를 계속 놀고먹게 할 수는 없어요
    상위권 친구들은 오히려 책도 많이 읽고 문화체험도 엄청하고 부모따라 선행도 합니다 ㅡ이러려면 부모도 경제적ㆍ정서적 풍요가 바탕이구요
    아직까지 대다수는 맞벌이에 생존이 걸려있어서 그런거에요
    자꾸 독일독일만 안 하셨으면 해요

    • @user-di9xc5ky6y
      @user-di9xc5ky6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끄덕입니다. 아이들 적성을 끌어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과연 그 적성에 걸맞는 일자리는 아이들 스스로가 만들어야 하는지요? 그게 과연 민주주의일까요? 개인의 힘만으로 이것을 바꿀 수 있을까요? 교수님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답답한 마음입니다. 제 나름대로 찾아가는 길입니다만 다수의 부모님들은 생업을 이어가기에도 힘든 포스트 코로나 시대입니다

  • @user-kk1xz2xu7r
    @user-kk1xz2xu7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와....정말 귀한말씀이네요
    이런 교육이 있어서 저출산으로 이어지는듯해요 동물도 환경이 안전하지않으면 새끼를 낳지않습니다...지금 우리도 똑같은거 같아요

  • @borawon1
    @borawon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 @dodosol
    @dodoso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이러한 비판적 관점과 바른 사고를 갖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암요..하지만 그래서 당장 오늘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학부모와 학생들은 어찌해야 하는거죠? 홈스쿨이다 대안학교다 이민이다 하는 결론으로 나아가는 것도 좋은 답은 아닐 수 있을텐데요.. 일단 가정환경이 많이 중요할테니 엄마인 나부터 잘하자 하는 생각으로 마무리 해봅니다. 2부 기대해요

  • @user-hl5bi5ge7m
    @user-hl5bi5ge7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한국교육12년을 어떻게 하면 바뀔수있을까요
    교육부장관이 나서야되나요?구체적인 바뀔 방법에 대해 영상 부탁드려요

  • @user-yz2sc8yv7z
    @user-yz2sc8yv7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맞는❤ 말씀 이십니다 진짜진짜 어서 바꿔야합니다😊자아정체성있게 살고 모두가 각자 원하는대로 사회의 일꾼으로 서로도우며 살고있다 서로존중해주는 사회가 필요합니다😊

  • @user-ws6zy2to6e
    @user-ws6zy2to6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너무도 당연한 말씀. 인간의 존엄성.

  • @mks7481
    @mks748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참나 우리나라가 어때서..
    학생때 다 글도 쓰고 논술도 하고 수행평가도 있는데 이거 뭔소리여
    또 뭘또 꼬아버릴려고..

    • @user-lm4kw6cu6g
      @user-lm4kw6cu6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리나라 교육에 장점이 어딨음??

    • @ZarathuPower
      @ZarathuPower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나라교육은 어딜가도 호환성이 별로 없다는 것. 자동차로 말하지면 연비가 떨어지는 것, 논문 쓰는능력, 발표능력, 욘구능력, 창의능력등등 학문탐구가 가져다 줘야 할 다양한 능력을 수능시험을 마치 교육의 전부 인냥 취급한다는 점. 일찌감치 갖다 버려할 거적대기을 아직까지도 쓰고있음.

  • @user-qd1fk9lp3p
    @user-qd1fk9lp3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아무 기대도, 앞도, 보이지 않는 교육 시스템에 대해 계속해서 이렇게 빛이 어디인지를 말씀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포기하고 기대를 접고 살아 가기만하기 바쁜 … 정말 잘 들었습니다.

  • @user-ki9mb6cp9w
    @user-ki9mb6cp9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말씀이었습니다. 저출산의 원인 중에 지나친 입시경쟁으로 인한 사교육비 증가도 한몫 한다고 봅니다. 과연 우리는 무엇을 위해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는 걸까요. 깊이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 @songjupark139
    @songjupark13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정말 공감하고 갑니다

  • @user-xm5kd2ee3j
    @user-xm5kd2ee3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완전 발상의 전환을 하게됬어요
    잔잔한 내용같지만 무척 깊은 울림이있네요..

