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을 '일'에 활용하는 가장 완벽한 방법 (with 충코의 철학)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9 июн 2024
  • 👨🏻‍💻 CONNECT WITH ME
    - 이메일: pptlogy@gmail.com
    - 강의, 강연, PPT제작 문의 환영 💖
    - 인스타: bit.ly/3A85pw2
    - 틱톡: bit.ly/3CkQUah
    - 사용 프로그램: Office365, 윤디자인폰코, 파이널컷
    - 사용 폰트: 윤디자인 DS최최최최최종
    - 출연: ‪@chungco_phil‬
    - 장소제공: ‪@best_pen‬
    🎙️ 페이퍼로지의 강의
    - RUclips Courses : bit.ly/3sNcMJG
    - 성공하는 기획의 50가지 디테일 : bit.ly/3BeaaVR
    - 100억을 움직이는 단 10장의 PPT: bit.ly/3p7i1PD
    - 프로들이 쓰는 진짜 PPT의 50가지 원칙: bit.ly/3Ewl3RS
    - CLASS101 강의 ::: 101.gg/3YUglt2
    📚 페이퍼로지의 책
    - 보고서 첫걸음 (동양북스): bit.ly/3Yt6adb
    - 돈되는 기획(한빛비즈): bit.ly/3QYoxmR
    - 싸가지 없는 영어책 (휴먼카인드): bit.ly/3pC6Uhi
    - 걔네가 쓰는 영어 (휴먼카인드): bit.ly/3pCP7Xk
    🕴🏻 커리어
    • 現 Wiselion Korea / Japan CEO, 대표기획자
    • 2012 이노션 월드와이드 기획(AE)
    • 2010 레오버넷 코리아 기획(AE) 등
    🏆 Awards & Scores
    • 2011 클리오 (CLIO) 국제광고상 Silver & Bronze
    • 2010 더알엑스 국제광고상 Gold & Exellence
    • 2010 한양대학교 광고전공 석사 최우수 논문상 등
    ✅타임라인
    00:00 철학을 일에 적용하는 방법
    04:19 부정적 감정을 일에 활용하는 방법
    10:40 철학을 공부하는 툴
    11:35 구독자 Q&A
    18:44 다음편 예고
    #철학 #기획 #일

Комментарии • 27

  • @chungco_phil
    @chungco_phi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이야기 나눌 수 있어 정말 영광이었습니다. 철학과 일의 접목에 대해 저도 더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는 기회였고, 앞으로도 더 다각도에서 생각해봐야겠다는 다짐의 자리이기도 했습니다. 페이퍼로지님 감사합니다!ㅎㅎ

    • @paperlogy
      @paperlog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철학자의 위대함을 느낀 시간이었습니다! 2편에서 또 인사드리겠습니다 🙇🏻‍♂️

    • @FictionorGame
      @FictionorGam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충코님의 영상 및 댓글의 링크 따라,
      흘러들어왔습니다.
      감사합니다!

    • @FictionorGame
      @FictionorGam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ruclips.net/video/_kCFLdvsiaM/видео.htmlsi=B15q4ckCXpgq5KzD
      충코님 정말 좋은 말씀 항상 감사합니다!
      저도, 저의 ‘서양의 덕 윤리학’ 속에서의 ‘기술’ 항목의 ‘덕’에 대한 능력을 연습하고자, 이렇게 다시 긴 댓글 또는 글로 작성하며,
      (1) 외부로 나의 생각을 표출한다.
      (2) 나의 생각을 표현 가능한 ‘언어’의 상태로; 즉, 상대방과 상호 작용 할 수 있는 ‘설명’의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성공’과 ‘실패’가 없는 ‘과정’의 연습이다.
      (3-1) 그러므로, 나의 ‘생각’에 ‘동의(3-1)’ 하는 사람들은, 나와 비슷한 ‘생각들’을 ‘미래’에 점차적이고 구체적으로 하며, ’생각‘을 ’표현‘ 할 수 있는 연습을 할 것이며;
      (3-2) 또한 1(1,0)의 확률으로, ‘반대(3-2)’ 하는 사람들은, 나와 ‘다른’ 생각들을 나에게 ’설명‘하여 주기 때문에, ’결국‘ 우리 모두의 ’집단 지성‘은 더더욱 활발하게 (3-1 + 3-2 = 6-3)의 또 다른 세번째(3) ’미래‘의 방향이 도출될 것이기에;
      (4) 최종적으로, 네번째(4)이자, (3)의 ‘소수’로 표시되는, 3개의 생각들이 ‘중첩’되는, ‘사면체’의 형태의; 일종의 ‘비대칭 피라미드’ 형태(shape)의 ‘높은 꼭지점’으로 ‘무한의 생각들‘이 더 높은 ’집단 의식‘의 하나로 가게 된다.
      (5) 그러므로, ♾️^1 = 1^♾️의 수학 방정식은, 결국 마지막에 E=♾️^1 또는, 관측 가능한 상태인, U=1^♾️ 또는 F=1