  • @dear2707
    @dear270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독재자 성향 저도 그랬습니다 근데 사회에 나와서 20년 아이 키우면서 5년간 성숙해지니 성숙해지더라고요 민주주의에서 가장 중요한건 다양성, 비판의식, 존중이고 공생과 절차 라는 것...그걸 알아 갑니다. 왜냐하면 다수의 어떤 사람들은 파시즘이 아직도 있으나 다수의 어떤 사람들은 저같은 사람들도 있기 때문에 중고등학교때에는 알지 못 했던 걸 알아가게 된다는 겁니다. 다만 교육이 잘못 되었다 그부분에서는 완전히 공감하며 경쟁 없이는 살 수 없고 지식이 없는 의견은 좀 험하게 얘기하면 개소리에 지나지 않으니...지금 같은 상대평가가 아니고 절대평가로 가고 거기에 논술을 더하면 어떤가 생각해요 저번에도 댓글 달았는데 우리는 고3애들에게 완벽한 인간을 요구하니 이게 진짜 미쳤다 라고 밖에 말을 할 수가 없고 진짜 공부는 대학이후부터 인데 고등학교때 너무 힘든 아이들이..존엄 존중 이런걸 배울 수나 있을까요 잠잘 시간도 부족한 아이들이 너무 안됐죠 그래도 저는 아이들을 믿어요 그런 교육에 적응해 왔지만 본인의 가치관을 만들어 가고 결국엔 건강한 인간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다만 쓸데 없이 그 힘든 과정을 왜 겪어야 하는지에 의문이 드는 거죠....수능 몇점 음 그래 이정도면 우리학교 공부할 수 있어 들어와~ 이게 대학의 포지션이어야 하는데 음 너도 너도 너도 다 우수한데 그중 누가누가 우수하니~ 최고만 들어와라 이 포지션이 옳지 않다고 봐요...

  • @user-df7zr6jt8u
    @user-df7zr6jt8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김누리교수님~안녕하세요
    교수님과 같은 생각을 가진 지식인분들의 강의를 20년 넘게 들어왔습니다.
    대다수의 부모들이 대한민국의 잘못된 교육환경과 더이상 배움에 대하여 기대하지 않는 아이들에 관한 강의들 말입니다. 그럼 모든 아이들이 꿈을 꾸며 즐거운 배움을~조금은 느리지만 생각하고 표현하는 배움을~모든 아이들이 헐떡이며 학원으로 달리지 않아도 되는 배움을~교수님께서 이야기하는 그 아이들이 헐떡이며 늦은 밤까지 여기저기 학원을 전전할때
    교수님을 포함하여 그 많은 지식인분들은 무엇을 하고 계셨던 건지 궁금합니다. 지금까지 수많은 제자들을 양성하여 사회에 내 보내셨을텐데~그 제자들이
    교수님이 강의하시는 그 대학을 가기위해 어떤 과정을 격으면서 왔는지?
    그 제자들이 자기의 자식들은 본인들
    처럼 키우지 않기 위해 단절된 사회와 교육, 미래의 아이들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지금 이 강의가 시간 때우기식...
    방법이라고 제시만하고
    뒤돌아서면 남의 일인듯 앞뒤가 다르지 않으시길 바라봅니다.
    옳은 말인데~100번 들어도 옳은 말인데 왜 변하는 지식인은 없는것인지?
    앞에서 옳다 말하고 뒤에서는 아이들의 변별력을 높이기위해 시험대비 문제집을 펴내시지는 않는지~~궁금합니다.
    꽉 막힌 대한민국 교육이 답답하여 글 남겨봅니다.

    • @msmorado
      @msmorad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이글에도 공감합니다.
      이 나라의 현재 상황을 안타까워하는 그 많은 정치인들과 지식인들을 비롯한 사회각계각층의 유명인사들 ...그동안 어떤 노력을 하셨는지 원망스럽기도 합니다.

  • @user-mw4cd2ef6b
    @user-mw4cd2ef6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지금 고등현실은 더 참혹한데 교육부랑 대학부터 바꿔야 교육이 바뀔꺼 같은데 모든 분들이 모두 교육의 방향이 잘못되었다 지적만하고 누구도 대안책을 목소리 높여 바꿔주지는 않는 현실이 참~슬프네요.

  • @sweetdreams-xm5cl
    @sweetdreams-xm5c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도덕의식이 아직 선진화 되진 못해서 자기생각적고 입시하면 오히려 비리가 더 많겠죠 학종이 그런의도였지만 결국 교수부모둔 자식들 돈많은자식들 스펙으로 대학가서 말이 많았죠 교수님 말씀에 동의하고 그리 바뀌어야하지만 현실에서는 이상에 불과하다고 생각해요 아이가 고등가니 수능이 그나마 공평한게 아닌가 합니다

  • @user-iq2rk3vn7m
    @user-iq2rk3vn7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세상에 김누리교수님 나오셨다니요 선댓글 남기고 봅니다😊

  • @user-we2wg9xr1n
    @user-we2wg9xr1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너무 편향되었네……

  • @user-ms4ew3mp3p
    @user-ms4ew3mp3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감동적인 강의였습니다.
    정말 많은 것을 생각하는 시간이였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 @hally33two
    @hally33two Месяц назад +1

    우리사회의 이런 교육의 잘못된 점이 계속 커져가고 더더욱 고착화되어 나 어릴적보다 지금의 아이들은 더더욱 획일화되고 경쟁사회를 살고있는걸 보자니 옳지않음을 느꼈고 변화해야한다는 생각이 갈수록 깊어집니다. 정승익 영어강사와 함께 김누리 교수님과 같은 분이 많아져서 우리 아이들이 좀더 사고하는 배움을 배우며 선진시민으로 커가기를 바랍니다. 많이 널리 알려주세요

  • @user-mq9nb7we6r
    @user-mq9nb7we6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영상보면서 너무나 슬펐습니다...

  • @nana-lr9vf
    @nana-lr9vf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김누리 교수님 늘 존경 하고 감사합니다. 대기자 티비도 응원합니다.

  • @user-rd3hm8wl7e
    @user-rd3hm8wl7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마음이 정화되는 교수님 말씀입니다. 확실히 격이 있네요~한국 교육 문제점 너무 많습니다. 어려우시겠지만 교수님들께서 힘써주셔서 대입제도 꼭 개편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지금 교육 현실이 정말이지 너무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고 아이들은 획일화되고 아프며 비정상적입니다.ㅠㅠ

  • @archivemill9915
    @archivemill991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서울대에서 수학 교양에 학생이 몰리는 이유는 수학 교양이 졸업 요건이기 때문입니다. 이과 커리큘럼상 필수교양이구요...
    서울대에서 반수할거면 휴학을 했겠지요? 서울대는 1학년 1학기부터 휴학을 허용하는 몇 없는 학교인걸요...;;

  • @ejung620
    @ejung62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교육을 주관하는 높으신분들이 교육에 관심이 없으니까요.어쩔수가없죠.투표로 뽑으니 교육에 관심도없는 국민들중 대다수가 정치색으로 표를 주잖아요.우리나라는 훌륭한 학생들 훌륭한 국민성을 갖고있는데,그것을 주관하는 분들이 교육에 능력도없고 관심도 없는게 우리나라의가장큰문제점입니다.
    집집마다 유튜브 게임 스마트폰때문에 전쟁중인데,학교에서까지 디벗을 강제하며 수업시간에도 야구중계를 한답니다. 이게 바로 교육에 관심이 없다는 증거행정이죠

  • @shannonyi275
    @shannonyi27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3