    • @FictionorGame
      @FictionorGam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또한,
      아인슈타인이 20세기 초중반,
      인류의 새로운 관측으로 발견된 개념인,
      ‘양자 역학’의 관점을 반대한 이유는,
      세상을 양자 역학적으로;
      숫자와 수학의 방정식으로 설명하자면,
      E=1(x/100%);
      1분의 x의 백분율 비율;
      이라는, 하나의 ’믿음‘을,
      매우 복잡한 단계인 100%의 믿음으로 ’상상력‘이 확장이 되었으며,
      다음 단계인, 100%를 무한대로 나눌 수있기에,
      21세기의 인류의 ’믿음‘이라는 한 단어의 정의 또는 기준은 1=1 또는 참은 참이다. 라는 가정이 아닌, “미래의 믿음은 퍼센트로 이루어진 무한대이다.” 라는, 안타까운 ’지혜‘를 잃어버렸다.
      그렇기 때문에, 약 80억의 전 세계의 사람들 또는 사람들의 단체의 ’생각‘과 ’미래의 방향‘이 다 다르기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그런 이유에서, 나의 ’무한대 중 하나의 우주‘라는 이론;
      Infinite Time Space Universe Theory + 5th ‘White Energy Time Space Universe’
      라는, 하나의 미래의 ’방향성‘을 설명하여 주는 ’글‘ 또는 ’허구속의 소설 이야기’ 또는 ‘미래의 이론‘ 또는 더 나아가, ’먼 미래의 우주의 에너지 평형 법칙‘이다.
      그리고, 그것은 수학의 ‘방정식’으로는,
      ♾️^1 = 1^♾️이며,
      1차원의 ‘선’의 ‘관점’으로는,
      ♾️=1 또는 1=♾️,
      즉, 엔트로피(h)의 방향이 정방향(미래임으로; E=-1h) 또는 역방향(과거; E=+1h)으로 ‘연속적으로’ ‘우주 공간 및 물체‘들은 모두 ’하나(1)’로 연결이 되어 있다.
      증가가 되는 것은 ‘무질서‘라고 부르는, 시간 또는 엔트로피의 증가이며; 결국 ’무질서‘ 또는 ’엔트로피‘는 ’무한대의 방향성‘이라는 의미와도 연결이 되어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E=+ or - of h; Energy is + or - of entropy.
      이기에, 단지 하나의 ’시스템‘의 열 에너지의 ’증가‘처럼, ’에너지‘의 한 종류가 증가한 것 뿐이다. 무질서도의 이유는 ’양자 역학의 E=1(x/100%)의 방식으로 세상의 관점을 가두고 ‘관찰‘하기 때문이다.
      감사합니다.

    • @user-bw9nu5mn8d
      @user-bw9nu5mn8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젭알 2부ㅠㅜㅜ

  • @limited1766
    @limited176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크 역시 철학전문가, 작가 이런 분들은 생각의깊이가 다르고 놀라워요 넘 재밌네요 제목에 끌려서 눌렀는데 너무 잘보고가요~~ 우주에 대해 과학적인 의문을 늘 가지고 있는데 철학에 대해서도 더 궁금해지네용 구독해야지 철콩님

    • @paperlogy
      @paperlog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상 봐 주셔서 진심으로 영광입니다

  • @tohko5481
    @tohko548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혼자서 생각하고 논리적으로 정리하는게 철학이라고 생각했었는데, 결국은 철학도 남에게 보여주는것에 초첨이 맞춰져 있다는 것이 새롭고 재미있는 발견이였습니다 😊❗️철학자가 바라보는 비즈니스에 대한 얘기를 들을 수 있어서 너무 재미있었습니다😆💕앞으로도 이런 참신한 콜라보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paperlogy
      @paperlog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토코짱

  • @user-uh7gt4ew6g
    @user-uh7gt4ew6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영화 ’스핀오프‘처럼
    피피티로지에서 페이퍼로지로의 확장👍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많은 소양을 넓힐수 있어서 항상 감사합니다.
    2024 또 한번의 무한한 성장을 기대해봅니다!

    • @paperlogy
      @paperlog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PPT를 중심으로 다양한 이야기 펼치겠습니다!

  • @user-yg9rj4vv6y
    @user-yg9rj4vv6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6:11 부정을 대면해서 극복하는게 사람이라서 해내자 그로부터 더 큰 긍정이 미래에 있다! 미래를 위해서 현재를 살자는거 아니라 바른 길은 그 길 하나 뿐이니까다

    • @paperlogy
      @paperlog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 @user-k2kdsjfrtd
    @user-k2kdsjfrt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철학(인문학)은 원래 돈이안됩니다 인간을 먼저 생각하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반 자본적일수 밖에 없습니다. 자본주의 시스템자체가 인위적인 체제인데 그안에서 는 이미 변질된 가짜인것. 혹은 "진 짜"는 아닌거죠. 그냥 돈버는 사람의 장사 철학이다하면 상관없겠지만요.

    • @paperlogy
      @paperlog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인문학은 역설적으로 반자본적이라는 말 너무 와닿습니다. 좋은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메모하겠습니다!

  •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책은 내 의지에 따라 멈출 수 있기에 저자와의 대화가 가능하다 생각한다.또한 나는 그렇게 책을 읽는다.'

    • @paperlogy
      @paperlog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좋습니다! ㅎㅎ

  • @vamp_c502
    @vamp_c50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충코님 채널 타고 왔는데 페이퍼로지님 순간 손흥민 선수인 줄 알았습니다 ㅋㅋㅋ
    유익한 말씀 잘 듣고 갑니다.

    • @paperlogy
      @paperlog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철학의 별 절대 안높아! (손웅정님 톤으로)

  • @MS-td8mt
    @MS-td8mt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좋다 심오해❤❤❤

    • @paperlogy
      @paperlogy  3 месяца назад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leerio2526
    @leerio252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떴다! 내 영양간식 오늘도 맛있게 먹겠습니다🙇🏻‍♂️ (야스에서 벌써 터짐 ㅋㅋㅋㅋ)

    • @paperlogy
      @paperlog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