    제가 보기엔 그냥 서유럽물이 든 이상주의자로 보이세요. 이세상에 소위 샘이 말하는 죽은 지식이 습득이 안 된 상태로 창의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고 봐요. 외국에서 애들 학교 보내봤는데 쪽지시험도 보고 일제고사로 그레이드도 매깁니다. 시험에서 네 생각을 묻는 것은 작문시간 외엔 딱히 없어요 ㅋ 생태계나 물으 순환 배우는데 웬 내 생각이 필요한가요 ? -.- 죽은 지식이라뇨 ㅋㅋ 수천년간 선대의 무수한 학자들이 집대성한 세상의 원리들입니다. 이런걸 주입하지 않고 시험보지 않고 무슨 더 큰 생각을 할 수 있나요? 물론 자기 생각을 못하게 키우는 성향이 동양쪽에 있긴 하고 우리나라 교육제도에 문제가 많다는 것은 공감하지만 1953년 폐허에서 공산주의 북한세력과 싸우며 단기간 성장할 수 밖에 없었던 우리나라 상황이나 그 성과를 교묘하게 비하하고 편한 지금 시각으로만 보시려 하시네요. 그리고 외국가보면 굉장히 많은 비율의 사람들이 한국인에 비해 지식수준이 낮고 일처리도 굉장히 느리며 머리가 안 돌아갑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그정도 선에서 만족하며 안분지족하며 살지요. 샘이 말하는 고차원적인 비판능력, 창의성 이런건 샘이 찬양하시는 독일 사람들에게도 대부분 없어요 ㅋㅋ 우리나라는 이상하게 대학이 너무 많은게 문제이고 실제로는 소수의 대학 갈 사람들만 그런 자질을 키우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과열경쟁이 실제로 문화계에서도 발전 원동력이 되고 있고 여러 분야에서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샘이 지적하시는 몇가지 문제에는 공감하나 나라가 세워질때는 로마사만 보아도 독재가 효과적이고 어쩔 수 없는 부분이 많고 우리나라는 여러가지 복합적으로 얻은게 많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신생국가 수준이라 여러가지 문제가 많긴하나 정반합으로 결국 해법을 찾아가게 될거라 생각합니다. 선생님 혼자 넘 고고한 별나라 달나라에 계신것 같아요- 작은 공간에 너무 두서없이 적었네요.

    • @user-lb1qh8dn9l
      @user-lb1qh8dn9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저 교수님보다 님이 낫네요ㅎ
      정말 뜬구름 잡는 말씀만 하셔서 공감 안됐는데..님 👍

    • @gena4745
      @gena474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온갖 요설로 가득찬 영상보다도 이분 댓글이 더 영양가 있네요.

    • @user-jg3ml2wy6k
      @user-jg3ml2wy6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진짜 옳은 말씀이시네요. 정말 훌륭하신 어머니라는 생각이 드네요.

    • @jsa1135
      @jsa113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이 댓글에 진심으로 너무너무 공감합니다. 그리구 원래 학자/교수들은 이론에 사로잡혀 뜬구름없는소리 하기 십상입니다. 너무 다 맹신할 필요도 없어요. 그냥 정보와 의견을 듣고 취사선택하는게 현명. 댓글에 박수보내고 갑니다.

    • @snowj.1906
      @snowj.190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동의합니다. 교수님 의견대로라면 우등생이든 아니든 모두가 자존감이 떨어져야 하고, 자존감 높은 아이는 나르시시즘인지 들어면서 뭐지? 했습니다. 교수님 의견은 실현 가능성이 낮고 너무 이상적입니다.

  • @user-dq9ww3ok1u
    @user-dq9ww3ok1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김누리 교수님 저서를 읽고 통찰력이란 게 이런 거구나 감탄했던 기억이 강렬하게 남아있습니다. 요즘 교수님같은 분의 식견에 목이 말랐는데 대기자티비에서 뵙게 되어 정말 반갑습니다.

  • @havru
    @havr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우리 나라에 이런 지성인 10명만 있어도 좋겠습니다.
    항상 김누리교수님 말씀에 공감하며
    지성인의 용기에 감사드립니다.
    2부도 기다리겠습니다.

  • @user-wx9hc9iv6z
    @user-wx9hc9iv6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나라제도가 이러니 안시킬수도 없고ㅜㅜ 너무 시키기도 애들이 안쓰럽고 ㅜㅜ 고등학교때부터 아예 자기 적성대로 목표한 직업에 관련된 공부만 하도록 바꼈음 좋겠네요~

  • @user-hu1pn7hf8w
    @user-hu1pn7hf8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아이 키우는 엄마로 고민이 많아지네요.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파시즘에서 너무 공감되고 안타까웠네요..

  • @user-nz8ee3hy1u
    @user-nz8ee3hy1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김누리교수님~~~~❤ 교육대기자티비에 나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김누리교수님 영상은 꼭 남편에게도 공유하고 같이 보고 이야기 나눠요.

  • @user-eh7mg6ns3k
    @user-eh7mg6ns3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소름끼치는 현실...
    알고있지만 모른척 하고있는
    어디서부터 바꿔야할지..
    말씀 너무 잘 들었습니다..
    2부 빨리 보고싶네요

  • @eunyoungchun6179
    @eunyoungchun617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아들셋 키우고 있는 엄마 입니다. 큰아이, 둘째아이가 고등에 있다보니 교수님의 말씀이 너무 깊이 가슴에 와 닿습니다. 님편과 대화를 계속 하게 되네요...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jkchoi7908
    @jkchoi790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너무 반갑습니다 교수님

  • @user-fo6rz3mw6g
    @user-fo6rz3mw6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오늘 내용 너무 좋습니다.

  • @user-uf9ew3bw1g
    @user-uf9ew3bw1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진화생물학자들이 말하는 다윈주의는 김누리교수님이 말씀하신 내용이 다가 아니더군요. 과학 이론도 누가 이용해먹냐에 따라 오해의 소지가 생기는게 있는것 같습니다.

    • @havru
      @havr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슨 말씀을 하시는건가요?

    • @user-uf9ew3bw1g
      @user-uf9ew3bw1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havru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이나 리처드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아무 편견없이 읽어보셔요. 남에게 듣는 것보다 직접 읽어보시면 어떤 의미인지 아실겁니다.

  • @kireda8008
    @kireda800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김누리교수님을 여기서 뵙다니 너무 반갑습니다., 모든분들이 들었으면 하는 강의입니다..김누리교수님통해 알게된 나부터교육혁명, 더불어교육혁명 이라는 저서 지으신 강수돌교수님도 초청해주세요!!^^

  • @cocoalove9
    @cocoalove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오늘은 독일교육 찬양은 안하시네요 유럽식 교육도 좋지요 그치만 한국교육도 장점 없지 않아요 다름을 인정하고 그런 장점을 살릴수있는 방향으로 갔으면 좋겠어요

    • @user-tj2ik4vf8w
      @user-tj2ik4vf8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동감합니다 한국의 위상적 현실은 교수님께서 인식하는 수준과 다른데요~
      물론 아쉬움이 있지만 말입니다

    • @suyeonpark6174
      @suyeonpark617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장점이 있다 하지 마시고 장점을 말씀해주세요

    • @pinkspider9464
      @pinkspider946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국 교육의 장점이 도대체.어디? 그래서 한국 아이들이 2명중의 한명이 상시적 자살충동에 시달리는구나

    • @user-lm4kw6cu6g
      @user-lm4kw6cu6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국 교육에 장점이 어딨음??

  • @user-dz4ob2ps1i
    @user-dz4ob2ps1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섭외력 진짜 인정이네요. 교수님 말씀처럼 근본적인 문제를 짚어주신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것들이 현실에서 반영될 가능성이 적더라도 어쨌든 방향성을 생각해보자는 의미이신 것 같아서 인상 깊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mm8rm3bl8m
    @user-mm8rm3bl8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수능이라는 제도가 초저출산 때문에 자연스레 없어질거 같습니다 문제는 그 후에 어떤식으로 교육이 바뀔지 궁금하네요

  • @looloo6067
    @looloo606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말 대박강의에요...교수님 우리나라 교육좀 심폐소생술 해주세요ㅜㅜ 아이들이 불쌍해요

  • @user-tz7bk2ou7j
    @user-tz7bk2ou7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마음에 혼란스러웠던 무엇인가가 정리된거 같습니다. 깊이 공감합니다...아이를 낳아 점점 현실과 타협하며 교육하는 저를 보며 처음 내가 가졌던 교육관과 괴리가 커지는 상황에 이게 맞나 항상 의구심이 들었지만 우리 아이만 낙오될까 다시 전전긍긍하며 똑같은 라인에서 경쟁하듯 달리게 한 지금 상황이 슬프고...또 우리 아이에게 미안한 맘이 드네요....교육이 제대로 이뤄지는 세상이 오길 간절히 바랍니다

  • @user-op6ql1jl9l
    @user-op6ql1jl9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중1아이. 인생 첫 시험을 얼마전에 봤습니다. 영어교과서에 나온 지문을 통암기해야 100점을 맞는데..이게 맞나싶습니다. 100점을 맞아야 1등이 되는거고..순위가 매겨지니 아이들은 열심히 지문을 암기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25년전 제가 공부했던 방식 그대로더군요. 그마저도 부족했다고 다음 기말고사땐 토시하나 안틀리고 다 외워버릴거라고합니다. 이게 맞나요? 이렇게해야 좋은 평가를 받고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는건가요? 교수님 영상 볼때마다 새로운 자극을 받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니 부모로서 너무 마음 아픕니다. 책상에 앉아있는 시간은 늘고 예체능은 초등 졸업이후 해본적이 없습니다ㅜ 너무속상해요.

  • @link9399
    @link939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교수님도 훌륭하시지만 사회자님도 진행을 넘잘하시네요

  • @minhyomom
    @minhyomo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김누리 교수님 말씀 빨려 들어가 봤습니다. 너무 맞는 말씀에 공감하며 봤어요. 21세기에 20세기 때 생각없이 순종적으로 시키는대로 잘 할 말 잘듣는 사람 키우는 교육을 계속 하고 있다니요! 다들 잘 못 된걸 알면서도 어쩔수 없어 그냥하고 있다는 게 너무 속상합니다. 힘있게 해주시는 말씀에 속이 뻥 뚫린듯 시원하네요! 태재대 염재호총장님편만큼 너무 좋았습니다. 방편집장님 감사해요!
    2부도 기대됩니다.😊

  • @user-yu6eb7ce2v
    @user-yu6eb7ce2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김누리교수님 존경합니다 😊😊
    자주 뵙고싶습니다 😊😊

  • @user-zi5nn5mb8i
    @user-zi5nn5mb8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하나 다시금 고민하게되네요...

  • @derrickhs4941
    @derrickhs494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고 산업화 시대에 개성을 키우는 교육을 했으면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을까요? 죽은지식이라고 하는데 창의성도 무에서 ㅇㅣ루어 지는게 아니라 지식과 이론을 갖춘 사람이 더 잘 합니다

  • @user-ee3tw2ko5t
    @user-ee3tw2ko5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너무 동의하는데 중학생을 키우는데 어렵네요ㅠ

  • @Holly-sj5vj
    @Holly-sj5vj 4 месяца назад

    저는 퇴직한 교사입니다. 평소에도 김누리교수님 이야기를 들으며 깊은 공감을 느껴왔는데 오늘은 눈물이 날것만 같습니다. 인간에 대한 깊고 따뜻한 이해 고맙습니다. 사회에 대한 냉철하고 바른 시선 정말 감사합니다.

  • @jJ-kx2kw
    @jJ-kx2k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4년전쯤 김교수님 영상을 봤었는데 그때와 비슷한 내용으로 강의하시는거 같아요
    전 공감하는것도 있지만 아닌 부분은 해결책에 대한 내용은 무엇이지? 이겁니다
    2부에선 나오려나요?
    이 나라 교육은 공장에서 만들어 나오는 제품(인적자원)을 만드는 것이라고 어떤 책에서 봤어요
    너무 충격적이었네요
    상위에 있는 사람들은 아래사람이 올라오지 않게 딱 컴퓨터마냥 지식만 알아야한다라고
    이 교육은 생각을 없애주고 세뇌시키기 좋아서라고 보았습니다
    이유는 상위 사람들은 아래 사람이 올라오는게 싫다고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것을 공유하기 싫거든요..
    2부 영상 기대해봅니다

    • @suesue4848
      @suesue484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자원없는 나라에서 인적자원 아니면 뭐로 먹고사나요
      노르웨이처럼 유전에 기름이 빵빵 터지는 그런 나라 아니면 인적자원이란말은 필수인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